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386A - 공기 청정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386A
KR20180010386A KR1020160092361A KR20160092361A KR20180010386A KR 20180010386 A KR20180010386 A KR 20180010386A KR 1020160092361 A KR1020160092361 A KR 1020160092361A KR 20160092361 A KR20160092361 A KR 20160092361A KR 20180010386 A KR20180010386 A KR 20180010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ing means
engaging
lower fram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689B1 (ko
Inventor
고제익
Original Assignee
고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제익 filed Critical 고제익
Priority to KR1020160092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6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는, 창문이 구성된 창틀에 장착가능한 공기 청정 장치로서, 상기 창틀에 결합되는 하측 지지 수단; 상기 하측 지지 수단 상에 결합 또는 부착되는 상측 지지 수단; 및 상기 하측 지지 수단과 상측 지지 수단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 청정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air}
본 발명은 공기 청정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창문이나 입구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시 창호는 창틀을 형성하기 위한 각 부재, 즉, 상부 레일 부재와 하부 레일 부재 및 상부 레일 부재와 하부 레일 부재의 양측단에 연결되는 양측면 부재로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 레일 부재는 창문의 상하측에서 창문 프레임을 가이드하여 그 창문이 상호 교행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이고, 양측면 부재는 상부 및 하부 레일 부재의 양측단에 결합되어 창틀 전체의 지지력과 압축 응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샤시 창호는 주택 등의 베란다 또는 개개의 방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샤시 창호에 설치되는 창문을 통해 실내를 외부와 차단하거나 개방한다.
본 발명은 공기 청정을 위한 필터의 고정이 용이하고, 그 설치가 용이한 필터를 고정할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조가 용이하고, 이미 설치되어 있는 창틀에 부가하여 결합될 수 있는 장치로서, 공기 청정용 필터를 구비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 기존의 창틀을 이용하여 쉽게 장착할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는, 창문이 구성된 창틀에 장착가능한 공기 청정 장치로서, 상기 창틀에 결합되는 하측 지지 수단; 상기 하측 지지 수단 상에 결합 또는 부착되는 상측 지지 수단; 및 상기 하측 지지 수단과 상측 지지 수단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 청정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지지 수단은 제 1 하측 프레임, 제 2 하측 프레임, 제 3 하측 프레임 및 제 4 하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하측 프레임과 제 2 하측 프레임은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하측 프레임과 제 4 하측 프레임은 수직하게 결합되고, 제 4 하측 프레임과 제 3 하측 프레임은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하측 프레임은 단면 구조가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 4 하측 프레임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하측 프레임과는 상이한 단면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측 지지 수단은 제 1 상측 프레임, 제 2 상측 프레임, 제 3 상측 프레임 및 제 4 상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측 프레임 각각에는 소정 깊이의 프레임 결합홈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내벽에는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홈 내에는 인접한 하측 프레임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1 결합부, 제 2 결합부 및 체결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 결합홈 바닥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에 의해서, 공기 청정 필터를 더욱 견고히 지지할 수 있으면서, 창틀 등의 외부 수단과의 결합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와 창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창틀에 본 발명의 하측 지지 수단을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를 구성하는 하측 지지 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를 구성하는 상측 지지 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하측 지지 수단에서 제 1 내지 제 3 하측 프레임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하측 지지 수단에서 제 4 하측 프레임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상측 지지 수단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하측 또는 상측 지지 수단의 모서리부분에서 프레임들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수단에 의한 프레임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필터를 상측 지지 수단과 하측 지지 수단 사이에 결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와 창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기존의 창틀에 본 발명의 하측 지지 수단을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는 기존의 창틀에 쉽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제1창(11)과 제2창(12) 중에서 실내에 더 가깝게 배치된 제1창(11)에 대향하는 곳에 설치된다.
즉, 창틀(1)에는 창문의 개폐를 위하여 제1창(11)은 제2창(12)에 비하여 실내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제2창(12)은 제1창(11)과 비교하여 바깥쪽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1창(11)측에는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가 장착될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의 하측 지지 수단(100) 창틀(제1창)에 안착 및 고정되고, 상기 하측 지지 수단(100)으로부터 외측에서 결합되는 상측 지지 수단(2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 지지 수단(100)과 상측 지지 수단(200) 사이에는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을 필터링는 공기 정화용 필터(300)가 개재된다.
