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334A - Multi-mode squat rack - Google Patents

Multi-mode squat r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334A
KR20180008334A KR1020170089627A KR20170089627A KR20180008334A KR 20180008334 A KR20180008334 A KR 20180008334A KR 1020170089627 A KR1020170089627 A KR 1020170089627A KR 20170089627 A KR20170089627 A KR 20170089627A KR 20180008334 A KR20180008334 A KR 20180008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lug
stepping board
seat pos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6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0197B1 (en
Inventor
린 이-훙
Original Assignee
아시아 리젠트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아 리젠트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아시아 리젠트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08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3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1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63B21/00072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by changing the length of a lev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15User-manipulated weights pivoting about a fixed horizontal fulcr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2071/026Supports, e.g. poles stabilised by weight
    • A63B2071/027Supports, e.g. poles stabilised by weight using player's own weight, e.g. on a platfo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the user, e.g. exercising one body part against a resistance provided by anothe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1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a pivoting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Abstract

A multimode squat rack includes a frame, a support unit, and a handle unit. The frame includes two pillars which are connected mutually in a pivot way, two stepping boards which are connected with one of the pillars, and a mount which is connected with the first pillar in a pivot way. The support unit includes: a seat post which is connected with the first pillar in a pivot way; a seat which is supported by the seat post; a pair of ears which is supported near the close side of the first pillar of the seat post; at least one pin which is supported on the facing surface of one side of the seat post; and an elastic unit which is arranged between the mount and the pin. The handle unit includes: a stem which is connected with the first pillar in a pivot way; a connection rod which has one side end part connected to be able to pivot in the stem and the other side end part connected with the pair of ears or the first pillar in a pivot way; and a handle which is connected with the stem.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prevent excessive wear on knees or injuries to muscles of an upper body.

Description

멀티 모드 스쿼트 랙{MULTI-MODE SQUAT RACK}Multimode Squat Rack {MULTI-MODE SQUAT RACK}

본 발명은 스쿼트 랙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quat r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modal squat rack.

스쿼트(squat)를 하기 위해, 사람은 자신의 상지, 복부 및 허리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몸통, 허리, 복부, 엉덩이 및 상지에 있어 근육을 단련할 수 있다. 그러나 무릎이나 상지에 너무 많은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릎을 과도하게 닳게 하거나 상지의 근육을 다치게 할 수 있다.To squat, one must use his upper limb, abdomen, and lower back. Thus, the user can train the muscles in the trunk, the waist, the abdomen, the hips and the upper limbs. However, it can put too much stress on the knee or upper extremity, which can lead to excessive knee wear or injury to upper extremity muscles.

대만 특허 공보 제313866호에는 사용자의 스쿼트 운동을 돕기 위한 종래의 스쿼트 랙이 개시되어있다. 종래의 스쿼트 랙은 상부 튜브(2)에 연결된 하부 튜브 (1), 상부 튜브(2)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시트 튜브(10), 상부 튜브(2)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레그 튜브(20), 상부 튜브(2)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핸들(30), 시트 튜브(10)를 다리 튜브(20)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4), 및 시트 튜브(10)를 핸들(30)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40)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리 튜브(20)는 핸들(30)과 함께 선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 몸통 및 다리는 종래의 스쿼트 랙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허리와 상지의 사용자의 근육은 가벼운 하중만을 받게 된다. 즉, 사용자는 허리와 상지를 충분히 운동하지 않게 된다. 기존의 스쿼트 랙은 사용자가 허리와 상지를 단련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Taiwan Patent Publication No. 313866 discloses a conventional squat rack for assisting a squat movement of a user. The conventional squat rack includes a lower tube 1 connected to the upper tube 2, a seat tube 10 pivotally connected to the upper tube 2, a leg tube 20 pivotally connected to the upper tube 2, A handle 4 pivotally connected to the upper tube 2, a connector 4 for connecting the seat tube 10 to the leg tube 20 and a connector 4 for connecting the seat tube 10 to the handle 30 And a connector (40). Thus, the leg tube 20 is pivoted together with the handle 30. Thus, the user's hands, torso and legs move with the conventional squat rack. Thus, the muscles of the user of the waist and upper limb receive only a light load. That is, the user does not exercise the waist and upper limb sufficiently. Conventional squat racks do not help you train your waist and upper limbs.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겪게 되는 문제점들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완화시키기위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event or at least alleviate the problems encountered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신체 사이즈의 사용자에게 맞도록 조정 가능한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modal squat rack which is adjustable to fit a user of various body siz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운동 강도를 만족시키도록 조절 가능한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modal squat rack which is adjustable to satisfy various exercise intensiti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운동 중에 올바른 포즈를 유지할 수 있도록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modal squat rack that allows a user to maintain a correct pose during exercis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은, 프레임유닛, 지지유닛 및 핸들유닛을 포함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multimode squat rack includes a frame unit, a support unit, and a handle unit.

상기 프레임유닛은, 제 1 스트럿, 상기 제 1 스트럿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제 2 스트럿, 제 1 및 제 2 스트럿 중 하나에 연결된 2개의 스테핑 보드, 및 상기 제 1 스트럿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마운트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트는 상기 제 1 스트럿 상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The frame unit includes a first strut, a second strut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strut, two stepping boards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truts, and a mount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strut do. The mount may be held in position on the first strut.

