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094A -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094A
KR20180008094A KR1020160089930A KR20160089930A KR20180008094A KR 20180008094 A KR20180008094 A KR 20180008094A KR 1020160089930 A KR1020160089930 A KR 1020160089930A KR 20160089930 A KR20160089930 A KR 20160089930A KR 20180008094 A KR20180008094 A KR 20180008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unit
laser output
human body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320B1 (ko
Inventor
임재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루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루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루다
Priority to KR1020160089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3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8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57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9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2039/005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by means of electromagnetic waves, e.g. I.R., U.V. 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Suction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단이 개방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형성하는 흡입수단이 연결된 음압형성부와, 상기 음압형성부 내면의 일측에 부착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음압형성부 내면의 타측에 부착되고 상기 제1전극부의 전극과 반대되는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부와 고주파 전류를 발생하는 제2전극부로 이루어져 인체환부에 심부온열을 가하는 고주파발생부와, 상기 음압형성부의 중심 상부에 설치되어 경혈 자극용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제1레이저출력부 및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의 양측에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와 이격 설치되어 인체환부에 심부온열을 가하는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제2레이저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DEVICE FOR MOXIBUSTION AND ACUPUNCTURE IN ORIENTAL MEDICINE USING LASER AND RADIO FREQUENCY}
본 발명은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환부에 음압을 가해 부항을 뜨면서, 레이저 및 고주파로 심부까지 온열을 가하는 등의 뜸 치료는 물론 레이저로 경혈을 자극하여 침까지 놓을 수 있는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뜸 치료 요법은 쑥 등의 재료로 만들어진 뜸을 경혈 등에 놓고 태우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자극으로 이용하여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이다.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쑥을 이용한 뜸 치료 요법은 온도조절이 어려워 환자의 피부에 화상 및 흉터를 유발하는 위험이 존재하고, 쑥의 연소로 인해 매캐한 냄새와 연기를 유발하고, 정량적인 시술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쑥뜸의 시술은 질병의 치유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들뿐만 아니라 한의사들에게도 꺼려져 왔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뜸 치료 요법과 동일한 열자극을 유발하면서 화상의 위험이나 매캐한 냄새 및 연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항상 정량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를 이용한 뜸 치료 장치에 대하여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뜸 치료와 함께 환자의 통증을 해소하기 위하여 인체환부의 경혈을 자극하는 침 치료가 널리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전통침의 시술은 감염의 위험이 있고, 통증에 대한 거부감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 전기침 및 비침습 방식의 레이저 침이 그에 대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침의 경우 기존 전통침과 같이 감염과 통증에 대한 부담감이 여전히 존재하고, 비침습 방식의 레이저 침은 레이저 빔이 경혈까지 도달하기 힘들어 그 효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64369호
본 발명은 인체환부에 음압을 가하여 부항을 뜨면서, 저준위레이저로 생체조직을 활성화 시켜 통증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고주파로 안전하고 유효한 심부온열을 가하고, 레이저로 동시에 여러곳의 경혈을 정확하게 자극하여 뜸을 뜨고 침까지 놓을 수 있는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는, 하단이 개방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형성하는 흡입수단이 연결된 음압형성부와, 상기 음압형성부 내면의 일측에 부착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음압형성부 내면의 타측에 부착되고 상기 제1전극부의 전극과 반대되는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부와 고주파 전류를 발생하는 제2전극부로 이루어져 인체환부에 심부온열을 가하는 고주파발생부와, 상기 음압형성부의 중심 상부에 설치되어 경혈 자극용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제1레이저출력부 및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의 양측에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와 이격 설치되어 인체환부에 심부온열을 가하는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제2레이저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주파발생부는, 상기 음압형성부의 내측면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 또는 제2레이저출력부는, 인체에 시술 가능한 파장 대역의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을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콜리메이팅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 또는 제2레이저출력부는, 인체환부로 출력되는 레이저의 파장 또는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 또는 제2레이저출력부는, 인체환부로 출력되는 레이저의 직경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이저출력부는, 인체환부에 LLLT(Low Level Laser Therapy)를 진행하도록 저출력 레이저 빔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는 저준위레이저로 생체조직을 활성화 시켜 통증을 완화시키고, 고주파로 안전하고 유효한 심부온열을 가하면서, 레이저로 동시에 여러곳의 경혈을 정확하게 자극하여 뜸을 뜨고 침까지 놓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환부에 음압을 가하여 부항을 뜨면서 레이저 침의 시술이 이루어져 레이저 빔의 침투 깊이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레이저 빔의 조사시간, 출력, 파형, 빔 사이즈, 깊이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인체환부에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인체환부에 부착된 음압형성부에 음압이 형성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제2레이저출력부에서 인체환부를 향해 레이저가 조사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제1레이저출력부에서 인체환부를 향해 레이저가 조사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인체환부에 부착된 음압형성부에 음압이 형성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제2레이저출력부에서 인체환부를 향해 레이저가 조사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제1레이저출력부에서 인체환부를 향해 레이저가 조사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는 인체환부(10)에 음압을 가하여 부항을 뜨면서, 뜸을 뜨고 침까지 놓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는 음압형성부(100)와, 고주파발생부(200)와, 제1레이저출력부(310) 및 제2레이저출력부(320)를 포함한다.
