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661A - 바스켓 카테터 - Google Patents

바스켓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661A
KR20180006661A KR1020160087294A KR20160087294A KR20180006661A KR 20180006661 A KR20180006661 A KR 20180006661A KR 1020160087294 A KR1020160087294 A KR 1020160087294A KR 20160087294 A KR20160087294 A KR 20160087294A KR 20180006661 A KR20180006661 A KR 20180006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adjustment
wires
wir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875B1 (ko
Inventor
한종현
권창일
박헌국
정민영
김규석
문종필
윤호
장봉석
지소미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60087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87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6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3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2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 closed distal end, e.g. a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스켓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의 선단에 고정 연결되는 팁 부재;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가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이동시스(Sheath); 상기 이동시스 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의 전후 이동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후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1조절 손잡이; 상기 이동시스 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의 전후 이동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조절 와이어 후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2조절 손잡이; 및 상기 이동시스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조절 손잡이 및 제2조절 손잡이가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스켓 카테터 {BASKET CATHETER}
본 발명은 바스켓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바스켓 카테터(Basket Catheter)는 담석(膽石, Gallstone)과 같이 체내 발생되어 내강의 폐쇄를 일으키는 각종 체내 제거 대상들을 파지 작업을 통해 포획, 더 나아가서는 포획 후 쇄석(碎石)하여 체내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의료기기로서, 다수의 바스켓 와이어가 형성하는 그물 구조의 와이어 집합체를 이용해 앞 서 설명한 파지 작업을 수행함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바스켓 카테터는 파지 작업을 통한 포획 성능(견인력) 및 포획한 제거 대상의 쇄석 성능 등의 기능적 개선을 위해 다양한 바스켓 와이어의 규격 혹은 개수 등의 구조적 변형을 통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결과물로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담석의 파지 작업을 통한 포획(견인)에 있어서의 포획 가능한 제거 대상의 크기에 관한 제한을 해소하고 효과적인 바스켓 와이어의 포획 형태를 통해 포획(견인) 확실성 개선을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JP 2016-059716호(공개일: 2016.04.25)의 "바스켓 카테터"(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종래의 바스켓 카테터는 체내 내강의 구조 및 담석과 같은 제거 대상의 규격, 개수, 위치 등을 고려하여 바스켓 와이어의 파지 작업을 통한 포획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우수한 포획 성능(견인력)을 갖춤이 시술자의 숙련도에 의존하는 부분이 많아 작업용이성의 수준이 낮았다.
다시 말해, 종래기술을 비롯한 종래의 바스켓 카테터의 경우, 담석과 같은 제거 대상의 포획(견인)을 수행함에 있어서, 바스켓 와이어의 전후 이동을 통해 시스 구조 외부로 노출되어 파지 영역을 설정하는 바스켓 와이어의 노출 부분을 시술자가 핸들 조작만을 통해 변위시켜 제거 대상의 규격, 개수, 위치 등에 적합하게 제거 대상의 포획(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를 조작 제어함에 많은 작업상의 어려움이 따르고 고도의 작업 숙련도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바스켓 와이어의 제거 대상의 포획(견인) 수행을 위한 파지 영역의 변환을 제거 대상의 규격, 개수, 위치 등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조작 제어함에 있어서의 작업용이성을 갖춘 바스켓 카테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스켓 카테터는,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의 선단에 고정 연결되는 팁 부재;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가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이동시스(Sheath); 상기 이동시스 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의 전후 이동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후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1조절 손잡이; 상기 이동시스 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의 전후 이동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조절 와이어 후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2조절 손잡이; 및 상기 이동시스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조절 손잡이 및 제2조절 손잡이가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조절 손잡이 및 제2조절 손잡이를 상기 몸체상에서 상기 바스켓 