상기 지지유닛은, 제 1 스트럿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시트 포스트, 시트 포스트에 지지된 시트, 상기 시트 포스트의 상기 제 1 스트럿 부근의 측부에 지지된 한 쌍의 귀, 상기 시트 포스트의 대향 측면 상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핀(fin), 상기 마운트와 상기 핀(fin) 사이에 배치된 탄성유닛을 포함한다.The support unit includes a seat post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strut, a seat supported on the seat post, a pair of ears supported on a side of the seat post near the first strut, At least one fin supported, and an elastic unit disposed between the mount and the fin.

상기 핸들유닛은, 상기 제 1 스트럿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스템, 상기 스템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스트럿 및 상기 한 쌍의 귀 중 선택된 하나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단부로 이루어진 연결 로드, 상기 스템에 연결된 핸들을 포함한다.The handle unit comprises a stem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strut, a first end pivotally connected to the stem, and a second end pivotally connected to a selected one of the first strut and the pair of ears A connecting rod, and a handle coupled to the 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4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설명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자세의 사용자 및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모드에서의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자세의 사용자 및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모드의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자세의 사용자 및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의 사시도.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가 아닌 접힌 상태에서의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의 분해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by way of a detailed description of four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figures: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mode squat ra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mode squat rack shown i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multimode squat rack shown in FIG.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user using the multimode squat rack shown in Figure 1;
5 is a side view of a user and a multimode squat rack in a posture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mode squat rack in a mode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7 is a side view of the multimode squat rack shown in FIG.
8 is a side view of a multi-mode squat rack and a user in a different attitude from that shown i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mode squat rack in a mode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multimode squat rack shown in FIG.
11 is a side view of a user using the multimode squat rack shown in FIG.
12 is a side view of a user and a multimode squat rack in a different attitude from that shown i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mode squat ra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mode squat rack in the folded state, not in the unfolded state shown i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mode squat ra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mode squat rac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mode squat rack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은, 프레임유닛(10)과, 상기 프레임유닛(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유닛(20)과, 상기 프레임유닛(10)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핸들유닛(30)을 포함한다.1 to 14, a multimode squat ra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unit 10, a support unit 20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unit 10, And a handle unit (30) pivotally connected to the frame unit (1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유닛(10)은 2개의 지주(11, 12)를 포함한다. 지주(11)는 하단의 족부 튜브(110)와, 상기 족부 튜브(110)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종 방향 튜브(도면부호 미부여)를 포함한다. 종 방향 튜브는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까지 순서대로 배열된 구멍 (114, 115, 111, 116, 112, 117, 118 및 11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frame unit 10 includes two struts 11,12. The post 11 includes a lower foot tube 110 and two longitudinal tubes (not designated) connected perpendicularly to the foot tube 110. The longitudinal tube includes holes 114, 115, 111, 116, 112, 117, 118 and 113 arranged in order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스트럿(12)는 하단부의 족부 튜브(120), 후방 측의 적어도 하나의 귀(121; ear)(도 3 참조), 상단부에 인접한 러그(122; lug), 상기 족부 튜브(120)에 연결되는 2개의 종방향 스테핑 보드 연결 튜브(13), 및 전방 측의 크로스바(14)를 포함한다. 스트럿(12)을 스트럿(11)에 피봇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러그(122) 및 구멍(112)에 피봇(124)이 삽입된다. 각 스테핑 보드 연결 튜브(13)는 측면의 몇 개의 위치 결정 구멍(131)과 상면의 하나의 잠금 구멍(132)를 포함한다.The strut 12 is connected to the foot tube 120 at the lower end, at least one ear 121 (see FIG. 3) at the rear side, a lug 122 (lug) Two longitudinal stepping board connecting tubes 13, and a front side crossbar 14. [ A pivot 124 is inserted into the lug 122 and the hole 112 to pivotally connect the strut 12 to the strut 11. Each stepping board connecting tube 13 includes several positioning holes 131 on the side surface and one locking hole 132 on the upper surface.

액슬(151)과 이 액슬(151)에 연결된 스프링식 멈춤쇠(152; spring loaded detent)을 포함하는 2개의 스테핑 보드(15)가 있다. 각각의 액슬(151)은 스테핑 보드 연결 튜브(13)중 하나에 삽입되어 스테핑 보드(15)를 족부 튜브(12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스테핑 보드(15)가 바닥에 놓인 곳에서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이 전개된 상태에 있을 때, 각각의 스프링식 멈춤쇠(152)는 대응하는 스테핑 보드 연결 튜브(13)의 위치 결정 구멍(131) 중 선택된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There are two stepping boards 15 including an axle 151 and a spring loaded detent 152 connected to the axle 151. Each axle 151 is inserted into one of the stepping board connecting tubes 13 to movably connect the stepping board 15 to the foot tube 120. When the multimode squat rack is in the unfolded state where the stepping board 15 is placed on the floor, each of the spring-type detents 152 is positioned in the positioning hole 131 of the corresponding stepping board connecting tube 13 Can be inserted into the selected one.

