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980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980A
KR20180009980A KR1020160091994A KR20160091994A KR20180009980A KR 20180009980 A KR20180009980 A KR 20180009980A KR 1020160091994 A KR1020160091994 A KR 1020160091994A KR 20160091994 A KR20160091994 A KR 20160091994A KR 20180009980 A KR20180009980 A KR 20180009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voltage
transfer medium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우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1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9980A/ko
Priority to US15/442,046 priority patent/US10139778B2/en
Publication of KR20180009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3Hum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10Measuring moisture content, e.g. by measuring change in length of hygroscopic filament; Hyg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 G01N5/02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by absorbing or adsorbing components of a material and determining change of weight of the adsorbent, e.g.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 G01N5/025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by absorbing or adsorbing components of a material and determining change of weight of the adsorbent, e.g.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7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bias applied in the transfer ni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 G03G15/16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the field being produced by laying down an electrostatic charge behind the base or the recording member, e.g. by a corona device
    • G03G15/164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습도 센서, 감광체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부, 상기 전사부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전사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전사부에 공급하는 전사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에서 상기 전사부에 기설정된 센싱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전사부의 제1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센싱 피드백 전압을 획득하며, 상기 습도 센서에서 측정한 습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압을 설정하고,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전사부에 상기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전사전류를 조절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노광, 현상, 전사, 및 정착 과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그 중, 전사 프로세스는 감광체에 형성된 화상을 최종적으로 화상이 형성될 종이 등의 인쇄매체에 직접 전사하거나 또는 중간 전사체에 1차 전사한 후 중간 전사체로부터 인쇄매체에 2차 전사하는 과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광체 또는 중간 전사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현상제 입자가 대전된 극과 반대 극성의 전압을 전사매체에 인가함으로써 정전기력에 따라 현상제 입자가 전사매체로 전사된다. 이때, 전사매체의 반대편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사매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전사롤러 등의 전사부재에 일정한 전류를 인가하는 정전류(Constant Current, 이하 CC) 방식 또는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는 정전압(Constant Voltage, 이하 CV)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정전류 방식의 경우,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용지의 함습도에 따른 대응이 어렵고, 특히, 함습도가 높게(예를 들어, 10% 이상) 방치된 용지의 경우 전사 전압이 유효 전사전압까지 도달하지 못해 불완전 전사(poor transfer)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정전압 방식의 경우, 전사마진이 부족한 저습환경에서 제조사에 따른 용지 저항과 전사부재의 저항 변동에 대한 대응이 어렵고, 특히, 고저항 용지의 양면 인쇄 시, 대응이 어렵다.
또한, 정전류 방식과 정전압 방식을 모두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경우, 두 가지 방식의 전사전원을 모두 갖추어야 되므로, 화상형성장치의 제조비용 및 설계 난이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전사전원이 하나의 정전류 전사전원을 가지면서도 주변 조건에 따라 정전압 방식과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습도 센서, 감광체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부, 상기 전사부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전사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전사부에 공급하는 전사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에서 상기 전사부에 기설정된 센싱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전사부의 제1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센싱 피드백 전압을 획득하며, 상기 습도 센서에서 측정한 습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압을 설정하고,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전사부에 상기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전사전류를 조절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은,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에서 기설정된 센싱전류를 인가하고 제1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센싱 피드백 전압을 획득하는 단계, 습도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측정한 습도가 상기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압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사전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정전압 방식의 전사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환경 조건에 따른 전사전원의 인가 방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환경 조건 및 센싱 피드백 전압에 따른 전사전원의 인가 방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정전압 방식의 전사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정전류 방식과 유사 정전압 방식의 경계 영역에서 전사전원의 인가 방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정전류 방식과 유사 정전압 방식의 경계 영역에서 센싱 피드백 전압에 따른 전사전원의 인가 방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부재의 한계수명 판단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란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란 사진, 이미지 또는 문서 파일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의 대상이 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형성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화상형성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또한, “센싱 피드백 전압”이란, 전사부에 센싱전류를 인가한 후, 전사부에서 측정되는 출력전압을 의미한다.
