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952A -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952A
KR20180009952A KR1020160091938A KR20160091938A KR20180009952A KR 20180009952 A KR20180009952 A KR 20180009952A KR 1020160091938 A KR1020160091938 A KR 1020160091938A KR 20160091938 A KR20160091938 A KR 20160091938A KR 20180009952 A KR20180009952 A KR 20180009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application
content
youtub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6852B1 (ko
Inventor
조다영
박소라
원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6009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8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83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associating distribution time parameters to content, e.g. to generate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3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channel n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 시 사용자가 원하는 VOD(Video On Demand) 콘텐츠를 기존의 복잡한 메뉴 카테고리를 통해 검색하지 않아도 접근하기 편리한 채널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채널 유형 별로 실행하되 유튜브(YouTube) 채널 내에 편성된 하나 이상의 유튜브 콘텐츠를 기존의 유튜브 콘텐츠 실행 시와 구분하여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YouTube Channel in Channel-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 시 사용자가 원하는 VOD(Video On Demand) 콘텐츠를 기존의 복잡한 메뉴 카테고리를 통해 검색하지 않아도 접근하기 편리한 채널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채널 유형 별로 실행하되 유튜브(YouTube) 채널 내에 편성된 하나 이상의 유튜브 콘텐츠를 기존의 유튜브 콘텐츠 실행 시와 구분하여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브로드밴드 미디어 보급이 확산되고 통신 속도가 향상됨에 따라 인터넷은 원소스 멀티서비스(One source Multi Service)를 가능하게 해주는 새로운 매개체로 떠오르고 있다. 즉, 다수의 공중파 텔레비전, 라디오 채널들은 물론, 여러 인터넷 사업자가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들도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서비스로 제공되고 있으며, 인터넷 이용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원소스 멀티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에 대한 수요도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을 기반으로 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를 예로 들 수 있다.
기존의 IPTV 서비스 시스템은 지상파 방송 콘텐츠 등을 실시간 채널을 통해 제공하고 또한 예능, 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 유튜브 등의 VOD 콘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제공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원하는 VOD 콘텐츠를 보기 위해서는 실시간 채널과 별도로 구비된 복잡한 메뉴 카테고리를 통해 검색해야 하고, 기존의 IPTV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VOD 콘텐츠는 그 종류 및 수가 상당히 방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관심 있는 VOD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52751호 (2010.04.06.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IPTV 서비스 시 사용자가 원하는 VOD 콘텐츠를 기존의 복잡한 메뉴 카테고리를 통해 검색하지 않아도 채널 별로 쉽게 찾아 볼 수 있도록 하는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채널 유형(type) 별로 실행하되, 특히 유튜브(YouTube) 채널 내에 편성된 하나 이상의 유튜브 콘텐츠를 기존의 방식에 따른 유튜브 콘텐츠 실행 시와 구분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채널로의 채널 전환 키 이벤트 발생을 인식하기 위한 단계;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기 설정된 제1 실행 경로에 따라 실행된 경우 전환될 특정 채널의 채널 유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발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채널을 전환하고 전환된 특정 채널에 편성된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실행 경로 외의 다른 방식을 통한 제2 실행 경로에 따라 실행된 경우 상기 발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를 무시하고 종료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이 아니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발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채널을 전환하고 전환된 특정 채널에 편성된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전송된 실시간 채널에 대한 제1 채널 정보 및 콘텐츠 채널에 대한 제2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2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전체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특정 채널로의 채널 전환 키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생성된 전체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특정 채널의 채널 유형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채널로의 채널 전환 키 이벤트 발생을 인식하기 위한 키이벤트인식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앱실행경로확인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기 설정된 제1 실행 경로에 따라 실행된 경우 전환될 특정 채널의 채널 유형을 확인하기 위한 채널유형확인부; 상기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앱실행여부확인부; 및 상기 발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채널을 전환하고 전환된 특정 채널에 편성된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재생하기 위한 콘텐츠재생부를 포함할 수 있고, 서버로부터 (멀티캐스팅 방식으로) 전송된 실시간 채널에 대한 제1 채널 정보 및 콘텐츠 채널에 대한 