마운트(16; mount)는 2개의 구멍(161, 163)과 한 쌍의 귀(165)를 포함한다. 피봇(162)은 구멍(161)과 구멍(113)에 삽입되어 마운트(16)를 스트럿(11)에 피봇식으로 연결한다. 핀(17)은 마운트(16)를 스트럿(11)에 대해 소정 위치에 유지하도록 위치 설정 구멍(163)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17)은 마운트(16)가 스트럿(11)에 대해 피봇할 수 있도록 위치 설정 구멍(163)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한 쌍의 귀(165)는 지지유닛(20)에 피봇 연결되도록 사용된다.The mount 16 includes two holes 161 and 163 and a pair of ears 165. The pivot 162 is inserted into the hole 161 and the hole 113 to pivotally connect the mount 16 to the strut 11. The pin 17 can be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163 to hold the mount 16 in position relative to the strut 11. [ And the pin 17 can be removed from the positioning hole 163 so that the mount 16 can pivot relative to the strut 11. [ A pair of ears 165 are used to pivotally connect to the support unit 20.

상기 지지유닛(20)은 시트 포스트(21)와 시트(22)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 포스트(21)는 하단부에 러그(211)를 가지며, 러그(211) 근처의 한 쌍의 귀(212)를 포함한다. 피봇(123)은 러그(211) 및 구멍(111)에 삽입되어 시트 포스트(21)를 스트럿(11)에 피봇식으로 연결한다.The support unit (20) includes a seat post (21) and a seat (22). The seat post 21 has a lug 211 at its lower end and includes a pair of ears 212 near the lug 211. The pivot 123 is inserted into the lug 211 and the hole 111 to pivotally connect the seat post 21 to the strut 11.

상기 시트(22)는 슬리브(221), 슬리브(221)에 연결된 몇 개의 크로스바( 25), 및 크로스바(25) 상에 지지된 몇 개의 관형 쿠션(226; tubular cushion)을 포함한다. 슬리브(221)는 시트 포스트(21) 상에 병진적(translational manner)으로 지지된다. 나사형 볼트(224; threaded bolt)는 슬리브(221) 후방의 나사 구멍에 삽입된다. 나사형 볼트(224)의 단부는 시트 포스트(21)에 대해 맞닿아 시트(22)를 시트 포스트(21)에 대해 소정 위치에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나사형 볼트(224)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나사형 볼트(224)의 다른 단부에 노브(knob; 도면부호 미부여)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at 22 includes a sleeve 221, a plurality of crossbars 25 connected to the sleeve 221 and a plurality of tubular cushions 226 supported on the crossbars 25. Sleeve 221 is supported in a translational manner on seat post 21. A threaded bolt (224) is inserted into the threaded hole in the rear of the sleeve (221). The end of the threaded bolt 224 may abut against the seat post 21 to hold the seat 22 in position relative to the seat post 21. [ It is preferable that a knob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readed bolt 224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threaded bolt 224.

지지유닛(20)은 시트 포스트(21)의 후방에 부착된 2개의 핀(23; fin)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핀(23)은 슬롯(도면부호 미부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몇 개의 조정 리세스(231; recess)를 포함한다. 탄성유닛(24)은 핀(23)과 마운트(16)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유닛(24)은 2개의 단부에 2개의 러그(241, 242)를 포함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유닛일 수 있다. 피봇(243)은 러그(241) 및 핀(23)에 삽입되어 탄성유닛(24)을 시트 포스트(21)에 피봇식으로 연결한다. 피봇(243)은 댐핑 효과를 조정하기 위해 각 핀(23)의 위치 결정 리세스(231) 중 선택된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피봇(244)은 러그(242) 및 한 쌍의 귀(165)에 삽입되어 탄성유닛(24)을 마운트(16)에 피봇식으로 연결한다.The support unit 20 further includes two fins 23 (fin) attached to the rear of the seat post 21. Each pin 23 includes several recesses 231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slots (not designated). The elastic unit (24) is disposed between the pin (23) and the mount (16). The elastic unit 24 may be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unit including two lugs 241 and 242 at two ends. The pivot 243 is inserted into the lug 241 and the pin 23 to pivotally connect the resilient unit 24 to the seat post 21. The pivot 243 can be positioned in a selected one of the positioning recesses 231 of each pin 23 to adjust the damping effect. The pivot 244 is inserted into the lug 242 and the pair of ears 165 to pivotally connect the resilient unit 24 to the mount 16.

핸들유닛(30)은 스템(31), 핸들(32), 러그(33), 한 쌍의 귀(34) 및 연결 로드(35)를 포함한다. 상기 스템(31)은 상단 근처의 개구(311)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32)은 스템(31)의 상단부에 연결된다.The handle unit 30 includes a stem 31, a handle 32, a lug 33, a pair of ears 34 and a connecting rod 35. The stem 31 includes an opening 311 near the top. The handle 32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tem 31.

상기 러그(33)는 스템(3)의 중간 부분에 부착된다. 피봇(331)은 상기 러그(33) 및 구멍(114)에 삽입되어 스템(31)을 스트럿(11)에 피봇식으로 연결한다.The lugs 33 are attach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stem 3. A pivot 331 is inserted into the lug 33 and hole 114 to pivotally connect the stem 31 to the strut 11.

