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201B1 - 음압조절이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 - Google Patents

음압조절이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201B1
KR101136201B1 KR1020080132121A KR20080132121A KR101136201B1 KR 101136201 B1 KR101136201 B1 KR 101136201B1 KR 1020080132121 A KR1020080132121 A KR 1020080132121A KR 20080132121 A KR20080132121 A KR 20080132121A KR 101136201 B1 KR101136201 B1 KR 101136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cupping
control unit
ski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3446A (ko
Inventor
정병조
이용흠
이경중
여창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32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2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3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15Miscellaneous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2018/225Features of hand-pieces
    • A61B2018/2253Features of hand-piece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functions, e.g. surface cooling or detecting pathologic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9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using suction to fix the applicator to the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레이저의 조사와 함께 부항 흡착구의 내부 압력 및 레이저의 파장과 세기를 조절하여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부항 흡착구를 통해 레이저를 발진시켜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된 레이저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는 부항 흡착구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 상기 부항 흡착구에서 피부에 조사되기 위해 출력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을 조절하는 레이저 조절부; 피부 밑 투과 깊이에 따른 상기 부항 흡착구의 내부 압력 설정 조건 또는 피부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압력 조절부 및 레이저 조절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프로브를 제공하여, 부항 흡착구의 내부 압력 조절에 따른 레이저의 피부 밑 투과도를 증가시켜 레이저 침에 의한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레이저, 프로브, 음압조절, 레이저 파장 조절, 세기 조절

Description

음압조절이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A negative pressure applied laser probe}
본 발명은 음압조절이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부항의 원리를 이용하여 피부에 압력을 가하면서 레이저를 직접 조사하여 레이저가 피부 깊숙히 투과할 수 있게 함으로써 피부 밑 투과도를 증대시켜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음압 제어용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레이저를 이용한 프로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된 부항 흡착구(10)와, 부항 흡착구의 상부에서 부항 흡착구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30)는 별도의 연결구(20)를 통해 부항 흡착구(10)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구(20)의 내부에는 흡기 밸브(21)가 설치되어 상기 부항 흡착구(10)와 펌프(30) 사이의 공기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부항 흡착구(10)의 내부 중심부에는 레이저 출구(13)를 갖는 레이저 발진부(12)가 구비되고, 이 레이저 발진부의 선단부에는 레이저 방출용 통공(15)이 형성된 자석(14)이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부항 흡착구의 외부에는 상기 레이저 발진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컨넥터(11)가 구비 된다.
상기 부항 흡착구(10)를 환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먼저 펌프(30)를 이용하여 부항 흡착구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면 부항 흡착구(10)가 환부에 고정되게 되며,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부항 흡착구(10) 내부에 구비된 레이저 발진부(12)로부터 레이저가 발진되면 레이저 출구(13)와 자석의 통공(15)을 통해 레이저가 환부에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형태는 부항 흡착구의 내부에 금속 재질의 축심을 구비하고, 그 축심에 광섬유를 관통되게 고정하여, 피부면에 접촉방식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압력을 인가함과 동시에 단채널 혹은 다채널로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가 있다.
그러나 이들 레이저를 이용한 프로브 또는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들은 피부에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피부에 접촉하더라도 피부 표면에 단지 닿기만 한 정도에서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저출력 레이저의 특성상, 레이저가 피부 깊숙히 투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치료효과가 미미하게 되며, 또한 피부 밑의 조사되는 레이저의 투과깊이를 제어하지 못하게 되므로 환부 또는 병증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용도로의 변경이 불가능하게 되는 제한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항 흡착구에서 레이저를 발진시켜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된 레이저 프로브에 있어서, 레이저의 조사 와 함께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조절에 따른 레이저의 피부 밑 투과도를 증가시켜 레이저 침에 의한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레이저 프로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부항 흡착구의 내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기와 파장이 다른 단채널 또는 다채널 레이저 조사가 가능하도록 한, 레이저 프로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조절과 함께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을 조절하여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조절에 따른 레이저의 피부 투과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도 단채널 및 다채널로 조사되는 레이저의 피부밑 투과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레이저 프로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항 흡착구를 통해 레이저를 발진시켜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된 레이저 프로브에 있어서, 부항 흡착구에서 피부에 조사되기 위한 레이저를 출력하는 레이저 발진부;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는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을 조절하는 음압 조절부; 피부 밑 투과 깊이에 따른 상기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음압 조절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프로브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항 흡 착구를 통해 레이저를 발진시켜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된 레이저 프로브에 있어서, 부항 흡착구의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 상기 부항 흡착구에서 피부에 조사되기 위해 출력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을 조절하는 레이저 조절부; 피부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레이저 조절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프로브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항 흡착구를 통해 레이저를 발진시켜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된 레이저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는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을 조절하는 음압 조절부; 상기 부항 흡착구에서 피부에 조사되기 위해 출력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을 조절하는 레이저 조절부; 피부 밑 투과 깊이에 따른 상기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설정 조건 또는 피부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음압 조절부 및 레이저 조절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 를 포함하는 레이저 프로브이다.
