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415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415A
KR20180007415A KR1020160088370A KR20160088370A KR20180007415A KR 20180007415 A KR20180007415 A KR 20180007415A KR 1020160088370 A KR1020160088370 A KR 1020160088370A KR 20160088370 A KR20160088370 A KR 20160088370A KR 20180007415 A KR20180007415 A KR 20180007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display device
display
cont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900B1 (ko
Inventor
김민우
정승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8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900B1/ko
Priority to US15/648,363 priority patent/US10225718B2/en
Publication of KR2018000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mobile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메모리와, 디스플레이 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과, 그리고 상기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능동적으로 변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예인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포스터, 안내 표시, 간판 등 기존의 아날로그 광고판을 디지털 디스플레이어를 활용해 각종 정보와 광고를 제공하는 디지털 게시판을 통칭한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원격으로 콘텐츠를 한꺼번에 제어할 수 있으며 주목성이 뛰어나 정보의 전달력이 우수해 광고, 콘텐츠 제공에 효과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경우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라는 용어 대신, 내로캐스팅(narrowcasting), 스크린 미디어(screen media), 장소 기반 미디어(place-based media), 디지털미디어네트워크(digital media networks)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또한, 전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지털 사이니지 라는 용어 대신 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초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입력된 정보만 전해주는 수준에 그쳤다. 그러나 터치패널 등과 결합해 양방향 통신을 통한 개인 미디어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서비스로 발전하면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나아가, 영화관, 레스토랑, 학교(전자칠판)에서까지 활용되고 있으며 쓰임새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관련 업체들은 근거리무선통신(NFC), 제스처 인식기술, 사용자 행동분석, 얼굴인식기술 등 신규 기술과의 연계를 확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ex : 디지털 사이니지, DID)가 서로 연동하는 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실내가 아닌 실외에서는 GPS 기반 위치 추적이 용이한 반면, 종래 기술에 의하면 실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디텍트 하는 솔루션이 제대로 구축되지 못하였다.
나아가, 실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판단한 이후 모두 동일한 컨텐츠가 제공되어서, 다양한 유저의 니즈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GPS 신호 수신이 약한 실내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근거리 위치를 판단하는 새로운 측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상기 근거리 위치를 판단하는 새로운 측위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 최소한의 비용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실내에 위치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종류(ID)에 따라, 나아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컨텐츠 제공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메모리와, 디스플레이 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과, 그리고 상기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근거리 통신 모듈들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간 상대적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간 신호 세기의 절대값 및 제2 근거리 통신 모듈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간 신호 세기의 절대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관심 영역(area of interest)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심 영역(area of interest)은, 예를 들어 신호 세기에 따라 복수개의 영역으로 그룹핑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비콘에 해당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는 특정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특정 컨텐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간 거리에 따라 다른 컨텐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 또는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의 재생 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온/오프 여부에 따라 상기 컨텐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디지털 사이니지, 모니터 또는 TV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GPS 신호 수신이 약한 실내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근거리 위치를 판단하는 새로운 측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근거리 위치를 판단하는 새로운 측위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 최소한의 비용으로 시스템을 구축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실내에 위치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종류(ID)에 따라, 나아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용자 맞춤형 컨텐트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디텍트 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별로 맞춤형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 모듈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서버의 내부 구성 모듈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 모듈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실내 환경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디텍트 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스템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의 일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스템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의 다른 일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스템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의 또 다른 일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근접 거리에 따라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근접 속도에 따라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용자 맞춤형 컨텐트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근거리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인근에 위치한 사용자(모바일 디바이스 소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게 선호도(또는 사용자 정보)를 반영한 맞춤형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실내 근거리 측위 방법에 대한 새로운 솔루션을 정의하는데, 이는 이하 도 7 등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겠다. 상기 실내 근거리 측위 방법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가 미치지 않는 실내 환경에서 탁월한 효과가 있고 비용을 세이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제1비콘 모듈(111), 제2비콘 모듈(112), 서비스 서버(120) 및 콘텐트 서버(13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어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장치에 해당하고, 상기 제1비콘 모듈(111) 및 상기 제2비콘 모듈(112)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주변에 설치되거나 또는 부착된 형태로 설계 가능하다. 나아가, 도 1에서는 복수개의 서버들(120, 130)로 예시하였으나,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의 서버로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가 2개의 비콘 모듈들(111, 112)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주변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주변에 설치되거나 또는 부착된 비콘 모듈들(111, 112)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며, 일정한 신호를 주변에 전송한다(S100). 이 때 주변에 위치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스캐닝 결과(S110), BD(Bluetooth Device) 어드레스,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센싱값을 서비스 서버(120)에 전송한다(S120). 또한, 상기 S1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를 들어, 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도 함께 전송될 수가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20)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주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컨텐트 서버(130)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최적화된 특정 컨텐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 전송한다(S130).
