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107A -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107A
KR20180008107A KR1020160089958A KR20160089958A KR20180008107A KR 20180008107 A KR20180008107 A KR 20180008107A KR 1020160089958 A KR1020160089958 A KR 1020160089958A KR 20160089958 A KR20160089958 A KR 20160089958A KR 20180008107 A KR20180008107 A KR 20180008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nput signal
pattern
electronic pen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273B1 (ko
Inventor
김철회
Original Assignee
김철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회 filed Critical 김철회
Priority to KR1020160089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2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08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펜을 이용하여 매체에 인쇄된 패턴을 인식하면 패턴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원격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한다. 또한, 패턴을 인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입력 신호를 원격 서버로 전송하고 입력 신호의 전송 이전에 마지막으로 전송된 패턴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동일한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어 복수의 전자 데이터의 구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및 방법{ELECTRONIC PEN FOR ELECTRONIC DATA STREAM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ATA STREAMING OUTPUT USING THE ELECTRONIC PEN}
본 실시예들은 전자펜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펜을 이용하여 매체에 인쇄된 인쇄 데이터와 관련된 전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물과 같은 매체에 인쇄된 표식을 인식하고 인식된 표식과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들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의 일 예로 바코드 리더가 있다. 바코드 리더는 매체에 인쇄된 바코드를 읽어들이고, 해당 바코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출력한다. 즉, 바코드와 같은 일정한 형태의 표식에 데이터를 매칭시키고 바코드에 매칭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식으로서, 일정한 규칙을 갖는 표식에 다양한 데이터를 담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책과 같은 인쇄 매체에 인쇄된 특정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코드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 등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자펜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펜은 특정 코드를 인식하는 센서와 각각의 코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하여, 코드를 인식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중 인식된 코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통상적으로 책과 같은 인쇄 매체에는 텍스트나 이미지(인쇄 데이터)만 표시되기 때문에 독자에게 시각 정보만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자펜을 이용하면 시각 정보 이외에 음성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영상 데이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과 같은 전자 데이터, 즉, 콘텐츠도 함께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정보 이용 방법이 다양화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인쇄 매체에 인쇄된 텍스트 등 기타 정보가 언어 학습과 관련된 내용인 경우에는 시각 정보보다 발음과 같은 음성 정보나 내용과 관련된 이미지 정보 등이 사용자에게 더 유익할 수 있는데, 전자펜을 이용할 경우 언어 텍스트에 더하여 발음이나 관련 전자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인쇄 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더욱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언어 학습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학습 방식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식이 요구되어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단순히 출력하는 방식만으로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전자펜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자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인쇄 매체와 관련된 전자 데이터가 전자펜 내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펜을 통해 제공되는 전자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자펜의 메모리에 전자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여러 인쇄 매체와 관련된 전자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용량의 한계로 새로운 전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이미 저장된 전자 데이터를 삭제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전자펜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콘텐츠(전자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과 전자펜의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전자펜을 이용하여 언어 학습과 관련된 전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식을 다양화하여 전자펜을 이용한 언어 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킨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제공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언어 학습과 관련된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에 저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제공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매체에 인쇄된 패턴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와, 인식된 패턴을 코드로 변환하는 디지털 프로세서와, 변환된 코드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펜은 이미지 센서 이외의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수단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펜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 패턴이 인식되면 인식된 패턴으로부터 변환된 코드를 외부로 전송하고,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송한다.
