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704A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704A
KR20180007704A KR1020160088324A KR20160088324A KR20180007704A KR 20180007704 A KR20180007704 A KR 20180007704A KR 1020160088324 A KR1020160088324 A KR 1020160088324A KR 20160088324 A KR20160088324 A KR 20160088324A KR 20180007704 A KR20180007704 A KR 20180007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member
vehicle
impact
steering column
impact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2218B1 (ko
Inventor
홍성종
허종욱
허성국
김진우
Original Assignee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8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2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향축, 상기 조향축의 감싸는 외측 튜브, 상기 외측 튜브에 장착되는 디스턴스 브라켓,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의 외측에 고정장착되는 플레이트 브라켓,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과 플레이트 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어드저스트볼트 및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의 일 측 끝단에 장착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에 있어서,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와 대응하는 외측 튜브에는 간격을 두고 부재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와 직교하는 부재 장착홈에는 충격 흡수 부재가 장착되어, 차량 충돌시 충격 흡수 부재가 어드저스트볼트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드저스트볼트와 직교하는 외측 튜브의 부재 장착홈에 충격 흡수 부재를 장착하여 차량 충돌시 충격 흡수 부재가 어드저스트볼트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 하중을 적절히 흡수하여 충돌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티어링 장치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스티어링 장치는 통상적으로 조향장치와 스티어링 기어 및 링크기구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상기 조향장치는 운전자로부터 회전토크를 전달받는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휠과 연결된 샤프트와, 이 샤프트가 내설되며 조향장치를 자체에 고정하는 스티어링 컬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되, 이 스티어링 컬럼은 한 쌍의 어퍼·로워 마운팅 브라켓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다.
한편, 이와 같은 스티어링 장치에는 차량 충돌 또는 추돌시 충돌 관성으로 인해 운전자가 조향장치에 부딪쳤을때 그 충격력을 흡수, 완화하여 운전자의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충격에너지 흡수구조가 다양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충격에너지 흡수구조로는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컬럼의 변형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와, 이 스티어링 컬럼 내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변형에 의한 충격 흡수구조와, 스티어링 컬럼을 차체에 지지 고정하는 마운팅 브라켓의 차체로부터의 이탈에 의한 충격 흡수구조가 동시에 적용되어, 차량 사고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상해를 최소화 하도록 하고 있다.
도시된 도 1은 종래의 충격 흡수구조를 갖는 조향장치로서, 스티어링 컬럼(1)은 중공관 형상의 두 개의 튜브(1a)(1b)가 축방향으로 수축(Collapsing)가 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스티어링 컬럼(1)내부에는 그 일단에 조향핸들이 연결되는 스티어링 샤프트(2)가 내설되는데 이 역시 스티어링 컬럼(1)과 마찬가지로 두개의 축이 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스티어링 컬럼(1)의 외측에는 이 스티어링 컬럼(1)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마운팅 브라켓(4)이 설치된다. 특히, 이와 같은 마운팅 브라켓(4) 역시 차량 충돌 또는 추돌시 발생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충격에너지 흡수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마운팅 브라켓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는, 마운팅 브라켓(4)의 양측에 이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캡슐(5)이 이 마운팅 브라켓(4)로 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이 캡슐(5)의 하부 일측에는 차량 충돌시 캡슐 이탈과 연계하여 추가적인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파단부(6a)가 형성된 커링 플레이트(Curling plate;6)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커링 플레이트(6)의 일측은 마운팅 브라켓(4)의 저면상에 리벳(7)으로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조향장치의 충격 흡수구조는, 차량 충돌 또는 추돌시 그 충돌관성에 의해 운전자가 조향핸들 측에 부딪쳤을 때 스티어링 컬럼(1) 및 그 내측의 스티어링 샤프트(2)가 컬랩싱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동시에 스티어링 컬럼(1)을 차체에 지지고정하고 있는 마운팅 브라켓(4)이 차체에 볼팅 고정되어 있는 캡슐(5)로 부터 이탈되면서 1차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 후, 계속되는 충격관성에 의해 마운팅 브라켓(4)에 리벳으로서 고정된 커링 플레이트(6)의 파단부(6a)가 리벳팅점을 기준으로 찢겨짐과 동시에 밴딩되어 2차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마운팅 브라켓 이탈시 커링 플레이트의 단순 절개에 의한 찢겨지는 힘을 이용하기 때문에, 충돌시 급작스런 충격하중에 대항하는 저항하중이 약해 충돌 흡수성능이 떨어지며, 리벳을 기준으로 커링 플레이트가 밴딩과 동시에 찢겨질 때 이 커링 플레이트가 뒤틀리거나 충돌관성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밴딩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효과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946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42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어드저스트볼트와 