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635A -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635A
KR20090032635A KR1020070098017A KR20070098017A KR20090032635A KR 20090032635 A KR20090032635 A KR 20090032635A KR 1020070098017 A KR1020070098017 A KR 1020070098017A KR 20070098017 A KR20070098017 A KR 20070098017A KR 20090032635 A KR20090032635 A KR 20090032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text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2635A/ko
Publication of KR2009003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은, 키패드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특정 숫자와 점자를 구성하는 6개의 점을 각각 대응시킨 형태로 구성되는 점자식 키패드와 상기 점자식 키패드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점자식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한 점자에 대한 정보를 점자 표시부로 전송하는 점자 입력부와 점자 표현 모듈에 연결되며, 수신한 상기 점자를 표현하도록 점자 표현 모듈을 제어하는 점자 표시부 및 상기 점자 표시부의 제어에 따라 점자 표현 모듈에 위치하는 6개의 점들을 규칙적으로 돌출시키는 점자 표현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송신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ight Disabled and Method of Transmitting Short Message Using th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증가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상기 서비스 중 대표적인 것으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들 수 있다. 근래에 들어 이동 통신 단말에 의한 문자 메시지(text)의 송수신 비중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한 통화 서비스와 함께 이동 통신 단말이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서비스로 자리잡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한 통화 서비스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모두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두 서비스는 각각 정보 전달 수단을 달리하고 있으 므로, 구체적인 서비스의 형태가 다르다.
이동 통신 단말에 의한 통화 서비스가 음성에 의한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것인 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텍스트(text)에 의한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한다. 이동 통신 단말에 의한 통화 서비스가 음성이나 영상(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한 화상 통화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등의 실시간 데이터(real-time data)를 전송한다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한다.
시각적 인지 능력이 부족하거나 결여된 시각 장애인들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시각 장애인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인식한다.
첫째, 음성을 통하여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TTS 기능이 사용된다. TTS(Text-to-Speech: 음성 합성 기능)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음성 합성 애플리케이션이다. TTS 기능이 구현된 이동 통신 단말에서는, 수신한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한 후 이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시킨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은 수신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음성에 의하여 인지할 수 있다.
둘째, 점자를 통하여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에서는 수신한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점자로 변환하고, 이에 대응되게 키패드의 점자를 튀어나오게 하므로써 시각 장애인이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인식시킬 수 있게 한다.
기존에도 시각 장애인은 수신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TTS 기능을 통하여 음 성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문자 메시지의 원래 목적인'텍스트에 의한 감정 및 정보 전달'과는 거리가 있다.
나아가 시각 장애인에게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의 방법은, 수신한 메시지를 출력하는 측면에 국한되어 있다. 즉, 시각 장애인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점자를 통하여 이를 인지할 수 있지만, 단문 메시지를 직접 입력할 수는 없다. 이는 결국 양방향적인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앞서 설명한 TTS 기능을 사용하여, 음성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이 작성하고자 하는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음성으로 말하면, 이동 통신 단말에서는 상기 음성을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음성이라는 전달 수단의 특성상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지켜지지 않는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이 상대방에게 텍스트를 통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 양방향적인 정보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 장애인들도 정상인처럼 텍스트에 의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인이 이동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일반인이 누리는 혜택을 동일하게 누릴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은, 키패드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특정 숫자와 점자를 구성하는 6개의 점을 각각 대응시킨 형태로 구성되는 점자식 키패드와 상기 점자식 키패드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점자식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한 점자에 대한 정보를 점자 표시부로 전송하는 점자 입력부와 점자 표현 모듈에 연결되며, 수신한 상기 점자를 표현하도록 점자 표현 모듈을 제어하는 점자 표시부 및 상기 점자 표시부의 제어에 따라 점자 표현 모듈에 위치하는 6개의 점들을 규칙적으로 돌출시키는 점자 표현 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송신 방법은, 점자식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된 점자에 대한 정보를 점자 표시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한 상기 점자를 표현하도록 점자 표시부가 점자 표현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및 점자 표시부의 제어에 따라 점자 표현 모듈에 위치하는 6개의 점들을 규칙적으로 돌출시키는 단계를 포함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합성 기능(TTS)에 의하지 않고도, 시각 장애인들도 정상인과 동일하게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송신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점자식 키패드(110)와 좌측 상단에 위치하는 점자 표현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점자식 키패드(110)와 점자 표현 모듈(120)이 상기와 같이 위치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경우 점자식 키패드(110)와 점자 표현 모듈(120)은 모두 점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점자는 6개의 점으로 구성되는 시각 장애인의 문자 체계이다. 볼록 튀어나오게 돌출시킨 점을 손가락 끝의 촉각으로 읽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소정 크기를 갖는 6개의 점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하여 문자 및 부호 를 나타낸다. 점자는 일반 문자와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를 지니고 있다. 이하에서는 점자를 구성하는 6개의 점을 각각 제1점, 제2점, 제3점, 제4점, 제5점 및 제6점이라 명명한다.