또한, “불완전 전사(poor transfer)”란 전사 과정에서 모든 현상제 입자가 전사매체로 이동하지 못하고 일부가 감광체 표면에 남아있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유효 전사전압”이란, 전사가 유효하게 이루어지기 위해 인가되어야 하는 최소의 전압을 의미한다.
또한, “유사(pseudo) 정전압 방식”이란, 전류 제어를 통해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 정전압 방식을 구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입출력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메모리(140) 및 화상형성작업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상형성장치(100)는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출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예를 들어,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화상형성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부(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바코드(e.g. NFC tag를 포함하는 스티커)등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가전기기, 의료기기, 카메라 및 웨어러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30)는 서버(300)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서버(300)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100)의 통신부(130)는 서버(300)를 통해 외부 장치의 통신부(230)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140)에 설치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작업부(150)는 인쇄, 스캔 또는 팩스 등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작업부(150)는 인쇄부(151), 스캔부(152) 및 팩스부(153)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필요에 따라서 이들 중 일부 구성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종류의 화상 형성 작업 수행을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인쇄부(151)는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및 감열 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부(151)는 노광, 현상, 전사, 및 정착 과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도 2에서 인쇄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부(151)는 감광체(1511), 대전부(1512), 노광부(1513), 현상부(1514), 전사부(1515), 및 정착부(1516)를 구비할 수 있다. 인쇄부(151)는 기록매체(P)를 공급하는 급지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감광체(1511)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는 그 형태에 따라서 감광드럼, 감광벨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대전부(1512)는 감광체(151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대전부(1512)는 코로나 대전기, 대전 롤러, 대전 브러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노광부(1513)는 인쇄할 화상 정보에 따라 감광체(1511)의 표면 전위를 변화시킴으로써 감광체(151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일 예로서, 노광부(1513)는 인쇄할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감광체(1511)에 조사함으로써 정전잠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노광부(1513)는 광주사기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현상부(1514)는 그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며,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부(1514)는 현상제를 정전잠상으로 공급하는 현상 롤러(151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상제는 현상 롤러(1517)와 감광체(1511) 사이에 형성되는 현상 전계에 의하여 현상 롤러(1517)로부터 감광체(151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감광체(1511)에 형성된 가시적인 화상은 전사부(1515)에 의하여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전사부(1515)는 예를 들어 정전 전사 방식에 의하여 가시적인 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시킬 수 있다. 가시적인 화상은 기록 매체(P)에 정전 인력에 의하여 부착된다. 정착부(1516)는 기록 매체(P) 상의 가시적인 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가시적인 화상을 기록매체(P)에 정착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인쇄작업이 완료된다.
다시 도 1의 설명으로 돌아가면, 스캔부(152)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 들일 수 있다.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 들이는 이미지 센서로서, 예를 들어 CCD (Charge Coupled Device),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스캔부(152)는 원고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이미지 센서가 이동되면서 화상을 읽어 들이는 플랫베드(flatbed) 구조, 이미지 센서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이송(document feed) 구조과, 이들의 복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팩스부(153)의 경우, 화상을 스캔하기 위한 구성은 스캔부(152)와 공유할 수 있고, 수신한 파일을 인쇄하기 위한 구성은 인쇄부(151)와 공유할 수 있으며, 스캔 파일을 목적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각종 센서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160)는 습도 센서(161)를 포함할 수 있다. 