KR20180010429A -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429A
KR20180010429A KR1020160092477A KR20160092477A KR20180010429A KR 20180010429 A KR20180010429 A KR 20180010429A KR 1020160092477 A KR1020160092477 A KR 1020160092477A KR 20160092477 A KR20160092477 A KR 20160092477A KR 20180010429 A KR20180010429 A KR 20180010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rain hole
tunnel
mold
form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8483B1 (ko
Inventor
김백현
Original Assignee
김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백현 filed Critical 김백현
Priority to KR1020160092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4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4Unitary mould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moulding spaces, e.g. moulds divided into multiple moulding spaces by integratable partitions, mould part structures providing a number of moulding spaces in mutual co-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3/00Large underground chamber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6/00Drainage
    • E21F16/02Drainage of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의 지면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이동부재(110); 상기 이동부재(110)의 일측에 설치하여 공동구(A)를 성형하기 위한 공동구 성형부재(120); 상기 이동부재(110)의 중간에 설치하여 배수구(B)를 성형하기 위한 배수구 성형부재(130); 상기 이동부재(110)의 타측에 설치하여 벽체(C)를 성형하기 위한 벽체 성형부재(140);로 이루어지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10)는 하부 양측에 바퀴(111a)를 형성하는 본체(111); 상기 본체(111)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승강몸체(112); 상기 본체(111)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승강몸체(11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113); 상기 승강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하는 다수개의 롤러(114); 상기 승강몸체(112)의 일측에 연결하여 상기 롤러(114)를 순환하도록 형성하는 로프(115); 상기 로프(115)의 끝단에 설치하는 중량체(116);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동구 성형부재(120)는 상기 승강몸체(112)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지지대(121); 상기 제1지지대(121)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1힌지축(122); 상기 제1힌지축(12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제1회전대(123); 상기 제1회전대(123)의 외측에 형성하는 제1회동축(124)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공동구 거푸집(1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구 성형부재(130)는 상기 승강몸체(112)의 중간에 설치하는 제2지지대(131); 상기 제2지지대(131)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2힌지축(132); 상기 제2힌지축(13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제2회전대(133); 상기 제2회전대(133)의 외측에 형성하는 제2회동축(134)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배수구 거푸집(13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체 성형부재(140)는 상기 승강몸체(112)의 타측에 설치하는 제3지지대(141); 상기 제3지지대(141)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3힌지축(142); 상기 제3힌지축(142)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벽체 거푸집(143);으로 이루어지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 후 거푸집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해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공동구 및 배수구의 규격에 따라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작업시간 및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물인 거푸집을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무게중심을 조절하여 거푸집을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Pipe utility conduit of tunnels and drainage mold}
본 발명은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를 원활하게 성형(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공동구 및 배수구를 성형 후 쉽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은 터널의 양측 또는 일측에 각종 케이블, 가스관 등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구와 빗물 등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를 성형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터널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 콘크리트의 타설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콘크리트 표면에서 달라붙어 있는 거푸집을 쉽게 해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공동구 및 배수구의 규격에 따라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작업시간 및 공사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중량물인 거푸집을 해체하고 지정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서 크레인 등과 같은 건설장비가 필요하므로 불필요하게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중량물인 거푸집의 안정적인 이동이 어려워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일본공개실용신안 소54-025622호(1979.02.20.) 일본공개특허 특개평08-144513호(1996.06.04.)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67390호(2009.06.25) 한국등록특허 제10-0943286호(2010.02.18)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1496호(2011.05.18)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1852호(2012.09.17) 한국등록특허 제10-1396434호(2014.05.2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무게중심을 조절하면서 거푸집을 설치하여 공동구 및 배수구를 원활하게 성형할 수 있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을 들어올리면서 쉽게 해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100)은,
