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901B1 - 분할 전극 방식의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분할 전극 방식의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901B1
KR102118901B1 KR1020190161570A KR20190161570A KR102118901B1 KR 102118901 B1 KR102118901 B1 KR 102118901B1 KR 1020190161570 A KR1020190161570 A KR 1020190161570A KR 20190161570 A KR20190161570 A KR 20190161570A KR 102118901 B1 KR102118901 B1 KR 102118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electrode
frequency
handpiece
frequency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후
김정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
Priority to KR1020190161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인가를 다수의 전극에 변화시켜 특정 부분에 고온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온열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주파 에너지를 생성하는 고주파 전력 발생부; 상기 고주파 전력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부에 상기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하는 전극부; 및 상기 고주파 전력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극부에 인가되는 상기 고주파 에너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할 전극 방식의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HYPERTHERMIA MEDICAL DEVICE USING SEPERATED TYPE ELECTRODE HIGH FREQUENCY ELECTROMAGNETIC WAVE}
본 발명은 고주파 온열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극을 분할하여 고주파 인가를 다수의 전극에 변화시켜 특정 부분에 고온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온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치료장치는 고주파전력을 인체에 인가하여 고주파전력을 생체에너지로 전환하고, 이러한 생체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생된 심부열을 통하여 지방대사와 근육운동을 촉진시킴으로써 비만치료나 근육강화, 피부관리, 모발 촉진 또는 통증완화 등에 사용되는 의료용 기기이다.
고주파전력이 인체 내에 통전되면 전류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조직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진동하면서 서로 마찰하게 되며 그 결과 해당 신체조직에서 열이 발생하는데 이를 심부발열 또는 심부열이라 한다.
고주파전력의 전류는 다른 형태의 전류와 달리 감각신경이나 운동신경을 자극하지 않고 근육 수축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해당 신체조직 내의 특정부위를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생체 열에너지로 변환된 고주파 에너지는 해당 신체조직의 온도를 상승시켜 세포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동맥 및 모세혈관 확장을 통해 혈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액 및 림프액의 순환을 촉진시키며 신진대사를 증진 시키게 된다.
이러한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는 리프팅, 주름개선, 미백, 탈모치료, 비만관리(복부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주파 치료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68761호 "고주파 치료용 전극 유닛", 공개특허 제10-2010-0101420호 "마이크로니들 및 진동발생장치와 연동된 치료 및 스킨케어 기기" 등 다양한 종류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고주파 치료장치를 통해 최적의 치료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환자의 피부에 최적의 치료값에 해당되는 고주파전력량이 정확한 수치로 조사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고주파 치료장치는 사용자가 수동조작에 의해 소정의 고주파전력의 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고주 파전력을 메뉴얼된 시간 동안 피부에 조사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환자의 피부에 최적의 치료값에 해당되는 고주파전력이 정확한 수치로 조사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고주파 치료장치는 동일한 조건의 고주파전력을 조사하더라도 고주파를 조사하는 전극이 피부에 닿는 면적이나, 환자의 신체조건(피부의 임피턴스), 환자의 건강상태 등에 따라, 피부에 입사되는 고주파의 전력량이 달라지고 생체 발열량이 각각 다르게 되기 때문에 최적의 치료 효과를 보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입사되는 고주파전력량을 세심하게 제어하여 피부에 최적의 치료값에 해당되는 고주파전력이 설정된 에너지의량 만큼 조사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고주파 치료장치는 고주파 치료시 환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는 구조가 없는 단점이 있었다. 즉, 전극의 크기, 고주파의 세기 등에 따라 발생되는 심부열에 차이가 있고, 또한 환자가 직접 사용하지않고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사용하기 때문에 환부에 발생되는 심부열의 온도를 인지하지 못하여 환자가 화상을 입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7921호 공개일자 2010년12월07일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8094호 공개일자 2018년01월24일
