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488A - 피부 치료기 - Google Patents

피부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488A
KR20200050488A KR1020180132741A KR20180132741A KR20200050488A KR 20200050488 A KR20200050488 A KR 20200050488A KR 1020180132741 A KR1020180132741 A KR 1020180132741A KR 20180132741 A KR20180132741 A KR 20180132741A KR 20200050488 A KR20200050488 A KR 20200050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el
probe
skin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5997B1 (ko
Inventor
정치성
Original Assignee
(주)굿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굿플 filed Critical (주)굿플
Priority to KR1020180132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9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76By stopp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기능이 구비되고 시술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피부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치료시 고주파 전압에 의한 열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액상의 젤이 자동으로 피부에 도포되며, 프로브의 오작동 및 고장 유무를 자동으로 판단 및 인식하여 고주파의 방사 오류에 의한 환자의 불필요한 고통을 억제할 수 있는 피부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 치료기 {A skin desease treatment appliance}
본 발명은 안전 기능이 구비되고 시술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피부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치료시 고주파 전압에 의한 열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액상의 젤이 자동으로 피부에 도포되며, 프로브의 오작동 및 고장 유무를 자동으로 판단 및 인식하여 고주파의 방사 오류에 의한 환자의 불필요한 고통을 억제할 수 있는 피부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치료기는 전극을 인체에 직접 접촉하면서 치료기 내부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전극을 통해 인체의 심부에 투여하여 생체(生體)에너지로 전환하고,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심부에 열을 발생시켜, 인체 내의 자연치유력 및 임피던스력을 높혀 줌으로써 피부, 비만 탈모예방 및 발모, 건강관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의료기이다. 이와 같은 고주파 치료기는 다양한 형태의 모델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고주파 치료기는,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본체와,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에 일렉트로드(일명 도자라 칭함)가 설치된 일렉트로드 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고주파 의료기로부터 발생된 특수레벨의 주파수에 의한 전기에너지를 일렉트로드를 통해 인체에 직접 접촉하면서 인체의 심부(深部)에 투여하여 생체(生體)에너지로 전환하고,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심부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주파 의료기는 고주파 의료기 본체로부터 발생한 주파수를 단순히 일렉트로드를 통해 인체에 직접 접촉하는 것에 의해 고주파 시술을 행하기 때문에 피부의 괴사 한도인 45도 이상의 발열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즉, 이러한 발열 상태로 시술을 지속하게 되는 경우 접촉 부위의 피부에 화상을 입힐 우려가 있고 환자에게도 불필요한 고통과 통증을 줌으로써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에는 많은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고주파 의료기는 전극을 통해 환부에 자극되는 고전압의 고주파가 일정의 세기로 환부를 자극하게 되며, 고주파의 주파수는 환부의 깊이를 결정하고, 전압의 세기 및 전류의 세기 등은 환부 및 기타 환자의 세포들에 직접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환부의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피부 속의 특정 부위를 자극할 수 있게 된다. 이에 특정 부위의 깊이 및 고전압의 세기에 따라 적용되는 환자 및 환부의 상태에 알맞게 설정하여 치료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주파 치료기는 단순히 일정 세기의 고주파 전압을 강한 세기로 항상 환부를 자극하기 때문에, 환자의 건강 상태가 변화됨에 따라 적절한 정도의 고전압 고주파 신호를 변동할 수 없어 자칫 피부 손상 및 세포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동반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고주파치료기의 단점을 개선하고 환자의 치료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술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고주파 치료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845017호 '구강용 고주파 치료기' (출원일자 2017.07.21) 2. 등록특허공보 제10-1272452호 '센서를 이용한 고주파 출력의 전기치료기 및 고주파 출력 제어방법' (출원일자 2011.07.