한편, 이전에 설명한 도 2 및 도 3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디텍트 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또는 서비스 서버(120)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주소(BD address),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Location) 및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근거리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 세기 범위(RSSI Min 및 RSSI Max)가 맵핑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블루투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비콘 모듈)가 제1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왼쪽(Display#1-1)에 위치하고,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신호 세기가 -70 내지 -30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제1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 가능하다.
나아가, 제2블루투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비콘 모듈)가 제1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오른쪽(Display#1-2)에 위치하고,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신호 세기가 -50 내지 -40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제1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 가능하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1블루투스 디바이스와의 통신 결과, 신호 세기가 -70 내지 -30 사이에 있고 또한, 제2블루투스 디바이스와의 통신 결과, 신호 세기가 -50 내지 -40 사이에 있는 경우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제1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 가능하다.
또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1블루투스 디바이스와의 통신 결과 인식되는 신호 세기의 절대값(BD1_RSSI1) 및 제2블루투스 디바이스와의 통신 결과 인식되는 신호 세기의 절대값(BD2_RSSI2)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제1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도 2에 도시된 신호 세기값 이외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싱 정보(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에 의해 인식된 방향성 정보, 가속도 센서에 의해 인식된 움직임 정보 등등)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간 근접 여부를 보다 상세하게 디텍트하는 기술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7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별로 맞춤형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120) 또는 컨텐트 서버(130)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UUID, 단말 정보 등)에 따라 사용자의 정보(예를 들어, 성별, 나이 등), 구매 등급(연단위, 달단위 구매력 정보), 선호도 정보(예를 들어, 선호하는 의류, 상품 등) 및 컨텐트 위치가 맵핑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컨텐트 위치라 함은, 예를 들어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의 유저가 선호하는 선호도 정보에 따른 특정 컨텐트(상품)가 위치하는 매장의 층수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주변에서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100)(예를 들어, UUID : abcd-efgh…)가 인식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DB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유저가 선호하는 등산복 관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가 출력하도록 설계한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DB를 참조하여, 상기 등산복이 판매되는 위치가 1층임을 식별하는 정보도 함께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다른 예를 들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주변에서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100)(예를 들어, UUID : zxyt-uirs…)가 인식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DB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유저가 선호하는 여성복 관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가 출력하도록 설계한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DB를 참조하여, 상기 여성복이 판매되는 위치가 4층임을 식별하는 정보도 함께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 모듈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위치 측정 기술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 인식 기술이 활용되지 못하는 실내 환경에서는 정확한 위치 인식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블루투스 디바이스, 비콘 모듈)과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내 융합 측위 기술을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함으로써, 보다 정확도가 개선된 사용자 맞춤형 컨텐트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필요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예를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센서정보 측정장치(410), 프로세서 모듈(420), 동기화 모듈(430), 데이터 보정 모듈(440), 공간환경변수(450), RSSI분석 모듈(460) 및 통신 수신부(47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프로세서 모듈(420)은, 예를 들어 CPU, 컨트롤러 등이 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통신 수신부(470)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비콘들(480, 490)로부터 신호 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RSSI 분석 모듈(460)은 제1비콘(480) 및 제2비콘(490)으로부터 인식되는 상대적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위치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련하여, 이하 도 7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나아가, 전술한 센서정보 측정 장치(410)는, 자이로 센서(411), 가속도 센서(412) 및 지자기 센서(413)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자이로 센서(411)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방향성을 디텍트 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가속도 센서(412)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움직임을 디텍트 하는데 사용되며, 그리고 상기 지자기 센서(413)는 지자기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지자기 센서(413)의 일예로 지침이 있으며, 지자기의 방향을 직접 검출 가능하고 진동주기로부터 크기를 센싱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회전 코일을 사용한 자기의, 강차성체의 자기포화 현상을 이용한 포화철심형 자력계, 양성자의 핵자기 공명을 이용한 양자 자력계, 루비듐이나 세슘 원자의 제만효과를 이용한 광 펌핑 자력계 등이 있다.