한 쌍의 귀(34)는 스템(31)의 하단부에 부착된다. 상기 연결 로드(35)는 2개의 단부에 2개의 러그(351, 352)를 포함한다. 피봇(353)은 상기 스템(31)을 커넥팅로드(35)에 피봇식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한 쌍의 귀(34) 및 러그(351)에 삽입된다.A pair of ears 34 are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stem 31. The connecting rod 35 includes two lugs 351 and 352 at two ends. A pivot 353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ears 34 and the lug 351 for pivotally connecting the stem 31 to the connecting rod 35.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은 제1 모드 상태에 있다. 상기 러그(352) 및 한 쌍의 귀(212)에는 핀(213)이 삽입되어 스템(31)을 시트 포스트(2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핸들유닛(30)이 지지유닛(20)을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케 한다. 마운트(16)가 스트럿(11)에 대해 피봇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핀(17; pin)은 마운트(16)의 구멍(165) 및 스트럿(11)의 구멍(118)에 삽입된다. 핀(18; pin)은 제1 스트럿(11)에 형성된 구멍(116)에 삽입되어 스트럿(12)를 뒤에서 제한한다. 상기 크로스바(14)는 스트럿(12)을 전방으로부터 제한하기 위해 스트럿(11)과 접한다. 따라서, 상기 스트럿(12)은 핀(18; pin) 및 크로스바(14)에 의해 스트럿(11)에 대해 전개된 상태를 유지한다.3-5, the multimode squat rack is in the first mode. A pin 213 is inserted into the lug 352 and the pair of ears 212 to pivot the stem 31 relative to the seat post 21 such that the handle unit 3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20, . The pin 17 is inserted into the hole 165 of the mount 16 and the hole 118 of the strut 11 to prevent the mount 16 from pivoting about the strut 11. [ The pin 18 is inserted into the hole 116 formed in the first strut 11 to limit the strut 12 from behind. The crossbar (14) abuts the strut (11) to limit the strut (12) from the front. Thus, the strut 12 remains unfolded relative to the strut 11 by means of the pin 18 and the crossbar 14.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지지유닛(20) 앞에 서서 스테핑 보드(15)를 밟고 핸들(32)을 잡는다. 상기 탄성유닛(24)은 사용자의 엉덩이에 대항하여 지지유닛(20)의 시트 (22)를 가압하여 사용자를 세우도록 돕는다.4, the user stands in front of the support unit 20, steps on the stepping board 15, and grasps the handle 32. Fig. The elastic unit 24 urges the seat 22 of the support unit 20 against the user ' s hip to help raise the user.

핸들유닛(30)의 스템(31)이 연결 로드(35)를 통해 지지유닛(20)의 시트 포스트(2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핸들(32)을 몸통 쪽으로 당겨 스템(31)과 연결 로드(35)를 통해서 시트 포스트(21)를 들어올릴 수 있다. 탄성유닛(24)은 사용자를 위로 올리기 위해 시트 포스트(21)를 들어올리는데 도움을 준다.Since the stem 31 of the handle unit 30 is connected to the seat post 21 of the support unit 20 via the connecting rod 35, the user pulls the handle 32 toward the body, The seat post 21 can be lifted through the connecting rod 35. [ The resilient unit 24 helps lift the seat post 21 to raise the user up.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쿼트를 한다. 스쿼트를 하는 동안, 사용자는 탄성유닛(24)의 도움을 받아, 다리뿐만 아니라 팔의 체중을 지탱하게 됩니다. 즉, 사용자는 체중의 100%를 지탱하기 위하여 다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동의 양호한 효과와 함께, 오랜 시간 동안 스쿼트 운동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탄성유닛(24)의 도움을 받아, 일어서기 위해서 다리 이외에 그녀의 팔을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user squats. During the squat, the user, with the help of the elastic unit 24, sustains the weight of the arms as well as the legs. That is, the user does not need to use the legs to support 100% of the body weight. Thus, the user can perform the squat movement for a long time with the good effect of the motion. With the help of the elastic unit 24, the user can use her arms in addition to the legs to stand up.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은 제 2 모드 상태에 있다.6 to 8, the multimode squat rack is in the second mode.

두 번째 모드는 첫 번째 모드와 두 가지 다른 점이 있다. 먼저, 핀(213) 대신에, 핀(191)이 연결 로드(35)의 러그(351) 및 스트럿(11)의 구멍(115)에 삽입되어 핸들유닛(30)이 스트럿(11)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두 번째로, 핀(17)은 마운트(16)의 구멍(165)으로부터 제거되어 마운트(16)가 스트럿(11)에 대해 피봇될 수 있게 한다.The second mode has two differences from the first mode. The pin 191 is inserted into the lug 351 of the connecting rod 35 and the hole 115 of the strut 11 so that the handle unit 30 moves on the strut 11 ≪ / RTI > Secondly, the pin 17 is removed from the hole 165 of the mount 16 to allow the mount 16 to pivot relative to the strut 11. [

사용자는 지지유닛(20) 앞에 서서 스테핑 보드(15)를 밟고 핸들(32)을 잡을 수 있다. 탄성유닛(24)은 사용자의 엉덩이에 대항하여 지지유닛(20)의 시트(22)를 가압하여 사용자를 세우도록 돕는다.The user can stand in front of the support unit 20 and step on the stepping board 15 to catch the handle 32. [ The resilient unit 24 urges the seat 22 of the support unit 20 against the user ' s hip to help raise the user.