이때, 전자펜은 코드 또는 입력 신호를 전자펜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가 저장된 원격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전자펜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되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코드 또는 입력 신호를 원격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전자펜은 코드 또는 입력 신호를 원격 서버로 전송하면 원격 서버로부터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전자펜이 모바일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원격 서버로부터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가 중계 장치의 역할과 출력 장치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전자펜이 외부로 코드를 전송한 경우에는 전송된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출력하나, 외부로 입력 신호를 전송한 경우에는 이전에 전송된 코드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펜이 외부로 전송하는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가 제1 전자 데이터와 제2 전자 데이터가 존재할 때, 전자펜이 외부로 코드를 전송하면 제1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코드를 전송한 상태에서 입력 신호를 전송하면 제2 전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펜은 동일한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도록, 외부로 코드가 전송된 상태에서만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입력 신호의 발생 이전에 마지막으로 전송된 코드와 입력 신호를 함께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원격 서버는, 전자펜으로부터 코드를 수신하면 수신된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 또는 전자펜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원격 서버는, 전자펜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입력 신호의 수신 이전에 마지막으로 수신된 코드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또는, 원격 서버는, 전자펜으로부터 코드와 입력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고 코드가 입력 신호와 동시에 수신된 경우에는 수신된 코드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미지 센서 이외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매체에 인쇄된 동일한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자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원격 서버와 통신하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매체에 인쇄된 패턴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전에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에 저장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펜이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에 따라 구현된 인쇄 매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에 따라 구현된 인쇄 매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100, 이하 "전자펜"이라 함)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펜(100)은, 매체에 인쇄된 패턴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110)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수단(120)과, 이미지 센서(110)에 의해 인식된 패턴과 입력 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또한, 디지털 프로세서(130)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전자 데이터(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140)과, 외부로부터 수신된 전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의 예로서 스피커(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메모리에 전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전자 데이터가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110)는, 매체 등에 인쇄된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된 패턴을 디지털 프로세서(130)로 전달한다.
매체는 패턴이 인쇄되는 다양한 종류의 매체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매체는 책, 카드, 신문, 잡지, 전단, 팜플렛, 포스트 등의 종이, 지구본과 같은 플라스틱 교구, 책상과 같은 가구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책상, 필통, 연필, 지우개 등의 학용품일 수 있다. 이외에도 패턴의 인쇄가 가능한 모든 매체들은 본 실시예들에서 언급하는 매체에 해당할 수 있다.
패턴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구성된 이미지로서 특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특정 패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패턴은 서로 다른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은 제1 데이터에 대응하고 제2 패턴은 제2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매체에 인쇄되는 도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트는 가시성이 낮은 일정 크기 이하이며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패턴이 가시성이 낮은 도트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육안으로 패턴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이미지 센서(110)는 패턴을 촬영하고 인식하여 디지털 프로세서(130)에서 인식된 패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책 등과 같은 매체에 육안으로 식별이 어려운 도트 패턴을 배치하여 사용자가 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인쇄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도트 패턴에 대응되는 전자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입력 수단(12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일 예로, 전자펜(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버튼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입력 수단(120)이 전자펜(100)의 외부에 버튼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버튼에 대한 입력이 발생하면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디지털 프로세서(130)로 전달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입력 수단(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수단을 의미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수단과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은, 이미지 센서(110)에 의해 인식된 패턴뿐만 아니라 입력 수단(120)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전자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전자펜(100)을 통해 다양한 전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프로세서(130)는, 이미지 센서(110)에 의해 인식된 패턴 또는 입력 수단(120)을 통해 수신된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전자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디지털 프로세서(130)는, 전자펜(100)에 메모리가 포함되는 경우 이미지 센서(110)의 의해 인식된 패턴을 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호출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에 저장된 전자 데이터를 호출하는 방식은 매체와 관련된 전자 데이터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본 실시예들은 외부에 저장된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프로세서(130)는, 이미지 센서(110)에 의해 패턴을 인식하면 인식된 패턴을 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드를 통신 모듈(140)을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그리고, 외부로 전송된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 데이터를 스피커(150)와 같은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프로세서(130)는, 입력 수단(120)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고 전송된 입력 신호에 따른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입력 신호에 따라 수신되는 전자 데이터는 입력 신호의 전송 이전에 외부로 전송된 코드로 변환된 패턴과 관련된 전자 데이터이나 그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와 다른 전자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110)에 의해 인식된 패턴으로부터 변환된 코드는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으며, 입력 수단(120)에 의해 수신된 입력 신호는 이미지 센서(110)에 의해 인식된 패턴과 연계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전자 데이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110)에 의해 제1 패턴이 인식되면 디지털 프로세서(130)는 제1 패턴을 제1 코드로 변환하고 통신 모듈(140)을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외부로부터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1 전자 데이터를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입력 수단(120)을 통해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디지털 프로세서(130)는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송한다. 디지털 프로세서(130)는 입력 신호만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고, 입력 신호의 수신 이전에 전송된 제1 코드와 입력 신호를 함께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면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의 전송 이전에 전송된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펜(100)은 이미지 센서(110)에 의해 인식된 패턴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제공함에 있어서, 패턴의 인식과 입력 수단(120)에 의해 발생된 입력 신호를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동일한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자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펜(100)을 통해 패턴 인식과 버튼 입력 등의 용이한 조작을 통해 매체에 인쇄된 인쇄 데이터와 관련된 다양한 전자 데이터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펜(100)이 내부에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고 스트리밍 방식을 이용하여 전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식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전자펜(100)이 통신 모듈(140)을 통해 전자 데이터가 저장된 원격 서버(300)와 직접 통신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전자펜(100)이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같은 장치를 통해 원격 서버(300)와 통신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펜(100)이 이미지 센서(110)를 통해 매체(200)에 인쇄된 패턴(201)을 인식한다.