습도 센서(161)는 습도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센서로, 다양한 방식으로 습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질 세라믹스나 고분자막으로 흡수됨으로써 일어나는 전기저항이나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습도를 검출할 수도 있고, 진동자에 설치한 흡수 물질의 중량변화에 의한 진동자의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이용하여 습도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습도 센서(161)는 상대 습도를 검출하는 상대 습도 센서, 절대 습도를 검출하는 절대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습도 센서(161)는 건습구 습도계, 모발 습도계, 염화 리튬 습도센서, 전해 습도센서(P2O5 습도센서), 고분자막 습도 센서, 수정진동식 습도센서, 산화알루미늄 습도센서, 세라믹 습도센서, 서미스터 습도센서, 마이크로파 습도센서, 결로센서, 노점센서, 습도센서 소자와 신호처리 전자회로를 집적화한 IC화 습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160)는 온도 센서(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62)는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 써미스터(thermistor), 열전쌍, 온도측정 저항체, 감온 페라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160)는 습도 센서(161)과 온도 센서(162)가 통합된 온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7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170)는 화상형성작업부(1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공급부(170)는 인쇄부(151)의 전사부(151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서는 도 1에서 도시한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 중 전사전원 제어를 위한 구성요소들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도 1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들은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습도 센서(161)는 통해 화상형성장치(100)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이때, 센서부(160)는 습도 센서(161) 뿐 아니라 온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화상형성장치(100)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20)에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전사부(1515)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감광체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매체에 전사한다. 이때, 전사부(1515)는 전원공급부(170)로부터 전사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공급부(170)는 전사부(1515), 습도 센서(161) 및 제어부(120) 등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170)는 전사부(1515)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전사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170)는 전사에 필요한 전하량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전류, 특히 고정 전류를 인가하는 정전류 방식을 통해 전사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전원공급부(170)가 전사부(1515)에 공급하는 전사전원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에서 전사부(1515)에 기설정된 센싱전류를 인가하고, 전사부(1515)의 제1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센싱 피드백 전압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습도 센서(161)에서 측정한 습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압을 설정하고,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전사부(1515)에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사전류를 조절하도록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전사매체의 종류에 따라 목표전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사매체의 소재 및 크기 등 전사매체의 특성에 따라 목표전압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용지인지, OHP 필름인지, 사진 인화 용지인지, 코팅 용지인지에 따라 소재의 특성이 달라지므로 목표전압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용지 크기가 A4인지, A5인지, A6인지에 따라 대전되어야 하는 면적이 달라지므로 목표전압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전사부(1515)에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사전류를 조절 시, 제1 출력전압이 목표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전원공급부(170)에서 전사부(1515)에 인가하는 전사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1 출력전압이 목표전압에 도달했을 때, 목표전압을 유지하도록 전원공급부(170)에서 전사부(1515)에 인가하는 전사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정전압 방식의 전사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인 t1 ~ t2 구간(410)에서 전사부(1515)에 기설정된 센싱전류 Is를 인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은, 전사매체가 전사부(1515)에 인입되기 전의 일정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사매체가 용지인 경우, t1 ~ t2 구간(410)은 용지가 삽입되지 않은 비용지 구간에 해당할 수 있다.
그 후, 전사부(1515)에서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센싱전류 Is에 따른 센싱 피드백 전압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습도 센서(161)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 주변의 습도를 측정한다. 제어부(120)는 측정한 습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압을 설정하고,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인 t3 ~ t5 구간(420, 430)에서 전사부(1515)에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사전류를 조절하도록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인 t3 ~ t5 구간(420, 430)에서 전사부(1515)에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사전류를 조절 시, 제1 출력전압이 목표전압에 도달할 때까지의 일정 구간인 t3 ~ t4 구간(420)동안 전원공급부(170)에서 전사부(1515)에 인가하는 전사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20)는 제1 출력전압이 목표전압에 도달하면, 그 이후 구간인 t4 ~ t5 구간(430)에서 목표전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170)에서 전사부(1515)에 인가하는 전사전류(440)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전사부(1515)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하여 정전압 방식으로 전사를 수행하는 것과 같은 유사 정전압 방식으로 전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 없이도 정전압 방식을 구현할 수 있어 화상형성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출력전압이 목표전압에 도달할 때까지의 일정 구간인 t3 ~ t4 구간(420)은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지 않는 비화상영역일 수 있다. 