터널의 지면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이동부재(110); 상기 이동부재(110)의 일측에 설치하여 공동구(A)를 성형하기 위한 공동구 성형부재(120); 상기 이동부재(110)의 중간에 설치하여 배수구(B)를 성형하기 위한 배수구 성형부재(130); 상기 이동부재(110)의 타측에 설치하여 벽체(C)를 성형하기 위한 벽체 성형부재(140);로 이루어지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10)는 하부 양측에 바퀴(111a)를 형성하는 본체(111); 상기 본체(111)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승강몸체(112); 상기 본체(111)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승강몸체(11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113); 상기 승강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하는 다수개의 롤러(114); 상기 승강몸체(112)의 일측에 연결하여 상기 롤러(114)를 순환하도록 형성하는 로프(115); 상기 로프(115)의 끝단에 설치하는 중량체(116);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동구 성형부재(120)는 상기 승강몸체(112)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지지대(121); 상기 제1지지대(121)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1힌지축(122); 상기 제1힌지축(12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제1회전대(123); 상기 제1회전대(123)의 외측에 형성하는 제1회동축(124)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공동구 거푸집(1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구 성형부재(130)는 상기 승강몸체(112)의 중간에 설치하는 제2지지대(131); 상기 제2지지대(131)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2힌지축(132); 상기 제2힌지축(13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제2회전대(133); 상기 제2회전대(133)의 외측에 형성하는 제2회동축(134)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배수구 거푸집(13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벽체 성형부재(140)는 상기 승강몸체(112)의 타측에 설치하는 제3지지대(141); 상기 제3지지대(141)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3힌지축(142); 상기 제3힌지축(142)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벽체 거푸집(1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퀴(111a)는 터널의 지면을 따라서 설치하는 레일(111c)의 상부면에 안착하여 이동하고, 상기 바퀴(111a)의 일측에 구동모터(111d)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몸체(112)의 타측 하부에 한 쌍의 지지축(112a)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112a)은 상기 본체(111)의 상부 양측에 형성하는 레일(111b)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회전대(123)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통공(123a)을 형성하여 상기 제1힌지축(122)과 결합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공동구 거푸집(125)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공동구 거푸집(125)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연장하는 받침구(126)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구(126)의 내측에 서로 맞닿는 위치에 연동축(127)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회전대(133)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통공(133a)을 형성하여 상기 제2힌지축(132)과 결합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배수구 거푸집(135)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배수구 거푸집(135)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보조 거푸집(1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 후 거푸집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해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공동구 및 배수구의 규격에 따라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작업시간 및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물인 거푸집을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무게중심을 조절하여 거푸집을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의 실시예에 대한 설치 및 해체상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치 및 해체상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의 실시예에 대한 설치 및 해체상태 참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치 및 해체상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널의 지면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이동부재(110); 상기 이동부재(110)의 일측에 설치하여 공동구(A)를 성형하기 위한 공동구 성형부재(120); 상기 이동부재(110)의 중간에 설치하여 배수구(B)를 성형하기 위한 배수구 성형부재(130); 상기 이동부재(110)의 타측에 설치하여 벽체(C)를 성형하기 위한 벽체 성형부재(140);로 이루어지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10)는 하부 양측에 바퀴(111a)를 형성하는 본체(111); 상기 본체(111)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승강몸체(112); 상기 본체(111)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승강몸체(11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113); 상기 승강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하는 다수개의 롤러(114); 상기 승강몸체(112)의 일측에 연결하여 상기 롤러(114)를 순환하도록 형성하는 로프(115); 상기 로프(115)의 끝단에 설치하는 중량체(116);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동구 성형부재(120)는 상기 승강몸체(112)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지지대(121); 상기 제1지지대(121)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1힌지축(122); 상기 제1힌지축(12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제1회전대(123); 상기 제1회전대(123)의 외측에 형성하는 제1회동축(124)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공동구 거푸집(1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구 성형부재(130)는 상기 승강몸체(112)의 중간에 설치하는 제2지지대(131); 상기 제2지지대(131)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2힌지축(132); 상기 제2힌지축(13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제2회전대(133); 상기 제2회전대(133)의 외측에 형성하는 제2회동축(134)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배수구 거푸집(13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벽체 성형부재(140)는 상기 승강몸체(112)의 타측에 설치하는 제3지지대(141); 상기 