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926A -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926A
KR20180009926A KR1020160091878A KR20160091878A KR20180009926A KR 20180009926 A KR20180009926 A KR 20180009926A KR 1020160091878 A KR1020160091878 A KR 1020160091878A KR 20160091878 A KR20160091878 A KR 20160091878A KR 20180009926 A KR20180009926 A KR 20180009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discharge unit
tide
red 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3648B1 (ko
Inventor
이재식
김성
Original Assignee
김성
엔티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 엔티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성
Priority to KR1020160091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64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2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정화하거나 녹조 또는 적조의 발생을 방제 및 제거하기 위해 수중 및 선박류에 설치되어 수중에서 유동하거나, 수중의 지표면에 고정되어 공기와 물을 이용해 물의 순환을 유도하면서 고압으로 공기와 물을 분사해 오염원이 되는 물속의 유기물을 분해하기 때문에, 녹조 또는 적조의 발생을 방제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물질을 분사할 필요가 없어 친환경적이며, 넓은 범위에 걸쳐 물을 정화하거나 녹조 또는 적조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제 및 녹조 또는 적조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공기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공기를 분배하는 공기탱크(100), 상기 공기탱크(10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공기배출부(200), 상기 공기배출부(20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주변의 물을 배출하고 교반하는 물 배출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System for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and preventing green or red tide}
본 발명은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저장한 물 또는 오염된 물을 정화하거나, 하천 또는 바다에 발생하는 녹조 또는 적조를 방제할 수 있는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녹조(Green tide)와 적조(Red tide)는 하천 또는 바다가 부영양화 될 경우 발생한다. 부영양화란 수중에 영양염(Nutrients)의 농도가 자연 상태일 때보다 더 높을 경우를 뜻하는데, 녹조와 적조는 이러한 이유로 수중의 식물성 플랑크톤의 일종인 녹조류 또는 적조류가 크게 늘어나 물을 녹색이나 적색으로 물들여버리는 현상을 일컫는다. 녹조 또는 적조는 유속이 느려 수중의 물이 섞이지 않을 때에도 발생할 수 있다.
녹조 또는 적조는 발생하게 되면, 내륙에서는 상수원의 오염으로 인한 정상적인 식수의 공급을 보장 받을 수 없고, 수중 생태계뿐만 아니라, 녹조 또는 적조 발생 인근의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쳐 생태계가 파괴될 뿐만 아니라, 연안에서 발생하면 양식장의 어패류들이 폐사하는 악영향을 미칠 수 도 있다. 녹조 또는 적조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그 중 하나로 한국등록특허 제10-1221579호("선박에 구비된 녹조 및 적조 제거장치", 2013.01.07., 이하 선행기술 1)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은 선박에 녹조 및 적조 제거장치를 설치하고, 선박을 운용함으로써 발생한 녹조 및 적조를 회수하여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다. 선행기술 1은 녹조 및 적조를 직접적으로 제거할 수 있지만, 녹조 또는 적조가 발생된 후 이를 제거하는 방식이라, 녹조 또는 적조를 방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선행기술 1의 효과는 녹조 및 적조를 제거만 할 수 있고, 녹조 또는 적조가 발생한 물이나, 오염된 물을 정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21579호("선박에 구비된 녹조 및 적조 제거장치", 2013.01.0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의 목적은 수중의 특정 지역에 설치되거나 선박 또는 수면을 이동하는 부유체에 결합되어 운용되어, 광범위한 부분의 녹조 또는 적조를 방제하면서, 적조 및 녹조가 발생된 물이나, 오염된 물을 정화 또는 정수할 수 있는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은, 수중에 설치되는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공기를 분배하는 공기탱크(100), 상기 공기탱크(10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공기배출부(200), 상기 공기배출부(20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주변의 물을 상부로 배출하고 교반하는 물 배출부(300) 및 상기 공기탱크(100), 공기배출부(200) 및 물 배출부(300)가 설치되는 케이스(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배출부(300)는 상기 케이스(400)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배출부(200)는 상기 물 배출부(300)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400)는 외곽에 흡수용 관(4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200)는 상기 