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188A - 표시패널 및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패널 및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188A
KR20180009188A KR1020160090785A KR20160090785A KR20180009188A KR 20180009188 A KR20180009188 A KR 20180009188A KR 1020160090785 A KR1020160090785 A KR 1020160090785A KR 20160090785 A KR20160090785 A KR 20160090785A KR 20180009188 A KR20180009188 A KR 20180009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ub
pixels
line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336B1 (ko
Inventor
김재광
김재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3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09G2330/045Protection against panel over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서브화소에 수평 1 도트 - 수직 1 도트 인버전 방식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면서도, 데이터라인 구동부의 발열문제가 해소될 수 있는 구조의 표시패널, 및 데이터라인들 중 첫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더미 데이터출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라인 구동부를 포함함으로써, 표시패널의 화소배열구조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상호 인접하고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의 수직라인에 대응하는 세로줄 불량의 시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패널 및 액정표시장치{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패널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에 대해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화 등의 성능을 개발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들은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평판의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고유의 발광물질 또는 편광물질을 사이에 둔 상태로 상호 합착된 한 쌍의 기판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은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전계를 각 화소영역의 액정층에 인가하여, 액정층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전계는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서 발생된다. 즉, 화소전극에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고, 공통전극에 공통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전계를 발생시킨다.
한편, 액정표시장치는 직류 잔상을 줄이고 액정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서브화소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1 도트 또는 2 도트마다 극성이 반전되는 데이터전압을 공급한다. 이때, 각 서브화소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은 각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주기마다 반전된다. 이를 인버전(inversion) 방식이라 한다. 여기서, 1 도트(dot)는 1 서브화소를 의미한다.
이러한 인버전 방식으로는 수평 1 도트 - 수직 1 도트 인버전 방식 및 수평 1 도트 - 수직 2 도트 인버전 방식 등이 있다.
수평 1 도트 - 수직 1 도트 인버전 방식은 수평 및 수직으로 인접하는 서브화소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1 도트 단위로 반전시킨다.
수평 1 도트 - 수직 2 도트 인버전 방식은 수평으로 인접하는 서브화소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1 도트 단위로 반전시키고, 수직으로 인접하는 서브화소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2 도트 단위로 반전시킨다.
이러한 수평 1 도트 - 수직 1 도트 인버전 방식, 또는 수평 1 도트 - 수직 2 도트 인버전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위치 별 또는 색상 별로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표시특성의 균일도 저하가 방지될 수 있으므로, 화질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그런데, 데이터라인 구동부는 수평 1 도트 - 수직 1 도트 인버전 방식 또는 수평 1 도트 - 수직 2 도트 인버전 방식에 따라 1 도트 또는 2 도트마다 극성이 반전되는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려면, 수직 1 도트 또는 수직 2 도트마다 극성을 반전시키는 토글을 실시해야 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기간 동안 데이터라인 구동부가 토글(toggle)하는 횟수는, 복수의 서브화소에 대응하는 수직라인들의 총 개수 또는 그의 1/2배가 된다. 그로 인해, 데이터라인 구동부의 발열문제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서브화소에 수평 1 도트 - 수직 1 도트 인버전 방식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면서도, 데이터라인 구동부의 발열문제가 해소될 수 있는 표시패널 및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호 인접하고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의 수직라인으로 인한 세로줄 불량의 시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패널 및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화소배열구조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세로줄 불량의 시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표시패널과 데이터라인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서브화소에 수평 1 도트 - 수직 1 도트 인버전 방식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면서도, 데이터라인 구동부의 발열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화소배열구조로 이루어진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화소배열구조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상호 인접하고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의 수직라인에 대응하는 세로줄 불량의 시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 1 방향의 게이트라인들과,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의 데이터라인들과, 상기 게이트라인들과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영역에 대응한 복수의 서브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각각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라인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라인 구동부는 첫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더미 데이터출력부, 8m+2번째 및 8m+3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 1 데이터출력부, 8m+4번째 및 8m+5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 2 데이터출력부, 8m+6번째 및 8m+7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 3 데이터출력부, 및 8m+8번째 및 8(m+1)+1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 4 데이터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더미 데이터출력부는 상기 첫번째 데이터라인에 인접한 두번째 데이터라인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과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을 상기 첫번째 데이터라인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라인 구동부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기간 동안, 상기 첫번째 데이터라인, 상기 8m+2번째 데이터라인, 상기 8m+4번째 데이터라인, 상기 8m+7번째 데이터라인 및 상기 8(m+1)+1번째 데이터라인에 제 1 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8m+3번째 데이터라인, 상기 8m+5번째 데이터라인, 상기 8m+6번째 데이터라인 및 상기 8m+8번째 데이터라인에 상기 제 1 극성과 상이한 제 2 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는 기간이 종료한 이후, 다음 프레임을 표시하는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하는 각각의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상기 복수의 서브화소는 서로 다른 네 개의 색상에 대응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로 구성되고, 상호 인접하고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에는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 중 휘도비율이 낮은 적어도 두 개의 서브화소가 교번하여 반복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서브화소 중 2n+1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서브화소들은 상기 2n+1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서브화소들의 일측의 데이터라인에 연결되고,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의 순서로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반복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화소 중 2n+2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서브화소들은 2n+2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서브화소들의 타측의 데이터라인에 연결되고, 제 3, 제 4, 제 1 및 제 2 서브화소의 순서로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반복 배열된다.