본 발명은 고주파 인가를 다수의 분할 전극에 변화시켜 특정 부분에 고온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온열 치료장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는, 고주파 에너지를 생성하는 고주파 전력 발생부; 상기 고주파 전력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부에 상기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하는 전극부; 및 상기 고주파 전력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극부에 인가되는 상기 고주파 에너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극부는, 상기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하도록 피부에 접하는 복수의 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전극판에 제어 조건에 의한 고주파 에너지를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부는, 상기 고주파 에너지 인가시 상기 전극판이 상기 피부에 밀착하도록 돌출시키는 전극판 돌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전극판이 피부에 접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압력이 미리 정해진 값에 해당할 경우 상기 제어 조건에 의한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판 돌출 모듈은, 상기 제어 조건에 의해 고주파 에너지가 인가되는 전극판 만을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는,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판; 및 상기 전극판과 페어링되되 상기 핸드피스와 별도로 구비되는 판상형 대 전극판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판은 각각 전극판 돌출 모듈에 의해 돌출 구동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전극판들 끼리 순차적으로 페어링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전극판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대 전극판이 순차적으로 페어링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전극판은, 상기 핸드피스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2 전극판 내지 제N 전극판(여기서 N은 3보다 큰 자연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판 내지 상기 제N 전극판은 상기 제1 전극판과 동일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전극판은, 상기 핸드피스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을 둘러싸는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원형 전극판 내지 제M 원형 전극판(여기서 M은 2보다 큰 자연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원형 전극판 내지 상기 제M 원형 전극판은, 각각 상기 핸드피스의 중심을 기준으로하여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분할되어 L개(여기서 L은 2보다 큰 자연수)의 부채꼴 형태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극부는,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원형 전극판 내지 상기 제M 원형 전극판과 페어링되되 상기 핸드피스와 별도로 구비되는 판상형 대 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원형 전극판 내지 상기 제M 원형 전극판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대 전극판이 순차적으로 페어링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에 의하면,
첫재, 전극판이 피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하므로 피부와 전극판 사이의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어 전극과의 접촉력이 낮은 부분에 고온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다수의 전극판에 동시에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두 개의 전극판에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하므로 특정 부분에 고온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전극판 돌출 모듈은 고주파 에너지가 인가되는 전극판 만을 돌출시키므로 전극판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판 돌출에 따른 마사지 효과를 부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넷째,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전극판과는 별도로 판상형 대전극판을 구비하므로 고주파 에너지가 피부 표면 뿐만 아니라 치료가 필요한 깊숙한 부분에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핸드피스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전극판과 전극판을 구동하는 전극판 돌출 모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의 구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핸드피스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전극판과 전극판을 구동하는 전극판 돌출 모듈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의 구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1000)는 고주파 전력 발생부(100), 제어부(200), 전극부(300) 및 핸드피스(H)를 포함한다.
고주파 전력 발생부(100)는 치료에 사용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전원 공급부(미도시),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고주파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발생부(미도시)가 구비된다.
고주파 발생부는 복수개의 고주파 발생 모듈을 구비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고주파 발생모듈은 전술한 복수개의 전극판(310-1, 310-2, ... 310-8)과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고주파 발생모듈은 별도로 형성되는 고주파 전달부(미도시)를 통해 각각 대응되는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별개의 고주파 전달 회로를 구성한다.
각각의 고주파 발생 모듈은 300KHz 내지 5MHz의 범위에서 고주파의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나아가 고주파의 출력 또한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고주파 발생 모듈은 제어부(20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전극부(300)는 고주파 전력 발생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부에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한다.
제어부(200)는 고주파 전력 발생부(100)를 제어하여 전극부(300)에 인가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전극부(300)는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하도록 피부에 접하는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8 및 390), 각 전극판(310-1, 310-2, ... 310-8)을 돌출 구동시키는 전극판 돌출 모듈(330) 및 온도센서(320-1, 320-2, ... 320-9)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8 및 390)에 제어 조건에 의한 고주파 에너지를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즉, 제어부(200)는 각각의 고주파 발생모듈을 제어하여 치료에 필요한 고주파 에너지가 인가되게 한다.