점자식 키패드(110)는 사용자가 점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키패드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특정 숫자와 각각의 점자 문자를 대응시킨 형태로 구성된다. 점자식 키패드(110)를 구성하는 특정 숫자는 각각 2(111), 5(112), 8(113), 3(114), 6(115), 9(116)이다. 이 경우, 점자식 키패드(110)의 왼쪽 상단에서부터 왼쪽 하단으로 각각 제1점, 제2점, 제3점에 해당하며, 오른쪽 상단에서부터 오른쪽 하단으로 각각 제4점, 제5점, 제6점에 해당한다. 결국 숫자 2(111)는 제1점, 숫자 5(112)는 제2점, 숫자 8(113)은 제3점, 숫자 3(114)은 제4점, 숫자 6(115)은 제5점, 숫자 9(116)는 제6점에 해당한다.
상기 점자식 키패드(110)는 키패드의 특정 숫자에 점을 돌출시킨 형태 또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점자 표현 모듈(120)은 소정 크기를 갖는 6개의 점이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점자 표현 모듈(120)은 단말에 존재하는 전자 회로로 제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점자 표현 모듈(120)이 이동 통신 단말(100)에 부착된 형태를 가정하지만, 상기 점자 표현 모듈(120)은 단말(100)로부터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점자 표현 모듈(120)의 왼쪽 상단에서부터 왼쪽 하단으로 돌출된 점은 각각 제1점(121), 제2점(122), 제3점(123)에 해당하며, 오른쪽 상단에서부터 오른쪽 하 단으로 돌출된 점은 각각 제4점(124), 제5점(125), 제6점(126)에 해당한다.
점자 표현 모듈(120)은 사용자가 점자식 키패드(110)의 6포인트를 점자와 매치시켜 누르는 경우, 후술하는 점자 표시부(230)부의 제어에 따라 규칙적으로 해당하는 6개의 점들을 돌출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가 정확하게 입력된 경우, 점자 표현 모듈(120)을 누른다.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정확하게 입력하였음을 확인하여 점자 표현 모듈(120)을 누르는 경우, 점자 표현 모듈(120)은 후술하는 점자 입력부(220)로 입력한 문자 메시지가 정확하다는 확인 신호를 보낸다. 만일 문자 메시지가 정확하게 입력되지 않은 경우라면, 사용자는 점자 표현 모듈(120)을 누르지 않는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사용자가 점자 표현 모듈을 누르지 않으면, 점자 표현 모듈(120)은 점자 입력부(220)로 입력한 문자 메시지를 삭제하라는 신호를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중앙 처리부(210), 점자 입력부(220), 점자 표시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앙 처리부(210)는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한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점자로 변환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점자를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문자 메시지 텍스트를 자음과 모음으로 순서대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문자를 순서에 맞추어 점자 신호로 변환한다. 이 경우 중앙 처리부(210)는 텍스트와 점자간의 상호 변환시, 저장부(240)에 저장된 규칙을 참조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처리부(210)는 수신한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점자로 변환한 경우, 변환된 점자에 대한 정보를 점자 표시부(230)로 전송한다. 이 경우 후술하는 것처럼, 점자 표시부(230)는 상기 수신한 점자를 표현하도록 점자 표현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점자 입력부(220)는 점자식 키패드(1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점자식 키패드(110)를 통하여 입력한 점자에 대한 정보를 점자 표시부(230)로 전송한다. 또한 점자 표현 모듈(120)로부터 입력한 문자 메시지가 정확하다는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점자에 대한 정보를 중앙 처리부(210)로 전송한다.