나아가, 상기 센서 정보 측정 장치(41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 내부 정보,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콘들(480, 490)과 모바일 디바이스(400)간 근접 거리를 복수개의 레벨로 나누어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서버의 내부 구성 모듈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서버는 2가지가 있다. 물론, 도 5에서는 서비스 서버(500) 및 콘텐트 서버(550)를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의 서버로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서비스 서버(500)는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서비스 서버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500)는 DID 위치 식별부(510), 사용자 식별부(520), 사용자 DB(530) 및 콘텐트 출력 제어부(540) 등을 포함한다. 물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모듈을 추가, 삭제, 변경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DID 위치 식별부(510)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RSSI 신호 세기값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사용자 식별부(520)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ID 또는 UUID 등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소지한 사용자의 특징을 식별한다. 다만, 사용자 DB(530)에는 UUID별로 관심사가 맵핑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사용자 DB(530)에 대응한다.
상기 콘텐트 출력 제어부(540)는 컨텐트 서버(550)의 콘텐트 추출부(552)를 제어하여,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에 특화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콘텐트 서버(550)는 관심사 검색부(551), 콘텐트 추출부(552), 스케쥴링부(553) 및 콘텐트 DB(554) EMD을 포함한다. 물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모듈을 추가, 삭제, 변경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관심사 검색부(551)는, 상기 사용자 DB(530)를 참조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소지한 유저의 관심사를 검색하고, 상기 콘텐트 추출부(552)는 상기 관심사 검색부(551)의 검색 결과에 따른 특정 유저의 관심 콘텐트를 추출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나아가, 상기 콘텐트 추출부(552)는 상기 스케쥴링부(553)의 제어에 따라 특정 컨텐트가 전송되는 시기, 주기 등을 조정하고, 상기 특정 컨텐트는 상기 컨텐트 DB(554)에 액세스 하여 수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 모듈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일부 모듈을 추가, 삭제, 변경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통신부(610), 메모리부(620), 입력부(630), 제어부(640), 디스플레이(650), 외부장치연결부(660), 오디오부(670), 근거리 통신부(680) 등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입력부(630)는 예를 들어 터치 모듈(631)로 구성되며, 상기 오디오부(670)는 예를 들어 스피커(671), 마이크(672) 등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680)는 블루투스 모듈(681)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부(6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6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부(620)에 저장되고, 제어부(64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64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64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부(6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부(6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디스플레이(65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근접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유저에게 특화된 컨텐트를 출력하거나, 접근 거리, 속도 등에 따라 다른 컨텐트를 출력한다. 이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는 도 11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겠다.
도 7은 실내 환경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디텍트 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존의 GPS 신호를 이용한 위치 추적 방식은 실내에서는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물론, 실내에서 적용 가능한 방식으로서, TOA(Time Of Arrival) 기반으로 3개의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특정 디바이스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TOA 방식은 3개의 비콘을 요구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특정 디바이스와 비콘사이에 위치하는 장애물 등으로 인하여 TOA값이 임계값을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종래 기술의 최소 3축의 무선 신호 기반 측정 기술(좌표)과 달리,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2개의 무선 신호의 세기 비교를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1차 판단하고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를 2차 판단하는 방식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바일 디바이스와 2개의 비콘(블루투스 디바이스)들(710, 720)간 RSSI 신호 세기의 상대적값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2개의 비콘들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바일 디바이스(730)가 2개의 비콘들에 근접한 경우, 이 때 상기 제1모바일 디바이스(730)와 제1비콘(710)간 RSSI 신호세기의 절대값과, 상기 제1모바일 디바이스(730)와 제2비콘(720)간 RSSI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문턱값 이하에 해당한다.