상기 각각의 실시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레이저 프로브는, 상기 음압 조절부 또는 상기 레이저 조절부에 연결되며, 피부 밑 투과 깊이에 따른 상기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설정조건 또는 피부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 설정조건을 주제어부로 입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의 조사와 함께 부항 흡착구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조절에 따른 레이저의 피부 밑 투과도를 증가시켜 레이저 침에 의한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조절과 함께 부항 흡착구의 내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레이저의 피부밑 투과깊이 조절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단채널 및 다채널로 조사되는 레이저 침 등에 다양한 용도로의 변경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 조절이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항 흡착구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프로브의 제1 실시예는 부항 흡착구(100)와 음압 조절부(110)와 주제어부(130) 및 키입력부(140)로 이루어지는 형태로서, 피부에 부착되며 레이저가 조사되는 부항 흡착구(100)와, 부항 흡착구의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음압)을 조절하는 음압 조절부(110)와, 부항 흡착구에서 피부에 조사되기 위한 레이저를 출력하는 레이저 발진부(121)와, 음압 조절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130)와,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설정조건을 주제어부로 입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1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프로브의 제2 실시예는 부항 흡착구(100)와 레이저 조절부(120)와 주제어부(130) 및 키입력부(140)로 이루어지는 형태로서, 부항 흡착 구의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114)와, 피부에 부착되며 레이저가 조사되는 부항 흡착구(100)와,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을 조절하는 레이저 조절부(120)와, 레이저 조절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130)와,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 설정조건을 주제어부로 입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1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프로브의 제3 실시예는 부항 흡착구(100)와 음압 조절부(110)와 레이저 조절부(120)와 주제어부(130) 및 키입력부(140)로 이루어지는 형태로서, 피부에 부착되며 레이저가 조사되는 부항 흡착구(100)와,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을 조절하는 음압 조절부(110)와,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을 조절하는 레이저 조절부(120)와, 음압 조절부 및 레이저 조절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130)와,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설정조건 및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 설정 조건을 주제어부로 입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140)로 구성된다.
부항 흡착구(100)는 부항기 몸체(101)와, 레이저 전달부재(102)와, 지지부재(103)로 이루어진다.
부항기 몸체(101)는 내부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쪽이 막히고 다른 한쪽이 피부와 접할 수 있게 개방된 아크릴 재질의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막힌쪽 단부의 중앙에는 내부로 관통되는 지지부재 압입구가 형성되어 그 지지부재 압입구에 지지부재(103)가 압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항기 몸체(101)의 막힌쪽 단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통기구가 형성되어 펌프와 연결되는 공기 배출구(1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레이저 전달부재(102)는 상기 지지부재 압입구에 압입되는 지지부재의 내부에 상기 부항기 몸체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광섬유로 이루어진다. 이 광섬유는 일단이 레이저 발진부에 광결합되어 레이저 발진부로부터 레이저를 전달받고, 다른 일단은 부항기 몸체를 관통하여 부항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이러한 광섬유는 상기 레이저 발진부에서 발생되는 레이저를 상기 부항 흡착구의 내부로 전달하여 지지부재의 말단부에서 방출되어 피부에 조사될 수 있게 한다.