카테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단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이동시스 선단 측으로 노출되어진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선단 측 일부와 상기 팁 부재 사이에는 상기 바스켓 카테터가 위치한 체내 특정 파지 대상의 포획 또는 분쇄를 위한 소정의 파지공간이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제1조절 손잡이 및 제2조절 손잡이를 상기 몸체상에서 상기 바스켓 카테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단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조절 손잡이를 상기 몸체상에서 상기 바스켓 카테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팁 부재가 후단측으로 상기 조절 와이어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이동시스 선단 측으로 노출되어진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선단 측 일부와 상기 팁 부재 사이에 마련된 상기 파지 공간은 상기 바스켓 카테터 너비방향으로는 영역이 늘어나고, 상기 바스켓 카테터 길이방향으로는 영역이 줄어든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바스켓 카테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에 설치된 상기 제1조절 손잡이 및 제2조절 손잡이가 전 후 이동 가능하도록 개방된 소정의 슬라이딩용 개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1조절 손잡이는, 상기 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시술자의 손가락 파지를 위한 제1손잡이 구멍이 마련되는 제1손잡이 몸체; 및 상기 제1손잡이 몸체로부터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용 개방공간 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후단이 고정 연결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시술자의 손가락 파지를 위한 제2손잡이 구멍이 마련되는 제2손잡이 몸체; 및 상기 제2손잡이 몸체로부터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용 개방공간 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 후단이 고정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팁 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의 선단이 후단측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이동시스 내 이동통로 선단 측에 삽입 가능형태로 마련되는 제1팁 몸체부; 및 상기 제1팁 몸체부로부터 선단측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의 걸림턱을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팁 몸체부의 상기 이동시스 내 이동통로 선단 측으로의 삽입 이동 시 상기 이동시스 선단측에 걸림으로써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2팁 몸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팁 몸체부의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의 선단이 고정 연결되는 후단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의 선단은 상기 후단측면의 중심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는 상기 팁 부재에 고정 연결된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단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일부분을 상호간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분은 상기 이동시스 내 이동통로 선단 측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분에는 중공의 개방공간으로서 상기 조절 와이어가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로 삽입될 수 있는 조절 와이어용 이동구멍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동시스 선단으로 노출되어 체내 특정 파지 대상의 포획 또는 분쇄를 위한 소정의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 와이어와 별개로 제2조절 손잡이에 의해 조작되고 선단에 연결된 팁 부재의 전후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 와이어를 통해 파지공간의 바스켓 카테터 기준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으로의 영역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바스켓 와이어의 구조에 기인한 파지공간의 확대 및 축소는 제1조절 손잡이를 통해 개별 조작되고, 파지공간의 바스켓 카테터 기준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으로의 영역 조절은 제2 조절 손잡이를 통해 개별 조작되어 파지 대상의 규격, 개수, 위치 등을 고려한 효과적인 포획(견인) 또는 분쇄(쇄석)이 수행될 수 있다.
셋째, 제1조절 손잡이와 별개로 파지공간의 영역 변위 조작에 이용되는 제2조절 손잡이를 통해 각각의 손잡이가 개별 제어가 가능해짐에 따라 파지 대상의 규격, 개수, 위치 등을 고려한 효과적인 포획(견인) 또는 분쇄(쇄석)이 수행됨에 있어서, 시술자의 요구되는 숙련도의 수준 자체를 낮추고 높은 수준의 작업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 카테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 카테터의 제1조절 손잡이 및 제2조절 손잡이의 몸체상 설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 카테터의 제1조절 손잡이 및 제2조절 손잡이의 선단측 이동 조작에 의한 구조 변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 카테터 내 바스켓 와이어 및 조절 와이어의 노출 및 설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 카테터의 제1조절 손잡이 및 제2조절 손잡이의 선단측 이동 후 제2조절 손잡이의 후단측 이동 조작에 의한 구조 변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바스켓 카테터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스켓 카테터(100)는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 팁 부재(130); 이동시스(140); 제1조절 손잡이(150); 제2조절 손잡이(160); 및 몸체(170);를 포함한다.