본 발명에 따라 창틀에 결합되는 하측 지지 수단(100)과, 상기 하측 지지 수단(100)의 상부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측 지지 수단(100)에 결합되는 상측 지지 수단(2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를 구성하는 하측 지지 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를 구성하는 하측 지지 수단(100)은 네 개의 하측 프레임들로 구성되며, 이들 네 개의 하측 프레임들 중 하나만이 상이한 단면을 갖는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가 설치되는 창틀의 좌측에 결합되는 제 1 하측 프레임(110)과, 창틀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 2 하측 프레임(120)과, 창틀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 3 하측 프레임(130)과, 창틀의 우측(즉, 창틀의 창문 중 외부에 노출되는 창문측)에 배치되는 제 4 하측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하측 프레임들 중에서 제 4 하측 프레임(140)은 그 단면이 나머지 제 1 내지 제 3 하측 프레임과는 다르게 구성된다. 왜냐하면, 제 4 하측 프레임(140)의 일측에는 창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창문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 1 하측 프레임(110)과는 창틀에 결합되는 구조가 달라야 하기 때문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하측 지지 수단(100)을 구성하는 하측 프레임들 중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하측 프레임을 제 1 하측 프레임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제 1 하측 프레임과 대향하는 위치, 즉, 하측 프레임들 중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하측 프레임을 제 4 하측 프레임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측 프레임들로 둘러싸이는 영역은 제 1 창(11), 상기 제 4 하측 프레임의 우측에 위치하여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는 창문을 제 2 창(12)으로 함께 정의한다.
한편, 상기 하측 지지 수단(100)이 창틀에 고정 또는 부착되면, 상기 하측 지지 수단(100)의 전면을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측 지지 수단(200)에 대해서 설명하여 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를 구성하는 상측 지지 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측 지지 수단(200)은 네 개의 상측 프레임들로 구성되고, 전술한 제 1 내지 제 4 하측 프레임 각각에 대응되는 제 1 내지 제 4 상측 프레임(210,220,230,2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측 지지 수단(200)을 구성하는 네 개의 상측 프레임들의 단면은 동일하게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하측 지지 수단에서 제 1 내지 제 3 하측 프레임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측 지지 수단(100)을 구성하는 하측 프레임들 중 3면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하측 프레임들은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하에서는 제 1 하측 프레임을 중심으로 설명하여 본다.
제 1 하측 프레임(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벽과 홈들로 구성되며, 해당 벽과 홈들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제 1 하측 프레임(110)은 상측 지지 수단의 상측 프레임과 함께 필터를 고정하기 위한 하측 필터 고정부(111)와, 상기 하측 필터 고정부(1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양쪽의 벽 사이로 홈이 형성되는 프레임 결합홈(112)과, 상기 프레임 결합홈(112)의 일측에 형성되는 창틀 결합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하측 필터 고정부(111)는 'ㄷ'자 형상의 홈으로 구성되고, 상측면이 개방 입구가 하측의 홈 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결합홈(112)은 상기 하측 필터 고정부(111)와 창틀 결합부(113) 사이에 형성되고, 소정 크기의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프레임 결합홈(112)을 구성하는 내벽에는 동일한 높이에 한 쌍의 걸림턱(112a, 112b)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12a,112b)은 상기 프레임 결합홈(112)의 양측에 형성된 내벽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동일한 높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은 하측 프레임들 사이의 결합을 위한 결합 수단이 안착 및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창틀 결합부(113)는 상기 프레임 결합홈(112)을 형성하는 내벽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벽의 상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수평벽(113b)과, 상기 내벽의 하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수평벽(113a)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평벽(113b)의 단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후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내부의 홈이 형성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홈(114)에는 일면이 접착가능하고, 타면에는 소정 높이의 털이 복수개 구성된 털 문풍지와 같은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가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창틀 결합부(113)가 창틀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수평벽(113a)은 상기 제 2 수평벽(113b)의 길이보다 작게 구성된다. 왜냐하면, 창틀의 일부가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홈(114) 또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에 닿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하측 프레임 각각은 이물질 유입 방지홈(114) 또는 그 내부에 구성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가 창틀에 부착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하측 지지 수단에서 제 4 하측 프레임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제 1 하측 프레임(110)과 달리 제 4 하측 프레임(140)은 일부 구성이 상이하게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 1 하측 프레임(11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여 본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제 4 하측 프레임(140)에서 창틀 결합부(143)의 형상이 제 1 하측 프레임과는 상이하게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창틀 결합부(143)는 프레임 결합홈(142)을 구성하는 내벽의 하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수평벽(143a)과, 상기 프레임 결합홈(142)을 구성하는 내벽의 상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수평벽(143b) 사이에 이물질 유입 방지홈(144)이 구성되고,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홈(144)에 의하여 제 1 수평벽(143a)과 제 2 수평벽(143b) 사이에는 벌어진 틈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홈(144)의 일측은 제 1 수평벽(143a)과 이어지고, 타측은 제 2 수평벽(143b)과 이어지도록 구성된다.
