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890A -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 - Google Patents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890A
KR20180009890A KR1020160091767A KR20160091767A KR20180009890A KR 20180009890 A KR20180009890 A KR 20180009890A KR 1020160091767 A KR1020160091767 A KR 1020160091767A KR 20160091767 A KR20160091767 A KR 20160091767A KR 20180009890 A KR20180009890 A KR 20180009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rivet
hole
flange
riv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영
Original Assignee
임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지영 filed Critical 임지영
Priority to KR1020160091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9890A/ko
Publication of KR20180009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템의 파단부가 리벳몸체의 플랜지부에 일치되게 파단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템몸체의 관통공 상에 단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에 걸리도록 걸림턱부를 형성하되, 걸림턱부에서 파단부의 거리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을 제공함에 있다. 이는 축방향을 따라 관통공(11a)이 형성된 리벳몸체(11)의 일측 단부에 플랜지부(12)가 형성된 리벳(10)과, 상기 리벳몸체(11)의 관통공(11a)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스템몸체(21)가 형성되고, 상기 스템몸체(21)의 일측 단부에 헤드부(22)가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파단되도록 상기 스템몸체(21)에 파단부(23)가 형성되어진 스템(20)으로 이루어진 블라인드 리벳에 있어서, 상기 리벳몸체(11)의 관통공(11a)에 직경이 축소되는 단턱부(11b)를 상기 플랜지부(12) 측에 형성시키고, 상기 스텀몸체(21)에는 상기 단턱부(11b)에 대응되는 걸림턱부(21a)를 형성하되, 상기 걸림턱부(21a)에서 파단부(23) 까지의 거리가 상기 리벳몸체(11)의 단턱부(11b)에서 플랜지부(12)의 단부 까지의 거리이며, 상기 스템(20)이 특수 공구에 의해 당겨지면, 상기 걸림턱부(21a)가 상기 단턱부(11b)에 걸림과 아울러 상기 파단부(23)가 상기 플랜지부(12)에 일치되면서 파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High strength blind rivet}
본 발명은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템의 파단부가 리벳몸체의 플랜지부에 일치되게 파단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템몸체의 관통공 상에 단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에 걸리도록 걸림턱부를 형성하되, 걸림턱부에서 파단부의 거리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벳 이음은 리벳을 사용하여 2개 이상의 판 또는 형강 등을 겹쳐서 고정하는 영구적인 체결요소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성이 좋고, 각 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전달하는 능력도 크기 때문에 교량, 철골구조물, 선박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죄는 힘이 크기 때문에 기밀을 요하는 압력용기나 보일러 등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리벳 이음에 사용되는 리벳 중에는 겹쳐진 두 판재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체결력도 강한 블라인드 리벳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일예로 모재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일예로 모재에 결합된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블라인드 리벳은, 축방향을 따라 관통공(1a-1)이 형성된 리벳몸체(1a)의 일측 단부에 플랜지부(1b)가 형성된 리벳(1)과, 상기 리벳몸체(1a)의 관통공(1a-1)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스템 몸체(2a)가 형성되고, 상기 스템몸체(2a)의 일측 단부에 헤드부(2b)가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파단되도록 상기 스템몸체(2a)에 파단부(2c)가 형성되어진 스템(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블라인드 리벳은, 한쌍의 모재(3)에 형성된 결합공(3a)에 블라인드 리벳을 결합한 상태에서 스템몸체(2a)를 리벳몸체(1a)의 플랜지부(1b) 쪽에서 특수 공구를 이용하여 잡아 당기면 상기 스템(2)의 헤드부(2b)가 접촉되어진 리벳몸체(1a)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리벳몸체(1a)는 소성변형을 일으켜 모재(3)의 결합공(3a)보다 크게 반경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계속해서 좀 더 큰 힘을 상기 스템(2)에 제공하여 잡아 당기면 상기 스템(2)의 파단부(2c)가 파단되면서 분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블라인드 