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320A -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 Google Patents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320A
KR20180006320A KR1020170085756A KR20170085756A KR20180006320A KR 20180006320 A KR20180006320 A KR 20180006320A KR 1020170085756 A KR1020170085756 A KR 1020170085756A KR 20170085756 A KR20170085756 A KR 20170085756A KR 20180006320 A KR20180006320 A KR 20180006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sheet
adhesive surface
attaching
curved
display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715B1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Priority to PCT/KR2017/00727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09015A1/ko
Publication of KR20180006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Abstract

기포의 배출이 용이하며 스프링백 현상을 극복하면서, 곡면부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주름과 같은 변형이 없이 부착되는 곡면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를 제시한다. 그 보호시트는 곡면 형상을 가진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되는 보호시트에 있어서, 보호시트는 투명시트 및 비산방지 포켓이 합지된 것이고, 비산방지 포켓은 투명시트에 접착되는 접착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되는 점착면 및 접착면과 점착면 사이에 위치하여 하여 측벽을 형성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비산방지 포켓은 유동성 유체가 채워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Protecting sheet for attaching display device having curved shape}
본 발명은 보호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면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부품에 기포, 변형 등이 없이 원활하게 부착되는 보호시트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표시소자(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전기영동(EPD)과 같은 디스플레이가 화면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는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 또는 ATM, 키오스크 등의 정보처리기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수반하는 휴대기기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는 예컨대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구성품을 말하는 것으로 윈도우, 회로기판,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한편, 보호시트는 휴대기기에 부착되며, 터치스크린의 전면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최근 에지(edge)가 중심부보다 곡률이 크며 삼차원인 곡면 형상을 가지는 휴대기기가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패널은 곡면 휴대기기라고 한다. 나아가, 곡면 휴대기기는 에지(edge)와 연결되어 곡면을 이루는 코너(corner)를 포함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곡면 휴대기기는 에지, 코너 또는 에지와 코너가 곡면 형상을 가지는 추세이다. 곡면 휴대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시트는 곡면 투명시트에 비산방지필름을 합지해야 하는데, 상기 비산방지필름 등의 탄성복원력 및 변형에 의하여 상기 보호시트가 곡면 휴대기기에 안정적으로 부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14-0013155호는 평탄한 강화유리를 사용하고, 에지는 보호커버를 전면으로 부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 방식은 곡면 강화유리에는 채용할 수 없다. 또한, 다층의 보호커버를 에지의 전면에 부착해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다. 나아가, 외부로 노출된 보호커버에는 접착성 물질이 남아 있어, 그 부분 외부의 이물질이 묻어 미관을 해치게 된다. 덧붙여, 곡면을 이루는 에지의 크기가 커지면, 보호시트의 곡면부의 차지하는 부분이 확장되어, 에지와의 간극이 지나치게 증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특허에 의한 방식은 에지의 형상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어렵다.
한편, 곡면 테두리부는 곡률의 변화가 심하고 비구면을 이루는 등 다양한 양상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를 대응하기 위하여, 강화유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와 같이 경도, 스티프니스(stiffness), 투명성, 가공성이 우수한 경질 재질을 성형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재질에 의한 보호시트는 성형이 어렵고, 성형을 한다고 해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려고 하는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이 있다. 곡면 테두리부의 곡률 및 형상에 대응하기 어려워서, 곡면 테두리부의 일부만 커버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연질 재질, 예컨대 연질 TPU(Thermal Polyurethane)이 제시되었으나, 상기 연질 재질은 경도가 현저하게 낮고, 스크래치에 매우 취약하다. 