왜냐하면, 상기 제 4 하측 프레임(140)이 설치되는 위치가 창틀이 존재하지 않는 위치이기 때문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상측 지지 수단(200)의 구성을 설명하여 본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상측 지지 수단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측 지지 수단(200)은 네 개의 상측 프레임들로 구성되고, 이들 상측 프레임들은 모두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갖는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측 지지 수단(200)의 상측 프레임은 하측 프레임들의 하측 필터 고정부와 함께 필터(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상측 필터 고정부(201)와, 상기 상측 필터 고정부(201) 일측에 형성된 프레임 결합홈(202)과, 상기 프레임 결합홈(202) 일측에 형성되는 외형 굴곡부(203)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필터 고정부(201)는 전술한 하측 필터 고정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그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홈의 입구가 홈바닥보다 더 좁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결합홈(202)은 상측 지지 수단을 구성하는 상측 프레임들 사이의 결합을 위한 홈으로서, 홈을 구성하는 양쪽의 내벽에는 소정 두께 돌출형성된 걸림턱(202a,20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형 굴곡부는 상기 프레임 결함홈(202)의 내벽 하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면(203b)과 상기 프레임 결합홈(202)의 내벽 상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굴곡되는 외면을 갖는 상부면(203a)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측 프레임들 사이의 결합, 상측 프레임들 사이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하여 본다.
즉, 제 1 하측 프레임과 제 2 하측 프레임과의 결합, 제 2 하측 프레임과 제 4 하측 프레임과의 결합, 제 4 하측 프레임과 제 3 하측 프레임과의 결합, 제 3 하측 프레임과 제 1 하측 프레임 사의 결합은 모두 프레임 결합홈을 이용하여 수행되므로, 제 1 하측 프레임과 제 2 하측 프레임 사이의 결합관계를 대표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제 1 내지 제 4 상측 프레임들 사이의 결합도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하측 또는 상측 지지 수단의 모서리부분에서 프레임들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수단에 의한 프레임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어야 하는 프레임들은 결합 부위가 경사지도록 절단된다. 즉, 제 1 하측 프레임(110)의 절단된 경사각과, 제 2 하측 프레임(120)의 절단된 경사각이 서로 대칭되어야 제 1 하측 프레임과 제 2 하측 프레임이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하측 프레임들에 형성된 프레임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수단에 의하여 제 1 하측 프레임(110)과 제 2 하측 프레임(120)사이의 수직한 결합이 완성된다.
이러한 결합 수단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다.
본 발명의 결합수단은 제 1 결합부(410)와 제 2 결합부(420) 및 상기 제 2 결합부(420)에 형성된 볼트 삽입홀(421)에 삽입되는 체결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는 수직하게 연결되어야 하는 프레임들은 연결하는 부재로서, 절곡되는 각도가 수직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부(420)에만 체결부(430)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 삽입홀(421)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 삽입홀(421)의 내부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 13과 같이, 상기 제 1 결합부(410) 상에 제 2 결합부(420)를 위치시키고, 상기 체결부(430)를 상기 볼트 삽입홀(421)에 끼워두고 상기 체결부(430)를 볼트 삽입홀(421)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시키게 되면, 사익 제 2 결합부(420)만 체결부(430)의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프레임 결합홈(112)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 2 결합부(420)의 볼트 삽입홀(421) 내의 나사산을 따라 체결부(430)가 삽입 및 회전시키면, 상기 체결부(430)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볼트 삽입홀(421) 내벽의 나사산이 맞물리게 되므로, 상기 체결부(430)의 나사산을 따라 제 2 결합부(420)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부(410)에는 체결부(430)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체결부(430)의 단부에 의하여 하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 1 결합부(410)는 프레임 결합홈 바닥면에 밀착된다.