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의 상태 및 치료부위의 상태와 환자의 신체 변화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치료강도로 고주파 치료가 진행될 수 있도록 고주파 발생부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피부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치료부위의 피부 온도와 피부 두께를 측정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주파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피부 치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치료기는 피부에 접촉되는 프로브(100); 상기 프로브(100)와 연결되며 상기 프로브(100)에 고주파 또는 저주파를 제공하는 전기자극 발생부(210)를 포함하고, 제공되는 고주파 또는 저주파의 출력조절 및 설정을 조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220) 및 내부에 도전성 겔(Gel)이 수용된 겔공급부(230)를 포함하는 본체모듈(2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브(100)는 상기 전기자극 발생부(210)로부터 고주파가 발생되며, 피부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10), 접촉된 피부에 광에너지를 조사하는 광출력부(120), 상기 프로브(100) 몸체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130) 및 상기 겔공급부(140)부터 겔을 전달받아 피부에 도포하는 겔토출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프로브(100-1); 및 상기 전기자극 발생부(200)로부터 저주파가 발생되며, 상기 온도센서(110), 광출력부(120), 진동부(130) 및 겔토출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프로브(10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브(100-1,100-2)에는 상기 본체(200)와 결합되는 적어도 4핀을 포함하는 커넥터(300)가 장착되되, 상기 커넥터(300)의 다수의 핀 중 어느 하나의 핀에는 상기 본체모듈(200)에 상기 제1 또는 제2 프로브(100-1, 100-2)를 연결 시 연결되는 프로브(100)의 종류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코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본체모듈(200)과 상기 커넥터(300)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본체(200)에는 상기 식별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프로브식별부(2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200)에는 상기 온도센서(110), 광출력부(120), 진동부(130) 및 겔토출부(140)의 작동상태 유무를 판단하여 불량 여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220)에 출력하는 에러표시부(250); 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에러표시부(250)는 상기 온도센서(110)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온도센서(110)의 작동유무를 판단하는 온도저항측정부(251); 상기 커넥터(300)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프로브(100)의 연결상태 유무를 판단하는 제1 전류감지부(252); 상기 광출력부(120), 진동부(130) 및 겔토출부(140)에 인가된 각각의 전류를 감지하여 작동유무를 판단하는 제2 전류감지부(2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겔공급부(230)는 내부에 도전성 겔(Gel)이 수용되며 상기 겔토출부(140)로 겔을 전달하는 겔수용부(231); 상기 겔수용부(243)의 내부에 유체(Air)를 주입 또는 흡입하도록 상기 겔수용부(231)와 연결되는 펌프모터(232); 상기 펌프모터(232)로부터 상기 겔수용부(231)의 내부에 공급되는 유체와 상기 겔수용부(231)에 수용된 유체의 흡입을 제어하도록 상기 펌프모터(232)와 상기 겔수용부(231) 사이에 구비되는 개폐밸브(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233)는 상기 펌프모터(232)로부터 전달되는 유체의 공급을 ON/OFF 하는 제1 차단밸브(233-1); 상기 제1 차단밸브(233-1)와 연결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유체유입밸브(233-2); 상기 겔수용부(231)에 수용된 유체의 흡입을 ON/OFF 하는 제2 차단밸브(233-3); 상기 제2 차단밸브(233-3)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모터(232)가 흡입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토출밸브(23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온도센서가 치료부위의 피부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설정된 온도 이상이 감지되면 고주파 출력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하여 고주파에 따른 피부 화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프로브의 내부에 도전성젤(Gel)을 구비함으로써 시술자의 선택에 따라 프로브에서 피부에 도포되어 환자의 통증과 불편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로브의 불량과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에 프로브의 연결시 프로브의 용도에 따라 고주파 출력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프로브의 전면에 치료부위의 피부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장치가 더 구비되어 환부의 위치 및 피부의 두께에 따라 고주파 출력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피부치료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과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의 프로브 내부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피부 치료기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피부치료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과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의 프로브 내부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술부위(피부 조직 내)에 고주파 및 저주파의 전기자극을 통해 피부조직을 분해 및 활성화시켜 시술부위를 치료하는 피부 치료기에 해당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측이 피부에 접촉되어 고주파 또는 저주파를 피부에 인가하는 프로브(100)와 프로브(100)가 일측에 연결되며 고주파 또는 저주파를 제공하는 본체모듈(200)로 구성된다. 상기의 프로브(100)는 적어도 한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로브(100)와 본체모듈(200)은 별도의 케이블(1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체모듈(200)은 프로브(100)에 고주파 또는 저주파를 제공하는 전기자극 발생부(210)를 포함한다. 