전자펜(100)은 인식된 패턴(201)을 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드를 외부의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원격 서버(300)는 전자펜(100)으로부터 코드를 수신하면 수신된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100)으로 전송한다.
전자펜(100)은 원격 서버(300)로 코드를 전송한 후 원격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도 2와 같은 경우에 전자펜(100)은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며, 매체(200)에 인쇄된 인쇄 데이터와 관련된 전자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하여 전자펜(100)에 미리 전자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3은 전자펜(100)이 전자펜(100)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통해 원격 서버(300)와 통신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펜(100)은 매체(200)에 인쇄된 패턴(201)을 인식하면 인식된 패턴(201)을 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드를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한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전자펜(100)으로부터 수신된 코드를 원격 서버(300)로 전송하고, 원격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자펜(100)으로 전송한다.
전자펜(100)은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통해 수신한 전자 데이터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원격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100)으로 전송하지 않고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직접 출력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통해 전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음성 데이터뿐만 아니라 영상 데이터의 형태로 전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펜(100)에 출력 장치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들은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매체(200)와 관련된 전자 데이터를 용이하게 제공하며, 전자펜(100)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110) 이외의 입력 수단(120)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전자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이미지 센서(100)와 입력 수단(120)을 이용하여 전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100)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에 따라 구현된 매체(200)와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매체(200)는 하나 이상의 파트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파트는 제1 패턴이 인쇄된 제1 영역(210)과 제2 패턴이 인쇄된 제2 영역(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210)은 각각의 파트의 인덱스와 같은 정보가 인쇄된 영역으로서, 인덱스와 함께 제1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제2 영역(220)은 각각의 파트를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와 같은 인쇄 데이터(221)가 인쇄된 영역으로서, 인쇄 데이터(221)와 함께 제2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제2 영역(220)은 하나 이상의 인쇄 데이터(221)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각각의 인쇄 데이터(221)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또는 인쇄 데이터(221) 상에 제2 패턴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220)에 복수의 인쇄 데이터(221)가 인쇄되어 있으며 각각의 인쇄 데이터(221)마다 각각의 인쇄 데이터(221)에 대응하는 제2 패턴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펜(100)을 이용하여 제1 영역(210)에 인쇄된 제1 패턴을 인식하면, 전자펜(100)은 인식된 제1 패턴을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제1 코드로 변환한다.
전자펜(100)은 변환된 제1 코드를 직접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같은 중계 장치를 통해 전자 데이터가 저장된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원격 서버(300)는 수신된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100) 또는 전자펜(100)과 통신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한다.
전자펜(100)이 원격 서버(300)와 직접 통신 연결된 경우, 전자펜(100)은 원격 서버(300)로부터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펜(100)을 이용하여 제1 영역(210)을 터치하면 제1 영역(210)에 인쇄된 제1 패턴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5는 사용자가 전자펜(100)을 이용하여 제2 영역(220)에 인쇄된 인쇄 데이터(221)를 터치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전자펜(100)을 이용하여 제2 영역(220)에 인쇄된 인쇄 데이터(221)를 터치하면 전자펜(100)은 각각의 인쇄 데이터(221)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 인쇄된 제2 패턴을 인식한다.
전자펜(100)은 인식된 제2 패턴을 제2 패턴에 대응하는 제2 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 코드를 직접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통해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원격 서버(300)는 수신된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100) 또는 전자펜(100)과 통신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전송한다.