지지부재(103)는 상기 부항기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압입되며 상기 레이저 전달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양단부가 개방된다. 이 지지부재(103)는 부항기 몸체의 중앙에서 레이저 전달부재인 광섬유를 견고하게 지지하며, 이를 위하여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음압 조절부(110)는 부항 흡착구 내부에 설치되는 압력센서(111)와, 부항 흡착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112)와 펌프 제어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센서(111)는 부항 흡착구 내부 공간의 압력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이 압력 감지신호의 출력은 상기 주제어부(130)로 제공된다. 상기 압력센서(111)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03)와 부항기 몸체(101)와의 사이에 내장형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항기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압력센서(111)는 상기 지지부재(103)와 부항기 몸체(101)와의 사이에 내장형으로 삽입되는 제1압력센서와, 상기 부항기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2압력센서로도 구성될 수 있다.
펌프(112)는 부항 흡착구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공기 배출구(114)가 연설되어 있으며, 이 공기 배출구(114)는 상기 부항 흡착구의 통기구를 거쳐 부항 흡착구의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이 펌프(112)는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부항 흡착구(100)의 내부와 연통된다.
펌프 제어부(113)는 상기 압력 센서에서 출력되는 압력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부항 흡착구로의 공기 흡입을 위한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펌프 제어부(113)는 주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펌프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레이저 조절부(120)는 상기 부항 흡착구를 통해 피부에 조사되는 레이저를 발생하는 레이저 발진부(121)와, 상기 레이저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레이저의 파장대역과 세기로 조절하는 레이저 제어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제어부(130)는 키입력부를 통해 설정되는 조건, 즉 피부 밑 투과 깊이에 따른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설정 조건, 또는 피부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음압 조절부(110) 및 레이저 조절부(120)를 제어한다.
키입력부(140)는 상기 주제어부에 연결되며, 피부 밑 투과 깊이에 따른 상기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설정 조건 또는 피부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의 설정조건을 주제어부로 입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압 조절이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에서 주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음압 조절 및 레이저 조절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로서, 도 2의 구성과 같이 음압 조절부(110)와 레이저 조절부(120)가 모두 포함된 경우 주제 어부(130)에 의한 제어 흐름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주제어부(130)에 의해 실시되는 레이저의 파장과 세기 조절과정은 도 4의 왼쪽 흐름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140)에서 설정되는 레이저의 파장과 세기 설정 조건을 체크하여 설정 조건으로 레이저의 파장과 세기를 선택하는 단계(S101), 설정된 파장과 세기의 조건에 맞게 레이저 제어부(122)를 구동시키는 단계(S103), 레이저 발진부(121)에서 레이저를 발진시켜 레이저 조사부재(102)를 통해 피부에 조사하는 단계(S105,S106), 레이저의 파장과 세기조건의 변경여부를 체크하여 설정 조건이 변경되는 경우 설정 조건에 맞게 레이저의 파장과 세기를 선택하는 단계(S101)로 복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130)에 의해 실시되는 음압조절 과정은, 도 4의 오른쪽 흐름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140)에서 설정되는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설정조건을 체크하여 설정 조건으로 음압을 선택하는 단계(S201), 설정된 음압 조건에 맞게 펌프 제어부(113)를 구동시켜 펌프(112)에서 해당 음압을 부항 흡착구 내부에 인가하면서 압력 센서(111)를 통해 부항 흡착구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해당 압력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03-S209), 해당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부항 흡착구내 음압을 유지시키는 단계(S211), 음압 조건의 변경여부를 체크하여 설정 조건이 변경되는 경우 설정 조건에 맞게 압력을 선택하는 단계(S201)로 복귀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레이저 프로브에 대한 동작 및 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프로브에서는 도 4의 오른쪽 흐름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140)에서 시술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는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설정조건을 입력하게 되면, 주제어부(130)가 그 키입력값을 체크하여 설정된 조건으로 압력을 선택(S201)하여 펌프 제어부(113)를 구동(S203)시킨다. 이에 따라 펌프 제어부(113)는 설정된 음압 조건에 맞는 해당 음압이 부항 흡착구(100)의 내부에 형성되도록 펌프(112)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공기 배출구(114)를 통해 펌프(112)에서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가 부항 흡착구(100) 내부로 흡입되어 올라가게 되면서 부항 흡착구(100)와 피부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압력으로 조절된 음압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압력으로 부항 흡착구 내부의 음압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레이저 발진부(121)를 구동시키게 되면 레이저 전달부재(102)를 통해 부항 흡착구(100)의 내부로 레이저가 방출되어 피부에 조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주제어부(130)는 압력 센서(111)를 통해 부항 흡착구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해당 압력에 도달하는지를 판단(S203-S209)하면서 펌프(112)를 구동시키게 되며, 해당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펌프 제어부(113)의 구동을 정지시켜 부항 흡착구(100) 내 음압이 현재 상태로 유지(S211)될 수 있게 한다.