직교하는 외측 튜브의 부재 장착홈에 충격 흡수 부재를 장착하여 차량 충돌시 충격 흡수 부재가 어드저스트볼트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는 조향축, 상기 조향축의 감싸는 외측 튜브, 상기 외측 튜브에 장착되는 디스턴스 브라켓,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의 외측에 고정장착되는 플레이트 브라켓,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과 플레이트 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어드저스트볼트 및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의 일 측 끝단에 장착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에 있어서,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와 대응하는 외측 튜브에는 간격을 두고 부재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와 직교하는 부재 장착홈에는 충격 흡수 부재가 장착되어, 차량 충돌시 충격 흡수 부재가 어드저스트볼트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의 전방에는 충격 흡수 부재의 지지 및 안내를 위하여 절개부가 구비된 디스턴스 가이드 부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곡면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측면부가 대칭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곡면부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측면부와 밀림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부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으며, 상기 측면부는 곡면부의 양측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끝단에 곡선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드저스트볼트와 직교하는 외측 튜브의 부재 장착홈에 충격 흡수 부재를 장착하여 차량 충돌시 충격 흡수 부재가 어드저스트볼트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드저스트볼트와 충격 흡수 부재를 통해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다른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를 가지는 조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구성하는 충격 흡수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구성하는 충격 흡수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구성하는 충격 흡수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5의 충격 흡수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구성하는 충격 흡수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구성하는 충격 흡수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구성하는 충격 흡수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5의 충격 흡수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원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은 조향축(20)이 수용되는 내측 튜브(22)가 인입되는 외측 튜브(24), 상기 외측 튜브(24)의 상측에 설치되고 차체에 고정되는 상부 마운팅 브라켓(30), 상기 외측 튜브(24)에 결합되는 디스턴스 브라켓(40), 상기 상부 마운팅 브라켓(30)과 일체로 형성되며 틸트 장공(52)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브라켓(50), 상기 플레이트 브라켓(5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틸트 고정기어(60), 상기 틸트 고정기어(60)와 치합 또는 분리되는 틸트 가동기어(72)가 구비되는 이동기어블록(70),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40)의 텔레스 장공(42)과 틸트 장공(52) 및 이동기어블록(70)을 관통하는 어드저스트볼트(80), 상기 이동기어블록(70)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결합되는 조절레버(9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은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공지된 구성을 택일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은 충격 흡수 구조와 관련된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원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10)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대응하는 내측 튜브(22)에 간격을 두고 부재 장착홈(22a)을 형성하고, 상기 어드저스트볼트(80)와 직교하는 부재 장착홈(22a)에 충격 흡수 부재(100)를 장착하여, 차량의 충돌시 충격 흡수 부재(100)가 어드저스트볼트(80)로 이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조향축(20)을 감싸는 내측 튜브(22)에는 부재 장착홈(22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즉, 상기 내측 튜브(22)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대응하는 부분에 간격을 두고 부재 장착홈(22a)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부재 장착홈(22a)의 크기는 장착되는 충격 흡수 부재(100)에 따라 달라짐은 당연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40)의 전방에는 충격 흡수 부재(100)의 지지 및 안내를 위하여 절개부(44)가 구비된 디스턴스 가이드 부(42)가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40)은 내측 튜브(22)의 부재 장착홈(22a)의 전방에 절개부(44)가 구비된 디스턴스 가이드 부(42)를 돌출형성하여, 충격 흡수 부재(100)를 지지하면서도 차량 충돌시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가 후방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내측 튜브(22)의 부재 장착홈(22a)에 장착되고 차량의 충돌시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 부재(100)는 도시된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곡면부(110)를 기준으로 양측에 측면부(120)가 