반면, 제2모바일 디바이스(731)와 제1비콘(710)간 RSSI 신호세기의 절대값과, 상기 제2모바일 디바이스(731)와 제2비콘(720)간 RSSI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모바일 디바이스(731)는 2개의 비콘들(710, 720)로부터 상당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음을 추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3모바일 디바이스(732)와 제1비콘(710)간 RSSI 신호세기의 절대값과, 상기 제3모바일 디바이스(732)와 제2비콘(720)간 RSSI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3모바일 디바이스(732) 역시 2개의 비콘들(710, 720)로부터 상당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음을 추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1비콘(710)간 RSSI 신호세기의 절대값과, 상기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2비콘(720)간 RSSI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차이만으로는 상기 2개의 비콘들(710, 720)과의 거리를 정확히 추정할 수 없는 예외적인 상황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2개의 비콘들과 멀리 있으나 거리상 거의 동일하게 떨어진 경우 문제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비콘이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근접 여부를 추가적으로 2차 판단하면 해결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RSSI 신호 세기값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비록 거리상으로는 다소 멀리 있으나, 비콘이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근접하는 것으로 인식하면 근접한 것으로 2차 판단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그리고 이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른 무선 통신 방식에 비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기존의 비콘 3개 대신 2개만 사용 가능하므로 인프라 구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실외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위치 추적이 가능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센서를 추가적으로 이용하는 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디텍트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스템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의 일예이다. 참고로 도 8, 도 9, 도 10은 순서대로 이루어 진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8, 도 9 및 도 10으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이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보충 해석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비콘 모듈(800), 사용자 단말(810), 서비스 서버(820), 콘텐트 서버(83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40) 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비콘 모듈(800)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예를 들어 블루투스 디바이스로 대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 단말(810)은 모바일 디바이스, 스마트폰, 워치 등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40)는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장치, 디지털 사이니지, 모니터, 텔레비전(TV)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다.
사용자 단말(810)은 본 발명 구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회원 정보(예를 들어 관심사 정보)를 등록한다(S811). 물론,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거나 어플리케이션 형태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사용자 단말(8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820)는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BD(Bluetooth Display) 장치(예를 들어, 비콘)의 어드레스를 사용자 단말(810)에 전송한다(S821).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고 이는 이전 도 3에서 상세히 전술한 바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810)이 관련 어플을 실행하면(S812), 블루투스 기능이 자동으로 온(on) 되고(S813) 스캐닝이 이루어 진다.
상기 사용자 단말(810)은 상기 S821 단계에서 수신한 BD 어드레스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14). 한편, 비콘 모듈(800)은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하고(S801), 제1비콘은 BD1 RSSI 신호 세기로 신호가 사용자 단말(810)로 전송되며 제2비콘은 BD2 RSSI 신호 세기로 신호가 사용자 단말(810)로 전송된다(S802).
나아가, 상기 사용자 단말(810)은 상기 판단 결과(S814)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BD 어드레스가 감지되면, 상기 비콘 모듈들로부터 수신한 RSSI 값을 측정하고(S815), 측정된 RSSI 값 및 사용자 단말의 센서값으로 위치 측정(localization)을 한다(S816). 다만, 위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스템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의 다른 일예이다. 참고로 도 8, 도 9, 도 10은 순서대로 이루어 진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8, 도 9 및 도 10으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이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보충 해석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8에 도시된 단계들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은 비콘들과의 통신을 통해 각 비콘과의 RSSI 값을 이용하여 비콘들과 또는 비콘들 주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의 거리를 계산한다(S817). 각 비콘들과의 RSSI 절대값의 상대적 차이값이 기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또는 비콘)간 근접 여부가 판단된다는 것은 이전 도 7에서 상세히 전술한 바 있다.
한편, 상기 S817 단계를 사용자 단말이 아닌 서비스 서버에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S822). 즉,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RSSI 값을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확인한다는 것이다(S818).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가 온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단말을 응시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ex : 사이니지)가 사용자 맞춤형 컨텐트를 제공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이나 디스플레이로 인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지 않고 있는 것이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ex : 사이니지)가 사용자 맞춤형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설계한다. 즉,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정보 및 BD 어드레스 등을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고(S819), 서비스 서버는 특정 사용자에게 특화된 컨텐트 정보를 얻기 위하여 컨텐트 서버에 액세스 한다(S823).
한편,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지자에게 특화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스템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의 또 다른 일예이다. 참고로 도 8, 도 9, 도 10은 순서대로 이루어 진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8, 도 9 및 도 10으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이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보충 해석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9에 도시된 단계들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면, 콘텐트 서버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비콘과 연계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비콘과 통신이 이루어졌던 사용자 단말의 UUID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S831).
콘텐트 서버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유저가 관심사를 미리 등록해 두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32).
상기 판단 결과(S832) 관심사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의 인적 정보(예를 들어, 성별, 나이 등)에 기초하여 맞춤형 콘텐트를 자동으로 추출한다(S833).