여기서, 상호 인접하고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에는 휘도비율이 낮은 제 1 및 제 3 서브화소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교번하여 반복 배열된다. 그리고, 휘도비율이 높은 상기 제 2 및 제 4 서브화소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교번하여 반복 배열되는 수직라인의 양측에 배치되는 데이터라인에는 서로 상반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에 따른 표시패널은 제 1 방향의 게이트라인들,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의 데이터라인들, 및 상기 게이트라인과 상기 데이터라인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영역에 대응한 복수의 서브화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서브화소는 서로 다른 네 개의 색상에 대응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로 구성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라인들 중 8m+1번째, 8m+3번째, 8m+6번째 및 8m+8번째의 데이터라인들에는 제 1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고, 8m+2번째, 8m+4번째, 8m+5번째 및 8m+7번째의 데이터라인들에는 상기 제 1 극성과 반대되는 제 2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는 기간이 종료한 이후, 다음 프레임을 표시하는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되는 각각의 데이터전압의 극성이 반전되고, 상호 인접하고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에는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 중 상기 휘도비율이 낮은 적어도 두 개의 서브화소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교번하여 반복 배열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호 인접하면서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에 배치되어 세로줄 불량이 될 수 있는 수직라인이 휘도비율이 비교적 낮은 서브화소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세로줄 불량의 시인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서브화소 중 2n+1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되는 서브화소들은 각각의 일측에 배치된 데이터라인에 연결되고, 2n+2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되는 서브화소들은 각각의 타측에 배치된 데이터라인에 연결된다. 그리고, 데이터라인 구동부는 상호 인접한 데이터라인들에 서로 다른 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고, 각 프레임이 표시되기 위한 주기마다 각 데이터라인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데이터라인 구동부가 컬럼 인버전 방식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더라도, 복수의 서브화소에는 수평 1 도트 - 수직 1 도트 인버전 방식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서브화소에 수평 1 도트 - 수직 1 도트 인버전 방식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면서도, 데이터라인 구동부의 발열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인접하면서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의 수직라인에 휘도비율이 낮은 적어도 두 개의 서브화소가 교번하여 반복 배열된다. 그리고, 휘도비율이 높은 서브화소들이 교번하여 반복 배열되는 수직라인의 양측에 배치된 데이터라인들에 서로 다른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이러한 표시패널의 화소배열구조에 의해, 상호 인접하면서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의 수직라인에 의한 세로줄 불량의 시인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라인 구동부는 첫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더미 데이터출력부, 8m+2번째 및 8m+3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 1 데이터출력부, 8m+4번째 및 8m+5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 2 데이터출력부, 8m+6번째 및 8m+7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 3 데이터출력부, 및 8m+8번째 및 8(m+1)+1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 4 데이터출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더미 데이터출력부는 첫번째 데이터라인에 인접한 두번째 데이터라인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과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을 첫번째 데이터라인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하면, 휘도비율이 낮은 적어도 두 개의 서브화소가 교번하여 반복 배열되는 수직라인의 양측에 배치된 데이터라인들에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그 대신, 휘도비율이 높은 두 개의 서브화소가 교번하여 반복 배열되는 수직라인의 양측에 배치된 데이터라인들에 서로 다른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의 화소배열구조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세로줄 불량의 시인성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화소배열구조가 변경된 표시패널을 마련하기 위한 고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표시패널의 단면에 대한 일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서브화소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서브화소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표시패널의 단면에 대한 일 예시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 및 데이터라인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서브화소배열 및 데이터라인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와 그에 구비되는 표시패널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표시패널의 단면에 대한 일 예시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서브화소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데이터라인 구동부(120), 게이트라인 구동부(130) 및 타이밍 컨트롤러(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라인 구동부(120)는 데이터 구동칩이 실장된 회로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라인 구동부(130)는 별도의 회로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장치의 간소화를 위해 표시패널(110)에 내장된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액정표시장치(100)의 표시패널(110)은 자발광소자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액정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표시패널(110)에 면광원을 조사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제 1 방향(도 1의 수평방향)의 게이트라인들(GL[1], GL[2], …, GL[2n+1], GL[2n+2], …)(n은 0 이상의 정수)(이하 "GL"로 통칭함), 및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도 1의 수직방향)의 데이터라인들(DL[1], DL[2], DL[3], …, DL[8m+1], DL[8m+2], DL[8m+3], DL[8m+4], DL[8m+5], DL[8m+6], DL[8m+7], DL[8m+8], DL[8(m+1)+1], …)(m은 0 이상의 정수)(이하 "DL"로 통칭함)을 포함한다.
그리고, 표시패널(110)은 상호 교차하는 게이트라인들(GL)과 데이터라인들(DL)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화소(P)를 더 포함한다.
각 서브화소(P)는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 사이에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TFT), 박막트랜지스터(TFT)와 공통전원(Vcom) 사이에 연결되는 액정 셀 커패시터(Clc) 및 액정 셀 커패시터(Clc)와 병렬로 연결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GL)에 연결되고,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 중 어느 하나는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되며, 나머지 다른 하나는 액정 셀 커패시터(Clc)를 구성하는 화소전극(PE)에 연결된다.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라인(GL)의 게이트신호에 기초하여 턴온하면, 데이터라인(DL)의 데이터전압을 화소전극(PE)에 공급한다.