먼저, 음압형성부(100)는 하단이 개방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형성하는 흡입수단(400)이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음압형성부(100)는 흡입수단(400)과 연결되는 상부는 막히고, 인체환부(10)와 접촉하는 하부는 개방된 용기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음압형성부(100)의 상부에는 내부공기가 빠져나가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는 흡입수단(400)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흡입수단(400)은 상기 배출구에 끼워져 음압형성부(100)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통해 음압형성부(100)의 내부 공기를 상기 음압형성부(100)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펌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음압형성부(100)의 내부에는 압력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는 음압형성부(100) 내부 공간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신호를 펌프제어부로 전송한다. 이후, 펌프제어부는 입력된 압력신호에 따라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음압형성부(100)의 내압을 기설정된 적정압력으로 유지시킨다.
한편, 고주파발생부(200)는 상기 음압형성부(100) 내면의 일측에 부착되는 제1전극부(210) 및 상기 음압형성부(100) 내면의 타측에 부착되고 상기 제1전극부(210)의 전극과 반대되는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부(210)와 고주파 전류를 발생하는 제2전극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전극부(210)에서 인체환부(10)로 고주파신호가 발산되고, 인체환부(10)를 통과한 고주파신호가 제2전극부(220)로 수렴되면서 인체환부(10)에 고주파발진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고주파발진에 의해 인체환부(10)에 집중적인 가열이 이루어지면서 경혈부위에 뜸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전극부(220)에서 고주파신호가 발산되고, 제1전극부(210)로 고주파신호가 수렴되면서 발생하는 고주파발진에 의해 인체환부(10)의 가열이 이루어져 경혈부위에 뜸 시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주파발생부(200)는, 상기 음압형성부(100)의 내측면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부(210)와 제2전극부(220) 사이에는 유격(2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전극부(210) 및 제2전극부(220)는 음압형성부(100)의 내면에 박막의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부(210) 및 제2전극부(220) 사이에는 유격(230)이 형성된 상태이며, 인체환부(10)가 도체의 역할을 하면서 제1전극부(210)와 제2전극부(220)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전극부(210) 및 제2전극부(220)가 음압형성부(100)의 내면에 박막의 형태로 부착되면, 음압형성부(100)에 의해 음압이 가해지면서 인체환부(10)의 부항이 시술될 때 인체환부(10)가 볼록하게 융기되면서 음압형성부(100) 내부로 인체환부(10)가 돌출되더라도 제1전극부(210) 및 제2전부(220)와 인체환부(1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기 않아 부항 시술이 용이하다.
나아가, 후술되는 제1레이저출력부(310) 및 제2레이저출력부(320)에서 음압형성부(100) 내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인체환부(10)로 레이점 빔(L1,L2)을 출력할 경우에도, 제1전극부(210) 및 제2전극부(220)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레이저빔(L1,L2)이 인체환부(10)로 조사될 수 있다.