이후에는 다시 키입력 상태를 체크하여 압력 조건이 변경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215)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설정된 해당 압력으로 부항 흡착구 내부 음압을 조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프로브에서는 부항 흡착구(100)를 피부에 밀착되게 접촉시킨 상태에서 수동으로 펌프(112)를 구동시켜 부항 흡착구(100)로 둘러싸인 피부에 수동으로 음압을 형성하고, 도 4의 왼쪽 흐름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140)에서 시술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는 레이저의 파장과 세기 설정조건을 입력하게 되면, 주제어부(130)가 키입력값을 체크하여 설정된 조건으로 파장과 세기를 선택(S101)하여 레이저 제어부(122)를 구동(S103)시킨다. 이에 따라 레이저 제어부(122)는 설정된 파장과 세기에 맞는 해당 레이저의 출력이 발생되도록 레이저 발진부(121)를 구동시켜, 부항 흡착구(100)의 내부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는 다시 키입력 상태를 체크하여 레이저의 파장과 세기에 대한 설정 조건이 변경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213)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설정된 해당 파장과 세기로 레이저 발진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프로브에서는 도 4의 오른쪽 흐름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140)에서 시술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는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설정조건을 입력하게 되면, 주제어부(130)가 그 키입력값을 체크하여 설정된 조건으로 압력을 선택(S201)하여 펌프 제어부(113)를 구동(S203)시킨다. 이에 따라 펌프 제어부(113)는 설정된 압력 조건에 맞는 해당 음압이 부항 흡착구(100)의 내부에 형성되도록 펌프(112)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공기 배출구(114)를 통해 펌프(112)에서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가 부항 흡착구(100) 내부로 흡입되어 올라가게 되면서 부항 흡착구(100)와 피부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압력으로 조절된 음압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압력으로 부항 흡착구 내부의 음압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도 4의 왼쪽 흐름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140)에서 시술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는 레이저의 파장과 세기 설정조건을 입력하게 되면, 주제어부(130)가 키입력값을 체크하여 설정된 조건으로 파장과 세기를 선택(S101)하여 레이저 제어부(122)를 구동(S103)시킨다. 이에 따라 레이저 제어부(122)는 설정된 파장과 세기에 맞는 해당 레이저의 출력이 발생되도록 레이저 발진부(121)를 구동시켜, 부항 흡착구(100)의 내부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는 다시 키입력 상태를 체크하여 레이저의 파장과 세기에 대한 설정 조건이 변경되는지의 여부 및 압력 조건이 변경되는지의 여부를 각각 판단(S213, S215)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각각 설정된 해당 파장과 세기로 레이저 발진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해당 압력으로 부항 흡착구(100) 내부 음압을 조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 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레이저를 이용한 프로브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 조절이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항 흡착구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압 조절이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에서 주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음압 조절 및 레이저 조절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부항 흡착구 101 : 부항기 몸체
102 : 레이저 전달부재 103 : 지지부재
110 : 음압 조절부 111 : 압력센서
112 : 펌프 113 : 펌프 제어부
114 : 공기 배출구 120 : 레이저 조절부
121 : 레이저 발진부 122 : 레이저 제어부
130 : 주제어부 140 : 키입력부

Claims (15)

  1. 부항 흡착구를 통해 레이저를 발진시켜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된 레이저 프로브에 있어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을 조절하는 음압 조절부;
    부항 흡착구에서 피부에 조사되기 위한 레이저를 출력하는 레이저 발진부;
    상기 레이저 발진부를 구동시켜 부항 흡착구로 레이저를 조사하며, 피부 밑 투과 깊이에 따른 상기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의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음압 조절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로브.