액정 셀 커패시터(Clc)는 각 서브화소(P)의 화소영역에 대응하고 화소전극(PE)과 공통전극(CE) 사이의 전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액정들의 커패시터 성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박막트랜지스터(TFT)를 통해 화소전극(PE)에 데이터전압이 공급되고, 공통전극(CE)에 공통전원(Vcom)의 공통전압이 인가되면, 화소전극(PE)과 공통전극(CE) 사이에 전계가 발생되고, 그 전계에 의해 각 서브화소(P)의 화소영역에 대응한 액정들의 틸트 방향이 변경된다. 이로써, 각 서브화소(P)의 광투과율이 조절되므로, 각 서브화소(P)의 휘도가 제어된다.
데이터라인 구동부(120)는 데이터라인들(DL)에 각각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라인 구동부(120)는 상호 인접한 데이터라인들(DL)에 서로 다른 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고, 각 프레임이 표시되기 위한 주기마다 각 데이터라인(DL)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그리고, 서로 다른 색상에 대응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P1, P2, P3, P4)가 제 1 방향(수평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반복 배열된다. 이에, 데이터라인 구동부(120)는 동일한 색상에 대응하는 서브화소들에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네 개의 데이터라인 단위로 극성이 반전되는 데이터전압을 공급한다.
예시적으로, 데이터라인 구동부(120)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주기 동안, 8m+1번째, 8m+2번째, 8m+3번째 및 8m+4번째 데이터라인들(DL[8m+1], DL[8m+2], DL[8m+3], DL[8m+4])에 정극성, 부극성, 정극성 및 부극성(+, -, +, -)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고, 8m+5번째, 8m+6번째, 8m+7번째 및 8m+8번째 데이터라인들(DL[8m+5], DL[8m+6], DL[8m+7], DL[8m+8])에 부극성, 정극성, 부극성 및 정극성(-, +, -, +)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주기 동안, 데이터라인 구동부(120)는 각 데이터라인(DL)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킴으로써, 8m+1번째 내지 8m+8번째 데이터라인들(DL[8m+1], DL[8m+2], DL[8m+3], DL[8m+4], DL[8m+5], DL[8m+6], DL[8m+7], DL[8m+8])에 이전 프레임을 표시하는 주기에서와 반대되는 극성인 부극성, 정극성, 부극성, 정극성, 정극성, 부극성, 정극성 및 부극성(-, +, -, +, +, -, +, -)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한다.
게이트라인 구동부(130)는 하나의 프레임이 표시되는 1 수직기간 동안 게이트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게이트전압을 공급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수평 동기신호(Hsync), 수직 동기신호(V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및 도트 클럭(DCLK) 등의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데이터라인 구동부(120) 및 게이트라인 구동부(13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RGB)의 샘플링 시작점을 지시하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라이징 에지(Rising Edge) 또는 풀링 에지(Falling Edge)에 기초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RGB)의 래치 동작을 지시하는 소스 샘플링 클럭(SSC), 데이터라인 구동부(120)의 출력을 지시하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 및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지시하는 극성제어신호(POE)를 통해, 데이터라인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RGB)를 표시패널(110)의 해상도에 맞게 재정렬하여, 데이터라인 구동부(120)에 공급한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1 수직기간 중 스캔이 시작되는 시작 수평라인을 지시하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쉬프트 레지스터에 입력되어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키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로서 박막트랜지스터(TFT)의 턴온기간에 대응하는 펄스폭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쉬프트 클럭신호(GSC), 및 게이트라인 구동부(130)의 출력을 지시하는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를 통해, 게이트라인 구동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은 상호 대향 합착되는 제 1 및 제 2 기판(111, 112)과, 제 1 및 제 2 기판(111, 112)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113)을 포함한다.
그리고, 표시패널(110)은 제 1 기판(111) 상에 배치되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TFT array), 제 1 및 제 2 기판(111, 112)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컬러필터(116)를 더 포함한다. 도 2에서, 컬러필터(116)는 제 2 기판(112)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제 1 기판(111) 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TFT array)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TFT array)는 복수의 서브화소(P)에 대응한 복수의 화소영역(PA1, PA2, PA3, PA4)을 정의하고, 복수의 서브화소(P) 각각을 독립적으로 구동한다.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TFT array)는 복수의 화소영역(PA1, PA2, PA3, PA4)을 정의하도록 상호 교차하는 게이트라인(도 1의 GL)과 데이터라인(도 1의 DL), 및 복수의 화소영역(PA1, PA2, PA3, PA4)에 대응하는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한다.
즉, 도 1의 게이트라인(GL), 데이터라인(DL) 및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TFT)는 제 1 기판(111) 상에 배치된다.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은 그 사이에 개재되는 게이트절연막(미도시)에 의해 상호 절연된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TFT array)는 제 1 기판(111)의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TFT)를 덮는 층간절연막(114), 층간절연막(114) 상에 배치되고 각 화소영역(PA1, PA2, PA3, PA4)에 대응하는 화소전극(1)과 공통전극(2), 및 층간절연막(114) 상에 배치되고 화소전극(PE)과 공통전극(CE)을 덮는 평탄화막(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전극(PE)은 층간절연막(114)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박막트랜지스터(TFT)에 연결된다.
공통전극(CE)은 층간절연막(114) 상에 화소전극(PE)과 교번하게 배치되고, 화소전극(PE)으로부터 이격된다.