리벳은 스템(2)의 파단부(2c)가 리벳몸체(1a)의 관통공(1a-1)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한쌍의 모재(3)의 양측단부에서 축에 직각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리벳몸체(1a)가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리벳몸체(1a)의 관통공(1a-1)에 스템(2)이 채워지지 않고 일부에 중공부(1a-2)가 형성되어 좌,우측의 전단력이 약해 리벳몸체(1a)가 파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벳몸체(1a)의 관통공(1a-1)에 삽입되어진 스템(2)에 이탈방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스템(2)의 축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거나 진동 등에 의해 스템(2)이 리벳몸체(1a)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템의 파단부가 리벳몸체의 플랜지부에 일치되게 파단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템몸체의 관통공 상에 단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에 걸리도록 걸림턱부를 형성하되, 걸림턱부에서 파단부의 거리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벳몸체에서 스템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리벳몸체와 스템 사이에 이탈방지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축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 리벳몸체의 일측 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리벳과, 상기 리벳몸체의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스템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스템몸체의 일측 단부에 헤드부가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파단되도록 상기 스템몸체에 파단부가 형성되어진 스템으로 이 루어진 블라인드 리벳에 있어서, 상기 리벳몸체의 관통공에 직경이 축소되는 단턱부를 상기 플랜지부 측에 형성시키고, 상기 스텀몸체에는 상기 단턱부에 대응되는 걸림턱부를 형성하되, 상기 걸림턱부에서 파단부 까지의 거리가 상기 리벳몸체의 단턱부에서 플랜지부의 단부 까지의 거리이며, 상기 스템이 특수 공구에 의해 당겨지면, 상기 걸림턱부가 상기 단턱부에 걸림과 아울러 상기 파단부가 상기 플랜지부에 일치되면서 파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벳몸체와 스템몸체가 결합되는 상기 스템몸체의 헤드부 측에는 상기 스템이 상기 리벳몸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스템몸체 상에는 동심축상으로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리벳몸체의 관통공에는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은, 스템몸체의 관통공 상에 단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에 걸리도록 걸림턱부를 형성하되, 걸림턱부에서 파단부의 거리가 동일하게 함으로서, 스템의 파단부가 리벳몸체의 플랜지부에 일치되게 파단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은, 리벳몸체와 스템 사이에 이탈방지부를 형성함으로서, 리벳몸체에서 스템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일예로 모재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일예로 모재에 결합된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이 모재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이 모재에 결합된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이 모재에 결합된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모재의 두께가 다른 경우의 리벳몸체의 팽창부위가 다른 경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19>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은, 축방향을 따라 관통공(11a)이 형성된 리벳몸체(11)의 일측 단부에 플랜지부(12)가 형성된 리벳(10)과, 상기 리벳몸체(11)의 관통공(11a)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스템몸체(21)가 형성되고, 상기 스템몸체(21)의 일측 단부에 헤드부(22)가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파단되도록 상기 스템몸체(21)에 파단부(23)가 형성되어진 스템(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리벳몸체(11)의 관통공(11a)에 직경이 축소되는 단턱부(11b)를 상기 플랜지부(12) 측에 형성시키고, 상기 스텀몸체(21)에는 상기 단턱부(11b)에 대응되는 걸림턱부(21a)를 형성하되, 상기 걸림턱부(21a)에서 파단부(23) 까지의 거리가 상기 리벳몸체(11)의 단턱부(11b)에서 플랜지부(12)의 단부 까지의 거리이다.
즉, 상기 스템(20)이 특수 공구에 의해 당겨지면, 상기 걸림턱부(21a)가 상기 단턱부(11b)에 걸림과 아울러 상기 파단부(23)가 상기 플랜지부(12)에 일치되면서 파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벳몸체(11)가 반경 방향으로 모재(40)에 형성된 결합공(41)보다 더 크게 팽창되는데, 모재의 두께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되는 크기가 다르게 된다.