사용자는 핸들유닛(30)의 손잡이(32)를 향해 자신을 당겨서 직접 들어올릴 수있다. 탄성유닛(24)은 사용자를 위로 올리기 위해 시트 포스트(21)를 들어올리는데 도움을 준다.The user can pull himself or herself up toward the handle 32 of the handle unit 30 to lift it directly. The resilient unit 24 helps lift the seat post 21 to raise the user up.

스쿼트를 하는 동안, 사용자는 탄성유닛(24)의 도움을 받아, 다리뿐만 아니라 팔의 체중을 지탱하게 됩니다. 즉, 사용자는 체중의 100%를 지탱하기 위하여 다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동의 양호한 효과와 함께, 오랜 시간 동안 스쿼트 운동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탄성유닛(24)의 도움을 받아, 일어서기 위해서 다리 이외에 그녀의 팔을 사용할 수 있다.During the squat, the user, with the help of the elastic unit 24, sustains the weight of the arms as well as the legs. That is, the user does not need to use the legs to support 100% of the body weight. Thus, the user can perform the squat movement for a long time with the good effect of the motion. With the help of the elastic unit 24, the user can use her arms in addition to the legs to stand up.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은 제 3 모드 상태에 있다. 제 3 모드는 제 1 모드와 다른 점이 하나 있다. 즉, 핀(17)은 구멍(165)으로부터 제거되어 마운트(16)가 스트럿(11)에 대해 선회할 수 있게 한다. 마운트(16)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약 180도 선회 된다. 이에 따라, 지지유닛(20)은 수평으로 위치되고, 시트 포스트(21)는 탄성유닛(24)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9 to 12, the multimode squat rack is in the third mode. The third mod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mode. That is, the pin 17 is removed from the hole 165 to allow the mount 16 to pivot relative to the strut 11. [ The mount 16 is rotated about 180 degrees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s. Thereby, the support unit 20 is horizontally positioned, and the seat post 21 is not supported by the elastic unit 24.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지지유닛(20)에 앉아서 스테핑 보드(15)를 밟고 핸들(32)을 잡고 있다. 수평 위치에서, 지지유닛(20)은 사용자가 낮은 위치로 스쿼트하여 그녀의 다리에 큰 하중을 가하는 것을 허용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user sits on the support unit 20, steps on the stepping board 15, and holds the handle 32. Fig. In the horizontal position, the support unit 20 allows the user to squat to a low position and apply a large load to her legs.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일어서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핸들(30)의 스템(31)이 연결 로드(35)를 통해 지지유닛(20)의 시트 포스트(21)에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핸들(30)을 몸쪽으로 당겨서 스템(31) 및 연결 로드(35)를 통해 시트 포스트(21)를 들어올린다. 상기 탄성유닛(24)은 사용자를 위로 올리기 위해 시트 포스트(21)를 들어올리는데 도움을 준다.Referring to FIG. 12, the user stands up. In this process, since the stem 31 of the handle 30 is connected to the seat post 21 of the support unit 20 via the connecting rod 35, the user pulls the handle 30 toward the body, And the connecting rod 35, as shown in Fig. The elastic unit 24 helps lift the seat post 21 to raise the user up.