점자 표시부(230)는 점자 표현 모듈(120)에 위치하는 6개의 점들을 규칙적으로 돌출시키도록 점자 표현 모듈(120)을 제어한다. 점자 표시부(230)는 중앙 처리부(210)로부터 수신한 변환된 점자에 대한 정보 또는 점자 입력부(220)가 전송한 점자에 대한 정보를 표현하도록 점자 표현 모듈(120)을 제어하며, 이를 위해 단말(100) 정면에 부착된 점자 표현 모듈(12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점자 입력부(220)와 점자 표시부(230)는 시각 장애인이 문자 메시지를 정확하게 입력했는지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호 연동된다. 이에 대해서는 점자 입력부(220)와 점자 표시부(230)간 연동을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 3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저장부(240)는 표준 점자 규정에 의거하는 점자 규칙을 저장할 수 있다. 상 기 점자 규칙은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숫자 및 영어의 알파벳에 각각 대응하는 점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점자 규칙은 가로 2점, 세로 3점의 총 6점 방식을 채택하여 64개의 점형을 이용한다.
상기 규칙은 6점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 영어 알파벳등을 표시하며, 하나의 문자는 풀어쓰기 방식을 통하여 자음과 모음으로 순서대로 표기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40)는 수신한 문자 메시지나 변환된 점자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저장된 상기 문자 메시지나 점자는, 이후 중앙 처리부(210)나 점자 표시부(230)에 전송된다.
이제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과 문자 메시지 표시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구성하는 점자 입력부와 점자 표시부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점자식 키패드(110)를 통하여 입력한 문자 메시지는 실시간으로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 작성 중에, 자신이 입력한 문자가 정확한지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시각 장애인은 자신이 작성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문자 메시지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점자 입력부(220)와 점자 표시부(230)간 상호 연동 에 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문자 메시지의 입력 과정과, 입력한 문자 메시지의 확인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대게 사용자는 오른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점자를 입력하는 점자식 키패드(110)는 단말(100)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고, 손가락을 갖다대어 돌출한 점자를 인식하는 점자 표현 모듈(120)은 단말(100)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다. 따라서 왼손을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해, 점자식 키패드(110)는 단말(100)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고 점자 표현 모듈(120)은 단말(100)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100)의 점자식 키패드(110)를 눌러 문자 메시지를 점자의 형태로 입력한다(S301). 상기 점자식 키패드(110)는 점자 입력부(220)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점자식 키패드(110) 하단에는 메탈돔이라는 구조물이 위치한다. 사용자가 점자식 키패드(110)를 누르는 경우, 상기 메탈돔이 메탈돔 하부에 위치하는 전자 회로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점자 입력부(220)는 입력된 문자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문자 메시지가 입력되면, 점자 입력부(220)는 입력된 점자에 대한 정보를 점자 표시부(230)로 전송한다(S302).
점자 표시부(230)는 수신한 점자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특정한 점자를 돌출시키도록 점자 표현 모듈(120)을 제어한다(S303). 점자 표시부(230)의 제어에 의하여 점자 표현 모듈(120)에 위치한 특정 점자가 규칙적으로 튀어나오며, 사용자는 점자 표현 모듈(120)에 손가락을 가져다대어 이를 인지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문자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 확인하고, 문자가 정확하게 입력된 경우 점자 표현 모 듈(120)을 누른다.
점자 표현 모듈(120)은 사용자가 점자 표현 모듈을 눌렀는지 판단한다(S304). 사용자가 점자 표현 모듈(120)을 누른 경우, 점자 표현 모듈(120)은 입력한 문자 메시지가 정확하다는 확인 신호를 점자 입력부(220)에 전송한다(S305). 그러나 사용자가 점자 표현 모듈(120)을 누르지 않은 경우라면, 점자 표현 모듈(120)은 입력한 문자 메시지를 삭제하라는 신호를 점자 입력부(220)로 전송한다(S306).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문자 메시지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다는 것이 확인되면, 점자 입력부(220)는 문자 메시지를 중앙 처리부(210)에 전송한다(S307).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한 문자 메시지 송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송신하고자 하는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단말(100)에 위치하는 점자식 키패드(110)를 통하여 입력한다(S401).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점자식 키패드(110)의 6포인트를 점자와 매치시켜 누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시 보내주세요."라는 텍스트를 입력한다고 가정하자. 사용자는 제일 먼저"다"라는 문자를 입력하게 되는데, 상기"다"라는 문자는 자음"ㄷ"과 모음"ㅏ" 로 구성되어 있다. 한글 점자 규칙에 의할 때, 자음"ㄷ"은 제2점과 제4점이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고, 모음"ㅏ" 는 제1점, 제2점 및 제6점이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다. 이렇게 점자를 구성하는 6개의 점 중 해당하는 점들을 동 시에 눌러줌으로써 점자 문자를 입력하는데, 이때 점자 문자를 나타내는 각각의 조합을 코드(Chord)라 부른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점과 제4점으로 구성되는 코드와 제1점, 제2점 및 제6점으로 구성되는 코드를 순서대로 눌러"다"라는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즉, 점자식 키패드(110)에서 제2점 및 제4점을 표현하는 숫자 5(112)와 3(114)을 동시에 누르고, 이어서 제1점, 제2점 및 제6점을 표현하는 숫자 2(111), 5(112) 및 9(116)를 동시에 누른다.