특히, 상기 제 2 결합부(420)가 체결부(430)의 나사산을 따라 상기 제 1 결합부(4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프레임 결합홈을 구성하는 내벽에 형성된 걸림턱(112a,112b)에 의하여 상기 제 2 결합부(420)의 상측이 이동이 단속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L'자 형상의 결합부가 제 1 프레임(상측 및 하측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 사이를 연결 및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 2 결합부(420)가 프레임 결합홈 내의 걸림턱에 밀착되고, 제 1 결합부는 프레임 결합홈 바닥에 밀착되기 때문에, 그 밀착력에 의하여 결합부들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필터를 상측 지지 수단과 하측 지지 수단 사이에 결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에는 하측 지지 수단의 제 1 하측 프레임과, 상측 지지 수단 사이에 필터를 고정시키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하측 지지 수단의 제 4 하측 프레임과, 상측 지지 수단 사이에 필터를 고정시키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두 경우 모두 하측 필터 고정부 또는 상측 필터 고정부에 필터(300)의 일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500)를 이용하며, 상기 고정부재(500)는 하측 필터 고정부 또는 상측 필터 고정부의 홈 내로 삽입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500)는 반드시 필터 고정부의 홈 내에 존재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소정 길이/소정 양의 필터 일부분을 상기 하측/상측 필터 고정부 홈내에 삽입시킨 다음에는, 필터(300)가 빠져나올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고, 상측 지지 수단과 하측 지지 수단 사이에는 볼트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거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접착되므로, 그 결합력 또는 접착력에 의하여 필터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300)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걸러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Claims (5)

  1. 창문이 구성된 창틀에 장착가능한 공기 청정 장치로서,
    상기 창틀에 결합되는 하측 지지 수단;
    상기 하측 지지 수단 상에 결합 또는 부착되는 상측 지지 수단; 및
    상기 하측 지지 수단과 상측 지지 수단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 청정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지지 수단은 제 1 하측 프레임, 제 2 하측 프레임, 제 3 하측 프레임 및 제 4 하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하측 프레임과 제 2 하측 프레임은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하측 프레임과 제 4 하측 프레임은 수직하게 결합되고, 제 4 하측 프레임과 제 3 하측 프레임은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하측 프레임은 단면 구조가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 4 하측 프레임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하측 프레임과는 상이한 단면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측 지지 수단은 제 1 상측 프레임, 제 2 상측 프레임, 제 3 상측 프레임 및 제 4 상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하측 프레임 각각에는 소정 깊이의 프레임 결합홈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내벽에는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홈 내에는 인접한 하측 프레임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1 결합부, 제 2 결합부 및 체결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 결합홈 바닥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는 절곡되는 각도가 수직하게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과, 상기 볼트 삽입홀 각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 결합홈 바닥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걸림턱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측 프레임은 상기 공기 청정 필터의 일부가 삽입되는 하측 필터 고정부와, 상기 하측 필터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프레임 결합홈과, 상기 프레임 결합홈을 구성하는 내벽의 하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수평벽과, 상기 내벽의 상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수평벽과, 상기 제 2 수평벽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홈이 구성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하측 프레임은 상기 공기 청정 필터의 일부가 삽입되는 하측 필터 고정부와, 상기 하측 필터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프레임 결합홈과, 상기 프레임 결합홈을 구성하는 내벽의 하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수평벽과, 상기 내벽의 상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수평벽과, 상기 제 2 수평벽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홈이 구성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 방지홈의 일측은 상기 제 1 수평벽과 연장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수평벽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장치.
KR1020160092361A 2016-07-21 2016-07-21 공기 청정 장치 KR101828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361A KR101828689B1 (ko) 2016-07-21 2016-07-21 공기 청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361A KR101828689B1 (ko) 2016-07-21 2016-07-21 공기 청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386A true KR20180010386A (ko) 2018-01-31
KR101828689B1 KR101828689B1 (ko) 2018-02-12

Family

ID=61082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361A KR101828689B1 (ko) 2016-07-21 2016-07-21 공기 청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927B1 (ko) 2018-05-31 2018-08-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잠금기능을 가지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4450A (ja) 2004-03-16 2005-09-29 Okayama Building Sash Kogyo Kk 防花粉兼用網戸
KR200437856Y1 (ko) 2007-02-28 2008-01-02 대현산업 (주) 방충문이 구비된 이중문
JP5027043B2 (ja) 2008-03-10 2012-09-19 株式会社丸忠 サッシへの防虫網張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689B1 (ko) 201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670B1 (ko) 시공이 용이한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JP508935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50004058U (ko) 단열 창호프레임
KR101828689B1 (ko) 공기 청정 장치
KR20090081331A (ko) 강화 유리벽 샤시 구조체
KR101788778B1 (ko) 착탈 가능한 슬라이드 방충망
KR20170111628A (ko) 공기 청정 장치
JP5176207B2 (ja) ガラスパネルにおけるガラスの取付け構造
KR100750806B1 (ko) 방범창
KR100767434B1 (ko) 창문용 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220074834A (ko)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
KR101365063B1 (ko) 방화문 프레임
KR101680111B1 (ko) 판 스크린 타입 루버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루버 연결 부재
JP5190643B2 (ja) ガラスパネルの取付け構造
KR20170016625A (ko) 크린룸 벽체 고정장치
KR101200012B1 (ko)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KR200390387Y1 (ko) 여닫이문의 틈새커버 장착구조
KR200486025Y1 (ko) 창틀 프레임 연결용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창틀
KR200433347Y1 (ko) 케이블지지 구
KR101024618B1 (ko)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KR102483847B1 (ko) 무레일 방식의 미닫이 창호 구조체
JP7165846B2 (ja) 手摺りパネル用ビード及び手摺り用ビード取付構造
KR200376957Y1 (ko) 조립식 벽체의 바닥 고정장치
JP7199300B2 (ja) サッシ枠用の治具及びサッシ枠用の治具の使用方法
JP4841374B2 (ja) クリーンルーム等の天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