반면, 상기 판단 결과(S832) 관심사가 등록되어 있으면, 관심사 키워드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콘텐트를 추출한다(S834).
상기 S833 단계 또는 상기 S834 단계에서 추출된 컨텐트의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이 필요하며, 상기 스케쥴링은 기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유저의 요청에 따라 변경된다(S835).
그리고, 콘텐트 서버는 상기 S835 단계에서 결정된 스케쥴에 따라 상기 S833 또는 S834 단계에서 추출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고(S836), 이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유저 맞춤형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한다(S841).
이전 도면들에서는 주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근접했는지 여부에 따라 특정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출력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반면, 도 11에서는 근접 여부를 보다 세분화 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출력하는 컨텐트의 타입, 사이즈 등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근접 거리에 따라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50)는 근접도를 3개의 레벨로 구별하고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100)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50) 주변에 설치된 비콘들과의 통신을 통해 인식된 RSSI 신호 세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5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0)의 근접도를 보다 구별하여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10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50)로부터 이격한 제1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RSSI 신호 세기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50)는 하나의 광고에 대한 정보만을 출력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100)가 비교적 멀리 있으므로, 글자 크기를 크게 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반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101)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51)로부터 이격한 제3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RSSI 신호 세기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51)는 복수개의 광고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101)가 비교적 가까이 있으므로, 글자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조정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 모바일 디바이스(120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에 근접한 것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는 상기 A 모바일 디바이스(1200)의 UUID 를 이용하여 상기 A 모바일 디바이스(1200)의 유저가 선호하는 컨텐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컨텐트가 배치된 위치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이전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 모두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근접하였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근접에 따라 다른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된다.
즉, B 모바일 디바이스(130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에 근접한 것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는 상기 B 모바일 디바이스(1300)의 UUID 를 이용하여 상기 B 모바일 디바이스(1300)의 유저가 선호하는 컨텐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컨텐트가 배치된 위치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이전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 및 도 13을 비교하여 볼 때, 도 12에서는 A 모바일 디바이스의 유저가 선호하는 “의류상품” 정보 및 “위치정보(7층)”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된 반면, 도 13에서는 B 모바일 디바이스의 유저가 선호하는 “과일” 정보 및 “위치정보(1층)”가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근접 속도에 따라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전 실시예들이 모바일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간 특정 시점에서의 거리에 따라 컨텐트 제어를 주로 설명한 반면, 도 14는 특정 시점이 아닌 모바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근접하는 속도에 따라 컨텐트의 재생 시간을 조절하거나 또는 최적화된 재생 시간의 컨텐트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1400)가 A속도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10)에 근접하는 것으로 계산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10)는 약 10초 분량의 a 컨텐트를 재생한다.
한편,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1401)가 B속도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11)에 근접하는 것으로 계산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11)는 약 5초 분량의 b 컨텐트를 재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401) 내부의 모션 센서 등을 통해 이동 속도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401)는 계산된 이동 속도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11)에 직접 전송하는 실시예도 가능하고 또는 서버에 전송하고, 나아가 서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속도에 따른 컨텐트를 결정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11)에 전송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전 실시예들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저의 선호도, 접근 속도 또는 접근된 거리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케이스들을 주로 설명하였다.
다만, 후술할 도 15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향하는 방향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특정 상품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설계된다.