  2. 부항 흡착구를 통해 레이저를 발진시켜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된 레이저 프로브에 있어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을 조절하는 음압 조절부;
    부항 흡착구에서 피부에 조사되기 위해 출력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을 조절하는 레이저 조절부;
    피부 밑 투과 깊이에 따른 상기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의 설정 조건 또는 피부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의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음압 조절부 및 레이저 조절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로브.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 조절부는
    상기 부항 흡착구 내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 공간의 압력에 따른 압력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압력 감지신호의 출력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압력센서;
    상기 부항 흡착구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부항 흡착구의 내부와 공기 배출구에 의해 연통되는 펌프;
    상기 압력센서에서 출력되는 압력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부항 흡착구로의 공기 흡입을 위한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펌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로브.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항 흡착구는,
    테두리가 피부와의 접촉될 수 있도록 원통형 흡착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착구의 테두리가 피부와 접촉하게 될 때 피부와 접촉되지 않는 공간이 흡착구의 내부에 존재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부항기 몸체;
    상기 레이저 발진부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며, 다른 일측 단부는 상기 흡착구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레이저 발진부에서 발생되는 레이저를 상기 흡착구 내부로 전달 및 조사하는 레이저 전달부재;
    상기 부항기 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몸체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레이저 전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로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로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항기 몸체는 아크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로브.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 조절부는, 상기 부항 흡착구 내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 공간의 압력에 따른 압력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압력 감지신호의 출력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지지부재와 부항기 몸체와의 사이에 내장형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로브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 조절부는, 상기 부항 흡착구 내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 공간의 압력에 따른 압력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압력 감지신호의 출력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부항기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로브.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 조절부는, 상기 부항 흡착구 내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 공간의 압력에 따른 압력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압력 감지신호의 출력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지지부재와 부항기 몸체와의 사이에 내장형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1압력센서와;
    상기 부항기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2압력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로브.
  10. 부항 흡착구를 통해 레이저를 발진시켜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된 레이저 프로브에 있어서,
    부항 흡착구의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
    부항 흡착구에서 피부에 조사되기 위해 출력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을 조절하는 레이저 조절부;
    피부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의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레이저 조절부를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로브.
  11.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에 연결되며, 피부 밑 투과 깊이에 따른 상기 부항 흡착구의 내부 음압 설정 조건 또는 피부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세기와 파장의 설정조건을 주제어부로 입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로브.
  12. 제2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절부는
    상기 부항 흡착구를 통해 피부에 조사되는 레이저를 출력하는 레이저 발진부;
    상기 레이저 발진부에서 출력되는 레이저의 파장대역과 세기로 조절하는 레이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로브.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항 흡착구는,
    테두리가 피부와의 접촉될 수 있도록 원통형 흡착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착구의 테두리가 피부와 접촉하게 될 때 피부와 접촉되지 않는 공간이 흡착구의 내부에 존재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부항기 몸체;