도 14를 참조하면,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은 접힌 상태에 있다.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이 접힘 상태에 있을 때, 각 스프링식 멈춤쇠(152)는 대응하는 스테핑 보드 연결 튜브(13)의 잠금 구멍(132)에 삽입된다. 핀(18)은 스트럿(12)을 스트럿(11)에 대해 접힌 위치에 유지하도록 귀(121; 도 3 참조) 및 구멍(117)에 삽입된다. 핀(213)은 개구(311) 및 한 쌍의 귀(212)에 삽입되어 스템(31)을 시트 포스트(21)에 가깝게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은 저장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작은 공간을 차지한다.Referring to Fig. 14, the multimode squat rack is in a folded state. When the multimode squat rack is in the folded state, each spring-loaded detent 152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132 of the corresponding stepping board connecting tube 13. The pin 18 is inserted into the ear 121 (see FIG. 3) and into the hole 117 to hold the strut 12 in the folded position relative to the strut 11. The pin 213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311 and the pair of ears 212 to keep the stem 31 close to the seat post 21. Accordingly, the multimode squat rack occupies a small space that facilitates storage and transporta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이 제공된다. 제 2 실시 예는 탄성유닛(24) 대신에 2개의 고무 밴드(38)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다. 상기 시트 포스트(21)는 구멍(215)을 포함한다. 스템(31)은 구멍(312)을 포함한다. 핀(381)은 개구(312) 내에 삽입된다. 핀(382)은 구멍(215)에 삽입된다. 고무 밴드(38) 각각은 핀(381, 382) 상에 지지된다. 따라서, 고무 밴드(38)는 시트 포스트(21)를 스템(31) 쪽으로 당기는 경향을 갖는다. Referring to FIG. 13, there is provided a multimode squat ra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ncludes two rubber bands 38 instead of the elastic unit 24. The seat post (21) includes a hole (215). The stem (31) includes a hole (312). The pin 381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312. The pin 382 is inserted into the hole 215. Each of the rubber bands 38 is supported on pins 381, 382. Thus, the rubber band 38 has a tendency to pull the seat post 21 toward the stem 31.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이있다. 제 3 실시 예는 두 가지를 제외하고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다. 우선, 시트(22)는 크로스바(225) 및 관형 쿠션(226) 대신에 새들(222; saddle)을 포함한다. 둘째로, 시트(22)는 슬리브(221)에 연결되고 새들(222)보다 높게 위치된 보조 손잡이(223)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으로 운동하는 동안 새들(222)에 의지하고 보조 핸들(223)을 잡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re is a multimode squat ra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wo. First, the seat 22 includes saddles 222 instead of the crossbar 225 and the tubular cushion 226. [ Second, the seat 22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handle 223 connected to the sleeve 221 and positioned higher than the saddle 222. The user can rest on the saddle 222 and catch the auxiliary handle 223 while exercising in the multimode squat rack.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이 제시되어 있다. 제 4 실시 예는 세 가지를 제외하고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다. 먼저, 로드 또는 튜브 형태의 베이스(100)가 구비된다. 발판(110)은 상기 베이스(100)의 후단에 횡 방향으로 연결되며, 족부 튜브(120)은 상기 베이스(100)의 전단에 횡 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100)는 스트럿(11)의 하부 후방 단부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스트럿(12)은 하부 선단에 형성된 칼라(125; collar)를 포함한다. 상기 칼라(125)는 베이스(10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봇(도면부호 미부여)은 칼라(125) 및 베이스(100)에 형성된 수 개의 구멍 (도면부호 미부여) 중 선택된 하나에 삽입되어 칼라(125)를 베이스(100) 상의 수 개의 위치 중 선택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둘째,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 상에 각각 러그(106)가 형성된 슬리브(105)가 구비된다. 세 번째로, 각 스테핑 보드(15)는 두 개의 러그(155)를 포함한다. 각각의 러그(106)는, 액슬(150)이 각 스테핑 보드(15)의 러그(155) 및 대응 러그(106)에 삽입되기 전에, 대응하는 스테핑 보드(15)의 러그(155) 사이에 위치하며 스테핑 보드(15)를 슬리브(105)에 피봇식으로 연결한다. 액슬(150) 각각은 스프링식 멈춤쇠(152)를 갖추고 있다. 상기 러그(106) 각각은 위치 결정 구멍(131)과 같은 제 1 구멍 및 잠금 구멍(132)과 같은 제 2 구멍을 포함한다. 각각의 스프링식 멈춤쇠(152)는 상응하는 러그(106)의 제 1 구멍에 삽입되어 상응하는 스테핑 보드(15)를 전개된 위치에 유지하거나 상응하는 러그(106)의 제 2 구멍에 삽입되어 스테핑 보드(15)를 접힌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16 and 17, there is shown a multimode squat rac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ree. First, a base 100 in the form of a rod or a tube is provided. The foot plate 110 is lateral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ase 100 and the foot tube 120 is later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base 100. The base (100)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lower rear end of the strut (11). And the strut 12 includes a collar 125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collar 125 is movably supported on the base 100. The pivot is inserted into a selected one of several holes (not designated) formed in the collar 125 and the base 100 so that the collar 125 is positioned at a selected one of several positions on the base 100 . Second, a sleeve 105 having lugs 106 formed on two opposite sides thereof is provided. Third, each stepping board 15 includes two lugs 155. Each lug 106 is positioned between the lugs 155 of the corresponding stepping board 15 before the axle 150 is inserted into the lugs 155 and corresponding lugs 106 of each stepping board 15. [ And the stepping board 15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sleeve 105. Each of the axles 150 has a spring-type detent 152. Each of the lugs 106 includes a first hole, such as a locating hole 131, and a second hole, such as a lock hole 132. Each spring-shaped detent 152 is inserted into a first hole of the corresponding lug 106 to hold the corresponding stepping board 15 in its deployed position or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second hole of the corresponding lug 106 The stepping board 15 can be held in the folded position.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되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형태로부터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들은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Skilled artisans may derive modifications from the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Claims (20)