전기자극 발생부(210)는 고주파를 제공하는 고주파 발생부와 저주파를 제공하는 저주파 발생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모듈(200)에는 제공되는 고주파 또는 저주파의 출력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부(220)가 더 구비되며, 인터페이스부(220)는 현재 출력되는 고주파 및 저주파의 출력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1)와 주파수 출력량 및 다양한 설정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222)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220)의 조작으로 제공되는 주파수의 출력량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프로브(100)의 측면에 주파수의 출력량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버튼을 구비되면 고주파 또는 저주파의 출력량을 시술자가 시술하면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모듈(200)에는 내부에 도전성 겔(Gel)이 수용된 겔공급부(230)를 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프로프(100)가 포함하는 겔토출부(140)로 도전성 겔(Gel)을 공급해주기 위한 구성으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프로브(100)는 서로 다른 기능과 시술 목적을 갖는 제1 프로브(100-1) 및 제2 프로브(100-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하는 제1 프로브(100-1) 및 제2 프로브(100-2)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상기의 프로브(100)는 사용자의 설계변경에 따라 제1 프로브(100-1) 및 제2 프로브(100-2)와 다른 시술 목적으로 제작된 제3 프로브, 제4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브(100-1)는 전기자극 발생부(210)로부터 전달된 고주파를 피부에 인가하는 시술탭(150)을 포함한다. 상기의 시술탭(150)은 도자의 몸체로 구성되어 피부에 밀착된다. 그리고 제1 프로브(100-1)는 시술탭(150)의 일측에 노출되어 피부 표면과 접촉되면서 피부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10), 접촉된 피부에 광에너지를 조사하는 광출력부(120), 프로브(100) 몸체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130) 및 상기 겔공급부(140)부터 겔을 전달받아 피부에 도포하는 겔토출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2 프로브(100-2) 또한 전기자극 발생부(210)로부터 발생된 저주파를 피부에 인가하는 시술탭(1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온도센서(110), 광출력부(120), 진동부(130) 및 겔토출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치료의 목적에 맞게 상기의 제1 및 제2 프로브(100-1,100-2) 중 어느 하나를 시술자가 선택하여 시술한다.
상기의 광출력부(120)는 프로브(100)의 일측, 즉 시술탭(150)의 주변에 형성되어 프로브(100)가 피부에 접촉 시 접촉된 피부에 광에너지를 조사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저준위 레이저(LLL:Low Level Laser)일 수 있다. 광출력부(120)로 인해 지방분해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치료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광출력부(120)가 LED인 경우 특정 파장과 색상을 갖는 LED광을 발생시켜 시킬 수 있다.
한편, 전기자극 발생부(210)로부터 생성되는 고주파 전기자극은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0495 MHz 내지 0505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고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고, 저주파 전기자극은 낮은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85KHz 내지 95K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중저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진동부(130)는 프로브(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회전모터(131)와 회전모터(131)와 연결되어 일측으로 편심되어진 진동추(132) 및 회전모터(131)를 상기 프로브(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133)을 포함한다. 회전모터(131)가 회전함에 따라 진동추(132)가 회전하고, 진동추(132)의 편심으로 인해 프로브(100)에서 진동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진동부(130)의 작동여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20)의 조작이나, 프로브(100)의 일측에 별도로 설치된 버튼 등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겔토출부(140)는 겔공급부(240)로부터 도전성 겔(Gel)을 공급받아 피부에 도포한다. 겔토출부(140) 또한 토출구가 피부 표면과 인접하도록 프로브(100)의 일측에 구비된다. 겔공급부(240)는 본체모듈(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지만, 편리성을 위해 프로브(10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겔공급부(240)는 튜브형태로 프로브(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소진시 다른 겔공급부(24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프로브(100)는 레이저조사부(1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레이저조사부(160)는 시술탭(1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프로브(100)의 내부에 구비된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레이저를 전달받아 피부에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때, 발진되는 레이저는 시술자의 선택에 따라 ON/OFF가 가능하다.
레이저조사부(160)는 레이저광을 직접 발진시키거나 상기의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레이저 광을 전달받아 피부 방향으로 조사하는 레이저 발진부(161)와 레이저 발진부(161)로부터 발진된 레이저광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렌즈(162) 및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렌즈(162)와 레이저 발진부(161)로 겔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커버(163)을 포함한다. 시술탭(150)과 레이저조사부(160)는 하나의 단위모듈로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불량이나 파손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프로브(100-1,100-2)에는 본체(200)와 결합되는 4핀 이상의 커넥터(300)가 장착된다. 커넥터(300)는 4핀, 5핀, 6핀, 8핀 등의 접촉단자를 갖는 커넥터 일 수 있다. 각각의 핀은 각각의 프로브(100)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해주는 목적을 가지며, 프로브(100) 내부에 장착된 다른 구성이 증가하면 핀의 개수 또한 증가할 수 있다.