제1레이저출력부(310)는 상기 음압형성부(100)의 중심 상부에 설치되어 경혈 자극용 레이저 빔(L1)을 출력하고, 제2레이저출력부(320)는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310)의 양측에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310)와 이격 설치되어 인체환부(10)에 심부온열을 가하는 레이저 빔(L2)을 출력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310)는 인체환부(10)에 레이저 침을 시술하기 위해 경혈을 자극하는 레이저 빔(L1)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레이저출력부(310)에서 출력된 레이저 빔(L1)은 인체환부에 시술되는 침의 단면과 유사하게 작은 직경을 갖는 선(line)의 형태를 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310)에서 출력된 레이저 빔(L1)은 경혈을 자극하기 위해 제2레이저 출력부(320)에서 출력된 레이저 빔(L2)에 비해 높은 강도를 갖을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레이저출력부(320)는 인체환부(10)를 온열시켜 생체조직을 활성화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제2레이저출력부(320)에서 출력된 레이저 빔(L2)은 인체환부(10)에 온열을 가하도록 제1레이저출력부(310)에서 출력된 레이저 빔(L1)에 비해 비교적 넓은 직경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제2레이저출력부(320)에서 출력된 레이저 빔(L2)은 제1레이저출력부(310)에서 출력된 레이저 빔(L1)에 비해 낮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에 따르면, 제2레이저출력부(320)에서 출력된 레이저 빔(L2)을 통해 인체환부(10)의 생체조직을 활성화 시켜 통증을 완화시키고, 전술한 고주파발생부(200)에서 발생된 고주파로 안전하고 유효한 심부온열을 가하면서, 제1레이저출력부(310)에서 출력된 레이저 빔(L1)으로 동시에 여러곳의 경혈을 정확하게 자극하여 온열자극 및 침자극을 동시에 가할 수 있어 시술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음압형성부(100)를 이용해서 인체환부(10)에 음압을 가해 부항을 뜨면서 레이저 침의 시술이 이루어져 레이저 빔의 침투 가능 깊이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310) 또는 제2레이저출력부(320)는, 인체에 시술 가능한 파장 대역의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을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콜리메이팅 렌즈(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330)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이 퍼지지 않고 간섭성(coherence) 평행광이 되도록 변환하여 출력한다.
변형예로,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310) 또는 제2레이저출력부(320)는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330)에서 출력된 간섭성 평행광 광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중성농도(ND) 필터 및 레이저 빔을 집광시키는 대물렌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성농도 필터와 대물렌즈 사이에는 레이저 빔을 원하는 주파수로 잘라주는 쵸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강한 레이저 빔을 연속적으로 조사했을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에너지의 크기가 커져 환부에 화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쵸퍼를 사용하여 레이저 빔을 일정한 크기의 주파수로 잘라주어 화상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2레이저출력부(310,320)의 레이저 다이오드에서는 적색의 레이저빔이 출력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310) 또는 제2레이저출력부(320)는, 인체환부(10)로 출력되는 레이저의 파장 또는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40)는 레이저 빔을 발생하도록 구비된 제1,2레이저출력부(310,320)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다이오드는 상기 제어부(34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소정 세기의 레이저 빔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2레이저출력부(310,320)의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은 케이블 등을 통해 전달된 후 인체환부(10)를 향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레이저 빔의 조사시간, 출력, 파형, 빔 사이즈, 깊이 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제어부(340)의 역할로 인체환부(10)에 더욱더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310) 또는 제2레이저출력부(320)는, 인체환부(10)로 출력되는 레이저 빔(L1,L2)의 직경을 조절하는 조절수단(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수단(350)은 레이저 빔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절수단(350)은 구멍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리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절수단(3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레이저출력부(320)는, 인체환부(10)에 LLLT(Low Level Laser Therapy)를 진행하도록 저출력 레이저 빔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환부(10)에 저준위레이저가 조사되고, 조사된 저준위레이저에 의해 생체조직이 활성화되면서 통증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제1레이저출력부(310)에서 출력된 레이저 빔(L1)으로 경혈을 자극하면, 온열자극 및 침자극이 동시에 가해질 수 있어 시술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를 이용한 시술과정의 일례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환부(10)에 음압형성부(100)를 부착시키고, 흡입수단(400)을 통해 음압형성부(100) 내에 음압을 형성하여 인체환부(10)에 부항을 뜬다. 상기와 같이 부항을 뜨면, 인체환부(10)는 상부로 볼록하게 융기되며, 음압형성부(100) 내부로 돌출된다.