다만, 화소전극(PE)과 공통전극(CE)의 배치 형태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각 화소영역(PA1, PA2, PA3, PA4)의 광투과율을 조절하기 위해 액정층(113)의 액정들을 틸트시키는 전계를 형성할 수 있는 배치라면 어느 것으로든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표시패널(110)은 제 2 기판(112) 상에 배치되는 블랙매트릭스(BM), 컬러필터(CF) 및 오버코트막(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BM)는 각 화소영역(PA1, PA2, PA3, PA4)의 외곽에 배치되고, 각 화소영역(PA1, PA2, PA3, PA4)의 외곽에서의 빛샘을 차단한다.
컬러필터(CF)는 각 화소영역(PA1, PA2, PA3, PA4)에 배치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필터(CF)는 제 1 화소영역(P1)에 대응한 제 1 화소영역(PA1)에 배치되는 적색필터(116R), 제 2 서브화소(P2)에 대응한 제 2 화소영역(PA2)에 배치되는 녹색필터(116G) 및 제 3 서브화소(P3)에 대응한 제 3 화소영역(PA3)에 배치되는 청색필터(116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백색을 방출하는 제 4 서브화소(P4)에 대응한 제 4 화소영역(PA4)에는 별도의 안료 없이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컬러필터(CF)를 덮는 오버코트막(117)으로 채워진 영역일 수 있다.
오버코트막(117)은 제 2 기판(112) 상에 배치되고, 블랙매트릭스(BM) 및 컬러필터(CF)를 덮는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110)이 컬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서브화소(P)는 서로 다른 색상에 대응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P1, P2, P3, P4)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P1, P2, P3, P4)는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라인(GL)에 대응한 제 1 방향(수평방향)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P1, P2, P3, P4)는 상호 나란하게 반복 배열된다.
그리고, 수직방향 또는 대각선방향으로 동일한 색상이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P1, P2, P3, P4)는 1 수평라인 단위로 2 도트씩 쉬프트된다.
예시적으로, 기수번째 게이트라인(GL[1], … GL[2n+1], …)에 연결되는 서브화소들(P)은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P1, P2, P3, P4)의 순서로 제 1 방향(수평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반복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우수번째 게이트라인(GL[2], … GL[2n+2], …)에 연결되는 서브화소들(P)은 제 3, 제 4, 제 1 및 제 2 서브화소(P3, P4, P1, P2)의 순서로 제 1 방향(수평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반복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3 서브화소(P1, P3)가 제 2 방향(수직방향)으로 교번하여 반복 배열되는 수직라인과, 제 2 및 제 4 서브화소(P2, P4)가 제 2 방향(수직방향)으로 교번하여 반복 배열되는 수직라인이 상호 인접하게 반복 배열된다.
각 수평라인에 나란하게 배열된 서브화소들(P)은 각 수평라인에 대응하는 게이트라인(GL)에 연결된다.
그리고, 각 수직라인에 나란하게 배열된 서브화소들(P)은 이들의 양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데이터라인(DL)에 1 도트 단위로 번갈아 연결된다. 이에, 지그재그로 배열된 서브화소(P)들이 그들 사이의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기수번째 게이트라인(GL[1], … GL[2n+1], …)에 연결된 서브화소들(P)은 각각의 일측(도 3의 좌측)에 배치된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우수번째 게이트라인(GL[2], … GL[2n], …)에 연결된 서브화소들(P)은 각각의 다른 일측(도 3의 우측)에 배치된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첫번째 및 두번째 데이터라인(DL[1], DL[2]) 사이의 수직라인에서, 기수번째 게이트라인(GL[1], … GL[2n+1], …)에 연결된 서브화소들(P)은 이들의 좌측에 배치되는 첫번째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되고, 우수번째 게이트라인(GL[2], … GL[2n], …)에 연결된 서브화소들(P)은 이들의 우측에 배치되는 두번째 데이터라인(DL[2])에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데이터라인 구동부(120)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데이터라인(DL)에 서로 다른 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한다. 이에, 복수의 서브화소(P)에 수평 1 도트 인버전 방식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제 2 방향으로 나란한 제 1 및 제 3 서브화소(P1, P3) 또는 제 2 및 제 4 서브화소(P2, P4)는 1 도트 단위로 서로 다른 일측의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 2 방향으로 인접한 서브화소들에 서로 상이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즉, 복수의 서브화소(P)에 수직 1 도트 인버전 방식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복수의 서브화소(P)와 데이터라인들(DL) 간의 연결을 변경함으로써, 데이터라인 구동부(120)가 하나의 데이터라인(DL) 단위로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컬럼 인버전 방식으로 구동하더라도, 복수의 서브화소(P)에는 수평 1 도트 - 수직 1 도트 인버전 방식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10)은 복수의 서브화소(P)에 수평 1 도트 - 수직 1 도트 인버전 방식의 데이터전압이 공급하면서도, 데이터라인 구동부(120)의 발열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화소(P)는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에 대응되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P1, P2, P3, P4)로 구성된다.