또한, 연질 재질은 점착력을 높여야 하고, 기포를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포의 배출이 용이하며 스프링백 현상을 극복하면서, 곡면부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주름과 같은 변형이 없이 부착되는 곡면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곡면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는 곡면 형상을 가진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되는 보호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는 투명시트 및 비산방지 포켓이 합지된 것이고, 상기 비산방지 포켓은 상기 투명시트에 접착되는 접착면, 상기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되는 점착면 및 상기 접착면과 상기 점착면 사이에 위치하여 측벽을 형성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비산방지 포켓은 유동성 유체가 채워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호시트에 있어서, 상기 접착면, 상기 점착면 및 상기 측면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면 및 상기 점착면은 상기 측면을 이루는 격벽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투명시트 및 상기 비산방지 포켓 사이에는 고분자 필름 및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을 이루는 상기 접착면 또는 상기 점착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발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시트 및 상기 비산방지 포켓은 휘어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면의 일측에는 응력조절 패턴을 갖을 수 있으며, 상기 응력조절 패턴은 홈, 핀 패턴을 포함하는 요철 또는 밴딩 필름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공간의 상기 점착면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 포켓은 상기 투명시트에 대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마진을 두어 상기 투명시트의 안쪽으로 들어가거나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점착면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보호시트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경화성 수지에 의한 단층으로 이루어지거나, 고분자 필름 및 접착층이 반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격벽의 내면은 평탄하거나 굴곡질 수 있다. 상기 격벽의 내면은 요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격벽에서 상기 접착면과 접합되는 폭(W1) 및 상기 점착면과 접합되는 폭(W2)은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유동성 유체는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액체는 물, 오일, 실리콘 수지 또는 고분자 겔 또는 그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성 유체는 상기 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채울 수 있다. 유동성 유체는 UV경화 또는 열경화 또는 그들의 복합경화로 이루어지는 경화수지일 수 있다. 상기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접착면 및 상기 측면으로 이루어진 공간 코너는 라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에 의하면, 유동성 유체가 채워진 비산방지 포켓을 활용함으로써, 기포의 배출이 용이하며 스프링백 현상을 극복하면서 곡면부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주름과 같은 변형이 없이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된다. 또한, 격벽을 적용함으로써, 비산방지 포켓을 밀봉이 용이하고 유동성 유체를 쉽게 충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보호시트가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MD)에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보호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보호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4 보호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4 보호시트가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된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5 보호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동성 유체가 채워진 비산방지 포켓을 활용함으로써, 기포의 배출이 용이하며 스프링백 현상을 극복하면서 곡면부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주름과 같은 변형이 없이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되는 보호시트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 포켓을 포함하는 보호시트를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부품은 테두리가 중심부보다 곡률이 크며 삼차원인 곡면 터치스크린 패널에 적용되며, 이를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이하, 곡면 부품)이라고 한다. 또한, 곡면 부품은 테두리와 연결되며 곡면을 이루는 코너(corner)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곡면 부품은 예컨대 모바일 기기, 정보처리기기 또는 데스크 탑의 윈도우, 회로기판, 터치스크린, 보호시트 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보호시트(100)가 곡면 부품(MD)에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때, 제1 보호시트(100)가 곡면 부품(MD)에 합체된 상태를 함께 표현하였다.
도 1에 의하면, 제1 보호시트(100)는 투명시트(10)의 일면에 비산방지 포켓(20)이 합지된 것이다. 비산방지 포켓(2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곡면 부품(MD)은 중심부(a), 테두리(b) 및 코너(c)를 포함하고, 테두리(b) 및 코너(c)는 중심부(a)에 비해 곡면이 휜 정도가 큰 영역이다. 테두리(b)는 곡면 부품(MD)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다. 테두리(b) 및 코너(c)는 모두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고,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테두리(b)의 형상이 코너(c)까지 연장될 수 있다. 테두리(b) 및 코너부(c)는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을 아니지만, 식각(etching), 사출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1 보호시트(100)에서는 평탄한 평면 투명시트(10)를 제시한다. 평면 투명시트(10)는 투명한 재질이면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 기판은 강화유리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U(PolyUrethane), TAC(Tri-Acrtyl-Cellulos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투명시트(10)는 강화 유리와 플라스틱 기판이 다층으로 형성된 적층구조일 수 있다.
