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786B1 -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 - Google Patents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786B1
KR102462786B1 KR1020200065259A KR20200065259A KR102462786B1 KR 102462786 B1 KR102462786 B1 KR 102462786B1 KR 1020200065259 A KR1020200065259 A KR 1020200065259A KR 20200065259 A KR20200065259 A KR 20200065259A KR 102462786 B1 KR102462786 B1 KR 102462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power
connector
uni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7676A (ko
Inventor
공홍진
김점술
Original Assignee
공홍진
김점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홍진, 김점술 filed Critical 공홍진
Priority to KR102020006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786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9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2Optical stimulation for exciting neu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2039/005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by means of electromagnetic waves, e.g. I.R., U.V. 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Neurosurge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국소부위에 레이저를 가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레이저 패치침에 있어서, 레이저를 발산하는 레이저 헤드부(100)와, 상기 레이저 헤드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0)와, 상기 전원공급부(500)와 상기 헤드부(100) 사이에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중계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Pad type laser acupuncture point stimulator}
본 발명은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소 부위에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시술 가능하도록 패드형 구조를 형성하면서 레이저 조사를 통해 경혈을 자극할 수 있는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침술은 여러 크기와 재질의 침으로 인체의 경혈에 자극을 주어 인체의 기혈을 조절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시술이다.
침술의 자극 부위는 증상에 따라 다르며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이 있다. 침술의 종류는 손을 자극하는 수지침, 귀를 자극하는 이침, 발을 자극하는 족침, 신체 전체를 자극 대상으로 하는 체침 및 약한 전류를 통과시켜 침 자극과 함께 전기 자극을 주는 전침 등이 있다.
침술은 몸 안에서 기혈이 순환하는 통로인 경락에서 침을 놓기 적당한 자리로 일컫는 경혈을 바늘로 자극하여 시술되며 이러한 치료방법은 오랜 세월 수많은 책자와 사람을 통해 계승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의학의 의학적 치료 방향이 비침습 또는 비수술의 방법을 연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고 복강경 및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에 대한 환자들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는 추세와 달리 침술은 여전히 외과적인 침습(invasion) 방법에 의해 시술되고 있다.
기존의 침술은 출혈 및 자침 부위의 감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자침 시 통증에 대한 환자의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침습적 시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자침 시 통증이 없으며 감염 및 출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방식의 침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저출력 레이저(low level laser, LLL)는 특정 파장 범위에 따라, 통증 완화, 혈류 개선, 혈류 강화, 피부재생, 세포 활성화, 지방 분해, 그리고 세포 자극 등의 다양한 효과들이 있는 것으로 여러 임상 자료를 통해 알려져 있다.
특히, 피부 조직의 파괴, 의도적 손상 또는 괴사 목적으로 사용되는 고출력 레이저에 비해, 저출력레이저는 상대적으로 안전하면서도 신진대사 촉진과 세포 활성화, 그리고 면역력 상승의 효과를 갖고 있어, 손상된 세포 조직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특히, 특정 파장대의 저출력 레이저를 경혈에 선택적으로 조사하면 침 또는 뜸 치료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여, 피부나 근육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환부 완치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1253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043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773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4714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저 조사를 통해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경혈 부위를 자극하는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국소 부위에 시술 가능하도록 패드형 구조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국소 부위에 맞게 패드들을 조합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제작된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의 국소부위에 레이저를 가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레이저 패치침에 있어서, 레이저를 발산하는 레이저 헤드부(100)와, 상기 레이저 헤드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0)와, 상기 전원공급부(500)와 상기 헤드부(100) 사이에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중계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레이저 헤드부(100)는 원통형의 몸체(120)이되, 원통형의 일면은 개방되고 타면은 폐쇄되며, 상기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11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110)는 원통형으로 커버의 외주면이 상기 원통형의 몸체(120)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120)의 내부에는 광을 발광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30)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30)가 탑재된 PCB 기판(140)이 구비되고, 상기 PCB 기판(140)에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선(15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110)의 외주면에서는 숫나사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숫나사부(112)가 상기 암나사부(122)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커버(110)의 중앙에는 상기 레이저 광의 투과를 위한 관통홀(111)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110)가 상기 몸체(120)와 결합되는 안쪽에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3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15)가 형성된다.