이때, 각 수평라인에서, 동일 색상을 방출하는 서브화소들(P)에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P1, P2, P3, P4)에 대응되는 4개의 데이터라인(DL)마다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이에 따라, 데이터전압의 극성이 반전되는 위치에서, 상호 인접하면서도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상호 인접하면서도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라인의 서브화소들에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즉,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호 인접하는 8m+4번째 데이터라인(DL[8m+4])과 8m+5번째 데이터라인(DL[8m+5])에 동일한 극성(도 3에서, 부극성(-)임)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그러므로, 8m+4번째 데이터라인(DL[8m+4])과 8m+5번째 데이터라인(DL[8m+5]) 사이의 수직라인(A)에 배열된 서브화소들에는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호 인접하는 8m+8번째 데이터라인(DL[8m+8])과 8(m+1)+1번째 데이터라인(DL[8(m+1)+1])에 동일한 극성(도 3에서, 정극성(+)임)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그러므로, 8m+8번째 데이터라인(DL[8m+8])과 8(m+1)+1번째 데이터라인(DL[8(m+1)+1]) 사이의 수직라인(B)에 배열된 서브화소들에는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그런데, 동일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서브화소들로 이루어진 수직라인(A, B)은, 1 도트 단위로 극성이 반전되는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주위의 다른 수직라인들과 상이한 표시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시야 또는 영상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동일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서브화소들로만 이루어진 수직라인(A, B)은 주위와 상이한 표시특성으로 인해 세로선으로 시인될 수 있다. 이러한 세로선 불량은 도리도리 불량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특히, 프레임 주파수가 60Hz를 초과하는 경우, 차징타임(charging time)이 감소됨에 따라, 각 서브화소(P)가 데이터전압으로 완전히 차징되기 어렵다. 그로 인해, 동일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수직라인(A, B)과 주위의 다른 수직라인들 간의 표시특성 차이가 더욱 커진다. 이에, 세로선 불량이 심화됨으로써, 화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동일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서브화소들로 이루어진 수직라인(A, B)에 의한 세로선 불량의 시인성을 낮출 수 있는 표시패널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서브화소배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표시패널의 단면에 대한 일 예시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10')은 상호 인접하면서도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의 수직라인(C, D)에 휘도비율이 낮은 제 1 및 제 3 서브화소(P1, P3)가 제 2 방향으로 교번하여 반복 배치되는 점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의 화소배열구조로 인해, 상호 인접하면서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8m+4번째 데이터라인(DL[8m+4])과 8m+5번째 데이터라인(DL[8m+5]) 사이의 수직라인(A)(이하, "8m+4번째 수직라인"이라 함)에 휘도비율이 높은 녹색(G) 및 백색(W)에 대응하는 제 2 및 제 4 서브화소(P2, P4)가 배치된다. 또한, 상호 인접하면서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8m+8번째 데이터라인(DL[8m+8])과 8(m+1)+1번째 데이터라인(DL[8(m+1)+1]) 사이의 수직라인(B)(이하, "8m+8번째 수직라인"이라 함)에도, 제 2 및 제 4 서브화소(P2, P4)가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휘도비율은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을 혼색하여 백색을 구현하기 위한 비율을 의미한다. 예시적으로, 휘도비율은 국제조명위원회(CIE;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가 1978년도에 제정한 CIE u'v' 좌표계에 기초하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의 휘도비율은 2:7:1:1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녹색(G) 및 백색(W)에 대응되는 제 2 및 제 4 서브화소(P2, P4)는 적색(R) 및 청색(B)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3 서브화소(P1, P3)보다 휘도비율이 높다.
그러므로,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호 인접하면서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에 배치된 8m+4번째 및 8m+8번째 수직라인(A, B)에 휘도비율이 높은 제 2 및 제 4 서브화소(P2, P4)가 반복 배열되면, 수직라인(A, B)이 주위의 다른 수직라인들보다 밝게 표시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동일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서브화소들이 제 2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주위의 다른 수직라인들과 다른 표시특성을 갖는 수직라인(A, B)이 더욱 선명하게 시인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인접하면서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에 배치된 8m+4번째 및 8m+8번째 수직라인(C, D)에 휘도비율이 높은 서브화소들이 배열되지 않도록, 표시패널(110')의 화소배열구조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기수번째 게이트라인(GL[1], … GL[2n+1], …)에 연결되는 서브화소들(P)은 좌측단에서부터 제 2, 제 3, 제 4 및 제 1 서브화소(P2', P3', P4', P1')의 순서로 제 1 방향(수평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반복 배열된다.
그리고, 우수번째 게이트라인(GL[2], … GL[2n+2], …)에 연결되는 서브화소들(P)은 좌측단에서부터 제 4, 제 1, 제 2 및 제 3, 서브화소(P4', P1', P2', P3')의 순서로 제 1 방향(수평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반복 배열된다.
달리 설명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10)의 화소배열구조에 비해, 각 수평라인에서 우측으로 1 도트씩 쉬프트한 화소배열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10')은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필터 배열의 컬러필터(CF)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10')의 컬러필터(CF)는 기수번째 수평라인의 좌측단에서부터 반복 배열된 녹색필터(116G), 청색필터(116B), 백색필터(116W) 및 적색필터(116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4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10')의 컬러필터(CF)는 우수번째 수평라인의 좌측단에서부터 반복 배열된 백색필터(116W), 적색필터(116R), 녹색필터(116G) 및 청색필터(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인접하고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에 배치되는 8m+4번째 및 8m+8번째 수직라인(C, D)에, 휘도비율이 낮은 적색(R) 및 청색(B)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3 서브화소(P1', P3')가 배치된다. 그리고, 휘도비율이 높은 제 2 및 제 4 서브화소(P2', P4')가 반복 배열되는 수직라인의 양측에 배치된 데이터라인들(DL)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그러므로, 8m+4번째 및 8m+8번째 수직라인(C, D)이 다른 주위의 수직라인과 다르게 표시되는 것에 대한 시인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세로줄 불량의 시인성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런데,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와 다르게 서브화소배열을 변경시킨 표시패널(110')을 별도로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조 설비를 변경시켜야 하므로, 고비용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10)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세로선 불량의 시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 및 데이터라인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서브화소배열 및 데이터라인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 및 데이터라인 구동부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라인 구동부(120)는 두 개의 데이터라인마다 연결되는 복수의 데이터출력부(121, 122, 123, 124)를 포함한다.