비화상영역은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지 않는 영역이므로, 제1 출력전압이 목표전압에 이르지 못하더라도 전사에 영향이 없다. 제1 출력전압이 목표전압에 도달한 이후 구간인 t4 ~ t5 구간(430)은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화상 영역일 수 있다. 나아가, 제1 출력전압이 목표전압에 도달할 때까지의 일정 구간인 t3 ~ t4 구간(420)이 비화상 영역을 넘어 약간의 화상 영역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3 ~ t4 구간(420)이 약간의 화상 영역을 포함하더라도, 이러한 화상 영역은 전체 화상 영역 중 일부일 뿐 아니라, 이미 제1 출력전압이 충분히 높아져 유효 전사전압 이상의 전압이 될 가능성이 높아 전사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습도 센서(161)에서 측정한 습도가 기설정된 값 미만이거나 또는 센싱 피드백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인 t3 ~ t5 구간(420, 430)에서 전사부(1515)에 목표전류에 대응하는 전사전류를 인가하도록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습도 센서(161)를 이용하여 습도를 측정하고, 습도 센서(161)에서 측정한 습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유사 정전압 방식으로 전사전원을 공급하고, 측정한 습도가 기설정된 값 미만이거나 또는 센싱 피드백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정전류 방식으로 전사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전원공급부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에 따라 두 가지 방식으로 전사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조건에 따른 전사전원의 인가 방식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고습 환경과 저습 환경을 구분하는 습도의 기준을 60%로 설정하고, 습도가 60% 이상인 경우, 유사 정전압 방식으로 전사전원을 인가하고, 습도가 60% 미만인 경우, 정전류 방식으로 전사전원을 인가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5(a)를 살펴보면, 습도 센서(161)에서 측정된 습도가 60% 이상인 경우, 유사 정전압 방식을 전사전원 인가 방식으로 사용하고, 센싱 피드백 전압 및 용지 종류에 따라 목표전압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가 80% 이고, 센싱 피드백 전압이 200V 이며, 용지 C를 사용하는 경우, 1120V를 목표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b)를 살펴보면, 습도 센서(161)에서 측정된 습도가 60% 미만인 경우, 정전류 방식을 전사전원 인가 방식으로 사용하고, 도 5(a)와 마찬가지로 센싱 피드백 전압 및 용지 종류에 따라 목표전압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가 40% 이고, 센싱 피드백 전압이 3000V 이며, 용지 A를 사용하는 경우, 9.2μA를 목표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환경 조건 및 센싱 피드백 전압에 따른 전사전원의 인가 방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습도 센서(161)에서 측정된 습도가 60% 이상이라 하더라도, 센싱 피드백 전압에 따라 유사 정전압 방식 또는 정전류 방식을 이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고습 환경, 예를 들어, 도 6에서 설정된 것과 같이 습도가 60% 이상인 환경, 이라 할지라도, 전사부재가 고저항 상태인 경우, 예를 들어, 도 6에서 설정된 것과 같이 센싱 피드백 전압이 100V 초과인 경우에는 정전류 방식으로 전사를 수행하더라도 충분한 저항이 확보되어 유효 전사전압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피드백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에 습도 센서(161)에서 측정된 습도와 관계없이 정전류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전사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 센서(161)에서 측정된 습도가 80%이고, 센싱 피드백 전압이 500V 인 경우, 충분한 유효 전사전압을 확보할 수 있어 정정류 방식으로 전사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이때, 용지 B를 사용하는 경우, 14.8μA를 목표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의 설명으로 돌아오면,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습도 센서(161)에서 측정한 습도를 바탕으로 유효 전사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전사매체가 전사부(1515)에 인입된 후, 전사매체의 선단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전사부(1515)의 제 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 이하인 경우,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전원공급부(170)에서 전사부(1515)에 인가하는 전사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20)는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에 도달했을 때 유효 전사전압을 유지하도록 전원공급부(170)에서 전사부(1515)에 인가하는 전사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습도 센서(161)에서 측정한 습도를 바탕으로 유효 전사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전사매체가 전사부(1515)에 인입된 후, 전사매체의 선단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전사부(1515)의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 이하인 경우, 제2 출력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2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전사부(1515)에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사전류를 조절하도록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정전압 방식의 전사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인 t1 ~ t2 구간(710)에서 전사부(1515)에 기설정된 센싱전류 Is를 인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은, 전사매체가 전사부(1515)에 인입되기 전의 일정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사매체가 용지인 경우, t1 ~ t2 구간(710)은 용지가 삽입되지 않은 비용지 구간에 해당할 수 있다.