    상기 레이저 발진부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며, 다른 일측 단부는 상기 흡착구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레이저 발진부에서 발생되는 레이저를 상기 흡착구 내부로 전달 및 조사하는 레이저 전달부재;
    상기 부항기 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몸체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레이저 전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로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로브.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항기 몸체는 아크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로브
KR1020080132121A 2008-12-23 2008-12-23 음압조절이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 KR101136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121A KR101136201B1 (ko) 2008-12-23 2008-12-23 음압조절이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121A KR101136201B1 (ko) 2008-12-23 2008-12-23 음압조절이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446A KR20100073446A (ko) 2010-07-01
KR101136201B1 true KR101136201B1 (ko) 2012-04-17

Family

ID=42636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121A KR101136201B1 (ko) 2008-12-23 2008-12-23 음압조절이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2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081B1 (ko) * 2019-12-17 2020-03-24 주식회사 신우메디랜드 레이저 치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316B1 (ko) * 2010-06-30 2013-03-14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터치 센서 내장형 레이저 부항 장치
KR101249384B1 (ko) * 2011-02-08 2013-04-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부항기용 레이저 프로브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
CN108697279B (zh) * 2016-02-18 2021-04-06 株式会社多尼克 皮肤美容装置的手持件
KR101877320B1 (ko) * 2016-07-15 2018-07-11 주식회사 이루다 레이저 및 고주파를 이용한 한방 뜸 및 침 장치
CN107693867A (zh) * 2017-10-30 2018-02-16 周宇 一种负压注射器
CN108837201B (zh) * 2018-06-20 2021-07-30 宗世华 一种用于治疗风湿性关节炎的负氧离子减压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194Y1 (ko) 2001-04-17 2001-10-11 임석형 부항기
KR100336660B1 (ko) 1999-09-22 2002-05-13 최좌진 저출력 레이저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85505B1 (ko) 2001-03-13 2003-05-27 장계숙 레이저 조사수단을 갖는 원적외선 방사체로 되는 부황기
KR100846070B1 (ko) 2007-07-18 2008-07-11 장복현 레이저 저주파 부항기 이온 영동 자석 침의 조화 치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660B1 (ko) 1999-09-22 2002-05-13 최좌진 저출력 레이저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85505B1 (ko) 2001-03-13 2003-05-27 장계숙 레이저 조사수단을 갖는 원적외선 방사체로 되는 부황기
KR200243194Y1 (ko) 2001-04-17 2001-10-11 임석형 부항기
KR100846070B1 (ko) 2007-07-18 2008-07-11 장복현 레이저 저주파 부항기 이온 영동 자석 침의 조화 치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081B1 (ko) * 2019-12-17 2020-03-24 주식회사 신우메디랜드 레이저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446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201B1 (ko) 음압조절이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프로브
KR101703290B1 (ko)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KR101058681B1 (ko) 레이저 천공 장치 및 레이저 천공 방법
JPH01139081A (ja) レーザ光照射装置
KR101951468B1 (ko) 비염치료기 및 비염치료기 제어방법
KR102151923B1 (ko) 니들 레이저 치료 시스템
JP6564402B2 (ja) 血管認識装置
JP2015039538A (ja) 顔マッサージ機
KR20200050488A (ko) 피부 치료기
JP2008079835A (ja) 腫瘍検出装置
KR102003037B1 (ko) 초음파 전달 매질의 순환 구조를 가지는 체강 삽입형 초음파 장치
KR102659696B1 (ko) 초음파 및 고주파를 이용한 발생장치
WO2008075708A1 (ja) 超音波処理装置
KR101894855B1 (ko) 가이드 레이저를 구비한 초음파 일체형 모듈
KR102107129B1 (ko) 트랜스듀서 공진주파수 매칭기능을 가지는 무선 프로브 형태의 hifu 장치
KR101176851B1 (ko) 부항기 프로브 및 그를 구비하는 부항 장치
KR102192614B1 (ko) 고주파 치료장치
JP2007307289A (ja) 超音波内視鏡装置
KR101249384B1 (ko) 부항기용 레이저 프로브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
KR102305540B1 (ko) 분자 공진형 고주파와 석션 방식 니들 전극을 가진 치료 장치 및 방법
US20190162589A1 (en) Photoacoustic probe and attachment
KR101916841B1 (ko) 수침식 초음파 발생장치가 장착된 바이오칩 및 이를 이용한 관찰시스템
KR20200133066A (ko) 집속초음파 유도에 의해 광투과 깊이를 확보하는 광역학 치료 장치 및 초음파의 출력을 피드백 제어하여 광을 조사하는 방법
KR20160101736A (ko) 관절염 치료를 위한 최소 침습적 레이저 침 시스템
US20230157746A1 (en) Surgical navigation instrument having needle electrode depth adjusting structure for detecting impedance and high frequency energy control method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