또한, 상기 리벳몸체(11)와 스템몸체(21)가 결합되는 상기 스템몸체(21)의 헤드부(22) 측에는 상기 스템(20)이 상기 리벳몸체(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30)가 형성되어지는데, 상기 이탈방지부(30)는, 상기 스템몸체(21) 상에는 동심축상으로 복수의 나사산(31)이 형성되고, 상기 리벳몸체(11)의 관통공(11a)에는 상기 나사산(31)에 결합되는 결합홈(32)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즉, 종래에는 이탈방지부(30)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스템(20)이 리벳몸체(11)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이탈방지부(30)가 스템(20)과 리벳몸체(11)에 형성되어 진동 등에 의하여 스템(2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탈방지부(30)는 일실시예를 나타내었을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은, 한쌍의 모재(40)에 형성된 결합공(41)에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100)을 결합한 상태에서 스템몸체(21)를 리벳몸체(11)의 플랜지부(12) 쪽에서 특수 공구를 이용하여 잡아 당기면 상기 스템몸체(21)의 걸림턱부(21a)가 상기 리벳몸체(11)의 관통공(11a) 상에 형성된 단턱부(11b)에 걸리면서 상기 스템(20)의 헤드부(22)가 접촉되어진 리벳몸체(11)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리벳몸체(11)는 소성 변형을 일으켜 모재(40)의 결합공(41)보다 크게 반경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계속해서 좀 더 큰 힘을 상기 스템(20)에 제공하여 잡아 당기면 상기 스템(20)의 파단부(23)가 파단 되는데, 상기 스템몸체(21)의 단턱부(11b)에서 파단부(23) 까지의 거리가 상기 리벳몸체(11)의 단턱부(11b)에서 플랜지부(12)의 단부까지의 거리가 되어 리벳몸체(11)의 플랜지부(12) 단부에서 스템(20)의 파단부(23)가 위치하여 종래와 같이 리벳몸체(11)의 관통공(11a)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지 않아 전단력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 10: 리벳
11: 리벳몸체 11a: 관통공
11b: 단턱부 12: 플랜지부
20: 스템 21: 스템몸체
21a: 걸림턱부 22: 헤드부
23: 파단부 30: 이탈방지부
31: 나사산 32: 결합홈

Claims (3)

  1. 축방향을 따라 관통공(11a)이 형성된 리벳몸체(11)의 일측 단부에 플랜지부(12)가 형성된 리벳(10)과, 상기 리벳몸체(11)의 관통공(11a)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스템몸체(21)가 형성되고, 상기 스템몸체(21)의 일측 단부에 헤드부(22)가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파단되도록 상기 스템몸체(21)에 파단부(23)가 형성되어진 스템(20)으로 이루어진 블라인드 리벳에 있어서, 상기 리벳몸체(11)의 관통공(11a)에 직경이 축소되는 단턱부(11b)를 상기 플랜지부(12) 측에 형성시키고, 상기 스텀몸체(21)에는 상기 단턱부(11b)에 대응되는 걸림턱부(21a)를 형성하되, 상기 걸림턱부(21a)에서 파단부(23) 까지의 거리가 상기 리벳몸체(11)의 단턱부(11b)에서 플랜지부(12)의 단부 까지의 거리이며, 상기 스템(20)이 특수 공구에 의해 당겨지면, 상기 걸림턱부(21a)가 상기 단턱부(11b)에 걸림과 아울러 상기 파단부(23)가 상기 플랜지부(12)에 일치되면서 파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몸체(11)와 스템몸체(21)가 결합되는 상기 스템몸체(21)의 헤드부(22) 측에는 상기 스템(20)이 상기 리벳몸체(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30)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30)는, 상기 스템몸체(21) 상에는 동심축상으로 복수의 나사산(31)이 형성되고, 상기 리벳몸체(11)의 관통공(11a)에는 상기 나사산(31)에 결합되는 결합홈(32)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
KR1020160091767A 2016-07-20 2016-07-20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 KR20180009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767A KR20180009890A (ko) 2016-07-20 2016-07-20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767A KR20180009890A (ko) 2016-07-20 2016-07-20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890A true KR20180009890A (ko) 2018-01-30

Family

ID=6107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767A KR20180009890A (ko) 2016-07-20 2016-07-20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98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58Y1 (ko) * 2019-03-04 2019-12-13 주식회사 신우산업 블라인드 리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58Y1 (ko) * 2019-03-04 2019-12-13 주식회사 신우산업 블라인드 리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0936A (en) Blind rivet assembly
US2531049A (en) Fastening device
US7273338B2 (en) Blind rivet and method of assembly
US5503510A (en) Blind rivet
EP1924775B1 (en) Blind rivet and method
JP4451989B2 (ja) 高強度ブラインドヘッドを有する高締付および高せん断負荷抵抗ブラインドファスナ
US2456203A (en) Coupling for tubular members
US7722303B2 (en) Frangible blind rivet
JPS63199911A (ja) 盲破断ステムリベット
GB2388412A (en) Blind rivet
US6898918B2 (en) Honeycomb rivet
US2546602A (en) Rivet with self-locking mandrel
KR20010101191A (ko) 블라인드 패스너
US9334893B2 (en) Blind rivet and fastening arrangement with a blind rivet
JP2014530327A (ja) ブラインドリベット及び被加工物構成
US6905296B2 (en) Peel-type blind rivet
US2635501A (en) Hollow rivet
JPH0663532B2 (ja) 盲リベット
KR20180009890A (ko)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
US11028865B2 (en) Method of attaching sheets together
US2358578A (en) Plunger type blind rivet
US11364534B2 (en) Method for fix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via a rivet element
KR20090005731A (ko) 고강도 블라인드 리벳
US9903403B2 (en) Fastene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20120117786A1 (en) blind rivet and fastening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