전극부(300)는 핸드피스(H)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8) 및 핸드피스(H)와 별도로 구비되는 판상형 대전극판(390)을 포함한다. 또한, 전극부(300)는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할 때 전극판(310-1, 310-2, ... 310-8)이 피부(S)에 밀착하도록 돌출시키는 전극판 돌출 모듈(330)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H)의 평면도이다. 핸드피스(H)는 사용자가 시술시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나 도 3에서는 간결하게 도시하였다.
핸드피스(H)에는 복수의 전극판이 구비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전극판(310)이 8개(310-1, 310-2, ... 310-8)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전극판(310)의 형태, 배치 형태 및 핸드피스(H)의 형태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자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전극판 돌출 모듈(330)은 고주파 에너지 인가시 전극판(310)이 피부(S)에 밀착하도록 돌출시킨다. 전극판 돌출 모듈(330)은 전극판(310) 하나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전극판(310)의 수 만큼 구비된다. 즉, 도 3에의 실시예에서 전극판(310)은 8개(310-1, 310-2, ... 310-8)가 구비되므로 전극판 돌출 모듈(330) 또한 각각의 전극판에 대응하도록 8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드피스(H)에는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8)이 구비되므로, 핸드피스(H)의 조작 각도 및 접촉하는 환부의 굴곡에 따라 각 전극판(310-1, 310-2, ... 310-8)에 인가되는 압력이 상이할 수 있다.
즉,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할 때, 각 전극판(310-1, 310-2, ... 310-8)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이할 경우, 각 전극판과 피부(S) 사이의 접촉 저항 또한 상이하므로 전극판과의 접촉력이 낮은 부분에 발열이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압력이 낮은 전극판과 접하는 피부에 고온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밀착 압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전극부(300)는 전극판(310)이 피부에 접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 모듈(340)을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압력 측정 모듈(340)에서 측정된 압력이 미리 정해진 값에 해당할 경우 제어 조건에 의한 고주파 에너지를 전극판(310)에 인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압력 측정 모듈(340)은 전극판(310)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 가능한 형태중의 하나일 뿐으로서 압력 측정 모듈(340)이 구비되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압력 측정 모듈(340) 및 전극판 돌출 모듈(330)은 각각 전극판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극판(310-1)에 구비되는 압력 측정 모듈은 식별부호 (340-1)로, 전극판(310-1)을 구동하는 전극판 돌출 모듈은 식별부호 (330-1)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200)는 제어 조건에 의해 고주파 에너지가 인가되는 전극판 만을 돌출하도록 전극판 돌출 모듈(330)을 구동한다.
예를 들어, 전극판(310-1)를 (+) 전극으로 하고 전극판(310-2)를 (-) 전극으로 페어링하여 구동하는 제어 조건일 경우, 제어부(200)는 전극판(310-1)를 구동하는 전극판 돌출 모듈(330-1)과, 전극판(310-2)를 구동하는 전극판 돌출 모듈(330-2)를 구동하여 전극판(310-1)과 전극판(310-2)을 돌출시킨다. 압력 측정 모듈(340-1) 및 압력 측정 모듈(340-2)로부터 각각 미리 정해진 값에 해당하는 압력값이 수신될 때 까지 전극판(310-1)과 전극판(310-2)을 돌출시킨 이후, 제어 조건에 따른 고주파 에저지를 전극판(310-1)과 전극판(310-2)에 인가한다.
다시 설명하면, 제어부(200)는 제어 조건에 의해 고주파 에너지가 인가되는 전극판 만을 돌출시키기 위해 전극판 돌출 모듈을 구동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전극판 돌출 모듈(330)을 제어하여, 전극판(310)의 돌출을 10Hz 내지 500Hz 값 내에서 선택된 값으로 돌출시켜 마사지 효과를 부차적으로 더 얻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극판(310)은 凸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피부(S)와 접하는 접촉면(311)과 구동축(312)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구동축(312)의 표면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전극판 돌출 모듈(330)의 유도코일(331)에 구동 전류 인가에 따라 돌출하게 된다.
전극부(300)는 핸드피스(H)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8)과는 별도로 구비되는 판상형 대전극판(39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극판(390)은 핸드피스(H)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8) 가운데 어느 하나와 페어링되는 전극판이다.