전자펜(100)이 원격 서버(300)와 직접 통신 연결된 경우, 전자펜(100)은 원격 서버(300)로부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전자펜(100)에 위치한 버튼 등과 같은 입력 수단(120)을 조작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펜(100)의 입력 수단(120)을 통해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면 전자펜(100)은 발생된 입력 신호를 직접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통해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전자펜(100)은 입력 신호가 발생한 경우 입력 신호만 원격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입력 신호와 입력 신호의 발생 이전에 마지막으로 전송된 코드(예: 제2 코드)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원격 서버(300)가 전자펜(100)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입력 신호의 수신 이전에 수신된 코드인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100)으로 전송하며, 이때 전송되는 전자 데이터는 원격 서버(300)가 제2 코드 수신 시 전송한 전자 데이터와 다른 전자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전자펜(100)의 제2 패턴 인식으로 인해 원격 서버(300)가 제2 코드를 수신하면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10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2 코드를 수신한 상태에서 원격 서버(300)가 전자펜(100)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100)으로 전송한다.
또는, 전자펜(100)이 입력 신호 발생시 입력 신호와 마지막으로 전송된 코드를 함께 전송하는 경우, 원격 서버(300)가 제2 코드만 수신하면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100)으로 전송하고 제2 코드와 입력 신호를 함께 수신하면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1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전자 데이터와 제2 전자 데이터는 제2 패턴이 인쇄된 인쇄 데이터(221)와 관련이 있는 데이터이면서 서로 다른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체(200)가 언어 학습과 관련된 매체(200)인 경우, 제1 전자 데이터와 제2 전자 데이터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서로 다른 언어로 표현된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펜(100)으로 제2 패턴을 인식하면 제2 패턴이 인쇄된 인쇄 데이터(221)에 해당하는 원문(제1 전자 데이터)을 출력하고, 제2 패턴 인식 후 입력 수단(120)에 의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2 패턴이 인쇄된 인쇄 데이터(221)에 해당하는 해석(제2 전자 데이터)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전자펜(100)을 이용한 터치와 버튼 입력을 조합하여 동일한 제2 패턴이 인쇄된 인쇄 데이터(221)와 연관된 복수의 전자 데이터(제1 전자 데이터, 제2 전자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언어 학습과 관련된 매체(200)의 경우에는, 전자펜(100)을 이용한 터치와 버튼 입력의 연속적인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원문(제1 전자 데이터)과 해석(제2 전자 데이터)을 순차적으로 제공받음으로써, 언어 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예시에서 전자펜(100)을 통해 출력되는 원문과 해석은 하나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 전자 데이터와 제2 전자 데이터는 매체(200)에 인쇄된 동일한 패턴에 대응하며 서로 다른 내용 또는 형태로 구성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100)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에 따라 구현된 매체(200)의 구체적인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언어 학습용 매체(2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페이지는 A 파트, B 파트 및 C 파트의 3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파트는 각 파트의 인덱스가 인쇄된 제1 영역과 각 파트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인쇄된 제2 영역으로 구분된다.
601과 같이, 사용자가 전자펜(100)을 이용하여 각 파트의 인덱스가 인쇄된 제1 영역을 터치하면, 전자펜(100)은 제1 영역에 인쇄된 제1 패턴을 인식하고 제1 코드로 변환하여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원격 서버(300)로부터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는 A 파트에 해당하는 문법 강의 등과 같이 A 파트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전자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전자펜(100)으로 제1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에는 제1 영역 자체와 관련된 전자 데이터가 아니라, 제1 영역이 포함된 파트, 즉, A 파트와 관련된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602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펜(100)을 이용하여 각 파트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인쇄된 제2 영역을 터치하면, 전자펜(100)은 제2 영역에 인쇄된 제2 패턴을 인식하고 제2 코드로 변환하여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원격 서버(300)로부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는 제2 영역에 포함된 표에 대한 문법 설명 등과 같이 제2 영역에 인쇄된 정보 자체와 관련된 전자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에는 복수의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2 패턴은 복수의 인쇄 데이터마다 각각 다른 패턴으로 인쇄될 수 있다.
603과 같이, 제2 영역 내에 복수의 문장이 인쇄된 경우 각각의 문장마다 서로 다른 패턴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펜(100)을 이용하여 각각의 문장 또는 문장의 앞단에 위치한 사각형을 터치하면 전자펜(100)은 각각의 문장에 대한 제2 패턴을 인식하고 제2 코드로 변환하여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원격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즉, 사용자가 전자펜(100)으로 표를 터치하면 표에 대한 설명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문장을 터치하면 문장에 대한 설명을 제공받을 수 있다.