바스켓 와이어(110)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혹은 나이티놀(nitinol)과 같이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와이어 부재로서, 이와 같은 바스켓 와이어(11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그물 구조를 이룸으로서 실질적인 담석과 같은 체내 특정 파지 대상(제거 대상)의 포획(견인) 또는 분쇄(쇄석)를 수행하는 파지 공간(PT)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바스켓 와이어(110)의 재질적 특징은 바스켓 와이어(110)의 후단측 이동을 통한 파지 공간(PT)의 축소 유발을 이용해 파지 공간(PT) 내 포획(견인)되어진 체내 특정 파지 대상의 분쇄(쇄석)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조절 와이어(120)는 바스켓 와이어(110)에 비해 연질의 재질로 마련되며, 바람직하게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를 통해 마련되는 파지 공간(PT) 내 파지되어진 파지 대상에 따라 구조적 변형이 이루어져 포획(견인) 또는 분쇄(쇄석)를 수행하는 동안 파지 대상이 파지 공간(PT)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동시스(Sheath, 14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가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선단측과 후단측을 기준으로한 바스켓 카테터(100) 길이방향)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통로(140P)가 형성된 시스 부재로서, 연성의 투명한 재질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팁 부재(130)는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의 선단이 고정 연결되는 부분으로, 바스켓 카테터(100) 구조 상 길이방향 기준 최 선단에 위치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팁 부재(1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와의 고정 연결을 수행하는 제1팁 몸체부(131)와 이와 같은 제1팁 몸체부(131)의 이동 제한을 위한 걸림 턱으로서의 제2팁 몸체부(132)를 포함한다.
우선, 제1팁 몸체부(131)는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의 선단이 후단측면(130B)에 고정 연결되며, 이동시스(140) 내 이동통로(140P) 선단 측에 삽입 가능한 원통 형태로 마련된다.
다음으로, 제2팁 몸체부(132)는 제1팁 몸체부(131)로부터 선단측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의 걸림턱을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제1팁 몸체부(131)의 이동시스(140) 내 이동통로(140P) 선단 측으로의 삽입 이동 시 이동시스(140) 선단측에 걸림으로써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제2팁 몸체부(132)는 제1팁 몸체부(131)에 비해 확장된 직경의 밑변을 가지는 원뿔 혹은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팁 몸체부(131)의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의 선단이 고정 연결되는 후단측면(131B)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의 선단은 후단측면(131B)의 중심부에 연결된다.
이는 추후 설명될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의 후단 측으로의 당김 이동에 의해 파지 공간(PT)의 영역상의 변화가 유발되는 시점에서 안정적이고 균형 잡힌 당김 이동 및 영역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스켓 카테터(100)가 하나의 조절 와이어(120)로 마련될 경우, 도4의 확대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조절 와이어(120)가 제1팁 몸체부(131)의 후단측면(131B)에 연결되는 위치는 제1팁 몸체부(131)의 후단측면(131B) 중심(131BC)에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스켓 카테터(100)가 복수개의 조절 와이어(120)로 마련될 경우, 복수개의 조절 와이어(120)들은 상호 대칭을 이루로 이들을 연결하는 하는 가상선이 이루는 원의 중심은 제1팁 몸체부(131)의 후단측면(131B) 중심(131BC)에 해당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의 선단이 모두 팁 부재(130)에 고정 연결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는팁 부재(130)에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의 선단이 고정 연결된 연결 위치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단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일부분 영역을 상호간 일체로 결합시키고, 조절 와이어(120)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분리시키는 결합부분(115)을 구비한다.
여기서, 결합부분(115)은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의 일부분 영역을 묶어 일체로 만들어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보조함과 동시에, 조절 와이어(120)는 개별적으로 일체화시키기 않아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 결합부분(115)은 조절 와이어(120)를 개별적으로 일체화시키기 않고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중공의 개방공간으로서 조절 와이어(120)가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로 삽입될 수 있는 조절 와이어용 이동구멍(115H)이 마련된다.
따라서 아래 설명되어질 조절 손잡이와의 연동 방식에 의해 조작되는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 개별적으로 독립되어 전후 이동 조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결합부분(115)은 이동시스(140) 내 이동통로(140P) 선단 측에 삽입 가능한 크기의 원통형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제1조절 손잡이(15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스(140) 내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의 전후 이동을 조절하기 위해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후단에 고정 연결되는 조작용 구성이다.
제2조절 손잡이(16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스(140)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의 전후 이동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 와이어(120) 후단에 고정 연결되는 조작용 구성이다.
그리고 몸체(170)는 앞서 설명한 이동시스(140)의 후단에 결합되며, 제1조절 손잡이(150) 및 제2조절 손잡이(160)가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몸체(170)의 이동시스(140) 후단이 결합된 부분에는 이동시스(140)의 외주면을 내측에 두고 덮어 연성 재질의 이동시스(140)의 휨 특성을 특정 수준 내에서 보강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시스(145)가 추가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강시스(145)는 이동시스(140)가 휨 특성을 갖추되 특정 수준을 초과하여 작업(조작) 용이성을 해치지 않도록 이동시스(140)에 비해 짧고 구체적으로는 이동시스(140)의 후단측 소정의 길이만큼만을 보강 지지하도록 몸체(170) 선단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70)에는 바스켓 카테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170)에 설치된 제1조절 손잡이(150) 및 제2조절 손잡이(160)가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개방된 소정의 슬라이딩용 개방공간(170H)이 구비된다.