제2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2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전체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하기 위한 채널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특정 채널로의 채널 전환 키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생성된 전체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특정 채널의 채널 유형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채널정보획득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앱실행경로확인부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채널의 (채널) 유형을 기초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를 상기 기 설정된 제1 실행 경로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재생부는, 다른 예로, 상기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실행 경로 외의 다른 방식을 통한 제2 실행 경로에 따라 실행된 경우 상기 발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를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재생부는, 또 다른 예로, 상기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이 아니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발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채널을 전환하고 전환된 특정 채널에 편성된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동일 또는 유사 범주에 속하는 복수개의 VOD 콘텐츠를 기 설정된 특정 채널 내에 순서에 따라 편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VOD 콘텐츠를 기존의 복잡한 메뉴 카테고리를 통해 검색하지 않아도 기 설정된 특정 채널을 통해 쉽게 찾아 볼 수 있도록 하여 채널 별 콘텐츠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콘텐츠 채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실시간 채널 서비스 및 전술한 콘텐츠 채널 서비스를 모두 포함하는 IP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채널 유형(type) 별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재생하되, 특히 유튜브(YouTube) 채널 내에 편성된 하나 이상의 유튜브 콘텐츠를 기존의 방식에 따른 유튜브 콘텐츠 실행(즉, 제2 실행 경로에 따른 유튜브 콘텐츠 실행) 시와 구분하여 실행(즉, 제1 실행 경로에 따른 유튜브 콘텐츠 실행)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기존의 방식에 따른 유튜브 콘텐츠의 실행 중에 사용자의 조작 의도와는 무관하게 채널 번호 키 또는 채널 업/다운 키가 눌려 유튜브 채널로의 채널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라도 기 실행 중인 기존 유튜브 콘텐츠를 유튜브 채널 내 편성된 다른 콘텐츠로 덮어 쓰는 등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 사용자 단말(2), 표시장치(3), 실시간 채널 서버(4), 및 콘텐츠 채널 서버(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은 서버(4,5)와 사용자 단말(2)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다.
사용자 단말(2)은 서버(4,5)와 통신하여 서버(4,5)로부터 멀티캐스팅(multicasting) 방식으로 전송된 실시간 채널 정보 및 콘텐츠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채널 정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서버(4,5)로부터 유니캐스팅(unicasting) 방식으로 전송된 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 콘텐츠 등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측 단말 장치로, 일 예로 IPTV 서비스를 위한 방송 수신 장치로서의 셋톱 박스(Set-top Box)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표시 장치(3)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해 수신된 콘텐츠를 시청각적으로 재생하고 UI(User Interface)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IPTV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과 표시 장치(3)는 각기 독립적인 별개의 장치로 구성하거나 서로 결합된 하나의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간 채널 서버(4) 및 콘텐츠 채널 서버(5)는 사용자 단말(2) 및 표시 장치(3)를 통해 사용자에게 IP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PTV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를 나타낸다.
실시간 채널 서버(4)는 기존의 IPTV 서비스와 같이 실시간 채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간 채널 서비스는 KBS, MBC, SBS와 같은 지상파 채널 관련 서비스, JTBC 등과 같은 종합 편성 채널 관련 서비스, 홈 쇼핑 채널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채널 서버(4)는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채널 정보(예, 지상파 채널 정보, 종합편성 채널 정보, 홈쇼핑 채널 정보 등)를 멀티캐스팅(multicasting)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2)로 제공하며, 또한 실시간 채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프로그램 콘텐츠를 유니캐스팅(unicasting)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2)로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채널 서버(5)는 콘텐츠 채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 또는 유사 범주에 속하는 복수개의 VOD 콘텐츠를 기 설정된 특정 채널 내에 순서에 따라 편성하고, 이와 같은 편성 정보가 포함된 콘텐츠 채널 정보를 멀티캐스팅(multicasting)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2)로 제공하며, 또한 콘텐츠 채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VOD 콘텐츠를 유니캐스팅(unicasting)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2)로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채널 서버(5)는, 예를 들어, IPTV 서비스에서 현재 이용 중인 실시간 채널 외에 비어 있는 채널 중 300번대는 예능 채널, 400번대는 드라마 채널, 500번대는 영화 채널, 600번대는 해외 채널, 700번대는 어린이 채널, 800번대는 다큐 채널, 900번대(ch. 901~950)는 유튜브 채널, 999번은 가족 채널 등과 같이 콘텐츠 (서비스) 채널로 특정하고, 또한 특정된 900번대 유튜브 채널에 대해 유튜브 내 인기 장르로서의 인기, 키즈, 음악, 영화, 게임 등과 같은 장르별로 채널 대역을 편성하고, 장르별 각 채널 내에 동종의 장르에 속하는 복수개의 유튜브 콘텐츠(VOD 콘텐츠)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콘텐츠 식별 정보를 부여하여 편성할 수 있다.