나아가, 제2 영역에 인쇄된 제2 패턴을 인식하고 전자 데이터를 제공받는 경우에는, 제2 영역에 인쇄된 제2 패턴 인식 후 입력 수단(120)의 조작을 통한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제2 패턴이 인쇄된 인쇄 데이터와 관련된 다른 전자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604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펜(100)으로 문장을 터치하면, 전자펜(100)은 문장에 인쇄된 제2 패턴을 인식하고 제2 코드로 변환하여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원격 서버(300)로부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의 버튼 입력 등에 의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전자펜(100)은 발생된 입력 신호를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원격 서버(300)로부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또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입력 신호의 발생 이전에 마지막으로 전송된 제2 코드와 입력 신호를 함께 전송하고,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전자펜(100)으로 제2 패턴을 인식하면 그와 대응하는 제1 전자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 패턴이 인식된 상태에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그와 대응하는 제2 전자 데이터를 출력한다.
따라서, 전자펜(100)이 동일한 패턴을 인식한 상태에서 입력 신호의 발생 유무에 따라 서로 관련성이 있지만 다른 전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연속적인 동작에 의하여 매체(200)에 인쇄된 인쇄 데이터와 연관된 복수의 전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 패턴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전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매체(200)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의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100)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 매체(200)와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매체(200)는 이미지가 인쇄된 제1 영역(210)과 복수의 인쇄 데이터(221)가 인쇄된 제2 영역(22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복수의 인쇄 데이터(221)는 대화문일 수 있다.
제1 영역(210)에는 제1 패턴이 인쇄되어 있으며, 전자펜(100)이 제1 영역(210)에 인쇄된 제1 패턴을 인식하면 제1 코드로 변환하고 제1 코드를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전자펜(100)은 원격 서버(300)로부터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는 제2 영역(220)에 인쇄된 복수의 인쇄 데이터(221) 전체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인쇄 데이터(221)가 대화문인 경우 전체 대화문을 출력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도 8은 전자펜(100)이 제2 영역(220)에 포함된 각각의 인쇄 데이터(221)에 인쇄된 제2 패턴을 인식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전자펜(100)이 제2 영역(220)에 포함된 인쇄 데이터(221)에 인쇄된 제2 패턴을 인식하면 제2 코드로 변환하고 제2 코드를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전자펜(100)은 원격 서버(300)로부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때, 전자펜(100)이 제2 코드를 전송한 후 입력 수단(120)을 통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전자펜(100)은 입력 신호를 원격 서버(300)로 전송하고, 원격 서버로(300)로부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제2 패턴을 인식하여 제2 코드를 전송하고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제2 코드를 전송한 상태에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입력 신호를 전송하고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한편, 각각의 인쇄 데이터(221)는 각각의 인쇄 데이터(221) 상에 인쇄된 제2 패턴 이외에 인쇄 데이터(221)의 일부 영역에 인쇄된 제3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인쇄 데이터(221)의 일부 영역에 제3 패턴이 인쇄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영역(220)의 각각의 인쇄 데이터(221)로 대화문이 인쇄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각의 대화문 내에는 블랭크(230)를 포함하고 있으며 블랭크(230) 상에는 제3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전자펜(100)이 블랭크(230) 상에 인쇄된 제3 패턴을 인식하면 인식된 제3 패턴을 제3 코드로 변환하고 제3 코드를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3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3 코드가 전송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전자펜(100)은 입력 신호를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원격 서버(300)는 전자펜(100)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입력 신호의 수신 이전에 마지막으로 수신된 제3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100)으로 전송한다.
또는, 전자펜(100)은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입력 신호의 발생 이전에 마지막으로 전송된 제3 코드와 입력 신호를 함께 원격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원격 서버(300)를 제3 코드와 함께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제3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100)으로 전송하여 제2 전자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한다.