이때 커버는 다양한 방법으로 몸체에 조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피부에 도달할 때의 직경은 5mm 이하가 적당한데 이는 침을 시침하거나 쑥뜸시행 할 때 그 영역의 직경이 대략 5mm 되며 이정도의 직경을 갖는 경우 시침 또는 쑥뜸의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광원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적용하나 고휘도 LED, 고휘도 OLED도 출력에 따러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선(150)의 일단에는 제1커넥터(160)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중계부(200)의 일단에는 제2커넥터(210)가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160)와 제2커넥터(210)가 연결되되, 상기 전원중계부(200)의 타단에는 상기 전원공급부(500)에 끼워지는 제3커넥터(230)가 구비되며, 상기 제2커넥터(210)와 상기 제3커넥터(230) 사이는 전선으로 연결되고 그 중간에는 전원을 온(on)/오프(off) 하는 제1스위치(220)가 구비되어 상기 제2커넥터(210)와 상기 제3커넥터(230)의 사이의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500)에는 상기 제3커넥터(230)가 다수개 끼워질 수 있는 단자부(520)가 구비되되, 상기 제3커넥터(230)는 USB 커넥터이고, 상기 단자부(520)는 USB 커넥터가 끼워질 수 있는 USB 단자부이며, 상기 전원공급부(500)에는 다수의 단자부(520)에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를 구비하여 다수의 단자부(520)에 전원공급형태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100)는 다수개가 구비되되, 각각의 헤드부(100)에 탑재된 레이저 다이오드(130)의 파장대는 620~640㎚, 655-665㎚, 750-770㎚, 790-810㎚, 845-855㎚, 900-990㎚ 중의 하나가 탑재된다.
필요에 따라 파장대는 400nm부터 1500nm에서 선택할 수 있다.
즉 파장대가 길수록 피부에 침투깊이가 깊기 때문에 단침을 사용하여 치료하던 부위에는 400 ~ 700nm 파장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침을 사용하여 치료하던 부위에는 700nm 이상의 파장대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헤드부(100)는 6개 이상으로 구성되되, 각각의 헤드부에는 레이저 다이오드(130)의 파장이 620~640㎚, 655-665㎚, 750-770㎚, 790-810㎚, 845-855㎚, 900-990㎚를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모두 선택되어 탑재됨에 따라 상기 각각의 헤드부에는 각기 다른 파장대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부(5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위와 같이 파장대를 두는 것은 파장대에 따라 피부침투깊이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서 통증부위의 깊이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레이저를 다양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500)에 연결된 제어부(600)는 각각의 레이저 헤드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되, 각각의 헤드부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동시에 지속적으로 공급하거나, 동시에 펄스형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한편, 상기 하나의 PCB 기판(140)에는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131,132,133)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선(151,152,153)도 레이저 다이오드 숫자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전원공급선(151,152,153)의 일단에 배치된 제1커넥터(161,162,163)도 다수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나의 PCB 기판(14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131,132,133)는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이 발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나의 PCB 기판(14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131,132,133)는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이 발광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31,132,133)의 파장은 620~640㎚, 655-665㎚, 750-770㎚, 790-810㎚, 845-855㎚, 900-990㎚ 에서 선택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나의 PCB 기판(140)에 설치된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31,132,133)에 전원의 공급은 상기 제어부(600)를 통해 각각의 레이저 다이오드(131,132,133)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동시에 지속적으로 공급하거나, 동시에 펄스형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기 PCB 기판(140)에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30)를 보호하는 다이오드 보호구(141)가 구비되되, 상기 다이오드 보호구(141)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30)를 사방에서 감사는 원형으로 형성되면서 하단은 상기 PCB 기판(140)에 결합되며, 상기 다이오드 보호구(141)의 상부에는 렌즈(142)가 구비되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30)에서 발광하는 광의 광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국소 부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저 조사를 통해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경혈들을 자극할 수 있어 출혈이나 시술 부위의 감염 발생을 없애고 통증 없이 시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 없이 USB 전원, 스위치 및 전선 등을 활용하여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시간에 제한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침을 요구치 않고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일회용 침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의료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패치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헤드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헤드부의 