커넥터(300)의 다수의 핀 중 어느 하나의 핀에는 제1 또는 제2 프로브(100-1, 100-2)의 정보가 저장된 핀 일 수 있다. 즉, 핀에는 프로브(100)의 종류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코드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본체모듈(200)과 상기 커넥터(300)가 연결되는 경우 본체모듈(200)에는 전기자극 발생부(210)가 출력되는 주파수를 설정시키기 위해 핀의 식별코드 정보 데이터를 전달받아 인식하는 프로브식별부(24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 프로브(100-1, 100-2)중 어느 하나를 연결 시 전기자극 발생부(210)가 고주파 또는 저주파를 출력해줄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프로브(100-1,100-2)에 설치된 커넥터는 본체모듈(200)에 연결 시 상호 호환되지 않도록 그 형상이 상이하여 시술자의 실수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체모듈(200)에는 온도센서(110), 광출력부(120), 진동부(130) 및 겔토출부(140)의 작동상태 유무와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에러표시부(250)가 더 구비된다. 에러표시부(250)는 프로브(100)가 본체모듈(200)에 연결 시 작동하며 작동유무 및 상기의 구성의 불량 여부를 인터페이스부(220)에 출력하는 목적을 갖는다.
에러표시부(250)는 온도센서(110)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온도센서(110)의 작동유무를 판단하는 온도저항측정부(251), 커넥터(300)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프로브(100)의 연결상태 유무를 판단하는 제1 전류감지부(252) 및 광출력부(120), 진동부(130) 및 겔토출부(140)에 인가된 각각의 전류를 감지하여 작동유무를 판단하는 제2 전류감지부(253)를 포함한다.
즉, 온도저항측정부(251)는 저항값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저항값이 '0'일 경우 에러라고 판단하여 인터페이스부(220)로 전송한다.
제1 전류감지부(252) 및 제2 전류감지부(253)는 연결된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전류량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 에러라고 판단하여 인터페이스부(220)로 전송한다. 이때, 제2 전류감지부(253)는 광출력부(120), 진동부(130) 및 겔토출부(140)의 에러 발생 시 사용자가 에러가 발생된 구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인식 가능한 코드번호를 입력하여 인터페이스부(22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로브(100)를 본체모듈(200)에 연결시키는 방법만으로 프로브(100)의 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겔공급부(230)는 내부에 도전성 겔(Gel)이 수용되며 겔토출부(140)로 겔을 전달하는 겔수용부(231)를 포함한다. 그리고, 겔수용부(231)는 유체(Air)를 주입 또는 흡입하는 펌프모터(232)와 연결된다.
즉, 겔토출부(140)로 겔을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 펌프모터(232)가 작동하여 유체가 겔공수용부(231)로 공급되면서 겔를 토출시킨다. 반대로 겔토출부(140)에 잔류된 겔을 다시 겔수용부(231)로 흡입하기 위해서 겔수용부(231) 내부에 유입된 유체를 펌프모터(232)가 흡입하면 겔은 펌프모터(232)에 의해 토출과 흡입이 가능해진다.
이때, 펌프모터(232)와 겔수용부(231) 사이에는 겔수용부(231)로 주입되는 유체와 흡입되는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개폐밸브(233)가 더 구비된다.
개폐밸브(233)는 펌프모터(232)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ON/OFF 하는 제1 차단밸브(233-1)와 겔수용부(231)에 수용된 유체의 흡입을 ON/OFF 하는 제2 차단밸브(233-3)를 포함한다. 제1 차단밸브(233-1)와 제2 차단밸브(233-3)는 동시에 개방될 수 없으며, 토출 또는 흡입되는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이때, 제1 차단밸브(233-1)와 연결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유체유입밸브(233-2)와, 제2 차단밸브(233-3)와 연결되어 펌프모터(232)가 흡입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토출밸브(233-4)가 더 구비된다. 유체유입밸브(233-2)와 유체토출밸브(233-4)의 구성으로 인해 겔수용부(231)의 내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동시에 펌프모터(232)의 내구성도 확보해줄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차단밸브(233-1) 제2 차단밸브(233-3)를 각각 구성함으로써 밸브의 불량 시 겔이 겔수용부(231)에서 임의로 누출되거나 하는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피부 치료기는 시술부위의 피부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설정된 온도 이상이 감지되면 고주파 또는 저주파의 출력량을 조절하는 제어부(260)를 더 구비하여 고주파 따른 피부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젤(Gel)이 피부에 도포됨고, 커넥터(300)의 구성으로 인해 시술자가 시술 조건에 맞는 시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확인해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10)은 상기 겔공급부(230)로부터 겔을 공급받아 겔 토출부(140)로 전달하는 겔공급관(11)을 포함하며, 겔공급관(11)의 외측에 구비되며 제어부(260)와 온도센서(110), 광출력부(120), 진동부(130) 및 겔토출부(140) 등을 연결하고 전력을 인가하는 전력선(12)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모터(232)의 흡입시 겔공급관(11)에 잔류된 겔을 흡입하여 겔이 경화되는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프로브 100-1 : 제1 프로브