제3지지대(141)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3힌지축(142); 상기 제3힌지축(142)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벽체 거푸집(143);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부재(110)는 터널의 지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공동구(A), 배수구(B), 벽체(C)를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들을 지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1)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밀어서 지면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퀴(111a)는 터널의 지면을 따라서 설치하는 레일(111c)의 상부면에 안착하여 이동하고, 상기 바퀴(111a)의 일측에 구동모터(111d)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111d)의 작동으로 상기 레일(111c)을 따라서 상기 본체(11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몸체(112)는 상기 실린더(113)의 작동상태에서 따라서 상기 공동구 성형부재(120), 배수구 성형부재(130), 벽체 성형부재(14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정한 위치에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11d) 및 실린더(113)는 중량물인 상기 공동구 성형부재(120), 배수구 성형부재(130), 벽체 성형부재(140)를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압을 동력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승강몸체(112)의 타측 하부에 한 쌍의 지지축(112a)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112a)은 상기 본체(111)의 상부 양측에 형성하는 레일(111b)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량체(116)는 외팔보 구조인 상기 승강몸체(112)의 일측에 연결한 상기 로프(115)를 타측으로 당겨서 무게중심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11)는 터널의 지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공동구(A), 배수구(B), 벽체(C)는 터널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하므로, 상기 본체(111)는 일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연장하는 외팔보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으므로 흔들림을 방지하고 무게중심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량체(116)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량체(116)는 일정중량을 갖는 다수개의 블록형태로 조립 또는 분리하여 작업자가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동구 성형부재(120)는 공동구(A)를 성형하기 위한 수단으로, 특히 공동구(A)를 성형 후 콘크리트와 달라붙어 있는 상기 공동구 거푸집(125)을 쉽게 해체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몸체(112)가 상승할 경우 상기 제1힌지축(122)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대(123)가 들어 올려지면서 상기 공동구 거푸집(125)이 상기 제1회동축(124)을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공동구(A)의 콘크리트 벽면에서 쉽게 해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동구 거푸집(125)은 공동구(A)의 규격 및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대(123)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통공(123a)을 형성하여 상기 제1힌지축(122)과 결합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공동구(A)의 규격(넓이)에 따라서 상기 공동구 거푸집(125)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여 공동구(A)를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구(A)의 바닥면을 성형 후 상기 공동구 거푸집(125)을 이용하여 공동구(A)의 측면을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공동구 거푸집(125)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연장하는 받침구(126)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구(126)의 내측에 서로 맞닿는 위치에 연동축(127)을 관통하여 연결함으로써 공동구(A)의 측면과 바닥면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동축(127)은 상기 공동구 거푸집(125)를 들어올릴 경우 상기 받침구(126)를 상부방향으로 회전시켜 공동구(A)의 바닥면에서 쉽게 해체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수구 성형부재(130)는 배수구(B)를 성형하기 위한 수단으로, 특히 배수구(B)를 성형 후 콘크리트와 달라붙어 있는 상기 배수구 거푸집(135)을 쉽게 해체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몸체(112)가 상승할 경우 상기 제2힌지축(132)을 중심으로 상기 제2회전대(133)가 들어 올려지면서 상기 배수구 거푸집(135)이 상기 제2회동축(134)을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배수구(B)의 콘크리트 벽면에서 쉽게 해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 거푸집(135)은 배수구(B)의 규격 및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대(133)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통공(133a)을 형성하여 상기 제2힌지축(132)과 결합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배수구(B)의 규격(넓이)에 따라서 상기 배수구 거푸집(135)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여 배수구(B)를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구(B)의 일측면을 성형 후 상기 배수구 거푸집(135)을 이용하여 배수구(B)의 타측면을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구 거푸집(135)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보조 거푸집(136)을 포함하여 배수구(B)의 양측면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벽체 성형부재(140)는 벽체(C)를 성형하기 위한 수단으로, 특히 벽체(C)를 성형 후 콘크리트와 달라붙어 있는 상기 벽체 거푸집(143)을 쉽게 해체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제3힌지축(142)은 상기 벽체 거푸집(143)를 들어올릴 경우 상기 벽체 거푸집(143)를 내측으로 회전시켜 벽체(C)의 측면에서 쉽게 해체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110: 이동부재 111: 본체
111a: 바퀴 111b: 레일
111c: 레일 111d: 구동모터
112: 승강몸체 112a: 지지축
113: 실린더 114: 롤러
115: 로프 116: 중량체
120: 공동구 성형부재 121: 제1지지대
122: 제1힌지축 123: 제1회전대
123a: 통공 124: 제1회동축
125: 공동구 거푸집 126: 받침구
127: 연동축
130: 배수구 성형부재 131: 제2지지대
132: 제2힌지축 133: 제2회전대
133a: 통공 134: 제2회동축
135: 배수구 거푸집 136: 보조 거푸집
140: 벽체 성형부재 141: 제3지지대
142: 제3힌지축 143: 벽체 거푸집
A: 공동구 B: 배수구
C: 벽체

Claims (7)