단면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패치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헤드부와 하나 이상의 제1커넥터의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PCB 기판에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 보호구 및 렌즈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패치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헤드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헤드부의 단면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패치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헤드부와 하나 이상의 제1커넥터의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PCB 기판에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 보호구 및 렌즈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분해도이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의 국소부위에 레이저를 가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레이저 패치침에 있어서, 레이저를 발산하는 레이저 헤드부(100)와, 상기 레이저 헤드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0)와, 상기 전원공급부(500)와 상기 헤드부(100) 사이에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중계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레이저 헤드부(100)는 원통형의 몸체(120)이되, 원통형의 일면은 개방되고 타면은 폐쇄되며, 상기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11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110)는 원통형으로 커버의 외주면이 상기 원통형의 몸체(120)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110)의 상부면에는 패치용 양면테이프(117)가 부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양면테이프(117)를 통해 사용자의 국소 부위에 상기 헤드부(100)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20)의 내부에는 광을 발광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30)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30)가 탑재된 PCB 기판(1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PCB 기판(140)에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선(150)이 배치되며, 상기 커버(110)의 외주면에서는 숫나사부(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숫나사부(112)가 상기 암나사부(122)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110)의 중앙에는 상기 레이저 광의 투과를 위한 관통홀(111)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110)가 상기 몸체(120)와 결합되는 안쪽에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3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1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주면의 숫나사부(112)의 길이는 L3, PCB 기판(140)의 두께를 L2, 상기 몸체(120)의 내부 길이를 L1 이라 할 때,
상기 L1, L2, L3의 관계는, L1 < (L2+L3) < (1.1 * L1) 이 됨에 따라,
상기 커버(110)를 상기 몸체(120)의 내주면에 결합시키면 상기 커버(110)의 바닥면(116)이 상기 PCB 기판(140)의 일면을 눌러 상기 PCB 기판(140)을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버(110)의 내부 직경을 D1, 상기 PCB 기판(140)의 직경을 D2라 할 때, D1 < D2 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20)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PCB 기판(140)에 결합된 전원공급선(150)이 삽입되는 전원공급선 삽입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선(150)의 일단에는 제1커넥터(160)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중계부(200)의 일단에는 제2커넥터(210)가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160)와 제2커넥터(21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중계부(200)의 타단에는 상기 전원공급부(500)에 끼워지는 제3커넥터(2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커넥터(210)와 상기 제3커넥터(230) 사이는 전선으로 연결되고 그 중간에는 전원을 온(on)/오프(off) 하는 제1스위치(2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위치(220)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210)와 상기 제3커넥터(230)의 사이의 전원을 온(on)/오프(off)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500)에는 상기 제3커넥터(230)가 다수개 끼워질 수 있는 단자부(5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커넥터(230)는 USB 커넥터이고, 상기 단자부(520)는 USB 커넥터가 끼워질 수 있는 USB 단자부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단자부(520)의 일측에는 상기 단자부(520)의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부(52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500)에는 외부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전원 플러그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500)에는 다수의 단자부(520)에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를 구비하여 다수의 단자부(520)에 전원공급형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헤드부(100)는 다수개가 구비되되, 각각의 헤드부(100)에 탑재된 레이저 다이오드(130)의 파장대는 620~640㎚, 655-665㎚, 750-770㎚, 790-810㎚, 845-855㎚, 900-990㎚ 중의 하나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헤드부(100)는 6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헤드부에는 레이저 다이오드(130)의 