공기탱크(100)와 연결된 공기배관(210), 상기 공기배관(210)의 끝단에 설치되는 고압노즐(220) 및 상기 고압노즐(220)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200)는 상기 공기탱크(100)와 연결되고, 지표면 또는 수중의 지표면과 예각을 이루며, 끝단이 수면을 향하는 공기배관(210), 상기 공기배관(210)의 끝단에 설치되는 고압노즐(220) 및 양측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상기 공기배관(110)이 내부에 수용되며, 외주면 일부가 관통 형성된 커버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230)는 상기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은 수중의 지표면에 고정되어 운용되거나, 선박이나 기타 수면에서의 이동물체에 연결되어, 수중의 지표면 위에 일정간격 부상된 상태로 이동하며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배출부(300)는 프로펠러 또는 수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한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에 의하면, 수중의 지표면에 고정되어 운용되거나, 선박이나 기타 수면에서의 이동물체에 연결되어 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 또는 지형 환경에 따라 달리 적용하여 오염된 물이나 녹조 또는 적조가 발생한 물을 정화하거나, 녹조 또는 적조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이나 기타 수면에서의 이동물체에 연결하여 운용할 때, 보다 효율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의 녹조 또는 적조의 발생을 방제하거나, 물을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이나 기타 수면에서의 이동물체에 연결되어 운용되거나, 수중의 지표면에 고정되어 운용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의 녹조 또는 적조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과 공기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녹조 또는 적조의 발생을 방제하거나, 녹조 또는 적조를 제거하고, 물을 정화하며, 악취를 제거하여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녹조 또는 적조의 발생을 방제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물질을 물에 뿌리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으로 녹조 또는 적조를 방제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설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상부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설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의 제1실시예는 공기탱크(100), 공기배출부(200), 물 배출부(300) 및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중 정화 및 조료 제거 시스템의 제1실시예가 수중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수중의 지표면에 설치된다. 녹조 또는 적조의 발생원인 중 하나가 물이 잘 섞이지 않기 때문인데, 본 발명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 설치되는 이유는 수중에 설치되어 물을 유동시켜, 물이 잘 섞이게 하기 위함이다. 보통 유속이 느리고, 바람이 약한 날에 물은 유동성이 없는 상태로, 안정적이 된다. 그 이유는 수면측은 태양광을 받아 가열되고, 수심이 깊어질수록 태양광의 영향을 덜 받아 수온이 낮아지는데, 수심기 깊어짐에 따라 수온이 낮아지면 물의 밀도 또한 수심이 깊어질수록 높아져 상하방향으로 물의 대류가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렇게 정체된 물을 인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순환시킬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역할을 하기 위해 수중의 지표면 또는 수중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 설치될 필요가 있으며, 상기 공기탱크(100), 공기배출부(200) 및 물 배출부(300)는 상기 케이스(400)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케이스(40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 설치되어 물을 상하방향으로 순환을 일으키려면 하측의 물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시키고, 상측의 물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 방법으로 물 및 공기 두 가지 요소를 사용한다. 수중에서 공기를 발생시키는 요소는 상기 공기탱크(100) 및 공기배출부(200)로, 이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탱크(100)는 별도의 장치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공기배출부(200)로 공기를 분배하는 구성이다. 상기 공기탱크(100)가 공기를 공급받는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지상에 설치된 공기 공급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공기 공급장치와 별도의 배관으로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주기적으로 선박을 운용하여 상기 공기탱크(100)에 공기를 공급하는 방법인데, 상기 공기탱크(100)는 공급받은 공기를 이용해 일정기간동안 구동되는 형식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도 2에서 상기 공기탱크(100)는 상기 케이스(400)의 내부 중앙에 위치해 있지만, 이는 제1실시예에서만 이렇게 배치될 뿐이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기탱크(100)는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부(200)로 분배하게 된다.