콘텐츠 채널 서버(5)는 특정 채널 내에 편성되는 복수개의 VOD 콘텐츠가 시리즈(series)(연속기획물, 연속방송물 등)일 경우 해당 시리즈의 순서(방송 회차 등)에 따라 콘텐츠를 편성할 수 있다.
콘텐츠 채널 서버(5)는 채널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VOD 콘텐츠를 찾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특정 채널 내 편성된 복수개의 VOD 콘텐츠 중 특정 채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VOD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로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2)의 표시 장치(3)의 특정 채널의 화면을 통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장치의 구성도로, 도 1의 사용자 단말(2)에 포함되는 세부 구성도이고,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이벤트인식부(21), 채널관리부(22), 앱실행경로확인부(23), 채널정보획득부(24), 채널유형확인부(25), 앱실행여부확인부(26), 및 콘텐츠재생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키이벤트인식부(21)는 사용자로부터 리모콘 등을 통해 어떤 키 입력이 있는가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특정 채널로의 채널 전환 키 이벤트 발생을 인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채널 업/다운(up/down) 키 또는 숫자 키 등을 통해 900번대의 채널 번호를 선택하면 선택된 900번대 특정 채널로의 채널 전환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채널관리부(22)는 서버(4,5)로부터 멀티캐스팅 방식으로 전송된 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채널 리스트를 만들고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간 채널 서버(4)로부터 실시간 채널에 대한 제1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콘텐츠 채널 서버(5)로부터 콘텐츠 채널에 대한 제2 채널 정보를 수신한 후 그 수신된 제1 및 제2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전체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1 채널 정보는 실시간 서비스 채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중파 채널, 종합 편성 채널, 홈 쇼핑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채널 정보로서 해당하는 각 채널에 대한 유형(type) 정보 및 해당 채널에 편성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 정보는 콘텐츠 서비스 채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동일 또는 유사 범주에 속하는 복수개의 VOD 콘텐츠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편성된 하나 이상의 특정 채널에 대한 콘텐츠 편성 정보(또는 콘텐츠 식별 정보라 칭함) 및 해당하는 각 채널에 대한 유형(typ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된 900번대(ch. 901~950) 채널에 대해 채널 유형 정보는 유튜브 채널이고, 이러한 유튜브 채널 유형의 각 채널에 편성된 하나 이상의 유튜브 콘텐츠에 대해 각기 부여된 콘텐츠 ID를 콘텐츠 식별 정보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채널에 대한 유형(type) 정보는 플레이어(Player)(또는 재생 장치라 칭함)를 구동해야 하는 제1 유형 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이라 칭함)을 구동(실행)해야 하는 제2 유형 정보 등과 같이 분류할 수 있고, 제2 유형 정보는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하는 유튜브 채널 (정보), 노래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하는 노래방 채널 (정보), 가족앨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하는 가족 채널 (정보)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채널의 편성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콘텐츠가 편성된 채널 등은 플레이어를 구동해야 하는 제1 유형의 채널로 분류할 수 있고, 사진,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저장, 관리, 제공하기 위한 가족 채널,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래방 채널, 유튜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유튜브 채널 등은 각각 대응하는 가족앨범 애플리케이션, 노래방 애플리케이션, 유튜브 애플리케이션 등을 구동해야 하는 제2 유형의 채널로 분류할 수 있다.