예를 들어, 제어 조건이 전극판(310-1)를 (+) 전극으로 하고 대전극판(390)를 (-) 전극으로 페어링하여 구동하는 제어일 수도 있고, 전극판(310-1)를 (-) 전극으로 하고 대전극판(390)를 (+) 전극으로 페어링하여 구동하는 제어일 수도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에너지(P')이 핸드피스(H)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8)과 대전극판(390)을 통해 인가되어 피부(S)의 심부에 효과적으로 온열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전극판(390)과 페어링되는 핸드피스(H)에 구비되는 전극판은 전극판 돌출 모듈에 의해 돌출 구동되고, 압력 측정모듈로 부터 미리 설정된 압력이 수신될 경우 고주파 에너지가 인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5의 (a)는 대전극판(390)을 사용하지 않고 핸드피스(H)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8)들 만을 순차적으로 페어링하여 사용하는 예이다. 도 5의 (a)에서는 전극판(310-1)과 전극판(310-2)이 페어링되고, 전극판(310-2)과 전극판(310-3)이 페어링 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 뿐이로서, 페어링되는 전극판들의 조합은 실시자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전극에 의해 고온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부(300)는 복수개의 온도센서(320-1, 320-2, ... 320-9)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각 온도센서(320-1, 320-2, ..., 320-9)로부터 각 전극 부분의 피부(S)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미리 정해진 값에 해당할 경우 제어 조건에 의해 해당 전극에 인가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하향 또는 상향하여 온도 조절을 수행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각 온도센서(320-1, 320-2, ... 320-9)는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8)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 가능한 형태중의 하나일 뿐으로서 온도센서의 개수 및 배치위치는 실시자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유사한 것으로서, 전극부(300')는 원형 형태의 핸드피스(H)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9)을 포함한다. 간결한 도시를 위해 온도센서는 도시 생략하였다.
이때,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9)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전극부(300')는 핸드피스(H)에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전극판(310'-1) 및 제1 전극판(310'-1)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2 전극판(310'-2) 내지 제9 전극판(310'-9)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에는 제1 전극판(310'-1)을 둘러싸는 8개의 전극판(310'-2 내지 310'-9)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 가능한 형태가운데 하나로서, 전극판의 설치 개수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2 전극판(310'-2) 내지 제9 전극판(310'-9)은 동일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부(300')는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 전극판(310'-1 내지 310'-9)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극판 돌출 모듈(330) 및 압력 측정 모듈(340)을 포함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 또한, 핸드피스(H)와 별도로 구비되는 판상형 대전극판(390)을 포함한다. 또한, 전극부(300)는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할 때 전극판(310-1, 310-2, ... 310-8)이 피부(S)에 밀착하도록 돌출시키는 전극판 돌출 모듈(330)을 포함한다. 제어부(200)의 구성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것이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부(300'')는 원형 형태의 핸드피스(H)의 중심에 구비되는 제1 전극판(310''-1) 및 제1 전극판(310''-1)을 둘러싸는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원형 전극판(310''-2) 내지 제M 원형 전극판(310''-M)을 포함한다. (여기서 M은 2보다 큰 자연수)
도시된 예는 3개의 원형 전극판(310''-2, 310''-3, 310''-4)이 실시되는 형태이다. 본 실시예 또한, 핸드피스(H)와 별도로 구비되는 판상형 대전극판(390)을 포함한다.
전극부(300'')는 핸드피스(H)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4)과는 별도로 구비되는 판상형 대전극판(39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극판(390)은 핸드피스(H)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4) 가운데 어느 하나와 페어링되는 전극판이다.
예를 들어, 제어 조건이 전극판(310''-1)를 (+) 전극으로 하고 대전극판(390)를 (-) 전극으로 페어링하여 구동하는 제어일 수도 있고, 전극판(310''-1)를 (-) 전극으로 하고 대전극판(390)를 (+) 전극으로 페어링하여 구동하는 제어일 수도 있다.