제 1 스트럿, 상기 제 1 스트럿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제 2 스트럿, 및 상기 제 1 스트럿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마운트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는 상기 제 1 스트럿 상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는 프레임유닛;
제 1 스트럿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시트 포스트, 시트 포스트에 지지된 시트, 상기 시트 포스트의 상기 제 1 스트럿 부근의 측부에 지지된 한 쌍의 귀, 상기 시트 포스트의 대향 측면 상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핀(fin), 상기 마운트와 상기 핀 사이에 배치된 탄성유닛을 포함하는 지지유닛; 그리고
상기 제 1 스트럿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스템, 상기 스템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스트럿 및 상기 한 쌍의 귀 중 선택된 하나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단부로 이루어진 연결 로드, 상기 스템에 연결된 핸들을 포함하는 핸들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A frame unit comprising a first strut, a second strut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strut, and a mount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strut, the mount being capable of being held in position on the first strut;
A seat post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strut, a seat supported on the seat post, a pair of ears supported on a side of the seat post near the first strut, at least one seat supported on opposite sides of the seat post, A fin, a support unit including an elastic unit disposed between the mount and the pin; And
A stem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strut, a connecting rod pivotally connected to the stem and a second end pivotally connected to a selected one of the first strut and the pair of ears, And a handle unit including a handle connected to the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시트 포스트 상에 형성된 러그와, 상기 러그에 삽입된 피봇과, 상기 시트 포스트를 상기 제 1 스트럿에 피봇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트럿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제 2 단부에 형성된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연결 로드의 러그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핀(pin)과, 상기 연결 로드가 상기 제 1 스트럿에 연결될 때 상기 제 1 지지유닛에 형성된 또 다른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unit comprising a lug formed on the seat post, a pivot inserted in the lug, and a hole formed in the first strut for pivotally connecting the seat post to the first strut,
The connecting rod including a lug formed at the second end,
Wherein the frame unit comprises a pin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 lug of the connecting rod and another hole formed in the first supporting unit when the connecting rod is connected to the first strut. Squat r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럿은 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유닛은 러그에 삽입하기위한 피봇과, 상기 제 2 스트럿을 상기 제 1 스트럿에 피봇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트럿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trut comprising a lug, the frame unit comprising a pivot for insertion into a lug and a hole formed in the first strut for pivotally connecting the second strut to the first strut Multi-mode squat rack wit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럿은, 상기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이 전개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 스트럿에 대해 접하도록 구성된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strut comprises a crossbar configured to abut against the first strut when the multimodal squat rack is in an unfolded condi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멀티 모드 스쿼트 랙이 전개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2 스트럿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트럿에 형성된 다른 구멍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rame unit includes a pin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nother hole formed in the first strut to limit the second strut when the multimodal squat rack is in an unfold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제 1 스트럿 및 제 2 스트럿 중 하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스테핑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unit comprises at least one stepping board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strut and the second stru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럿은 단부에 횡 방향으로 연결된 족부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핑 보드는 상기 족부 튜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strut comprises a foot tube transversely connected to the end, the stepping board being connected to the foot tub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럿은 상기 족부 튜브에 횡 방향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스테핑 보드 연결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핑 보드는, 상기 스테핑 보드 연결 튜브에 삽입되어 상기 스테핑 보드를 상기 족부 튜브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액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8. The method of claim 7,
Said second strut comprising at least one stepping board connecting tube transversely connected to said foot tube,
Wherein the stepping board comprises an axle inserted into the stepping board connecting tube and movably connecting the stepping board to the foot tub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핑 보드 연결 튜브는 측면에 몇 개의 위치 결정 구멍 및 상면에 잠금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핑 보드는 상기 액슬에 연결된 스프링식 멈춤쇠(spring-loaded detent)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식 멈춤쇠는 상기 스테핑 보드를 바닥에 두기 위해 상기 위치 결정 구멍 중 선택된 하나에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식 멈춤쇠는 상기 스테핑 보드를 바닥으로부터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잠금 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ping board connecting tube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on the side surface and a locking hole on the upper surface,
Wherein the stepping board includes a spring-loaded detent connected to the axle,
The spring-type detent being inserted into a selected one of the positioning holes for placing the stepping board on the floor,
Wherein the spring detent is inserted into the lock hole to hold the stepping board from the fl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마운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핀(pin) 및 상기 제 1 스트럿에 대해 상기 마운트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트럿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unit comprises a pin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mount and an aperture formed in the first strut to hold the mount in position relative to the first strut Features multimode squat r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fin)은 서로 연통하는 수 개의 조정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유닛은 단부에 형성된 러그(lug)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러그에 삽입된 피봇과 상기 조정 리세스 중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n includes several adjustment recesse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e elastic unit includes a lug formed at an end thereof,
Wherein the support unit comprises a selected one of a pivot inserted in the lug and the adjustment re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유닛은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러그 및 상기 마운트의 한 쌍의 귀에 삽입 된 피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 comprises a pair of ears formed at the ends, the resilient unit comprising a lug, the support unit comprising a pivot inserted into a pair of ears of the lug and the mount, R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시트 포스트 상에 병진적으로 지지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includes a sleeve that is translationally supported on the seat pos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슬리브에 삽입되고 상기 포스트에 맞닿아 상기 시트 포스트에 대해 상기 슬리브를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나사형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upport unit includes a threaded bolt inserted into the sleeve and abutting the post to maintain the sleeve in position relative to the seat pos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슬리브에 연결된 다수의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에 지지된 관형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at comprises a plurality of crossbars connected to the sleeve and a tubular cushion supported on the crossbar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슬리브에 연결된 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at includes saddles connected to the slee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스트럿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unit includes a base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truts.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럿은 상기 베이스에 피봇식으로 연결된 한 쌍의 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the second strut includes a pair of ears pivotally connected to the bas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스테핑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rame unit comprises at least one stepping board connected to the bas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핑 보드는 상기 슬리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드 스쿼트 랙.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frame unit includes a sleeve movably supported on the base, the stepping board being connected to the sleeve.
KR1020170089627A 2016-07-14 2017-07-14 Multi-mode squat rack KR10199019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554533.3 2016-07-14
CN201610554533.3A CN107617194B (en) 2016-07-14 2016-07-14 Multi-functional squatting and standing body-build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334A true KR20180008334A (en) 2018-01-24
KR101990197B1 KR101990197B1 (en) 2019-06-17