앱실행경로확인부(23)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채널의 (채널) 유형을 기초로 실행된 경우라면 이를 기 설정된 제1 실행 경로로 확인할 수 있고,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1 실행 경로 외의 다른 방식을 통한 실행 경로에 따라 실행된 경우라면 이를 제1 실행 경로와 구분되는 제2 실행 경로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실행 경로는 예를 들어 복잡한 메뉴 카테고리를 통한 기존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앱실행경로확인부(23)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경로를 기 설정된 방식에 따른 제1 실행 경로 및 그 제1 실행 경로 외의 다른 방식에 따른 제2 실행 경로로 구분하고,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경로가 제1 실행 경로 또는 제2 실행 경로인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플래그 정보를 각각 예스(Yes) 또는 노(No)와 같이 표시해 놓고, 이후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표시된 플래그 정보를 보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제1 실행 경로 또는 제2 실행 경로 중 어느 경로로 실행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채널정보획득부(24)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채널로의 채널 전환 키 이벤트의 발생 시, 채널관리부(22)의 전체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특정 채널의 채널 유형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채널로서 900번대(ch. 901~950)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한 경우 채널정보획득부(24)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기 설정된 제1 실행 경로에 따라 실행된 것이면 채널관리부(22)의 전체 채널 리스트의 채널 정보를 기초로 해당 특정 채널의 채널 유형 정보로서 유튜브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또한 그 유튜브 채널 내 편성된 복수의 유튜브 콘텐츠 중 선택된 하나의 유튜브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채널유형확인부(25)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채널로의 채널 전환 키 이벤트의 발생 시 전환될 특정 채널의 채널 유형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채널정보획득부(24)로부터 획득된 채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900번대 특정 채널의 채널 유형이 유튜브 채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앱실행여부확인부(26)는 채널유형확인부(25)에서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채널유형확인부(24)에서 확인된 유튜브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콘텐츠재생부(27)는 앱실행여부확인부(26)에서 확인된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앱실행경로확인부(23)를 통해 기 설정된 제1 실행 경로에 따라 실행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키이벤트인식부(21)를 통해 인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채널을 특정 채널로 전환하고, 채널정보획득부(24)를 통해 획득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특정 채널에 편성된 해당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수신하여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콘텐츠재생부(27)는, 다른 예로,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1 실행 경로 외의 다른 방식을 통한 제2 실행 경로에 따라 실행된 경우 키이벤트인식부(21)를 통해 인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를 무시하고(즉, 채널 전환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채널 전환 동작 및 이에 따른 콘텐츠 수신/재생 동작을 하지 않고)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존의 메뉴 카테고리 방식을 통해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유튜브를 보고 있는 중 이라면 각종 사유로 채널 업/다운 키 또는 숫자 키 등을 통해 특정 채널로의 채널 전환 키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채널 전환 키 이벤트를 무시하고 이에 대응하는 채널 전환 동작 및 이에 따른 콘텐츠 수신/재생 동작을 하지 않으므로, 기존의 방식에 따른 유튜브 콘텐츠의 실행 중에 사용자의 조작 의도와는 무관하게 채널 번호 키 또는 채널 업/다운 키가 눌려 유튜브 채널로의 채널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라도 기 실행 중인 기존 유튜브 콘텐츠를 유튜브 채널 내 편성된 다른 콘텐츠로 덮어 쓰는 등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콘텐츠재생부(27)는, 또 다른 예로, 채널유형확인부(24)를 통해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앱실행여부확인부(25)를 통해 현재 실행 중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채널유형확인부(24)를 통해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키이벤트인식부(21)를 통해 인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채널을 특정 채널로 전환하고, 채널정보획득부(23)를 통해 획득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특정 채널에 편성된 해당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수신하여 현재 실행 중인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의 흐름도로, 도 1-2의 사용자 단말(2) 장치에서 수행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2)은 실시간 채널 서버(4) 및 콘텐츠 채널 서버(5)로부터 멀티캐스팅 방식으로 전송된 실시간 채널에 대한 제1 채널 정보 및 콘텐츠 채널에 대한 제2 채널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S301), 실시간 서비스 채널에 대한 제1 채널 정보, 콘텐츠 서비스 채널에 대한 제2 채널 정보, 및 각 채널에 대응하는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전체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한다(S303).