사용자가 점자식 키패드(110)를 누르면, 이에 연결된 점자 입력부(220)에 사용자가 송신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다(S402). 이 경우 점자 입력부(220)는 입력된 점자에 대한 정보를 점자 표시부(230)로 전송한다(S403).
점자 표시부(230)는 점자 입력부(220)로부터 수신한 점자 정보에 따라서, 특정한 점자를 돌출시키도록 점자 표현 모듈(120)을 제어한다(S404). 이 경우 점자 표현 모듈(120)에서 해당하는 점들이 튀어 나온다. 예를 들어, 상기 S401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다시 보내주세요."라는 텍스트를 점자 표현 모듈(120)을 통하여 출력하는 경우, 제2점(122) 및 제4점(124)을 동시에 돌출시키고, 이어서 제1점(121), 제2점(122) 및 제6점(126)을 동시에 돌출시킨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점자 표현 모듈(120)을 통하여 입력한 문자를 확인한다(S405).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점자 표현 모듈(120)에 왼손을 가져다 댄 경우, 제2점과 제4점이 동시에 돌출되면 사용자는 이것을"ㄷ"으로 인식한다.
사용자는 문자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406). 만일 입력된 내용이 정확하면, 사용자는 점자 표현 모듈(120)을 누른다(S407).
그러나 문자가 정확하게 입력되어 있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점자 표현 모듈(120)을 누를 필요가 없다. 점자 표현 모듈(120)을 누르지 않은 채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도 3에서 전술하였듯이 점자 표현 모듈(120)은 입력된 텍스트를 삭제하라는 신호를 점자 입력부(220)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잘못 입력된 텍스트는 삭제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S401 단계로 되돌아가 문자를 다시 입력하게 된다.
결국 S407 단계까지 거치면, 사용자의 확인을 거쳐 잘못 입력된 텍스트는 삭제되고 정확하게 입력된 텍스트만이 남는다. 남은 텍스트는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송신할 문자 메시지로 확정되며, 이 경우 점자 입력부(220)는 확정된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중앙 처리부(210)로 전송한다(S408).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한 문자 메시지 수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100)이 다른 단말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으로 절차는 시작된다(S501).
단말(100)의 중앙 처리부(210)는 수신한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점자로 변환한다(S502). 구체적으로 문자 메시지 텍스트를 자음과 모음으로 순서대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문자를 순서에 맞추어 점자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중앙 처리부(210)는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점자로 변환한 경우, 변환된 점자에 대한 정보를 점자 표시부(230)로 전송한다(S503). 이 경우 점자 표시 부(230)는 상기 수신한 점자 정보에 따라 특정한 점자를 돌출시키도록 점자 표현 모듈(120)을 제어한다(S504).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이 파악하고자 하는 문자 메시지나 기타 텍스트들을 인식 가능한 일정한 타이밍으로 점자로 표현해 주어, 시각 장애인이 손가락을 가져다 대어 이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점자 표현 모듈을 통하여 수신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한다(S505).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구성하는 점자 입력부와 점자 표시부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한 문자 메시지 송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한 문자 메시지 수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점자식 키패드 120: 점자 표현 모듈
220: 점자 입력부 230: 점자 표시부

Claims (15)

  1. 이동 통신 단말에 있어서,
    키패드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특정 숫자와 점자를 구성하는 6개의 점을 각각 대응시킨 형태로 구성되는 점자식 키패드;
    상기 점자식 키패드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점자식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한 점자에 대한 정보를 점자 표시부로 전송하는 점자 입력부;
    점자 표현 모듈에 연결되며, 수신한 상기 점자를 표현하도록 점자 표현 모듈을 제어하는 점자 표시부; 및
    상기 점자 표시부의 제어에 따라 점자 표현 모듈에 위치하는 6개의 점들을 규칙적으로 돌출시키는 점자 표현 모듈을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한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점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점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점자 표시부로 전송하는 중앙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표현 모듈은,
    사용자가 상기 점자 표현 모듈을 누르는 경우, 입력한 문자 메시지가 정확하다는 확인 신호를 상기 점자 입력부에 전송하는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표현 모듈은,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사용자가 상기 점자 표현 모듈을 누르지 않은 경우, 입력한 문자 메시지를 삭제하라는 신호를 상기 점자 입력부에 전송하는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식 키패드는,
    키패드의 특정 숫자에 점을 돌출시킨 형태 또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성되는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식 키패드는 단말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점자 표현 모듈은 단말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는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식 키패드는 단말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점자 표현 모듈은 단말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식 키패드 또는 상기 점자 표현 모듈은,
    왼쪽 상단에서부터 왼쪽 하단으로 각각 제1점, 제2점, 제3점에 대응되며, 오른쪽 상단에서부터 오른쪽 하단으로 각각 제4점, 제5점, 제6점에 대응되게 구성되는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9. 점자식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된 점자에 대한 정보를 점자 표시부로 전송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점자를 표현하도록 점자 표시부가 점자 표현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및