그 후, 전사부(1515)에서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센싱전류 Is에 따른 센싱 피드백 전압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습도 센서(161)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 주변의 습도를 측정한다. 제어부(120)는 측정한 습도가 기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류를 설정하고,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인 t3 ~ t5 구간(720, 730)에서 전사부(1515)에 목표전류에 대응하는 전사전류를 인가하도록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인 t3 ~ t5 구간(720, 730)에서 전사매체의 선단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전사부(1515)의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 이하인 경우, 전사전원 공급 방식을 유사 정전압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전사매체의 선단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전사부(1515)의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전원공급부(170)에서 전사부(1515)에 인가하는 전사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에 도달한 이후 구간인 t4 ~ t5 구간(730)에서 유효 전사전압을 유지하도록 전원공급부(170)에서 전사부(1515)에 인가하는 전사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전사매체의 선단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전사부(1515)의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 이하인 경우, 제2 출력전압을 바탕으로 직접 목표전압을 설정할 수도 있다. 그 후, 제어부(12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전사부(1515)에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사전류를 조절하도록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정전류 방식과 유사 정전압 방식의 경계 영역, 예를 들어, 습도 60%를 기준으로 정전류 방식 또는 유사 정전압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에 측정된 습도가 60% 근처인 경우, 선택한 방식으로 전사전원을 인가하더라도 불완전 전사가 일어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사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현재 상태에 따라 전사전원 인가 방식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정전류 방식과 유사 정전압 방식의 경계 영역에서 전사전원의 인가 방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전사매체의 선단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전사부(1515)의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 이하인 경우, 습도를 바탕으로 설정된 유효 전사전압을 목표로 하여, 정전류 방식으로 전사전원을 인가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습도가 58%이고, 용지 A를 사용하는 경우, 유효 전사전압은 490V 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습도가 60% 이하이므로 정전류 방식으로 전사전원을 인가할 것이다. 이때, 전사매체의 선단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전사부(1515)의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인 490V 이하인 경우, 유사 정전압 방식으로 전사전원 인가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2 출력전압이 습도에 따른 유효 전사전압인 490V에 도달하도록 전사전류를 제어하고,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인 490V에 도달한 경우, 유효 전사전압을 유지하도록 전사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정전류 방식과 유사 정전압 방식의 경계 영역에서 센싱 피드백 전압에 따른 전사전원의 인가 방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전사매체의 선단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전사부(1515)의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 이하인 경우, 제2 출력전압을 바탕으로 설정된 유효 전사전압을 목표로 하여, 정전류 방식으로 전사전원을 인가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습도를 고려할 때, 용지 B를 사용하는 경우, 유효 전사전압은 500V로 설정될 수 있다. 최초 전사전원 인가 방식이 정전류 방식일 때, 전사매체의 선단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전사부(1515)의 제2 출력전압이 300V로 유효 전사전압인 500V 이하인 경우, 유사 정전압 방식으로 전사전원 인가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2 출력전압 300V에 맞추어 사전에 설정된 목표전압 410V에 도달하도록 전사전류를 제어하고,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인 410V에 도달한 경우, 유효 전사전압을 유지하도록 전사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3의 설명으로 돌아오면,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전사매체가 전사부(1515)에 인입된 후, 전사매체의 선단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전사부(1515)의 제3 출력전압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전사부재가 한계수명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출력 전압이 고전압 전원(HVPS, High Voltage Power Source)의 OVP(Over Voltage Protection) 전압의 90% 수준에 도달한 경우, 전사부재가 한계수명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사부재의 현재 상태, 즉, 전사부재의 저항값을 바탕으로 전압 센싱을 수행하여 전사부재의 수명을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일정 주기마다, 또는 이벤트 발생 시, 전압센싱을 통해 전사부재의 수명을 측정하고, 전사부재가 한계수명에 도달한 경우, 입출력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교체시기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시기에 전사부재를 교체할 수 있어, 전사 불량을 방지하고, 과도한 전사 전압 사용으로 인한 고전압 전원(HVPS)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화상형성장치의 각 구성을 이용하여 전사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10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에서 기설정된 센싱전류를 인가하고 제1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센싱 피드백 전압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은, 전사매체가 인입되기 전의 일정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사매체가 용지인 경우,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은 용지가 삽입되지 않은 비용지 구간에 해당할 수 있다.
그 후, 10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습도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값과 비교할 수 있다.