파장이 620~640㎚, 655-665㎚, 750-770㎚, 790-810㎚, 845-855㎚, 900-990㎚를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모두 선택되어 탑재됨에 따라 상기 각각의 헤드부에는 각기다른 파장대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부(5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레이저 파장대들을 채택함으로써 세포성장과 세포재생을 촉진시키고, 신경기능을 활성화시키며,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500)에 연결된 제어부(600)는 각각의 레이저 헤드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되, 각각의 헤드부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동시에 지속적으로 공급하거나, 동시에 펄스형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기 하나의 PCB 기판(140)에는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131,132,133)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선(151,152,153)도 레이저 다이오드 숫자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전원공급선(151,152,153)의 일단에 배치된 제1커넥터(161,162,163)도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PCB 기판(14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131,132,133)는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이 발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31,132,133)의 파장은 620~640㎚, 655-665㎚, 750-770㎚, 790-810㎚, 845-855㎚, 900-990㎚ 에서 선택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PCB 기판(140)에 설치된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31,132,133)에 전원의 공급은 상기 제어부(600)를 통해 각각의 레이저 다이오드(131,132,133)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동시에 지속적으로 공급하거나, 동시에 펄스형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PCB 기판(140)에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30)를 보호하는 다이오드 보호구(14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 보호구(141)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30)를 사방에서 감싸는 원형으로 형성되면서 하단은 상기 PCB 기판(14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다이오드 보호구(141)의 상부에는 렌즈(142)가 구비되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30)에서 발광하는 광의 광로를 제어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레이저 헤드부 110 : 커버 111 : 관통홀 112 : 숫나사부 115 : 수납부 116 : 바닥면
117 : 패치용 양면테이프 120 : 몸체
121 : 전원공급선 삽입홀 122 : 암나사부 123 : 밑면 124 : 윗면 130 : 레이저 다이오드 140 : PCB 기판
141 : 다이오드 보호구 142 : 렌즈 150 : 전원공급선
160 : 제1커넥터 200 : 전원 중계부 210 : 제2커넥터
220 : 제1스위치 230 : 제3커넥터 500 : 전원공급부
510 : 전원 플러그 520 : 단자부 521 : 스위치부
600 : 제어부

Claims (10)

  1. 인체의 국소부위에 레이저를 가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레이저 패치침에 있어서,
    레이저를 발산하는 레이저 헤드부(100)와,
    상기 레이저 헤드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0)와,
    상기 전원공급부(500)와 상기 헤드부(100) 사이에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중계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레이저 헤드부(100)는 원통형의 몸체(120)이되,
    원통형의 일면은 개방되고 타면은 폐쇄되며, 상기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11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110)는 원통형으로 커버의 외주면이 상기 원통형의 몸체(120)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120)의 내부에는 광을 발광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30)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30)가 탑재된 PCB 기판(140)이 구비되고,
    상기 PCB 기판(140)에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선(150)이 배치되며
    상기 커버(110)의 외주면에서는 숫나사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숫나사부(112)가 상기 암나사부(122)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커버(110)의 중앙에는 상기 레이저 광의 투과를 위한 관통홀(111)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110)가 상기 몸체(120)와 결합되는 안쪽에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3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숫나사부(112)의 길이는 L3, PCB 기판(140)의 두께를 L2, 상기 몸체(120)의 내부 길이를 L1 이라 할 때, 상기 L1, L2, L3의 관계는,
    L1 < (L2+L3) < (1.1* L1) 이 됨에 따라 상기 커버(110)를 상기 몸체(120)의 내주면에 결합시키면 상기 커버(110)의 바닥면(116)이 상기 PCB 기판(140)의 일면을 눌러 상기 PCB 기판(140)을 구속되며
    상기 전원공급선(150)의 일단에는 제1커넥터(160)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중계부(200)의 일단에는 제2커넥터(210)가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160)와 제2커넥터(210)가 연결되되,
    상기 전원중계부(200)의 타단에는 상기 전원공급부(500)에 끼워지는 제3커넥터(230)가 구비되며,
    상기 제2커넥터(210)와 상기 제3커넥터(230) 사이는 전선으로 연결되고 그 중간에는 전원을 온(on)/오프(off) 하는 제1스위치(220)가 구비되어 상기 제2커넥터(210)와 상기 제3커넥터(230)의 사이의 전원을 온(on)/오프(off) 하고
    상기 전원공급부(500)에는 상기 제3커넥터(230)가 다수개 끼워질 수 있는 단자부(520)가 구비되되, 상기 제3커넥터(230)는 USB 커넥터이고, 상기 단자부(520)는 USB 커넥터가 끼워질 수 있는 USB 단자부이며