    점자 표시부의 제어에 따라 점자 표현 모듈에 위치하는 6개의 점들을 규칙적 으로 돌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송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점자식 키패드의 특정 위치를 누르거나 접촉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특정 점들을 인식하고, 이로부터 입력된 점자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송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표시부가 점자 표현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수신한 점자 정보를 참조하여, 점자를 나타내는 점들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돌출시키도록 제어하는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송신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점자 표현 모듈을 누르는 경우, 입력한 문자 메시지가 정확하다는 확인 신호를 상기 점자 입력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송신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사용자가 상기 점자 표현 모듈을 누르지 않은 경우, 입력한 문자 메시지를 삭제하라는 신호를 상기 점자 입력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송신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입력한 문자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중앙 처리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송신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다른 단말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문자 메시지를 점자 표현 모듈을 통하여 점자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송신 방법.
KR1020070098017A 2007-09-28 2007-09-28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송신 방법 KR20090032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017A KR20090032635A (ko) 2007-09-28 2007-09-28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송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017A KR20090032635A (ko) 2007-09-28 2007-09-28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송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635A true KR20090032635A (ko) 2009-04-01

Family

ID=4075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017A KR20090032635A (ko) 2007-09-28 2007-09-28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송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26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17B1 (ko) * 2014-12-01 2015-06-05 길주형 현장용 스마트 용존산소 분석기
KR101526212B1 (ko) * 2014-12-01 2015-06-05 길주형 현장용 스마트 잔류염소 분석기
KR101527424B1 (ko) * 2014-12-01 2015-06-09 길주형 현장용 스마트 전도도분석기
WO2019151809A1 (ko) * 2018-01-31 2019-08-08 주식회사 브레일리스트 점자입력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17B1 (ko) * 2014-12-01 2015-06-05 길주형 현장용 스마트 용존산소 분석기
KR101526212B1 (ko) * 2014-12-01 2015-06-05 길주형 현장용 스마트 잔류염소 분석기
KR101527424B1 (ko) * 2014-12-01 2015-06-09 길주형 현장용 스마트 전도도분석기
WO2019151809A1 (ko) * 2018-01-31 2019-08-08 주식회사 브레일리스트 점자입력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1545B2 (en) Hand-held communication aid for individuals with auditory, speech and visual impairments
US6230135B1 (en) Tact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5619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s to displa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3345379A6 (ja) 音声映像変換装置及び方法、音声映像変換プログラム
US8666444B2 (en) Multiple-mode input keypad
CN108475476B (zh) 通过布莱叶点字法发送和接收信息的手套形式的设备和方法
KR20090032635A (ko) 시각 장애인용 이동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송신 방법
Xue et al. Mobile motion gesture design for deaf people
US20080043934A1 (en) Communication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KR101946207B1 (ko) 점자 출력 장치
US20110116608A1 (en) Method of providing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a deaf person and a hearing person
KR100789769B1 (ko) 차량용 문자 메시지 전송 장치
KR101038727B1 (ko) 라틴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20010039239A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JP2000134301A (ja) 通話システム
KR101115434B1 (ko) 한글에 대한 점자를 외국어로 번역하여 오디오로 출력하는방법 및 장치
KR102496398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 페어링되어 음성-텍스트를 변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40715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365017B1 (ko) 단축한글조합방법 및 장치
JP2018185777A (ja) 視覚障害発想の文字入力や機器操作
TWI227416B (en) Method and module for inputting Chinese words in a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1922615B1 (ko) 외국어 발음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50029268A (ko) 장애인 지원을 위한 휴대 단말
WO2016108780A1 (en) A mobile device for enabling visually-impaired users to make text entry
KR1005507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의 글자체로 문자 메시지를전송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