상기 공기배출부(200)는 상기 공기탱크(10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구성으로, 공기배관(210), 고압노즐(220) 및 커버부(23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배관(210)은 상기 공기탱크(100)와 연결된다. 상기 공기배관(210)은 상기 공기탱크(100)에서 분배되는 공기가 지나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압노즐(220)은 상기 공기배관(210)의 끝단에 설치된다. 상기 고압노즐(220)은 상기 공기배관(210)을 통과한 공기가 고압으로 배출되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고압노즐(220)의 방향은 상측을 향해 있다. 상기 고압노즐(220)이 상측을 향하기 위해서 상기 공기배관(210)은 상측으로 굴곡된 형태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230)는 상기 고압노즐(220)이 향하는 쪽에 위치하여, 상기 고압노즐(22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막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정화 환경에 따라 형상은 바뀔 수 있다. 상기 커버부(230)가 반구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고압노즐(220)을 통한 공기는 상기 커버부(230)의 가장 내측면으로 분사되고, 이후 상기 커버부(230)의 내주면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커버부(230)의 측면으로 배출된다. 상기 고압노즐(220)을 통과한 공기의 진행 방향은 도 3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이후 이 공기는 측면으로 빠져나간 후 수면으로 상승하는데, 이 공기가 수면으로 상승하면서 수중의 하측에 위치하는 밀도가 높고 낮은 온도의 물을 상측으로 유동시킨다. 사이 커버부(230)가 상기 고압노즐(22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사이 고압노즐(220)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고압노즐(220)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넓은 범위에 걸쳐 상승시켜, 넓은 범위의 물을 상측으로 유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고압노즐(22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고압으로 분사되면서 물속의 유기물들을 분해하게 되는데, 이러한 원리를 통해 물을 정화 및 악취제거와 수질 개선 한다. 즉, 상기 고압노즐(220)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는 물의 상하 유동성을 확보하여 녹조 또는 적조의 발생을 방제할 수 있는 효과 외에도, 아니라 물속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물 자체를 정화할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배출부(200)의 상기 고압노즐(220) 및 커버부(230)는 복수개가 본 발명의 중심부분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다수가 배치되는데, 이는 상기 공기배출부(200) 다수가 설치되어, 보다 넓은 범위로 공기를 배출하여, 넓은 범위의 녹조 또는 적조의 발생을 방제하기 위함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배출부(200)는 중심부분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될 수 있지만, 이는 설치되는 장소(호수, 바다, 강)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물 배출부(300)는 상기 공기탱크(100) 및 공기배출부(200)와 달리, 물로 수중의 물을 직접적으로 유동시켜 물의 상하 순환을 유도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배출부(300)는 상기 공기배출부(20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본 발명의 주변에 위치한 물을 상측으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 배출부(300)는 일반적인 프로펠러 및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프로펠러가 회전하면서 물을 상측으로 유동시킨다. 상기 물 배출부(300)는 회전하면서 물을 단순히 상측으로 유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물 배출부(300)의 프로펠러가 수중에 노출된 상태로 회전하기 때문에 소용돌이를 만들게 된다. 상기 물 배출부(300)가 만들어내는 소용돌이는 상기 물 배출부(300)를 통과한 물을 단순히 상측으로 유동시키는데 그치지 않고, 소용돌이 주변의 물을 빨아들이는 움직임을 만들게 되어, 물의 유동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물 배출부(300)에서 생성되는 소용돌이는 인근에 설치되는 공기배출부(200)에서 분사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물에 유동성과 교반을 가하는 그 효과가 배가된다.
상기 공기배출부(200)와 물 배출부(300)의 이러한 특성 덕분에, 본 발명은 녹조 또는 적조의 발생을 방제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물을 정화하는데도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일정 공간에 수용된 폐수나 하수, 또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저장한 물을 정화 또는 정수 처리하는데 유용하며, 이럴 경우에는 폐수나 하수, 또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저장 수용된 탱크 또는 공간에 설치되어 운용하게 된다.
상기 물 배출부(300)는 주변의 물을 배출하기 위해 주변을 물을 빨아들여야 하는데, 물을 빨아들이는 구성은 상기 케이스(400)의 외곽에 형성된 흡수용 관(410)이다. 즉, 상기 물 배출부(300)가 회전하면 상기 물 배출부(300)의 측면 또는 하면에서는 흡입력이 가해지고, 이 흡입력을 따라 주변의 물이 상기 물 배출부(300)로 흘러가게 된다. 상기 흡수용 관(410)은 이렇게 흡입되는 물이 통과하는 구성으로, 상기 흡수용 관(410)을 통해 주변의 물이 상기 케이스(400) 내부로 유입되고 이 물이 상기 물 배출부(300)의 상측으로 배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배출부(300)는 상기 공기배출부(200)와 인접하여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물 배출부(300)에 의해 상승하는 물과, 상기 공기배출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서로 합쳐져 보다 효율적으로 물의 순환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물 배출부(300)는 배출되는 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물 배출부(300)가 물을 배출하는 방향이 일방향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물을 교반하는 효과가 부분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물 배출부(300)의 이러한 방식은 프로펠러의 각도와 모양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물의 교반과 배출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게 한다.