Family

ID=5938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627A KR101990197B1 (en) 2016-07-14 2017-07-14 Multi-mode squat rack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269431B1 (en)
KR (1) KR101990197B1 (en)
CN (1) CN107617194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085A (en) * 2020-08-11 2022-02-18 전유리 Fitness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4528B (en) * 2020-03-24 2021-08-17 宁津县环宇健身器材有限公司 Deep squat tr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797A (en) * 2009-04-29 2010-11-08 이현숙 Machine for whole body stretching
KR200477862Y1 (en) * 2015-03-05 2015-07-29 정석교 Adjustable Squart Exercise Device
JP3202923U (en) * 2015-11-09 2016-03-03 雷仁貿易有限公司 Squat training machine
JP3208142U (en) * 2016-08-02 2016-12-28 雷仁貿易有限公司 Full squat auxiliar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5563A (en) * 1955-05-16 1958-03-04 Roger S Health Equipment Inc Exercising machine
CA2127456A1 (en) 1992-02-13 1993-08-19 Warner-Lambert Company Llc Process for preparing chiral ethyl (5-amino-1,2-dihydro-2-methyl-3-phenylpyrido[3,4-b]pyrazin-7-yl) carbamate
TW313866U (en) 1996-02-05 1997-08-21 Tian-Lai Wu Multifunctional foldable exercise machine
JP3202923B2 (en) * 1996-08-05 2001-08-27 リンナイ株式会社 Combustion equipment
US6234942B1 (en) * 1999-09-09 2001-05-22 Cheng-hui Yang Compound exerciser unit
US20060217240A1 (en) * 2005-03-25 2006-09-28 Ann White Exercise apparatus for full figured individuals
TW200848115A (en) * 2007-06-07 2008-12-16 ying-zhou Lai Structure of an auxiliary fitness device
US8641588B2 (en) * 2011-08-16 2014-02-04 Johann B. Verheem Elevated reclining exercise chair
CN103446708A (en) * 2012-06-04 2013-12-18 力山工业股份有限公司 Exercise apparatus
CN204447095U (en) * 2015-03-22 2015-07-08 新疆康采恩工业科技有限责任公司 Fitness equipment is pedaled under a kind of outdoor dead-weight
CN206026973U (en) * 2016-07-14 2017-03-22 雷仁贸易有限公司 Multiplex upright fitness equipment of squat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797A (en) * 2009-04-29 2010-11-08 이현숙 Machine for whole body stretching
KR200477862Y1 (en) * 2015-03-05 2015-07-29 정석교 Adjustable Squart Exercise Device
JP3202923U (en) * 2015-11-09 2016-03-03 雷仁貿易有限公司 Squat training machine
JP3208142U (en) * 2016-08-02 2016-12-28 雷仁貿易有限公司 Full squat auxiliar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085A (en) * 2020-08-11 2022-02-18 전유리 Fitness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17194B (en) 2020-01-21
EP3269431B1 (en) 2020-09-02
EP3269431A1 (en) 2018-01-17
CN107617194A (en) 2018-01-23
KR101990197B1 (en)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9800B2 (en) Multi-mode squat rack
US9713745B2 (en) Portable calisthenics exercise device
US8801640B2 (en) Adjustable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US5906566A (en) Exercise machine
US5904641A (en) Body exerciser
US8491450B2 (en) Rotary, adjustable body exercise equipment
US9662536B1 (en) Squat rack
JP2019524164A (en) Folding free-standing exercise equipment
US10118070B2 (en) Squat rack
US20050059536A1 (en) Collapsible resistance exercise device
BRPI0514664B1 (en) movable bar ballet exercise machine
KR101990197B1 (en) Multi-mode squat rack
US6165112A (en) Collapsible knee exercise device
US20210196551A1 (en) Leg Support Apparatus
KR20210042232A (en) Squat exercise apparatus
US4248420A (en) Dynamic self-resisting exercise chair
KR101410899B1 (en) Hip up sport outfits
KR101351985B1 (en) Hip up sport outfits
CN105597276A (en) Seated calf raise exercise equipment
WO2010082132A1 (en) Back and thigh exercise apparatus
ITMO20060211A1 (en) GYMNASTIC TOOL, PARTICULARLY FOR TRAINING OF ABDOMINAL MUSCLES AND BUTTOCKS MUSCLES
CN105983208A (en) Arm power composite fitness machine
CN108721829B (en) Folding sports chair for resistance training
CN206535082U (en) Leg exerciser structure-improved
CN107198853B (en) Auxiliary device squats dee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