    상기 하나의 PCB 기판(140)에는 2개 또는 3개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선도 레이저 다이오드 숫자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PCB 기판(140)에 설치된 2개 또는 3개의 레이저 다이오드는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이 발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2개 또는 3개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은 620~640㎚, 655-665㎚, 750-770㎚, 790-810㎚, 845-855㎚, 900-990㎚ 에서 선택하여 배치되고
    이때 상기 하나의 PCB 기판(140)에 설치된 2개 또는 3개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전원의 공급은 제어부(600)를 통해 2개 또는 3개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동시에 지속적으로 공급하거나, 동시에 펄스형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PCB 기판(140)에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보호하는 다이오드 보호구(141)가 구비되되, 상기 다이오드 보호구(141)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방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하단은 상기 PCB 기판(140)에 결합되며, 상기 다이오드 보호구(141)의 상부에는 렌즈(142)가 구비되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광하는 광의 광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500)에는 다수의 단자부(520)에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를 구비하여 다수의 단자부(520)에 전원공급형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0)는 다수개가 구비되되, 각각의 헤드부(100)에 탑재된 레이저 다이오드(130)의 파장대는 620~640㎚, 655-665㎚, 750-770㎚, 790-810㎚, 845-855㎚, 900-990㎚ 중의 하나가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
  10. 삭제
KR1020200065259A 2020-05-29 2020-05-29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 KR102462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259A KR102462786B1 (ko) 2020-05-29 2020-05-29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259A KR102462786B1 (ko) 2020-05-29 2020-05-29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676A KR20210147676A (ko) 2021-12-07
KR102462786B1 true KR102462786B1 (ko) 2022-11-03

Family

ID=7886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259A KR102462786B1 (ko) 2020-05-29 2020-05-29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7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95Y1 (ko) * 2019-03-11 2019-08-26 신희정 재활치료용 레이저 침치료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505B1 (ko) * 2001-03-13 2003-05-27 장계숙 레이저 조사수단을 갖는 원적외선 방사체로 되는 부황기
KR101004373B1 (ko) 2009-12-31 2010-12-28 오우메드 주식회사 레이저 조사부가 장착된 전기자극 경혈치료기
KR20100044767A (ko) * 2010-04-09 2010-04-30 박특수 파워엘이디를 이용한 전자 손뜸기
KR101547143B1 (ko) 2014-01-15 2015-08-28 한국과학기술원 초음파 빔포밍 기술을 이용한 비침습 경혈 자극기
KR101877320B1 (ko) 2016-07-15 2018-07-11 주식회사 이루다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KR20180125380A (ko) 2018-04-02 2018-11-23 (주)웰스케어 광 시술 패치 셋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95Y1 (ko) * 2019-03-11 2019-08-26 신희정 재활치료용 레이저 침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676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88475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neurostimulation therapy of the brain
EP3003481B1 (en) Self-administrable system for non-invasive neurostimulation therapy of the brain
WO2009011529A3 (en) Creation curer of laser low frequency cupping glass iontophoresis magnet needle
US113580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thermal nail, foot, and hand fungus treatment
TWM300116U (en) Laser wrinkle removing device
KR102462786B1 (ko) 패드형 레이저 경혈 자극기
US20060212100A1 (en) Non-intrusive laser irradiation device
KR20060127450A (ko) 근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기부전 치료기
CN108543231B (zh) 一种可降解的多光谱发光植入物
KR20220028924A (ko) 비강삽입형 레이져 조사장치
KR101217176B1 (ko) 인체 삽입용 광섬유 케이블을 구비한 색광 치료용 패치
KR20100092077A (ko) 의학 치료용 멀티 레이저 장치
EP2145649B1 (en) Device for application of phototherapy
KR100935805B1 (ko) 비강 매몰형 광 조사장치
KR20200102665A (ko) 근적외선 엘이디를 이용한 광 찜질기
KR20070026956A (ko) 근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을 이용한 유방암의 치료기
CN220002757U (zh) 一种电刺激光疗保健治疗仪
KR20230111282A (ko) 가임기 여성의 질염, 자궁냉증 및 통증 치료를 위한 체내 삽입형 다중파장 광선요법의 개인용 치료기기
KR20070106872A (ko) 발광다이오드 또는 레이저다이오드를 이용한 전립선 및회음부 치료기
KR100712302B1 (ko) 광화학적 치료기가 구비된 욕조
KR200401285Y1 (ko) 광화학적 치료기
US20210379401A1 (en) Device for stimulating the meibomian glands
KR101706315B1 (ko) 다기능 단전 패드
Ho Wireless Light Delivery for Photodynamic Therapy
KR200377026Y1 (ko) 레이저 조사기가 장착된 마사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