상기 물 배출부(300)는 프로펠러로도 구성되지만, 물레방아와 같은 수차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수차의 형태로 구성되면 수차는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수차의 일면이 보이도록 상기 프로펠러를 대신하여 결합되게 된다. 수차의 경우, 프로펠러보다 상측으로 물을 배출하는 기능은 떨어지지만, 프로펠러보다 주변의 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반 가능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 배출부(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로펠러 또는 수차일 수 있으며, 두 구성이 함께 사용될 수 도 있다.
[제2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의 제2실시예는 공기탱크(100), 공기배출부(200), 물 배출부(300) 및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들 중 상기 공기탱크(100) 및 케이스(400)는 제1실시예와 완전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하며, 차이점을 갖는 공기배출부(200)와 상기 공기배출부(200)로 인해 물의 흐름이 달라지는 상기 물 배출부(300)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배출부(200)는 상기 케이스(400)의 측면에 설치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배관(210), 고압노즐(220), 커버부(230)를 포함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배관(210)은 상기 공기탱크(100)와 연결되고, 지표면 또는 수중의 지표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설치되거나 굴곡 형성되며, 끝단이 수면을 향한다. 제2실시예의 공기배관(210)역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공기탱크(10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통과시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배관(210)이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측으로 굴곡 형성되지 않고, 상기 케이스(400)의 측면으로 굴곡 형성되어, 수면을 향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압노즐(220)은 상기 공기배관(210)의 끝단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공기배관(21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고압으로 분사 가능하게 해 준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230)는 양측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상기 공기배관(210) 및 고압노즐(220)이 내부에 수용되며, 외주면 일부가 관통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커버부(230)는 양측이 개구된 나팔 형상을 하고 있는데, 상기 케이스(400)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이 커지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는 상기 공기배관(21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보다 확산시키기 위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230)는 측면 일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형태인데, 관통 형성된 부분을 관통홀(231)이라 한다. 상기 관통홀(231)은 상기 흡수용 관(41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일부가 상기 커버부(230) 내부로 유입되어서, 상기 고압노즐(22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유입된 물을 함께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4 및 5에는 물과 공기의 진행방향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수용 관(410)을 통해 상기 케이스(400)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물 배출부(300)로 이동하던 물의 일부가 상기 관통홀(231)을 통해 상기 커버부(230) 내부로 유입되어 공기와 함께 배출된다. 이렇게 공기와 물을 함께 배출하는 것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다 효율적으로 물의 순환을 유도하기 위해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공기배출부(20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이 또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다 넓은 지역의 녹조 또는 적조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함이다.
상기 커버부(230)는 상기 케이스(40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지만, 이는 상기 케이스(400)의 측면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면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물 배출부(300)는 상기 케이스(400) 내부로 물을 유입시켜, 간접적으로 물의 일부가 상기 커버부(230)로 유입되도록 하고, 또한 자체적으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측으로 물을 배출하여 상하방향으로 물의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비교해 보면, 제1실시예는 보다 좁은 면적의 녹조 또는 적조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데, 이는 공기배출부(200)가 배출하는 공기의 방향이 상측을 향해있기 때문이며, 제2실시예는 보다 넓은 면적의 녹조 또는 적조의 발생을 방제하거나, 물을 정화시키는데 유리하다.