1020 단계에서, 측정한 습도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1030 단계로 진행하여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사매체의 종류에 따라 목표전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사매체의 소재 및 크기 등 전사매체의 특성에 따라 목표전압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용지인지, OHP 필름인지, 사진 인화 용지인지, 코팅 용지인지에 따라 소재의 특성이 달라지므로 목표전압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용지 크기가 A4인지, A5인지, A6인지에 따라 대전되어야 하는 면적이 달라지므로 목표전압 역시 달라질 수 있다.
그 후, 104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사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사부(1515)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공급부(170)를 제어하여 정전압 방식으로 전사를 수행하는 것과 같은 유사 정전압 방식으로 전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 없이도 정전압 방식을 구현할 수 있어 화상형성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1020 단계에서, 측정한 습도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1050 단계로 진행하여,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화상형성장치(100)는 센싱 피드백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보다 큰 경우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류를 설정할 수도 있다.
그 후, 106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목표전류에 대응하는 전사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하나의 전원공급부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에 따라 두 가지 방식으로 전사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에서 1105, 1110, 1115, 1120 단계는 각각 도 10의 1010, 1020, 1030, 1040 단계와 동일하고, 1125, 1130 단계는 1050, 1060 단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110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에서 기설정된 센싱전류를 인가하고 제1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센싱 피드백 전압을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11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습도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값과 비교할 수 있다.
1110 단계에서, 측정한 습도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1115 단계로 진행하여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11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사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1110 단계에서, 측정한 습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1125 단계로 진행하여,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113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사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113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측정한 습도를 바탕으로 유효 전사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1140 단계에서, 유효 전사전압과 전사매체의 선단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제2 출력전압을 비교한다.
1140 단계에서,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 초과인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1130 단계로 돌아가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사전류를 조절한다. 즉, 현재 전사전류를 유지한다.
1140 단계에서,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 이하인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1145 단계로 진행하여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전사전류를 증가시킨다. 그 후, 115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에 도달했을 때 유효 전사전압을 유지하도록 전사전류를 제어한다.
또한, 도 11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화상형성장치(100)는 제2 출력전압이 유효 전사전압 이하인 경우, 제2 출력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압을 설정하고,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전사전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사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현재 상태에 따라 전사전원 인가 방식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부재의 한계수명 판단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12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전사매체가 전사부에 인입된 후, 전사매체의 선단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출력전압 측정할 수 있다.
그 후, 12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제3 출력전압이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3 출력전압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1230 단계로 진행하여 전사부재가 한계수명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3 출력 전압이 고전압 전원(HVPS, High Voltage Power Source)의 OVP(Over Voltage Protection) 전압의 90% 수준에 도달한 경우, 전사부재가 한계수명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1220 단계에서, 제3 출력전압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사부재의 현재 상태, 즉, 전사부재의 저항값을 바탕으로 전압 센싱을 수행하여 전사부재의 수명을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란,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매체, CD 및 DVD 등과 같은 광학적 판독매체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메모리(140) 및 입출력부(110)의 메모리(114)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도 있으며,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에 포함되는 메모리가 될 수도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일 실시예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입출력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140: 메모리
150: 화상형성작업부

Claims (16)

  1. 습도 센서;
    감광체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부;
    상기 전사부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전사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전사부에 공급하는 전사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에서 상기 전사부에 기설정된 센싱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전사부의 제1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센싱 피드백 전압을 획득하며, 상기 습도 센서에서 측정한 습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압을 설정하고,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전사부에 상기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전사전류를 조절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전사부에 상기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전사전류를 조절 시,
    상기 제1 출력전압이 상기 목표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사부에 인가하는 전사전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출력전압이 상기 목표전압에 도달했을 때 상기 목표전압을 유지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사부에 인가하는 전사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에서 측정한 습도가 상기 기설정된 값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센싱 피드백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류를 설정하고,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전사부에 상기 목표전류에 대응하는 전사전류를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에서 측정한 습도를 바탕으로 유효 전사전압을 설정하고,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전사매체가 상기 전사부에 인입된 후, 상기 전사매체의 선단에 상기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상기 전사부의 제2 출력전압이 상기 유효 전사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출력전압이 상기 유효 전사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사부에 인가하는 전사전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출력전압이 상기 유효 전사전압에 도달했을 때 상기 유효 전사전압을 유지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사부에 인가하는 전사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에서 측정한 습도를 바탕으로 유효 전사전압을 설정하고,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전사매체가 상기 전사부에 인입된 후, 상기 전사매체의 선단에 상기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상기 전사부의 제2 출력전압이 상기 유효 전사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출력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압을 설정하며,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전사부에 상기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전사전류를 조절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목표전압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은,