이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채널 키가 눌리거나 채널이 업/다운 되는 채널 (전환) 키 이벤트(Key Event)가 발생되면(S305), 제1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데, 예를 들어, 유튜브 채널에 대응하는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07).
이어, 사용자 단말(2)은 단계 S307의 확인 결과 제1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이라고 판단되면, 현재 실행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에 연관하여 표시된 예스(Yes) 또는 노(No)의 플래그 정보를 보고 현재 실행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경로가 기 설정된 제1 실행 경로인지 또는 제1 실행 경로 외의 제2 실행 경로인지를 확인한다(S309).
이어, 사용자 단말(2)은 단계 S309의 확인 결과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경로가 기 설정된 제1 실행 경로라면, 단계 S303의 전체 채널 리스트 중 단계 S305에서 선택된 특정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예컨대, 채널 번호, 채널 유형 정보,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편성 정보 등)를 획득한다(S311).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유투브 애플리케이션이 기 실행 중인 경우 채널 전환 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최초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이 이 키 값을 받고,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은 본인의 실행 경로를 플래그로 저장하고 있어서 플래그가 있는 경우(즉, 유투브 채널화로부터 실행된 경우) 채널 전환 키 값을 상위 라이브러리에 전달하여 채널 정보를 획득하고, 플래그가 없는 경우(즉, 기존 유투브 앱으로 실행된 경우) 채널 전환 키 값을 사용하지 않고 버린다.
이어, 사용자 단말(2)은 단계 S311에서 획득한 채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채널의 채널 유형을 확인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채널 번호가 유튜브 채널로 분류되는 900번대(ch. 901~950) 중 하나라면 해당 번호의 채널 유형은 유튜브 채널로 확인된다(S313).
이어, 사용자 단말(2)은 단계 S313에서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데, 예를 들어, 단계 S313에서 확인된 유튜브 채널에 대응하는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15).
마지막으로, 사용자 단말(2)은 단계 S315에서의 확인 결과 단계 S313에서 확인된 유튜브 채널에 대응하는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이라고 판단되면,
단계 S305에서 인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채널을 특정 채널로 전환하고, 단계 S311에서 획득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특정 (유튜브) 채널에 편성된 해당 (유튜브)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수신하여 단계 S315에서 실행 중인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표시 장치(3)를 통해 재생한다(S315).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과 제2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일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일수도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은 단계 S309의 판단 결과 현재 실행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에 연관하여 표시된 노(No) 플래그 정보를 보고 현재 실행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경로가 기 설정된 제1 실행 경로 외의 다른 방식을 통한 제2 실행 경로에 따라 실행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305에서 인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를 무시하고(즉, 채널 전환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채널 전환 동작 및 이에 따른 콘텐츠 수신 및 재생 동작을 하지 않고) 종료하도록 한다(S321).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존의 메뉴 방식을 통해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유튜브를 보고 있는 중 이라면 각종 사유로 채널 업/다운 키 또는 숫자 키 등을 통해 특정 채널로의 채널 전환 키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채널 전환 키 이벤트를 무시하고 이에 대응하는 채널 전환 동작 및 이에 따른 콘텐츠 재생 동작을 하지 않으므로, 기존의 방식에 따른 유튜브 콘텐츠의 실행 중에 사용자의 조작 의도와는 무관하게 채널 번호 키 또는 채널 업/다운 키가 눌려 유튜브 채널로의 채널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라도 기 실행 중인 기존 유튜브 콘텐츠를 유튜브 채널 내 편성된 다른 콘텐츠로 덮어 쓰는 등의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은 단계 S313에서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이 단계 S315 판단 결과 현재 실행 중이 아니라면, 단계 S313에서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S319), 단계 S317의 과정으로 진입하여 단계 S305에서 인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채널을 특정 채널로 전환하고, 단계 S311에서 획득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특정 (유튜브) 채널에 편성된 해당 (유튜브)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수신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유튜브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표시 장치(3)를 통해 재생한다(S317).