이때, 고주파발생부(200)의 제1전극부(210)와 제2전극부(220)는 음압형성부(100)의 내측면에 박막의 형태로 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인체환부(10)가 고주파발생부(200)에 전혀 간섭받지 않고 볼록하게 융기될 수 있다.
이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주파발생부(200)에 의해 인체환부(10)에서 고주파발진이 가해지고, 제2레이저출력부(320)에 의해 저준위레이저가 인체환부(10)를 향해 출력되면 고주파와 저준위레이저에 의해 인체환부(10)의 보다 깊은 곳까지 온열이 가해지면서 생체조직의 활성화된다.
그러고 나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레이저출력부(310)로부터 레이저 침이 인체환부(10)로 출력되면 인체환부(10)의 경혈이 자극되면서, 인체환부(10)에 부항, 뜸, 침 시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흡입수단(400)을 이용해서 음압형성부(100)의 내압을 조절하여 음압형성부(100)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인체환부(10)의 융기 높이를 조절하거나, 제어부(340)를 이용해서 제1레이저출력부(31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빔(L1)의 세기 등을 조절하여 인체환부(10)의 피부 밑으로 투과되는 레이저 빔(L1)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인체환부
100 : 음압형성부
200 : 고주파발생부
210 : 제1전극부
220 : 제2전극부
230 : 유격
310 : 제1레이저출력부
320 : 제2레이저출력부
330 : 콜리메이팅 렌즈
340 : 제어부
350 : 조절수단
400 : 흡입수단

Claims (6)

  1. 인체환부에 심부온열을 가하고 경혈을 자극하도록 구성된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에 있어서,
    하단이 개방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을 형성하는 흡입수단이 연결된 음압형성부;
    상기 음압형성부 내면의 일측에 부착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음압형성부 내면의 타측에 부착되고 상기 제1전극부의 전극과 반대되는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부와 고주파 전류를 발생하는 제2전극부로 이루어져 인체환부에 심부온열을 가하는 고주파발생부;
    상기 음압형성부의 중심 상부에 설치되어 경혈 자극용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제1레이저출력부; 및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의 양측에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와 이격 설치되어 인체환부에 심부온열을 가하는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제2레이저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발생부는, 상기 음압형성부의 내측면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 또는 제2레이저출력부는:
    인체에 시술 가능한 파장 대역의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을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콜리메이팅 렌즈;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 또는 제2레이저출력부는:
    인체환부로 출력되는 레이저의 파장 또는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저출력부 또는 제2레이저출력부는:
    인체환부로 출력되는 레이저의 직경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이저출력부는, 인체환부에 LLLT(Low Level Laser Therapy)를 진행하도록 저출력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KR1020160089930A 2016-07-15 2016-07-15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KR101877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930A KR101877320B1 (ko) 2016-07-15 2016-07-15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930A KR101877320B1 (ko) 2016-07-15 2016-07-15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094A true KR20180008094A (ko) 2018-01-24
KR101877320B1 KR101877320B1 (ko) 2018-07-11

Family

ID=6102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930A KR101877320B1 (ko) 2016-07-15 2016-07-15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32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3201A (zh) * 2018-12-29 2019-06-04 蔡敬海 中医全息医学经络排瘀毒治疗系统
CN110236939A (zh) * 2019-07-10 2019-09-17 重庆医药高等专科学校 一种穴位注射多功能仪器
KR20190139434A (ko) 2018-06-08 2019-12-18 주식회사 케이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CN110613610A (zh) * 2019-10-14 2019-12-27 徐立娜 一种中医内科用充电式拔罐针灸双用装置
KR102118901B1 (ko) 2019-12-06 2020-06-04 주식회사 케이 분할 전극 방식의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KR20200126724A (ko) * 2019-04-30 2020-11-0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기계학습을 이용한 레이저침 시스템