제3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전자 데이터와 제2 전자 데이터는, 일 예로, 제3 패턴이 인쇄된 대화문과 연관된 문제풀이 형식의 전자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데이터는 제3 패턴이 인쇄된 블랭크(230)가 포함된 대화문과 관련된 문제 또는 문제 풀이 강의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 데이터는 대화문을 완성하기 위해 블랭크(230)에 포함될 수 있는 정답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전자펜(100)을 이용하여 블랭크(230)를 터치하면, 전자펜(100)은 블랭크(230)가 포함된 대화문과 관련된 문제를 출력하고 그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버튼 입력 등과 같은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블랭크(230)에 들어갈 정답을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펜(100)을 이용한 터치와 버튼 입력 등과 같은 연속적인 동작을 통해 문답식 학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100)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에 따라 구현된 매체(200)의 구체적인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매체(200)의 페이지는 이미지가 인쇄된 제1 영역과 대화문과 같은 인쇄 데이터가 인쇄된 제2 영역으로 구분된다.
1001과 같이, 이미지가 인쇄된 제1 영역에 인쇄되어 있는 제1 패턴을 전자펜(100)이 인식하면 인식된 제1 패턴을 제1코드로 변환하고 제1 코드를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전자펜(100)은 원격 서버(300)로부터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는 제2 영역에 인쇄된 대화문 전체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는 제1 패턴이 인쇄된 영역 자체에 관한 데이터가 아닌, 제1 영역과 연관된 제2 영역에 포함된 인쇄 데이터와 관련된 전자 데이터일 수 있다.
1002와 같이, 대화문이 인쇄된 제2 영역에 인쇄되어 있는 제2 패턴을 전자펜(100)이 인식하면, 전자펜(100)은 제2 패턴을 제2 코드로 변환하고 제2 코드를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전자펜(100)은 원격 서버(300)로부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는 제2 패턴이 인쇄된 대화문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에 인쇄된 대화문은 블랭크와 같이 제3 패턴이 인쇄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1003, 1004와 같이, 대화문에 포함된 블랭크에 인쇄되어 있는 제3 패턴을 전자펜(100)이 인식하면, 전자펜(100)은 제3 패턴을 제3 코드로 변환하고 제3 코드를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전자펜(100)은 제3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전자 데이터를 원격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며, 제1 전자 데이터는 제3 패턴이 인쇄된 블랭크를 포함하는 대화문에 관한 문제 또는 문제풀이 강의일 수 있다.
전자펜(100)이 제3 코드를 전송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전자펜(100)은 입력 신호 또는 제3 코드와 입력 신호를 원격 서버(300)로 전송한다.
원격 서버(300)는 제3 코드를 수신한 후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3 코드와 함께 입력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면, 제3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전자 데이터를 전자펜(100)으로 전송한다.
전자펜(100)은 원격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제2 전자 데이터를 출력하며, 제2 전자 데이터는 블랭크가 포함된 대화문을 완성하기 위하여 블랭크에 포함될 정답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펜(100)을 이용하여 대화문에 포함된 블랭크를 터치하여 블랭크가 포함된 대화문과 관련된 문제 또는 문제풀의 강의를 제공받고, 그 상태에서 버튼 등을 조작하여 블랭크에 포함될 정답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페이지에 인쇄된 정보를 단순 학습하는 것에 비하여, 전자펜(100)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와 같은 전자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학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문제풀이 형식의 학습을 음성 데이터로 제공받음으로써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자펜(100)을 이용하여 매체(200)에 인쇄된 인쇄 데이터와 연관된 전자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매체(200)를 통한 정보 획득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펜(100)의 이미지 센서(110) 이외의 입력 수단(120)을 통해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동일한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자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하며 학습 효과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일한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자 데이터를, 일 예로, 원문과 해석, 문제와 정답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획득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자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과 구성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자펜 110: 이미지 센서
120: 입력 수단 130: 디지털 프로세서
140: 통신 모듈 150: 스피커
200: (인쇄) 매체 300: 원격 서버
400: 모바일 디바이스

Claims (21)

  1. 제1 패턴이 인쇄된 제1 영역과 제2 패턴이 인쇄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매체;
    상기 제1 영역에 인쇄된 상기 제1 패턴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인쇄된 상기 제2 패턴을 이미지 센서로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제1 패턴 또는 상기 제2 패턴을 상기 제1 패턴 또는 상기 제2 패턴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로 변환하며, 변환된 상기 제1 코드 또는 상기 제2 코드를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 이외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펜; 및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코드, 상기 제2 코드 및 상기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코드 또는 상기 제2 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코드 또는 상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언어 데이터를 상기 전자펜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코드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언어 데이터를 상기 전자펜으로 전송하는 원격 서버
    를 포함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언어 데이터는 상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언어 데이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기 제1 언어 데이터와 다른 종류의 언어로 표현된 데이터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상기 제1 코드, 상기 제2 코드 또는 상기 입력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에 위치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한 코드 또는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상기 제2 코드를 외부로 전송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 이외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 이외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 신호의 수신 이전에 마지막으로 전송한 코드와 상기 입력 신호를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서버는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 신호의 수신 이전에 마지막으로 수신된 상기 제1 코드 또는 상기 제2 코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언어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매체는 복수의 파트로 구분되는 페이지 상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파트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파트와 관련된 상기 제1 패턴이 인쇄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어느 하나의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인쇄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인쇄 데이터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배치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인쇄 데이터와 관련된 상기 제2 패턴이 인쇄된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8. 이미지 센서를 통해 인쇄 매체에 인쇄된 제1 패턴 또는 제2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상기 제1 패턴 또는 상기 제2 패턴을 상기 제1 패턴 또는 상기 제2 패턴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상기 제1 코드 또는 상기 제2 코드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전송된 상기 제1 코드 또는 상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언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센서 이외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코드를 외부로 전송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면 상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언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언어 데이터는 상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언어 데이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기 제1 언어 데이터와 다른 종류의 언어로 표현된 데이터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방법.