즉, 데이터라인 구동부(120)는 첫번째 및 두번째 데이터라인(DL[1], DL[2])과 8m+1번째 및 8m+2번째 데이터라인(DL[8m+1], DL[8m+2])에 연결되는 제 1 데이터출력부(121), 8m+3번째 및 8m+4번째 데이터라인(DL[8m+3], DL[8m+4])에 연결되는 제 2 데이터출력부(122), 8m+5번째 및 8m+6번째 데이터라인(DL[8m+5], DL[8m+6])에 연결되는 제 3 데이터출력부(123), 및 8m+7번째 및 8m+8번째 데이터라인(DL[8m+7], DL[8m+8])에 연결되는 제 4 데이터출력부(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데이터출력부(121, 122, 123, 124) 각각은 정극성(+)의 데이터전압을 생성하는 정극성 데이터생성부(121H, 122H, 123H, 124H) 및 부극성(-)의 데이터전압을 생성하는 부극성 데이터생성부(121L, 122L, 123L, 124L)를 포함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기간 동안, 제 1 및 제 2 데이터출력부(121, 122)는 기수번째 데이터라인(DL[8m+1], DL[8m+3])에 정극성 데이터생성부(121H, 122H)에 의한 정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고, 우수번째 데이터라인(DL[8m+2], DL[8m+4])에 부극성 데이터생성부(121L, 122L)에 의한 부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한다. 더불어, 제 3 및 제 4 데이터출력부(123, 124)는 기수번째 데이터라인(DL[8m+5], DL[8m+7])에 부극성 데이터생성부(123L, 124L)에 의한 부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고, 우수번째 데이터라인(DL[8m+6], DL[8m+8])에 정극성 데이터생성부(123H, 124H)에 의한 정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한다.
그리고, 데이터라인 구동부(120)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는 기간이 종료한 이후, 다음 프레임을 표시하는 기간 동안 데이터라인들(DL)에 공급하는 각각의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이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 프레임에서, 제 1 및 제 2 데이터출력부(121, 122)는 기수번째 데이터라인(DL[8m+1], DL[8m+3])에 부극성 데이터생성부(121L, 122L)에 의한 부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고, 우수번째 데이터라인(DL[8m+2], DL[8m+4])에 정극성 데이터생성부(121H, 122H)에 의한 정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한다. 더불어, 제 3 및 제 4 데이터출력부(123, 124)는 기수번째 데이터라인(DL[8m+5], DL[8m+7])에 정극성 데이터생성부(123H, 124H)에 의한 정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고, 우수번째 데이터라인(DL[8m+6], DL[8m+8])에 부극성 데이터생성부(123L, 124L)에 의한 부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10)의 화소배열구조로 인해, 상호 인접하면서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에 배치된 8m+4번째 및 8m+8번째 수직라인(A, B)에 휘도비율이 높은 제 2 및 제 4 서브화소(P2, P4)가 반복 배열된다. 그로 인해, 동일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서브화소들이 제 2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주위의 다른 수직라인들과 다른 표시특성을 갖는 수직라인(A, B)이 더욱 선명하게 시인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휘도비율이 높은 제 2 및 제 4 서브화소(P2, P4)가 제 2 방향으로 교번하여 반복 배열되는 8m+4번째 수직라인(도 6 및 도 7의 A)의 양측에 배치된 데이터라인들(DL[8m+4], DL[8m+5])에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지 않고, 제 2 및 제 4 서브화소(P2, P4)가 제 2 방향으로 교번하여 반복 배열되는 8m+8번째 수직라인(도 6 및 도 7의 B)의 양측에 배치된 데이터라인들(DL[8m+8], DL[8(m+1)+1])에도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지 않도록, 데이터라인들(DL)과 데이터라인 구동부(220) 간의 연결을 변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라인 구동부(220)를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라인 구동부(220)는 첫번째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되는 더미 데이터출력부(DM) 및 그 외 나머지 데이터라인들에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데이터출력부(221, 222, 223, 224)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8의 도시와 같이, 첫번째 데이터라인(DL[1])은 데이터라인들(DL) 중 가장 좌측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데이터라인 구동부(220)는 첫번째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되는 더미 데이터출력부(DM), 8m+2번째 및 8m+3번째 데이터라인(DL[8m+2], DL[8m+3])에 연결되는 제 1 데이터출력부(221), 8m+4번째 및 8m+5번째 데이터라인(DL[8m+4], DL[8m+5])에 연결되는 제 2 데이터출력부(222), 8m+6번째 및 8m+7번째 데이터라인(DL[8m+6], DL[8m+7])에 연결되는 제 3 데이터출력부(223) 및 8m+8번째 및 8(m+1)+1번째 데이터라인(DL[8m+8], DL[8(m+1)+1])에 연결되는 제 4 데이터출력부(224)를 포함한다.
여기서, 더미,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데이터출력부(DM, 221, 222, 223, 224) 각각은 정극성(+)의 데이터전압을 생성하는 정극성 데이터생성부(DMH, 221H, 222H, 223H, 224H) 및 부극성(-)의 데이터전압을 생성하는 부극성 데이터생성부(DML, 221L, 222L, 223L, 224L)를 포함한다.