여기서, 슬라이딩용 개방공간(170H)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 부분이 바스켓 카테터(100)의 너비방향 기준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딩용 개방 홀의 형태로 마련되어, 바스켓 카테터(100)의 너비방향 기준 일측에는 제1조절 손잡이(150)가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고, 타측에는 제2조절 손잡이(160)가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조절 손잡이(150)는 몸체(170)에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사용자(시술자)의 손가락 파지를 위한 제1손잡이 구멍(151H)이 마련되는 제1손잡이 몸체(151) 및 제1손잡이 몸체(151)로부터 몸체의 슬라이딩용 개방공간(170H) 내로 연장 형성되어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후단이 고정 연결되는 제1연결부(152)를 포함한다.
또한, 제2조절 손잡이(160)는 몸체(170)에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사용자(시술자)의 손가락 파지를 위한 제2손잡이 구멍(161H)이 마련되는 제2손잡이 몸체(161) 및 제2손잡이 몸체(161)로부터 몸체(170)의 슬라이딩용 개방공간 (170H)내로 연장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 후단이 고정 연결되는 제2연결부(162)를 포함한다.
아울러, 몸체(170)에 설치된 제1조절 손잡이(150) 및 제2조절 손잡이(160) 일측에는 제1조절 손잡이(150) 및 제2조절 손잡이(160)의 조작을 통한 전후 이동위치를 고정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위치고정부재(미도시)가 추가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70)의 후단, 즉 본 발명의 바스켓 카테터(100) 길이방향 기준 최 후단에는 제1조절 손잡이(150) 및 제2조절 손잡이(160)의 조작에 있어서 사용자(시술자)의 작업 용이성 보강을 위해 몸체(170)의 위치를 고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제3손잡이 구멍(175H)이 마련된 제3손잡이 몸체(175)가 고정 결합되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바스켓 카테터(100)는 제1조절 손잡이(150) 및 제2조절 손잡이(160)의 선단측 전방 이동 조작을 통해 각각에 고정 연결된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가 이동시스(140) 선단측으로 밀림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되어지면,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의 선단에 결합된 팁 부재(130)와 이동시스(140) 선단측 외부로 노출되어진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선단측 일부분 상이에는 체내 특정 파지 대상(제거 대상)의 포획(견인) 또는 분쇄(쇄석)를 수행하는 파지 공간(PT)을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파지 공간(PT)의 확대 및 축소는 제1조절 손잡이(150) 및 제2조절 손잡이(160)의 전후 이동 조작을 통해 이루어지고, 파지 공간(PT)의 영역별 형태 조절은 제1조절 손잡이(150)의 조작 고정과 동시에 제2조절 손잡이(160)의 전후 이동 조작을 통해 이루어진다.
2. 바스켓 카테터의 작동 형태에 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 카테터(100)의 제1조절 손잡이(150) 및 제2조절 손잡이(160)의 조작을 통한 작동 형태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공간(PT)을 형성하는 작동 형태에 대해 설명하면, 제3손잡이 몸체(175)의 제3손잡이 구멍(175H)에 시술자가 손가락을 이용해 파지할 수 있도록 삽입한 뒤 파지 고정하여 몸체(170)을 잡은 상태에서 제1조절 손잡이(150) 및 제2조절 손잡이(160)를 바스켓 카테터(100)의 길이방향 기준 선단측으로 전방 이동 조작을 하여 파지 공간(PT)을 형성한다.
고정된 몸체(170)를 기준으로 바스켓 카테터(100)의 길이방향 기준 선단측으로 전방 이동되는 제1조절 손잡이(150) 및 제2조절 손잡이(160)는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의 이동시스(140) 선단측으로의 밀림 이동을 통해 일부분을 노출시키고,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120)의 선단에 고정 연결된 팁 부재(130) 역시 이동시스(140) 선단측으로의 밀림 이동을 유발시킨다.