대칭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측면부(120)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120)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부(120)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하는 부분을 낮게 형성하여 차량의 충돌시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가 어드저스트볼트(80)의 하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120)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곡면부(110)의 양측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면(122)과 상기 수직면(122)의 끝단에 곡선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면(124)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측면부(120)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시 지지면(124)이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내측을 향해 절곡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의 작동상태를 도시된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와 어드저스트볼트(80)는 평상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는 차량의 충돌시 어드저스트볼트(80)의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어드저스트볼트(80)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측면부(120)가 내측을 향해 절곡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면부(120)를 이용하여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량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는 도시된 도 5 및 6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곡면부(110a)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간격을 두고 측면부(120a)와 밀림방지부(130a)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는 어드저스볼트(80)가 배치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전방에 측면부(120a)를 후방에 밀림방지부(130a)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밀림방지부(130a)는 내측 튜브(22)의 텔레스코픽 작동 시 텔레-아웃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측면부(120a)는 텔레-인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120a)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곡면부(110a)의 양측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면(122a)과 상기 수직면(122a)의 끝단에 곡선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면(124a)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측면부(120a)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시 지지면(124a)이 내측을 향해 절곡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의 작동상태를 도시된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평상시 상기 어드저스트볼트(80)는 측면부(120a)와 밀림방지부(130a)의 사이에 위치한 곡면부(110a)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는 차량의 충돌시 어드저스트볼트(80)의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어드저스트볼트(80)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측면부(120a)가 내측을 향해 절곡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간격을 두고 부재 장착홈(22a)이 형성되는 내측 튜브(22)에 조향축(20)이 수용되도록 한 후 상기 내측 튜브(22)를 외측 튜브(24)에 인입한다.
이때, 상기 어저스트볼트(80)와 직교하는 부재 장착홈(22a)에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곡면부(110)를 기준으로 양측에 측면부(120)가 대칭으로 돌출형성되는 충격 흡수 부재(1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 튜브(22)의 상측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상부 마운팅 브라켓(30)을 설치한 후, 상기 상부 마운팅 브라켓(30)이 설치되는 내측 튜브(22)의 부분으로 전방에 충격 흡수 부재(100)의 지지 및 안내를 위하여 절개부(44)가 구비된 디스턴스 가이드 부(42)가 돌출형성되는 디스턴스 브라켓(40)을 결합한 다음, 상기 상부 마운팅 브라켓(30)에 틸트 장공(52)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브라켓(50)을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플레이트 브라켓(50)의 외측면에 틸트 고정기어(60)를 장착한 후, 상기 틸트 고정기어(60)에 틸트 가동기어(72)가 구비되는 이동기어블록(70)을 치합한 다음,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40)의 텔레스 장공(42)과 틸트 장공(52) 및 이동기어블록(70)을 관통하는 어드저스트볼트(80)를 장착한 후 상기 이동기어블록(70)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결합되는 조절 레버(90)를 장착하면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기본작동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충격 흡수 부재에 따른 작동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평상시, 상기 내측 튜브(22)에 장착되는 충격 흡수 부재(100)는 어드저스볼트(80)와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다음으로 차량의 충돌하면, 상기 조향축(20)과 내측 튜브(22) 및 충격 흡수 부재(100)는 충격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어드저스볼트(80)에 충격 흡수 부재(100)가 접촉하면,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를 구성하는 측면부(120)는 어드저스볼트(80)에 의하여 내측을 향해 절곡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충격 하중을 적절히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20 : 조향축, 22 : 외측 튜브,
24 : 내측 튜브, 30 : 상부 마운팅 브라켓,
40 : 디스턴스 브라켓, 50 : 플레이트 브라켓,
60 : 틸트 고정기어, 70 : 이동기어블록,
80 : 어드저스트볼트, 90 : 조절 레버,
100 : 충격 흡수 부재, 110 : 곡면부,
120 : 측면부, 130 : 밀림방지부.