100-2 : 제2 프로브 110 : 온도센서
120 : 광출력부 130 : 진동부
140 : 겔토출부 200 : 본체모듈
210 : 전기자극 발생부 220 : 인터페이스부
230 : 겔공급부 240 : 프로브식별부
250 : 에러표시부

Claims (5)

  1. 피부에 접촉되는 프로브(100);
    상기 프로브(100)와 연결되며 상기 프로브(100)에 고주파 또는 저주파를 제공하는 전기자극 발생부(210)를 포함하고, 제공되는 고주파 또는 저주파의 출력조절 및 설정을 조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220) 및 내부에 도전성 겔(Gel)이 수용된 겔공급부(230)를 포함하는 본체모듈(200);을 포함하는 피부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100)는 상기 전기자극 발생부(210)로부터 고주파가 발생되며, 피부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10), 접촉된 피부에 광에너지를 조사하는 광출력부(120), 상기 프로브(100) 몸체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130) 및 상기 겔공급부(140)부터 겔을 전달받아 피부에 도포하는 겔토출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프로브(100-1); 및
    상기 전기자극 발생부(200)로부터 저주파가 발생되며, 상기 온도센서(110), 광출력부(120), 진동부(130) 및 겔토출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프로브(10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브(100-1,100-2)에는 상기 본체(200)와 결합되는 적어도 4핀을 포함하는 커넥터(300)가 장착되되,
    상기 커넥터(300)의 다수의 핀 중 어느 하나의 핀에는 상기 본체모듈(200)에 상기 제1 또는 제2 프로브(100-1, 100-2)를 연결 시 연결되는 프로브(100)의 종류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코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본체모듈(200)과 상기 커넥터(300)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본체(200)에는 상기 식별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프로브식별부(2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200)에는 상기 온도센서(110), 광출력부(120), 진동부(130) 및 겔토출부(140)의 작동상태 유무를 판단하여 불량 여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220)에 출력하는 에러표시부(250); 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에러표시부(250)는 상기 온도센서(110)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온도센서(110)의 작동유무를 판단하는 온도저항측정부(251);
    상기 커넥터(300)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프로브(100)의 연결상태 유무를 판단하는 제1 전류감지부(252);
    상기 광출력부(120), 진동부(130) 및 겔토출부(140)에 인가된 각각의 전류를 감지하여 작동유무를 판단하는 제2 전류감지부(25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겔공급부(230)는 내부에 도전성 겔(Gel)이 수용되며 상기 겔토출부(140)로 겔을 전달하는 겔수용부(231);
    상기 겔수용부(243)의 내부에 유체(Air)를 주입 또는 흡입하도록 상기 겔수용부(231)와 연결되는 펌프모터(232);
    상기 펌프모터(232)로부터 상기 겔수용부(231)의 내부에 공급되는 유체와 상기 겔수용부(231)에 수용된 유체의 흡입을 제어하도록 상기 펌프모터(232)와 상기 겔수용부(231) 사이에 구비되는 개폐밸브(2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치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233)는 상기 펌프모터(232)로부터 전달되는 유체의 공급을 ON/OFF 하는 제1 차단밸브(233-1);
    상기 제1 차단밸브(233-1)와 연결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유체유입밸브(233-2);
    상기 겔수용부(231)에 수용된 유체의 흡입을 ON/OFF 하는 제2 차단밸브(233-3);
    상기 제2 차단밸브(233-3)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모터(232)가 흡입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체토출밸브(233-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기.