더미 데이터출력부(DM)는 첫번째 데이터라인(DL[1])과 제 1 방향으로 인접한 두번째 데이터라인(DL[2])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과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을 첫번째 데이터라인(DL[1])에 공급한다.
일 예로,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기간 동안, 제 1 및 제 2 데이터출력부(221, 222)는 우수번째 데이터라인(DL[8m+2], DL[8m+4])에 정극성 데이터생성부(221H, 222H)에 의한 정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고, 기수번째 데이터라인(DL[8m+3], DL[8m+5])에 부극성 데이터생성부(221L, 222L)에 의한 부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한다. 더불어, 더미 데이터출력부(DM), 제 3 및 제 4 데이터출력부(223, 224)는 우수번째 데이터라인(DL[8m+6], DL[8m+8])에 부극성 데이터생성부(223L, 224L)에 의한 부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고, 기수번째 데이터라인(DL[1], DL[8m+7], DL[8(m+1)+1])에 정극성 데이터생성부(223H, 224H)에 의한 정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한다.
그리고, 데이터라인 구동부(220)는 다음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기간 동안, 각 데이터라인(DL)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이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기간 동안, 제 1 및 제 2 데이터출력부(221, 222)는 우수번째 데이터라인(DL[8m+2], DL[8m+4])에 부극성 데이터생성부(221L, 222L)에 의한 부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고, 기수번째 데이터라인(DL[8m+3], DL[8m+5])에 정극성 데이터생성부(221H, 222H)에 의한 정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한다. 더불어, 더미 데이터출력부(DM), 제 3 및 제 4 데이터출력부(223, 224)는 우수번째 데이터라인(DL[8m+6], DL[8m+8])에 정극성 데이터생성부(223H, 224H)에 의한 정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고, 기수번째 데이터라인(DL[1], DL[8m+7], DL[8(m+1)+1])에 부극성 데이터생성부(223L, 224L)에 의한 부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한다.
이상과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라인 구동부(220)는 첫번째 데이터라인(DL[1])과 연결되는 더미 데이터출력부(DM)를 더 포함한다. 더미 데이터출력부(DM)는 두번째 데이터라인(DL[2])과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을 첫번째 데이터라인(DL[1])에 공급한다.
즉, 데이터라인들(DL)과 데이터라인 구동부(220)를 연결 시, 첫번째 데이터라인(DL[1])은 더미 데이터출력부(DM)에 연결된다. 그리고, 첫번째 데이터라인(DL[1])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라인들(DL[2], DL[3], … DL[8m+2], DL[8m+3], DL[8m+4], DL[8m+5], DL[8m+6], DL[8m+7], DL[8m+8], DL[8(m+1)+1])은 8개의 라인 단위로 제 1 내지 제 4 데이터출력부(221, 222, 223, 224)에 연결된다.
달리 설명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라인 구동부(22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라인 구동부(120)에 비해, 첫번째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되는 더미 데이터출력부(DM)를 더 포함함으로써, 첫번째 데이터라인(DL[1])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라인들에 한 개의 라인씩 쉬프트하여 연결된다.
이로써,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휘도비율이 높은 녹색(G) 및 백색(W)에 대응되는 제 2 및 제 4 서브화소(P2, P4)가 교번하여 반복 배열되는 수직라인(A, B) 각각의 양측에 배치된 데이터라인에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휘도비율이 높은 제 2 및 제 4 서브화소(P2, P4)가 반복 배열되는 수직라인의 양측에 배치된 데이터라인들(DL)에는 서로 다른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서로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의 수직라인(E, F, G)에 휘도비율이 높은 녹색(G) 및 백색(W)이 아니라, 휘도비율이 낮은 적색(R) 및 청색(B)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3 서브화소(P1, P3)가 교번하여 반복 배열된다.