Claims (6)

  1. 조향축, 상기 조향축의 감싸는 내측 튜브, 상기 외측 튜브에 장착되는 디스턴스 브라켓,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의 외측에 고정장착되는 플레이트 브라켓,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과 플레이트 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어드저스트볼트 및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의 일 측 끝단에 장착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튜브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부재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와 직교하는 부재 장착홈에는 충격 흡수 부재가 장착되어, 차량 충돌시 충격 흡수 부재가 어드저스트볼트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의 전방에는 충격 흡수 부재의 지지 및 안내를 위하여 절개부가 구비된 디스턴스 가이드 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곡면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측면부가 대칭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곡면부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측면부와 밀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6.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곡면부의 양측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끝단에 곡선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1020160088324A 2016-07-13 2016-07-13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10261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324A KR102612218B1 (ko) 2016-07-13 2016-07-13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324A KR102612218B1 (ko) 2016-07-13 2016-07-13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704A true KR20180007704A (ko) 2018-01-24
KR102612218B1 KR102612218B1 (ko) 2023-12-13

Family

ID=6102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324A KR102612218B1 (ko) 2016-07-13 2016-07-13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786B1 (ko) * 2019-12-18 2021-06-08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차량의 충격흡수식 스티어링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179A (ko) * 2002-03-25 2003-10-0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60004272A (ko) 2004-07-09 2006-0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569462B1 (ko) 2003-11-28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60034798A (ko) * 2004-10-19 2006-04-2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충돌 에너지 흡수장치
KR20110060557A (ko) * 2009-11-30 2011-06-0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컬럼
JP2013100002A (ja) * 2011-11-08 2013-05-23 Fuji Kiko Co Ltd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140132848A (ko) * 2013-05-08 2014-11-19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조향 컬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179A (ko) * 2002-03-25 2003-10-0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569462B1 (ko) 2003-11-28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60004272A (ko) 2004-07-09 2006-0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60034798A (ko) * 2004-10-19 2006-04-2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충돌 에너지 흡수장치
KR20110060557A (ko) * 2009-11-30 2011-06-0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컬럼
JP2013100002A (ja) * 2011-11-08 2013-05-23 Fuji Kiko Co Ltd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140132848A (ko) * 2013-05-08 2014-11-19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조향 컬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786B1 (ko) * 2019-12-18 2021-06-08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차량의 충격흡수식 스티어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218B1 (ko) 202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895B1 (ko) 충격 흡수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1115084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KR20170137338A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스티어링 장치
KR100848497B1 (ko) 와이어 블록 어셈블리를 구비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조향컬럼
KR101795442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KR101138160B1 (ko) 충격 흡수식 조향장치
KR20180007704A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20140065844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장치
KR102350529B1 (ko)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KR102101663B1 (ko)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구조체
KR101991752B1 (ko) 차량용 충격흡수식 스티어링 컬럼
KR100188158B1 (ko) 자동차 조향축의 충격흡수장치
KR101845996B1 (ko) 자동차의 충격흡수식 조향컬럼
KR101065946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KR100804182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KR100559904B1 (ko) 조향축의 완충구조
KR101411244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
KR100795011B1 (ko)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조향장치
KR101046186B1 (ko) 조향장치의 마운팅 브라켓 충격 흡수구조
KR101002671B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조향장치의 틸트 스프링
KR101230093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
KR101032986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
KR200171108Y1 (ko)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101702241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0738408B1 (ko) 충격 에너지 흡수장치를 구비한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