이를 통해, 이동시스(140) 선단 측으로 노출되어진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선단 측 일부와 팁 부재(130) 사이에는 도3의 확대된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 카테터(100)가 위치한 체내 특정 파지 대상의 포획(견인) 또는 분쇄(쇄석)를 위한 소정의 파지공간(PT)이 마련된다.
여기서, 소정의 파지공간(PT)의 크기 및 영역 분포 조절을 통해 형태를 달리하여 시술자는 체내 특정 파지 대상의 규격, 개수, 위치 등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명확한 포획(견인) 또는 분쇄(쇄석)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중 소정의 파지공간(PT)의 크기에 관한 조절은 제1조절 손잡이(150) 및 제2조절 손잡이(160)를 동시에 전후로 이동시켜 이동시스(140) 선단측으로의 밀림 이동을 통해 노출되는 일부분의 정도를 달리하여 조절한다.
또한, 소정의 파지공간(PT)의 영역 분포 조절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절 손잡이(150)의 고정 후 제2조절 손잡이(160)의 전후 이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조절 손잡이(150) 및 제2조절 손잡이(160)를 몸체(170)상에서 바스켓 카테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단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2조절 손잡이(160)를 몸체(170)상에서 바스켓 카테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팁 부재(130)가 제2조절 손잡이(160)에 연동되는 조절 와이어(120)에 의해 바스켓 카테터(100)의 길이방향 기준 후단측으로 이동되어, 조절 와이어(120)는 당김 이동을 통해 이동시스(140) 선단측으로 노출되어진 일부분이 줄어들고, 이와 동시에 팁 부재(130) 역시 당김 이동되고, 반면 이동시스(140) 선단측으로의 밀림 이동을 통해 노출되는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의 일부분은 변화하지 않고 고정된다.
이에 따라 이동시스(140) 선단 측으로 노출되어진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110) 선단 측 일부와 팁 부재(130) 사이에 마련된 파지 공간(PT)은 도5의 확대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 카테터(100)의 너비방향을 기준으로는 영역이 늘어나고, 바스켓 카테터(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는 영역이 줄어드며 파지 공간(PT)의 영역별 형태가 바스켓 카테터(100)의 너비방향으로 늘어지게 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본 발명의 바스켓 카테터(100)를 통해 소정의 파지공간(PT)의 크기 조절뿐 만 아니라, 체내 특정 파지 대상의 규격, 개수, 위치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상황에 대응되어 효과적이고 명확한 포획(견인) 또는 분쇄(쇄석)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영역 분포 조절까지도 가능해지며, 이는 더 나아가 기기의 작업(조작) 용이성의 수준을 높여 시술자의 고도한 숙련도가 요구되지 않는 강점을 갖추게 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바스켓 카테터
110 : 바스켓 와이어
120 : 조절 와이어
130 : 팁 부재
131 : 제1팁 몸체부 132 : 제2팁 몸체부
140 : 이동시스
140P : 이동통로
150 : 제1조절 손잡이
151 : 제1손잡이 몸체 152 : 제1연결부
160 : 제2조절 손잡이
161 : 제2손잡이 몸체 162 : 제2연결부
170 : 몸체

Claims (9)

  1.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의 선단에 고정 연결되는 팁 부재;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가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이동시스(Sheath);
    상기 이동시스 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의 전후 이동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후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1조절 손잡이;
    상기 이동시스 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의 전후 이동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조절 와이어 후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2조절 손잡이; 및
    상기 이동시스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조절 손잡이 및 제2조절 손잡이가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 손잡이 및 제2조절 손잡이를 상기 몸체상에서 상기 바스켓 카테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단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이동시스 선단 측으로 노출되어진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선단 측 일부와 상기 팁 부재 사이에는 상기 바스켓 카테터가 위치한 체내 특정 파지 대상의 포획 또는 분쇄를 위한 소정의 파지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 손잡이 및 제2조절 손잡이를 상기 몸체상에서 상기 바스켓 카테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단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조절 손잡이를 상기 몸체상에서 상기 바스켓 카테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팁 부재가 후단측으로 상기 조절 와이어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이동시스 선단 측으로 노출되어진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선단 측 일부와 상기 팁 부재 사이에 마련된 상기 파지 공간은 상기 바스켓 카테터 너비방향으로는 영역이 늘어나고, 상기 바스켓 카테터 길이방향으로는 영역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카테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바스켓 카테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에 설치된 상기 제1조절 손잡이 및 제2조절 손잡이가 전 후 이동 가능하도록 개방된 소정의 슬라이딩용 개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1조절 손잡이는,
    상기 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시술자의 손가락 파지를 위한 제1손잡이 구멍이 마련되는 제1손잡이 몸체; 및
    상기 제1손잡이 몸체로부터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용 개방공간 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후단이 고정 연결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카테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 손잡이는,