그러므로, 표시패널(110)의 화소배열구조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휘도비율이 높은 제 2 및 제 4 서브화소(P2, P4)로 이루어진 수직라인(A, B)가 세로줄 불량이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세로줄 불량의 시인성이 감소될 수 있으면서도, 화소배열구조가 변경된 표시패널을 마련하기 위한 고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액정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20: 데이터라인 구동부 130: 게이트라인 구동부
140: 타이밍 컨트롤러 P: 서브화소
GL: 게이트라인 DL: 데이터라인
PA1, PA2, PA3, PA4: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화소영역
CF: 컬러필터
P1, P2, P3, P4: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
R, G, B, W: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 정극성의 데이터전압
(-): 부극성의 데이터전압
A, B, C, D, E, F: 수직라인
121, 122, 123, 124: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데이터출력부
220: 데이터라인 구동부 DM: 더미 데이터출력부
221, 222, 223, 224: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데이터출력부

Claims (11)

  1. 제 1 방향의 게이트라인들과,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의 데이터라인들과, 상기 게이트라인들과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영역에 대응한 복수의 서브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각각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라인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라인 구동부는
    첫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더미 데이터출력부;
    8m+2번째 및 8m+3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 1 데이터출력부;
    8m+4번째 및 8m+5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 2 데이터출력부;
    8m+6번째 및 8m+7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 3 데이터출력부; 및
    8m+8번째 및 8(m+1)+1번째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제 4 데이터출력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데이터출력부는 상기 첫번째 데이터라인에 인접한 두번째 데이터라인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과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을 상기 첫번째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라인 구동부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기간 동안,
    상기 첫번째 데이터라인, 상기 8m+2번째 데이터라인, 상기 8m+4번째 데이터라인, 상기 8m+7번째 데이터라인 및 상기 8(m+1)+1번째 데이터라인에 제 1 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8m+3번째 데이터라인, 상기 8m+5번째 데이터라인, 상기 8m+6번째 데이터라인 및 상기 8m+8번째 데이터라인에 상기 제 1 극성과 상이한 제 2 극성의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는 기간이 종료한 이후, 다음 프레임을 표시하는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하는 각각의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화소는 서로 다른 네 개의 색상에 대응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로 구성되고,
    상호 인접하고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에는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 중 휘도비율이 낮은 적어도 두 개의 서브화소가 교번하여 반복 배치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화소 중 2n+1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서브화소들은 상기 2n+1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서브화소들의 일측의 데이터라인에 연결되고,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의 순서로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반복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화소 중 2n+2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서브화소들은 2n+2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서브화소들의 타측의 데이터라인에 연결되고, 제 3, 제 4, 제 1 및 제 2 서브화소의 순서로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반복 배열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화소는 서로 다른 네 개의 색상에 대응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로 구성되고,
    상호 인접하고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에는 휘도비율이 낮은 제 1 및 제 3 서브화소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교번하여 반복 배열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화소는 서로 다른 네 개의 색상에 대응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로 구성되고,
    휘도비율이 높은 상기 제 2 및 제 4 서브화소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교번하여 반복 배열되는 수직라인의 양측에 배치되는 데이터라인에는 서로 상반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1 방향의 게이트라인들;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의 데이터라인들; 및
    상기 게이트라인과 상기 데이터라인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영역에 대응한 복수의 서브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화소는 서로 다른 네 개의 색상에 대응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로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라인들 중 8m+1번째, 8m+3번째, 8m+6번째 및 8m+8번째의 데이터라인들에는 제 1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고, 8m+2번째, 8m+4번째, 8m+5번째 및 8m+7번째의 데이터라인들에는 상기 제 1 극성과 반대되는 제 2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는 기간이 종료한 이후, 다음 프레임을 표시하는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되는 각각의 데이터전압의 극성이 반전되고,
    상호 인접하고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에는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 중 상기 휘도비율이 낮은 적어도 두 개의 서브화소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교번하여 반복 배열되는 표시패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화소 중 2n+1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서브화소들은 상기 2n+1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서브화소들의 일측의 데이터라인에 연결되고,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서브화소의 순서로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반복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화소 중 2n+2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서브화소들은 2n+2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서브화소들의 타측의 데이터라인에 연결되고, 제 3, 제 4, 제 1 및 제 2 서브화소의 순서로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반복 배열되는 표시패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하고 상호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사이에는 상기 제 1 및 제 3 서브화소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교번하여 반복 배열되는 표시모듈.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비율이 높은 상기 제 2 및 제 4 서브화소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교번하여 반복 배열되는 수직라인의 양측에 배치되는 데이터라인에는 서로 상반된 극성의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표시패널.
KR1020160090785A 2016-07-18 2016-07-18 표시패널 및 액정표시장치 KR102564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85A KR102564336B1 (ko) 2016-07-18 2016-07-18 표시패널 및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85A KR102564336B1 (ko) 2016-07-18 2016-07-18 표시패널 및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88A true KR20180009188A (ko) 2018-01-26
KR102564336B1 KR102564336B1 (ko) 2023-08-04

Family

ID=61025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785A KR102564336B1 (ko) 2016-07-18 2016-07-18 표시패널 및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9666A (zh) * 2019-04-11 2019-07-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缺陷判定方法、处理器及判定系统
WO2022082735A1 (zh) * 2020-10-23 2022-04-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501A (ko) * 2006-12-20 2008-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080101531A (ko) * 2007-05-18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40109697A (ko) * 2013-03-06 2014-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50078820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50078573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501A (ko) * 2006-12-20 2008-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080101531A (ko) * 2007-05-18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40109697A (ko) * 2013-03-06 2014-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50078820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50078573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9666A (zh) * 2019-04-11 2019-07-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缺陷判定方法、处理器及判定系统
WO2022082735A1 (zh) * 2020-10-23 2022-04-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US11804196B2 (en) 2020-10-23 2023-10-31 Beijing Boe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substrate including shift circuits configured to provide gate driving signals in a skipping mode, method for driving same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336B1 (ko)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3558B2 (en) Driving method of display pane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990515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852576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color filters of RGBW mosaic arrangement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93473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29309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1127593B1 (ko) 액정 표시 장치
WO2016169293A1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15017912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4012564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248752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8076416A (ja)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表示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並びに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US20090102777A1 (en)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ith triple gate arrangement
KR2008010153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6259135A (ja) 表示装置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基板
KR20090131039A (ko) 픽셀의 구동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장치
KR20080092819A (ko) 액정표시장치
JP2015099200A (ja) 表示装置
KR20160066654A (ko) 표시 장치
JP2015099331A (ja) 液晶表示装置
KR101005903B1 (ko) 액정표시장치
US987570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949927B1 (ko) 액정표시장치의 인버전 구동방법
KR102564336B1 (ko) 표시패널 및 액정표시장치
KR102062914B1 (ko) 3원색 표시장치 및 그의 픽셀데이터 랜더링 방법
KR10227981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