고주파 에너지(P')는 핸드피스(H)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4)과 대전극판(390)을 통해 인가되어 피부(S)의 심부에 효과적으로 온열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전극판(390)과 페어링되는 핸드피스(H)에 구비되는 전극판은 전극판 돌출 모듈에 의해 돌출 구동되고, 압력 측정모듈로 부터 미리 설정된 압력이 수신될 경우 고주파 에너지가 인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대전극판(390)을 사용하지 않고 핸드피스(H)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4)들 만을 순차적으로 페어링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평면도이다.
제4실시예는 제3의 실시예에서 제1 원형 전극판(310''-2) 내지 제M 원형 전극판(310''-M)을 L분할한 것이다. (여기서 L은 2보다 큰 자연수) 도 8에서는 제1 원형 전극판(310''-2) 내지 제3 원형 전극판(310''-4)을 각각 4분할 하였다.
본 실시예 또한, 전극부(300''')는 핸드피스(H)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판(310'''-1, 310'''-2,.. , 310'''-4)과는 별도로 구비되는 판상형 대전극판(3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원형 전극판 내지 제M 원형 전극판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 전극판(390)이 순차적으로 페어링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시 생략되었으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3개의 원형 전극판(310''-2, 310''-3, 310''-4)은 각각 제1 전극판(310''-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원형 전극판(310''-2) 제1 원형 전극판(310''-3) 및 제3 원형 전극판은(310''-4)의 회전 방향은 각각 상이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짝수번의 원형 전극판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홀수번의 원형 전극판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마사지 효과를 얻으면서도 핸드피스(H)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각 원형 전극판의 회전 방향은 일정 시간 주기로 반대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100 : 고주파 전력 발생부
200 : 제어부
300, 300', 300'', 300''' : 전극부

Claims (7)

  1. 고주파 에너지를 생성하는 고주파 전력 발생부;
    상기 고주파 전력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부에 상기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하는 전극부; 및
    상기 고주파 전력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극부에 인가되는 상기 고주파 에너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부는,
    상기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하도록 피부에 접하는 복수의 전극판;
    상기 고주파 에너지 인가시 상기 전극판이 상기 피부에 밀착하도록 돌출시키는 전극판 돌출 모듈;
    상기 전극판이 피부에 접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전극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판은,
    피부와 접하는 접촉면 및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의 표면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전극판 돌출 모듈의 유도 코일에 구동 전류의 인가에 따라 돌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전극판에 제어 조건에 의한 고주파 에너지를 순차적으로 인가하고,
    측정된 압력이 미리 정해진 값에 해당할 경우 상기 제어 조건에 의한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하고,
    상기 전극판 돌출 모듈은,
    상기 제어 조건에 의해 고주파 에너지가 인가되는 전극판 만을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복수의 전극판은 원형 형태의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판은,
    상기 핸드피스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2 전극판 내지 제N 전극판(여기서 N은 3보다 큰 자연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판 내지 상기 제N 전극판은 상기 제1 전극판과 동일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판은,
    상기 핸드피스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을 둘러싸는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원형 전극판 내지 제M 원형 전극판(여기서 M은 2보다 큰 자연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형 전극판 내지 상기 제M 원형 전극판은,
    각각 상기 핸드피스의 중심을 기준으로하여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분할되어 L개(여기서 L은 2보다 큰 자연수)의 부채꼴 형태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원형 전극판 내지 상기 제M 원형 전극판과 페어링되되 상기 핸드피스와 별도로 구비되는 판상형 대 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원형 전극판 내지 상기 제M 원형 전극판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대 전극판이 순차적으로 페어링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KR1020190161570A 2019-12-06 2019-12-06 분할 전극 방식의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KR102118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570A KR102118901B1 (ko) 2019-12-06 2019-12-06 분할 전극 방식의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570A KR102118901B1 (ko) 2019-12-06 2019-12-06 분할 전극 방식의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901B1 true KR102118901B1 (ko) 2020-06-04