상기한 실시예들 중 서로 다른 구성인 제1실시예의 공기배출부와 제2실시예의 공기배출부는 서로 혼용되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수중의 지표면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실시예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은 선박이나 수면에 부유하며 이동하는 물체에 결합되어, 수중에 위치한 채로 이동하면서 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은 수중의 지표면에서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선박이나 수면에 부유하며 이동하는 물체에 결합된다. 이는 상기 선박이나 결합된 물체가 이동할 때, 지표면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선박이나 결합된 물체와 결합되는 형태는 강성을 가지는 프레임으로 연결되거나, 별도의 밧줄과 같은 장력을 가지는 줄 또는 체인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고정형으로 운용되는 시스템은, 좁은 지역의 수중 정화나 녹조 및 적조의 발생을 방제할 수 있다면, 선박이나 기타 수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물체와 결합하여 수중 정화 및 조류제거 시스템을 이동형으로 운용할 경우 다소 운용시간은 소요 되겠지만, 넓은 광의의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으로 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 공기탱크
200 : 공기배출부
210 : 공기배관
220 : 고압노즐
230 : 커버부
231 : 관통홀
300 : 물 배출부
400 : 케이스
410 : 흡수용 관

Claims (8)

  1. 수중에 설치되는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공기를 분배하는 공기탱크(100);
    상기 공기탱크(10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공기배출부(200);
    상기 공기배출부(20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주변의 물을 상부로 배출하고 교반하는 물 배출부(300); 및
    상기 공기탱크(100), 공기배출부(200) 및 물 배출부(300)가 설치되는 케이스(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부(300)는
    상기 케이스(400)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배출부(200)는
    상기 물 배출부(300)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00)는
    외곽에 흡수용 관(4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200)는
    상기 공기탱크(100)와 연결된 공기배관(210),
    상기 공기배관(210)의 끝단에 설치되는 고압노즐(220) 및
    상기 고압노즐(220)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200)는
    상기 공기탱크(100)와 연결되고, 지표면 또는 수중의 지표면과 예각을 이루며, 끝단이 수면을 향하는 공기배관(210),
    상기 공기배관(210)의 끝단에 설치되는 고압노즐(220) 및
    양측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상기 공기배관(110)이 내부에 수용되며, 외주면 일부가 관통 형성된 커버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230)는
    상기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은
    수중의 지표면에 고정되어 운용되거나, 선박이나 기타 수면에서의 이동물체에 연결되어, 수중의 지표면 위에 일정간격 부상된 상태로 이동하며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부(300)는
    프로펠러 또는 수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KR1020160091878A 2016-07-20 2016-07-20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KR101823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878A KR101823648B1 (ko) 2016-07-20 2016-07-20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878A KR101823648B1 (ko) 2016-07-20 2016-07-20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926A true KR20180009926A (ko) 2018-01-30
KR101823648B1 KR101823648B1 (ko) 2018-01-31

Family

ID=61070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878A KR101823648B1 (ko) 2016-07-20 2016-07-20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6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9509A (zh) * 2019-03-28 2019-05-28 黑龙江兰德超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耦合除藻的破坏藻类光合作用的均匀分散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737B1 (ko) * 2019-11-06 2022-02-24 엔티큐 주식회사 이동식 적조 및 녹조 방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460Y1 (ko) 2000-10-11 2001-04-02 주식회사오용산업 폭기식 물 순환 장치
KR101026725B1 (ko) 2008-07-04 2011-04-26 이준모 이동용 수질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9509A (zh) * 2019-03-28 2019-05-28 黑龙江兰德超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耦合除藻的破坏藻类光合作用的均匀分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648B1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2161A (en) Device and process for liquid treatment
JP3197250B2 (ja) 湖沼、池等の浄化装置
JP2018516753A (ja) ナノバブルおよびヒドロキシルラジカル発生装置ならびに同装置を使用して化学薬品を用いずに汚水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07237153A (ja) 空気混入攪拌技術
KR20180114710A (ko) 수질개선용 산소공급장치
JP2007160178A (ja) 水域浄化装置、水性汚染生物回収船及び水性汚染生物の処理方法
KR101823648B1 (ko)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JP2000303438A (ja) 水質浄化装置および水質浄化方法
JP4515868B2 (ja) 水処理システム
KR101487522B1 (ko) 자외선을 이용한 표층조류 살조장치
JP3113754B2 (ja) 水中浮遊型汚水浄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汚水の浄化方法
CN110759515B (zh) 一种污染河水处理船及处理方法
JP2010265668A (ja) 汚濁防止方法及び汚濁防止装置
JP5360550B2 (ja) アオコ制御方法
KR101666627B1 (ko) 수질정화장치
JP2012200656A (ja) 汚濁物浄化装置及び汚濁物浄化システム
KR102578413B1 (ko) 호수 정화 시스템
KR102226355B1 (ko) 소류 및 지류로 유입되는 녹조발생 영양염류와 유기물질 제거를 위한 간이 정화장치
KR100890361B1 (ko) 저층수를 이용한 적조 피해 방지 장치
US20130064640A1 (en) Perforated hydrocratic generator
JPH0885000A (ja) 可搬式の曝気装置
KR20020048581A (ko) 수압을 이용한 오존·산소용해방법과 장치
KR102241582B1 (ko)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
KR101155963B1 (ko)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잠수형 수처리장치
KR101447937B1 (ko) 가압 부상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