KR1020180132741A 2018-11-01 2018-11-01 피부 치료기 KR102235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741A KR102235997B1 (ko) 2018-11-01 2018-11-01 피부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741A KR102235997B1 (ko) 2018-11-01 2018-11-01 피부 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488A true KR20200050488A (ko) 2020-05-12
KR102235997B1 KR102235997B1 (ko) 2021-04-06

Family

ID=70679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741A KR102235997B1 (ko) 2018-11-01 2018-11-01 피부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9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896B1 (ko) * 2020-08-20 2021-03-11 이동신 피부 미용기기
KR102339950B1 (ko) * 2021-01-13 2021-12-16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의료용 조합 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14073B1 (ko) * 2021-11-23 2022-06-28 (주)이지템 석션형 고주파 미용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WO2024005357A1 (ko) * 2022-06-30 2024-01-04 주식회사 리센스메디컬 멀티 모드에서 동작하는 냉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797A (ko) * 2002-10-17 2004-04-29 주식회사 헬스피아 수 개의 프로브를 지닌 피부 자극용 초음파/저주파발생기
KR20110097146A (ko) * 2010-02-24 2011-08-31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장치의 탐촉부 겔 공급장치
KR101272452B1 (ko) 2011-07-08 2013-06-07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센서를 이용한 고주파 출력의 전기치료기 및 고주파 출력 제어방법
KR20150076794A (ko) *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코맥스 교체형 의료용 핸드피스
KR101814109B1 (ko) * 2016-07-04 2018-01-02 주식회사 파나시 피부 치료용 복합기
KR101845017B1 (ko) 2017-07-21 2018-04-03 주식회사 비엠텍월드와이드 구강용 고주파 치료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797A (ko) * 2002-10-17 2004-04-29 주식회사 헬스피아 수 개의 프로브를 지닌 피부 자극용 초음파/저주파발생기
KR20110097146A (ko) * 2010-02-24 2011-08-31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장치의 탐촉부 겔 공급장치
KR101272452B1 (ko) 2011-07-08 2013-06-07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센서를 이용한 고주파 출력의 전기치료기 및 고주파 출력 제어방법
KR20150076794A (ko) *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코맥스 교체형 의료용 핸드피스
KR101814109B1 (ko) * 2016-07-04 2018-01-02 주식회사 파나시 피부 치료용 복합기
KR101845017B1 (ko) 2017-07-21 2018-04-03 주식회사 비엠텍월드와이드 구강용 고주파 치료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896B1 (ko) * 2020-08-20 2021-03-11 이동신 피부 미용기기
KR102339950B1 (ko) * 2021-01-13 2021-12-16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의료용 조합 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14073B1 (ko) * 2021-11-23 2022-06-28 (주)이지템 석션형 고주파 미용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WO2024005357A1 (ko) * 2022-06-30 2024-01-04 주식회사 리센스메디컬 멀티 모드에서 동작하는 냉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03395A (ko) * 2022-06-30 2024-01-09 주식회사 리센스메디컬 멀티 모드에서 동작하는 냉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997B1 (ko)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997B1 (ko) 피부 치료기
US9668803B2 (en) Impedance computation for ablation therapy
AU20202038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yperthermia therapy
JP5059102B2 (ja) 光反応療法のための光送達システム
KR102008869B1 (ko) 휴대용 hifu 스킨케어 디바이스
WO2009085818A3 (en) Optical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a patient condition
KR102011399B1 (ko) 분리형 밀폐 커버를 구비하는 체강 삽입형 초음파 장치
KR102409168B1 (ko) 석션형 고주파 미용기기
KR101472983B1 (ko) 고주파 온열 치료 장치
KR101534525B1 (ko) 휴대형 다기능 치료기
US20060009823A1 (en) Luminex® laser therapy system
KR20110018021A (ko) 이종 광조사 휴대용 피부 트리트먼트 장치
KR101471884B1 (ko) 휴대용 핸드피스 레이저 치료 장치
KR101174831B1 (ko) 쑥뜸 장치
KR102401253B1 (ko) 멍과 붓기를 줄이는 인모드 리프팅시스템
KR20190123190A (ko) 초음파, 저주파 및 온열 치료 기능이 결합된 일체형 패드를 가지는 휴대가 용이한 하지근력 강화 및 관절염 통증치료기
TWI603302B (zh) Transcutaneous nerve stimulation system with wireless remote control function and wireless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28401B1 (ko) 음압과 미세전류를 이용한 창상 치료 장치
CN111659021A (zh) 一种鼻炎及流感治疗仪及其工作方法
KR100502484B1 (ko) 관절/피부 복합치료기
KR100935805B1 (ko) 비강 매몰형 광 조사장치
TW202002932A (zh) 遠端智能穴位刺激器
KR101525608B1 (ko) 전립선 질환 치료기
RU2810441C1 (ru) Аппарат для лечения нейросенсорной тугоухости методом эндаурального фоноэлектрофореза
KR102592169B1 (ko) 지방 흡입용 케뉼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