  10. 인쇄 매체에 인쇄된 제1 패턴 또는 제2 패턴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수단;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인식된 상기 제1 패턴 또는 상기 제2 패턴을 상기 제1 패턴 또는 상기 제2 패턴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로 변환하는 디지털 프로세서; 및
    변환된 상기 제1 코드, 상기 제2 코드 및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드, 상기 제2 코드 및 상기 입력 신호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되는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드를 외부로 전송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 신호의 발생 이전에 마지막으로 전송된 코드와 상기 입력 신호를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드 또는 상기 제2 코드를 외부로 전송하면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코드 또는 상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1 언어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코드를 외부로 전송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면 상기 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제2 언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언어 데이터는 상기 제2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언어 데이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기 제1 언어 데이터와 다른 종류의 언어로 표현된 데이터인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16.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와 연관되며 블랭크를 포함하는 대화문이 인쇄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제1 패턴이 인쇄된 제1 영역과 상기 대화문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상기 대화문과 관련된 제2 패턴이 인쇄된 제2 영역과 상기 블랭크에 인쇄된 제3 패턴을 포함하는 인쇄 매체;
    상기 제1 영역에 인쇄된 상기 제1 패턴, 상기 제2 영역에 인쇄된 상기 제2 패턴 및 상기 블랭크에 인쇄된 상기 제3 패턴 중 하나의 패턴을 이미지 센서로 인식하고, 인식된 패턴에 대응하는 제1 코드, 제2 코드 또는 제3 코드를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 이외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펜; 및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코드, 상기 제2 코드 및 상기 제3 코드 중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코드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연관된 모든 대화문과 관련된 전자 데이터를 상기 전자펜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코드에 해당하는 대화문과 관련된 전자 데이터를 상기 전자펜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3 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제3 코드에 해당하는 블랭크와 관련된 전자 데이터를 상기 전자펜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코드, 상기 제2 코드 또는 상기 제3 코드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코드, 상기 제2 코드 또는 상기 제3 코드와 관련된 제2 전자 데이터를 상기 전자펜으로 전송하는 원격 서버
    를 포함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코드에 해당하는 블랭크와 관련된 제2 전자 데이터는 상기 블랭크가 포함된 상기 대화문을 완성하기 위해 상기 블랭크에 포함될 수 있는 데이터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상기 제1 코드, 상기 제2 코드, 상기 제3 코드 및 상기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에 위치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수신된 코드 또는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상기 제3 코드를 전송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 이외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상기 이미지 센서 이외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 신호의 수신 이전에 마지막으로 전송한 코드와 상기 입력 신호를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서버는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 신호의 수신 이전에 마지막으로 수신된 코드에 해당하는 제2 전자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KR1020160089958A 2016-07-15 2016-07-15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879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958A KR101879273B1 (ko) 2016-07-15 2016-07-15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958A KR101879273B1 (ko) 2016-07-15 2016-07-15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107A true KR20180008107A (ko) 2018-01-24
KR101879273B1 KR101879273B1 (ko) 2018-07-17

Family