  1. 터널의 지면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이동부재(110); 상기 이동부재(110)의 일측에 설치하여 공동구(A)를 성형하기 위한 공동구 성형부재(120); 상기 이동부재(110)의 중간에 설치하여 배수구(B)를 성형하기 위한 배수구 성형부재(130); 상기 이동부재(110)의 타측에 설치하여 벽체(C)를 성형하기 위한 벽체 성형부재(140);로 이루어지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10)는 하부 양측에 바퀴(111a)를 형성하는 본체(111); 상기 본체(111)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승강몸체(112); 상기 본체(111)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승강몸체(11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113); 상기 승강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하는 다수개의 롤러(114); 상기 승강몸체(112)의 일측에 연결하여 상기 롤러(114)를 순환하도록 형성하는 로프(115); 상기 로프(115)의 끝단에 설치하는 중량체(116);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동구 성형부재(120)는 상기 승강몸체(112)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지지대(121); 상기 제1지지대(121)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1힌지축(122); 상기 제1힌지축(12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제1회전대(123); 상기 제1회전대(123)의 외측에 형성하는 제1회동축(124)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공동구 거푸집(1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구 성형부재(130)는 상기 승강몸체(112)의 중간에 설치하는 제2지지대(131); 상기 제2지지대(131)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2힌지축(132); 상기 제2힌지축(13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한 쌍의 제2회전대(133); 상기 제2회전대(133)의 외측에 형성하는 제2회동축(134)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배수구 거푸집(13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체 성형부재(140)는 상기 승강몸체(112)의 타측에 설치하는 제3지지대(141); 상기 제3지지대(141)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3힌지축(142); 상기 제3힌지축(142)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벽체 거푸집(1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111a)는 터널의 지면을 따라서 설치하는 레일(111c)의 상부면에 안착하여 이동하고, 상기 바퀴(111a)의 일측에 구동모터(111d)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몸체(112)의 타측 하부에 한 쌍의 지지축(112a)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112a)은 상기 본체(111)의 상부 양측에 형성하는 레일(111b)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대(123)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통공(123a)을 형성하여 상기 제1힌지축(122)과 결합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공동구 거푸집(125)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공동구 거푸집(125)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연장하는 받침구(126)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구(126)의 내측에 서로 맞닿는 위치에 연동축(127)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대(133)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통공(133a)을 형성하여 상기 제2힌지축(132)과 결합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배수구 거푸집(135)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거푸집(135)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보조 거푸집(1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KR1020160092477A 2016-07-21 2016-07-21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KR101848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477A KR101848483B1 (ko) 2016-07-21 2016-07-21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477A KR101848483B1 (ko) 2016-07-21 2016-07-21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429A true KR20180010429A (ko) 2018-01-31
KR101848483B1 KR101848483B1 (ko) 2018-04-13

Family

ID=6108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477A KR101848483B1 (ko) 2016-07-21 2016-07-21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4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246B1 (ko) * 2018-08-28 2019-01-25 (주)대원콘크리트 레진 맨홀용 몸체 성형틀
KR20190113345A (ko) 2018-03-28 2019-10-08 서상욱 공동구용 메쉬망 제조 장치 및 상기 공동구용 메쉬망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공동구용 메쉬망
KR102109340B1 (ko) * 2019-11-18 2020-05-12 (주)태현엔지니어링 터널 공동구 시공용 이동식 거푸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345A (ko) 2018-03-28 2019-10-08 서상욱 공동구용 메쉬망 제조 장치 및 상기 공동구용 메쉬망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공동구용 메쉬망
KR101942246B1 (ko) * 2018-08-28 2019-01-25 (주)대원콘크리트 레진 맨홀용 몸체 성형틀
KR102109340B1 (ko) * 2019-11-18 2020-05-12 (주)태현엔지니어링 터널 공동구 시공용 이동식 거푸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483B1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483B1 (ko) 터널의 공동구 및 배수구 성형용 거푸집
CN210217157U (zh) 爬模系统的退模装置
CN108412193B (zh) 电梯井施工内模板伸缩装置
CN107905250B (zh) 一种混凝土公路用挡土墙建造施工一体机
JP2019073920A (ja) セントル内の天井型枠の撤去方法および受け構台
CN106917499A (zh) 一种自驱式全自动机器人爬架
KR101435460B1 (ko)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회전장치
JP3178279U (ja) スライドダウン装置
KR102198890B1 (ko)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
CN104929660B (zh) 一种连续明洞隧道成型施工设备
CN113097929A (zh) 自升式从动滚轮组
CN111042835A (zh) 一种隧道线缆沟和水沟施工台车及其施工方法
CN112647844A (zh) 咬合桩成桩机
CN104148461A (zh) 一种使用卷板机卷制锥筒的方法
CN211143123U (zh) 基准箱位移装置
CN113845024A (zh) 一种地铁施工用液压升降龙门架
CN109822728B (zh) 飘窗生产装置和飘窗生产方法
CN109226369B (zh) 一种钢板卷制预弯辅助装置及钢板卷制预弯加工方法
CN202214965U (zh) 一种成套电动机械粉墙设备
CN206128625U (zh) 滑空倒模装置
KR20110043120A (ko) 슬라브 거푸집 해체용 하강장치
KR101821718B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CN211737150U (zh) 一种隧道线缆沟和水沟施工台车
CN205036067U (zh) 自升降施工平台
KR102389962B1 (ko) 인상 및 회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