TWI737209B (zh) * 2020-03-06 2021-08-21 林忠信 拔罐杯及其施作容器總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786B1 (ko) 2020-05-29 2022-11-03 공홍진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798B1 (ko) * 2006-02-28 2008-08-27 전용규 피부 관리장치의 어플리케이터의 구동방법
KR20090124109A (ko) * 2008-05-29 2009-12-03 하전호 진공흡입방식의 발모촉진 두피마사지기
KR101010957B1 (ko) * 2008-07-18 2011-01-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채널 레이저 침 시스템
KR101136201B1 (ko) * 2008-12-23 2012-04-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압조절이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
KR20110045584A (ko) * 2009-10-27 2011-05-04 나노이엠(주) 레이저 한방 쑥뜸 치료기 및 그 방법
RU2015141708A (ru) * 2013-03-01 2017-04-06 Клокс Текнолоджиз Инк. Фот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и применение
KR200475326Y1 (ko) * 2014-04-30 2014-11-24 (주)에스제이글로벌 복합적 자극이 가능한 원터치형 부항 컵
KR20160000789U (ko) * 2014-08-29 2016-03-09 최동환 부항기능을 가지는 복합기능 물리치료기
KR101585151B1 (ko) * 2015-08-31 2016-01-13 (주)에스디생명공학 맞춤형 복합자극이 가능한 피부 기능 개선용 입체 음압 복합 자극기 모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9434A (ko) 2018-06-08 2019-12-18 주식회사 케이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CN109833201A (zh) * 2018-12-29 2019-06-04 蔡敬海 中医全息医学经络排瘀毒治疗系统
KR20200126724A (ko) * 2019-04-30 2020-11-0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기계학습을 이용한 레이저침 시스템
CN110236939A (zh) * 2019-07-10 2019-09-17 重庆医药高等专科学校 一种穴位注射多功能仪器
CN110613610A (zh) * 2019-10-14 2019-12-27 徐立娜 一种中医内科用充电式拔罐针灸双用装置
KR102118901B1 (ko) 2019-12-06 2020-06-04 주식회사 케이 분할 전극 방식의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TWI737209B (zh) * 2020-03-06 2021-08-21 林忠信 拔罐杯及其施作容器總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320B1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320B1 (ko)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US10532219B2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wounds and skin medical conditions at a predetermined skin area of a human body
US11464993B2 (en) Device including RF source of energy and vacuum system
KR101686783B1 (ko)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휴대용 피부 미용기
US20070219604A1 (en) Treatment of tissue with radiant energy
US201602208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kin treatment
CN108992243B (zh) 基于改进的溶液滴入吸收装置的角膜治疗装置
JP2009502413A (ja) 皮膚の真空補助式医療処置中に痛み信号を抑制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US105686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mulating cellulite reduction with femtosecond laser irradiation
US20090062724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onodynamic therapy
US20100305666A1 (en) Induction device for photodynamic therapy and diagnosis
KR102409168B1 (ko) 석션형 고주파 미용기기
RU21533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мплексного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предстательной железы
JP7169688B2 (ja) 美容に使用する複合電極パッドを用いた美容機器
KR101547143B1 (ko) 초음파 빔포밍 기술을 이용한 비침습 경혈 자극기
KR20160069399A (ko) 뜸 치료용 초음파 변환기
KR100914277B1 (ko) 침습형 광섬유 온열자극장치
CN110652446A (zh) 一种穴位治疗装置
KR102190881B1 (ko) 복합파장 및 프로그램화된 스캔핸드피스를 사용한 고강도 통증치료용 레이저장치
Schikora Laserneedle acupuncture: a critical review and recent results
KR20100092077A (ko) 의학 치료용 멀티 레이저 장치
KR200321359Y1 (ko) 광선 및 온열 자극치료기
KR101769392B1 (ko) 파장형 led조사기구
KR20210066961A (ko) Led 및 탄소세라믹이 형성된 돔형 온열기구
KR20190097362A (ko)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방식을 적용한 피부 미용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