Family

ID=7108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570A KR102118901B1 (ko) 2019-12-06 2019-12-06 분할 전극 방식의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265B1 (ko) * 2021-10-21 2022-05-18 한성호 자동 전환 기능이 구비된 고주파 온열기
KR20220119220A (ko) * 2021-02-19 2022-08-29 (주)브리츠메디 고주파 온열 치료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921A (ko) 2009-05-27 2010-12-07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온도조절용 뜸 요법 약물 패취형 고주파 자극장치
KR20100136243A (ko) * 2009-06-18 2010-12-28 송미희 다주파수 다전극 심부투열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다주파수 다전극 심부투열 장치
KR20110069491A (ko) * 2009-12-17 2011-06-23 (주)휴먼드림 고주파 치료기
KR20130057845A (ko) * 2011-11-24 2013-06-03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KR20150049386A (ko) * 2013-10-30 2015-05-08 주식회사 화니메디칼 피부 조직의 치료 또는 피하 지방 제거를 위한 고주파 자극 장치
KR101754395B1 (ko) * 2016-04-21 2017-07-19 주식회사 온누리헬스케어 자극코일을 구비하는 요실금 치료장치
KR20180008094A (ko) 2016-07-15 2018-01-24 주식회사 이루다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921A (ko) 2009-05-27 2010-12-07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온도조절용 뜸 요법 약물 패취형 고주파 자극장치
KR20100136243A (ko) * 2009-06-18 2010-12-28 송미희 다주파수 다전극 심부투열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다주파수 다전극 심부투열 장치
KR20110069491A (ko) * 2009-12-17 2011-06-23 (주)휴먼드림 고주파 치료기
KR20130057845A (ko) * 2011-11-24 2013-06-03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KR20150049386A (ko) * 2013-10-30 2015-05-08 주식회사 화니메디칼 피부 조직의 치료 또는 피하 지방 제거를 위한 고주파 자극 장치
KR101754395B1 (ko) * 2016-04-21 2017-07-19 주식회사 온누리헬스케어 자극코일을 구비하는 요실금 치료장치
KR20180008094A (ko) 2016-07-15 2018-01-24 주식회사 이루다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220A (ko) * 2021-02-19 2022-08-29 (주)브리츠메디 고주파 온열 치료기
KR102597447B1 (ko) * 2021-02-19 2023-11-03 (주)브리츠메디 고주파 온열 치료기
KR102399265B1 (ko) * 2021-10-21 2022-05-18 한성호 자동 전환 기능이 구비된 고주파 온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691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KR102113199B1 (ko)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KR102118901B1 (ko) 분할 전극 방식의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KR101125857B1 (ko) 고주파 치료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72983B1 (ko) 고주파 온열 치료 장치
KR200409904Y1 (ko) 고주파 전기전극치료기
KR101034029B1 (ko) 의료용 복합 비만치료 장치 및 그 전극패드
KR101522019B1 (ko) 출력보정이 가능한 자극발생장치 및 그의 자극발생방법
JP7169688B2 (ja) 美容に使用する複合電極パッドを用いた美容機器
KR102401103B1 (ko) 고주파 치료장치
KR101121681B1 (ko) 다주파수 다전극 심부투열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다주파수 다전극 심부투열 장치
KR101872819B1 (ko) 생체전극발열체를 이용한 직접 발열 방식의 온열 저주파치료기
KR101134657B1 (ko) 자성체를 이용한 혈류량 개선 장치
KR100933463B1 (ko) 발열체를 내장한 전기 뜸장치
KR20190052381A (ko) 고주파 치료 장치
KR200399217Y1 (ko) 원적외선 및 저주파를 이용한 물리치료기
JP2021133160A (ja) 高周波美容器
KR200479428Y1 (ko) 저주파 근육이완 기능을 갖는 척추치료기
KR20210069255A (ko) 지연성 근육통의 고주파 자극 마사지를 위한 고주파 컨트롤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주파 자극 장치
KR102666514B1 (ko) 전기식 괄사 마사지 장치
KR102663721B1 (ko) 전기식 괄사 마사지 장치
KR102666513B1 (ko) 전기식 괄사 마사지 장치
KR20190094753A (ko) 중주파 시술 장치
KR20190097362A (ko)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방식을 적용한 피부 미용기기
AU2022100167A4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