    상기 전사매체가 상기 전사부에 인입되기 전의 일정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전사매체가 상기 전사부에 인입된 후, 상기 전사매체의 선단에 상기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상기 전사부의 제3 출력전압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전사부재가 한계수명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전사매체에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에서 기설정된 센싱전류를 인가하고 제1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센싱 피드백 전압을 획득하는 단계;
    습도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측정한 습도가 상기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압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사전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사전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출력전압이 상기 목표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전사전류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출력전압이 상기 목표전압에 도달했을 때 상기 목표전압을 유지하도록 상기 전사전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한 습도가 상기 기설정된 값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센싱 피드백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목표전류에 대응하는 전사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센서에서 측정한 습도를 바탕으로 유효 전사전압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전사매체가 인입된 후, 상기 전사매체의 선단에 상기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제2 출력전압이 상기 유효 전사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출력전압이 상기 유효 전사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전사전류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출력전압이 상기 유효 전사전압에 도달했을 때 상기 유효 전사전압을 유지하도록 상기 전사전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센서에서 측정한 습도를 바탕으로 유효 전사전압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전사매체가 인입된 후, 상기 전사매체의 선단에 상기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제2 출력전압이 상기 유효 전사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출력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압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목표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전사전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한 습도가 상기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센싱 피드백 전압을 바탕으로 목표전압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사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목표전압을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기 전의 일정 구간은,
    상기 전사매체가 인입되기 전의 일정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매체에 상기 화상이 전사되는 구간에서 상기 전사매체가 인입된 후, 상기 전사매체의 선단에 상기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측정되는 제3 출력전압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전사부재가 한계수명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
KR1020160091994A 2016-07-20 2016-07-2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 KR20180009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94A KR20180009980A (ko) 2016-07-20 2016-07-2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
US15/442,046 US10139778B2 (en) 2016-07-20 2017-02-2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fer powe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94A KR20180009980A (ko) 2016-07-20 2016-07-2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980A true KR20180009980A (ko) 2018-01-30

Family

ID=6098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994A KR20180009980A (ko) 2016-07-20 2016-07-2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의 전사전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39778B2 (ko)
KR (1) KR201800099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9076A (zh) * 2018-02-05 2019-08-13 东芝泰格有限公司 图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038A (ja) 1999-05-21 2000-11-30 Nec Corp 概略配線経路層割り当て方式
JP5528418B2 (ja) 2011-11-30 2014-06-25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395658B2 (en) * 2014-12-09 2016-07-1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9076A (zh) * 2018-02-05 2019-08-13 东芝泰格有限公司 图像形成装置
CN110119076B (zh) * 2018-02-05 2022-10-25 东芝泰格有限公司 图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39778B2 (en) 2018-11-27
US20180024496A1 (en)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41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ing transfer conditions based on resistance of transfer member
JP2009015211A (ja) 画像形成装置
US2011031125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5102839A (ja) 画像形成装置
JP4905602B2 (ja) 画像形成装置
US100486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lifetime prediction method
US1013977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fer power thereof
JP5392308B2 (ja) 画像形成装置
US11467519B2 (en) Error detection in temperature sensors of fuser
US1049600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photoconductor film thickness detection
JP735053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4224933A (ja) 画像形成装置、感光層の膜厚測定方法
US101914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control method
JP2004053748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10295930B2 (en) Applied voltage control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at control an alternating current development voltage applied to move a developer
KR20190009609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US11474446B2 (en) Identifying occurrence of background based on an image density
US20230116799A1 (en) Capacitance based paper detection
US1127532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US2018026742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1296787A (ja) 画像形成装置
WO2021076511A1 (en) Error detection using dual checks of analog signals
JP2013141806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44663B1 (ko) Trc 보정 방법 및 장치
JP201105363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