    상기 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시술자의 손가락 파지를 위한 제2손잡이 구멍이 마련되는 제2손잡이 몸체; 및
    상기 제2손잡이 몸체로부터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용 개방공간 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 후단이 고정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카테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 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의 선단이 후단측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이동시스 내 이동통로 선단 측에 삽입 가능형태로 마련되는 제1팁 몸체부; 및
    상기 제1팁 몸체부로부터 선단측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의 걸림턱을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팁 몸체부의 상기 이동시스 내 이동통로 선단 측으로의 삽입 이동 시 상기 이동시스 선단측에 걸림으로써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2팁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카테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팁 몸체부의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의 선단이 고정 연결되는 후단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 와이어의 선단은 상기 후단측면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카테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는 상기 팁 부재에 고정 연결된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단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 와이어 일부분을 상호간 일체로 결합시키는 결합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분은 상기 이동시스 내 이동통로 선단 측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카테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분에는 중공의 개방공간으로서 상기 조절 와이어가 전후 이동 가능한 형태로 삽입될 수 있는 조절 와이어용 이동구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카테터.
KR1020160087294A 2016-07-11 2016-07-11 바스켓 카테터 KR101813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294A KR101813875B1 (ko) 2016-07-11 2016-07-11 바스켓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294A KR101813875B1 (ko) 2016-07-11 2016-07-11 바스켓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661A true KR20180006661A (ko) 2018-01-19
KR101813875B1 KR101813875B1 (ko) 2018-01-29

Family

ID=6102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294A KR101813875B1 (ko) 2016-07-11 2016-07-11 바스켓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8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406A (ko) * 2018-12-19 2020-06-29 서울대학교병원 스톤 바스켓
KR20210142911A (ko) * 2020-05-19 2021-11-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심장사상충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479A (ja) * 2000-04-07 2001-10-1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具
WO2009150920A1 (ja) * 2008-06-09 2009-12-1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メディカルデバイス 管状器官の治療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406A (ko) * 2018-12-19 2020-06-29 서울대학교병원 스톤 바스켓
KR20210142911A (ko) * 2020-05-19 2021-11-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심장사상충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875B1 (ko) 201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6682B2 (en) Surgical instrument for manipulating and passing suture
US9510824B2 (en) Low profile medic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6203926B2 (ja) 縫合糸をガイ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021764B1 (en) Suture passer
KR101813875B1 (ko) 바스켓 카테터
JP6173652B2 (ja) 組織回収具及び組織回収システム
JP2019509108A (ja) 外科用器具
AU2016235822A1 (en) Retriev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1800075B1 (ko) 헤드부의 방향 제어가 가능한 내시경용 생검 겸자
JP2004357816A (ja) 内視鏡用把持装置及び磁気アンカー遠隔誘導システム
KR102548730B1 (ko) 복수의 스테이플 및 내시경 어플리케이터로 구성되는 내시경 수술 시스템
US99746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sheath onto the distal end of a surgical shaft instrument
CN111631780B (zh) 外科手术网篮
CN203852473U (zh) 眼内异物镊
DE19926555A1 (de) Medizinisches Greifinstrument sowie Verfahren zur Verwendung dieses Greifinstruments
EP3520717B1 (en) Clip removal device
JPWO2016067436A1 (ja) 医療用処置具
US11490914B2 (en) Dual operation grasping forceps for endoscope
JP7144789B2 (ja) 把持鉗子
WO2019180867A1 (ja) 持針器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543129Y2 (ja) 内視鏡用処置具
JP4681840B2 (ja) 内視鏡用把持部材及び把持装置
US10238407B2 (en) Basket-type grasping forceps
JP2007061535A (ja) 内視鏡用把持装置
US7438716B2 (en) Control apparatus for actuating an elongate medical sh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