한편, 전술한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또는 이러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통신망
2: 사용자 단말
3: 표시 장치
4: 실시간 채널 서버
5: 콘텐츠 채널 서버
21: 키이벤트인식부
22: 채널관리부
23: 앱실행경로확인부
24: 채널정보획득부
25: 채널유형확인부
26: 앱실행여부확인부
27: 콘텐츠재생부

Claims (17)

  1.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채널로의 채널 전환 키 이벤트 발생을 인식하기 위한 단계;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기 설정된 제1 실행 경로에 따라 실행된 경우 전환될 특정 채널의 채널 유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발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채널을 전환하고 전환된 특정 채널에 편성된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제1 실행 경로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채널의 (채널) 유형을 기초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실행 경로 외의 다른 방식을 통한 제2 실행 경로에 따라 실행된 경우 상기 발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를 무시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이 아니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특정 채널에 편성된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전송된 실시간 채널에 대한 제1 채널 정보 및 콘텐츠 채널에 대한 제2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2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전체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특정 채널로의 채널 전환 키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생성된 전체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특정 채널의 채널 유형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서버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8.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채널로의 채널 전환 키 이벤트 발생을 인식하기 위한 키이벤트인식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앱실행경로확인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기 설정된 제1 실행 경로에 따라 실행된 경우 전환될 특정 채널의 채널 유형을 확인하기 위한 채널유형확인부;
    상기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앱실행여부확인부; 및
    상기 발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에 대응하도록 채널을 전환하고 전환된 특정 채널에 편성된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재생하기 위한 콘텐츠재생부;
    를 포함하는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앱실행경로확인부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채널의 (채널) 유형을 기초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를 상기 기 설정된 제1 실행 경로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재생부는 상기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실행 경로 외의 다른 방식을 통한 제2 실행 경로에 따라 실행된 경우 상기 발생된 채널 전환 키 이벤트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재생부는 상기 확인된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이 아니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특정 채널에 편성된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전송된 실시간 채널에 대한 제1 채널 정보 및 콘텐츠 채널에 대한 제2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2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전체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하기 위한 채널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특정 채널로의 채널 전환 키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생성된 전체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특정 채널의 채널 유형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채널정보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재생부는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초로 서버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장치.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6.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17.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091938A 2016-07-20 2016-07-20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및 장치 KR101856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38A KR101856852B1 (ko) 2016-07-20 2016-07-20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38A KR101856852B1 (ko) 2016-07-20 2016-07-20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952A true KR20180009952A (ko) 2018-01-30
KR101856852B1 KR101856852B1 (ko) 2018-05-10

Family

ID=6107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938A KR101856852B1 (ko) 2016-07-20 2016-07-20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8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530A (ko) * 2020-03-03 2021-09-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컨텐츠를 표시하는 도중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22800A (ko) 2020-08-19 2022-02-2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음악재생기에서 오디오 비디오 연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674B1 (ko) * 2011-02-22 2011-06-28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채널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530A (ko) * 2020-03-03 2021-09-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컨텐츠를 표시하는 도중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22800A (ko) 2020-08-19 2022-02-2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음악재생기에서 오디오 비디오 연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852B1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50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content simultaneously in different forms based on parental control settings
KR101774039B1 (ko)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자동적 미디어 자산 업데이트
US201203245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arental controls in a cloud-based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20130173526A1 (en) Methods, systems, and mean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content to be presented
JP2013500540A (ja) 属性を共有する異なる種類の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関連付け、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401149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ynchronized media content
KR20130131404A (ko) 비디오 편집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3085232A (ja) 複数の入力ソースに対する統合されたepg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US202000218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amification of real-time instructional commentating
US2015001294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tag lines associated with media assets
KR101424975B1 (ko) Epg에 기초한 컨텐츠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KR101856852B1 (ko)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및 장치
US9204185B2 (en) Individual internet video link channel
US2013017728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21516876A (ja) 物語選択インターフェー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761015B1 (ko)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실행 장치 및 방법
JP6820930B2 (ja) 録画されたメディアアセットにおける差替を迂回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3243704A (ja) 情報処理端末
KR100820788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JP200517364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54577B1 (ko) 사용자 단말에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07361B1 (ko)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채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1990765A (zh) 再现内容的方法和设备
KR101460800B1 (ko) 사용자 정의 채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113084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컨텐츠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