ID=6102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958A KR101879273B1 (ko) 2016-07-15 2016-07-15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2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228A (ko) * 2018-09-12 2020-03-20 김철회 인공지능스피커와 연동되는 전자펜 시스템
KR20200054154A (ko) * 2020-05-11 2020-05-19 김철회 인공지능스피커의 기능을 조작하는 전자펜 시스템
KR20200054153A (ko) * 2020-05-11 2020-05-19 김철회 마이크로폰으로 인공지능스피커와 연동되는 전자펜 시스템
KR20200054152A (ko) * 2020-05-11 2020-05-19 김철회 인공지능스피커와 연동하여 인터랙티브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전자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011Y1 (ko) * 2002-12-11 2003-03-12 고종택 휴대용 어린이의 학습을 겸한 놀이기구
KR20100041939A (ko) * 2008-10-15 2010-04-23 박인규 음성과 영상의 출력기능을 갖는 학습기 및 그의 서비스 방법
KR20110100770A (ko) * 2010-03-05 2011-09-15 주식회사 티스터디 전자학습지 및 전자펜
KR20130128038A (ko) * 2012-05-16 2013-11-26 백성욱 큐알코드를 활용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자격증 교재
KR101583039B1 (ko) * 2014-12-04 2016-01-19 주식회사 와이비엠솔루션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011Y1 (ko) * 2002-12-11 2003-03-12 고종택 휴대용 어린이의 학습을 겸한 놀이기구
KR20100041939A (ko) * 2008-10-15 2010-04-23 박인규 음성과 영상의 출력기능을 갖는 학습기 및 그의 서비스 방법
KR20110100770A (ko) * 2010-03-05 2011-09-15 주식회사 티스터디 전자학습지 및 전자펜
KR20130128038A (ko) * 2012-05-16 2013-11-26 백성욱 큐알코드를 활용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자격증 교재
KR101583039B1 (ko) * 2014-12-04 2016-01-19 주식회사 와이비엠솔루션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재생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228A (ko) * 2018-09-12 2020-03-20 김철회 인공지능스피커와 연동되는 전자펜 시스템
KR20200054154A (ko) * 2020-05-11 2020-05-19 김철회 인공지능스피커의 기능을 조작하는 전자펜 시스템
KR20200054153A (ko) * 2020-05-11 2020-05-19 김철회 마이크로폰으로 인공지능스피커와 연동되는 전자펜 시스템
KR20200054152A (ko) * 2020-05-11 2020-05-19 김철회 인공지능스피커와 연동하여 인터랙티브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전자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273B1 (ko)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39296A1 (en) Barcode, barcode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879273B1 (ko)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 그 전자펜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스트리밍 출력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46541A1 (en) Apparatus for assisting visually impaired persons to identify persons and objects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CN102449640A (zh) 识别手写单词
US8261967B1 (en) Techniques for interactively coupling electronic content with printed media
KR102554551B1 (ko) 전자펜 및 전자펜의 사용자 인증 방법
KR20170129045A (ko)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용 전자펜과 그 전자펜을 이용한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31158B1 (ko) 인쇄물의 문자위치정보 디지털코드 인쇄 및 제작방법과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인쇄물 및 상기 인쇄물을 인식하는인식장치
KR101946207B1 (ko) 점자 출력 장치
KR101087640B1 (ko) 촉감 제시장치를 이용한 점자 교육 상호작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32635A (ko)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송신 방법
CN210895553U (zh) 盲文读物印制质量自动检查系统和装置
CN102591477A (zh) 一种短句录入的选字方法及装置
KR20180017556A (ko) 전자펜을 이용한 받아쓰기 방법
KR101115434B1 (ko) 한글에 대한 점자를 외국어로 번역하여 오디오로 출력하는방법 및 장치
KR100805259B1 (ko)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
US20130099109A1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reading system
KR20140010604A (ko) 스캔 가능한 식별코드를 이용한 음성학습콘텐츠의 제공방법
KR102249273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저장 방법
JP4775246B2 (ja) 電子ペン及びプログラム
KR101594590B1 (ko) 전자펜을 이용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그의 광고 방법
KR20180010649A (ko) 전자펜을 이용하여 문제의 설명을 단계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KR20120089025A (ko) 스마트 기기의 문서 음성 재생 시스템
CN201527727U (zh) 语音沟通装置及沟通板
McGrew Assistive technology for the vot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