우선, 도 1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2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20)가 설치된 곳 주변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상기 위치 정보라 함은,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20) 기준으로 동서남북에 위치한 매장들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20)의 메모리에는 또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신발 매장(1501)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20) 기준 서쪽에 위치하고, 의류 매장(1502)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20) 기준 북쪽에 위치하고, PC 매장(1503)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20) 기준 동쪽에 위치하고, 그리고 커피숍(1504)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20) 기준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는 위치 정보(예를 들어, 맵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51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20)간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510)가 북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정보를 상기 모바이 디바이스(1510)로부터 수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20)는 상기 메모리 등을 참조하여 북쪽에 위치한 매장인 즉, 의류매장(1502)에서 행사하는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물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510)의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20)가 직접 디텍트 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0 : 모바일 디바이스
11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1 : 제1비콘
112 : 제2비콘
120 : 서비스 서버
130 : 컨텐트 서버

Claims (10)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모듈;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그리고
    상기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근거리 통신 모듈들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간 상대적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간 신호 세기의 절대값 및 제2 근거리 통신 모듈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간 신호 세기의 절대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관심 영역(area of interest)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area of interest)은,
    신호 세기에 따라 복수개의 영역으로 그룹핑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비콘에 해당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ID에 대응하는 특정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특정 컨텐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간 거리에 따라 다른 컨텐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 또는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의 재생 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온/오프 여부에 따라 상기 컨텐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사이니지, 모니터 또는 TV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60088370A 2016-07-13 2016-07-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102594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370A KR102594900B1 (ko) 2016-07-13 2016-07-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
US15/648,363 US10225718B2 (en) 2016-07-13 2017-07-12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370A KR102594900B1 (ko) 2016-07-13 2016-07-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415A true KR20180007415A (ko) 2018-01-23
KR102594900B1 KR102594900B1 (ko) 2023-10-27

Family

ID=6094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370A KR102594900B1 (ko) 2016-07-13 2016-07-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25718B2 (ko)
KR (1) KR1025949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7024A (zh) * 2018-05-04 2020-11-13 株式会社阿特软 利用基准区域的本地设备的控制服务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2736B2 (en) 2015-05-15 2021-02-1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mart electronic display for restaurants
CA3024707A1 (en) * 2017-11-21 2019-05-21 Reliance Core Consulting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motion corresponding to a field of interest
US10956975B1 (en) 2018-09-24 2021-03-23 Wells Fargo Bank, N.A. Purchase assistance based on device movement
CN111698644B (zh) * 2019-03-15 2021-09-17 上海碧虎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对手机定位的多媒体移动跟随系统和方法
US20220250640A1 (en) * 2019-07-01 2022-08-1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Vehicle-mounted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vehicle
US11895362B2 (en) 2021-10-29 2024-02-0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Proof of play for images displayed at electronic displays
US11758380B2 (en) * 2021-11-22 2023-09-12 Capital One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user specific information based on mobile device proximity to short-range wireless technology beacon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802A (ko) * 2010-02-23 2011-08-31 (주)비비엔미디어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113162A (ko) * 2013-03-15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및 상기 장치
KR20150117733A (ko) * 2014-04-10 2015-10-21 주식회사 와이즈웰스 개인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US20150339091A1 (en) * 2014-03-25 2015-11-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1613147B1 (ko) * 2015-02-25 2016-04-19 네무스텍(주)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측위 시스템 및 측위 방법
KR20160080357A (ko) * 2014-12-29 2016-07-08 (주)프라디지컴 단말의 실내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사용자 단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802A (ko) * 2010-02-23 2011-08-31 (주)비비엔미디어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113162A (ko) * 2013-03-15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방법 및 상기 장치
US20150339091A1 (en) * 2014-03-25 2015-11-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20150117733A (ko) * 2014-04-10 2015-10-21 주식회사 와이즈웰스 개인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60080357A (ko) * 2014-12-29 2016-07-08 (주)프라디지컴 단말의 실내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1613147B1 (ko) * 2015-02-25 2016-04-19 네무스텍(주)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측위 시스템 및 측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7024A (zh) * 2018-05-04 2020-11-13 株式会社阿特软 利用基准区域的本地设备的控制服务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20319A1 (en) 2018-01-18
US10225718B2 (en) 2019-03-05
KR102594900B1 (ko)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741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101966701B1 (ko) 휴대 단말기의 고도 측정 방법 및 장치
US8624725B1 (en) Enhanced guidance for electronic devices having multiple tracking modes
US20140324590A1 (en) Location guiding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515413B1 (en) Controlling a target devic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US8565791B1 (en) Computing device interaction with visual media
EP27358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navigation
CN103328930A (zh) 非基于地图的移动接口
CN105223593A (zh) 终端定位频率调节方法、系统和定位间隔调节方法、系统
KR20150041402A (ko) 전자 기기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5000253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splaying perspective street view map
US10045155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50154769A1 (en) Wearable map and image display
WO2013125306A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位置推定方法
JP2015152483A (ja) 位置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位置情報取得方法
US20170124592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08917766B (zh) 一种导航方法和移动终端
Sato Indoor navigation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markers
US10192332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81131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KR102145160B1 (ko) 비컨 장치를 이용한 타겟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타겟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와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N107532913A (zh) 一种导航方法和用于导航的设备
CN108036795B (zh) 路径获取方法、装置及移动终端
WO2020226103A1 (ja) 位置情報提供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20607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splaying perspective street view m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