투명시트(10)는 투명하거나, 또는 각종 기능을 발현시키는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투명, 반투명 또는 칼라 등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코팅을 적용된다. 상기 인쇄층은 실크인쇄 또는 UV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또는 열경화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또는 전사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투명시트(10) 상에는 지문방지, 반사방지, 청색광(blue light) 차단, 전자파 차단, 프라이버시(privacy), 항균성 등의 특성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불소계 코팅액이 습식 코팅되거나, 진공증착으로 건식 코팅하여 지문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지문방지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코팅은 투명시트(10)가 다양한 기능을 발현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투명시트(10)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대신에 비산방지 포켓(20)에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인쇄층은 투명시트(10) 또는 비산방지 포켓(20)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층의 위치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 기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인쇄층에 구애받지 않고, 곡면 터치스크린 패널 화면의 크기 등을 보다 유연하게 조절된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제1 보호시트(100)를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제1 보호시트(100)와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MD가 합체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곡면 부품(MD)의 형상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보호시트(100)를 이루는 비산방지 포켓(20)은 접착층(30)에 의해 투명시트(10)에 접합된다. 비산방지 포켓(20)에 대하여 접착층(30)의 반대면에는 점착층(31)이 형성되어 있다. 점착층(31)은 제1 보호시트(100)를 곡면 부품(MD)에 부착시킨다. 접착층(30)은 굳이 이에 한정하지 않으나,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또는 그들의 복합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점착층(31)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인 열경화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가교제가 혼합된 점착제 또는 그들의 혼합물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비산방지 포켓(20)은 접착면(20a), 점착면(20b) 및 측면(20c)을 구비하여, 내부에 유동성 유체(21)가 채워지는 제1 공간(d)을 제공한다. 측면(20c)는 접착면(20a) 및 점착면(20b) 사이에 위치하여 측벽을 형성한다. 비산방지 포켓(20)이 제공하는 제1 공간(d)의 크기는 본 발명의 제1 보호시트(100)가 부착되는 곡면 부품(MD)의 크기, 형상 등에 따라 정해진다. 측면(20c)의 외측은 투명시트(10)와 동일한 프로파일(profile)을 이루는 것이 좋으나, 경우에 따라 측면(20c)은 투명시트(10)의 안쪽으로 소정의 내측 마진(margin)만큼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내측 마진을 가지면 접착층(30) 및 점착층(31)이 투명시트(10)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마진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0mm보다 크고 0.5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20c)은 투명시트(10)의 바깥쪽으로 소정의 외측 마진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마진을 가지면, 사용자가 투명시트(10)의 측면으로 인한 자상과 같은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보호시트(100)를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20)에 정렬한 후, 압력으로 누르면 유동성 유체(21)은 측면(20c) 방향으로 밀려나가, 측면(20c) 및 점착면(20b)을 변형된 제2 공간(e)이 형성된다. 제2 공간(e)을 채우는 유동성 유체(21)의 양의 제1 공간(d)의 양과 같다. 구체적으로, 제1 공간(d)에서 중심부(a)에 위치한 접착면(20a) 및 점착면(20b)는 서로 맞닿아 접촉하고, 중심부(a)에 있던 유동성 유체(21)는 제2 공간(e)으로 이동한다. 제2 공간(e)는 측면(20c) 및 점착면(20b) 부근에서 제1 공간(d)에 비해 외부로 확장되어, 특히 점착면(20b) 방향으로 돌출된다. 돌출된 점착면(20b)는 곡면 부품(MD)의 테두리(b) 및 코너(c)에 밀착된다. 이렇게 되면, 테두리(b) 및 코너(c)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제1 보호시트(100)를 곡면 부품(MD)에 부착할 수 있다.
비산방지 포켓(20)은 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가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O(PolyOlefin),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N(PolyEthylene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MethAcrylate), PU(PolyUrethane), TPU(Thermal PolyUrethane), TAC(Tri-Acrtyl-Cellulose), COC(CycloOlefin Copolymer), 폴리유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수지들로 이루어진 층들이 적층될 수도 있다.
비산방지 포켓(20)은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특히 점착면(20b)에 상기 수지들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혼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전형적인 분자구조가 트리블록 공중합체이며, 특히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와 올레핀계 고무(예: EDPM,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결합시킨 물질이다. 예를 들어, 비산방지 포켓(20)의 주성분이 폴리프로필렌이라면, 상용성을 고려하여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경질상에 폴리스티렌이나 폴리프로필렌, 연질상에 스티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EDPM)를 가진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겔(gel) 분율은 2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겔 분율이 20%미만에서는 가교 정도가 불충분하고, 열융착시킬 때 엘라스토머가 용융하는 양이 지나치게 많아진다. 겔 분율이 90%를 넘으면, 가교 정도가 너무 커서 강성이 떨어진다.
비산방지 포켓(20)의 접착면(20a), 점착면(20b) 및 측면(20c)은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갖거나, 접착면(20a), 점착면(20b) 및 측면(20c)의 두께를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20c)을 상대적으로 얇게 하면, 유동성 유체(21)에 의해 변형이 쉽게 일어난다. 측면(20c)을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면, 유동성 유체(21)는 곡면 부품(MD)과 접촉하는 점착면(20b)이 주로 변형시킨다. 점착면(20b)의 두께가 얇아지면, 점착면(20b) 방향으로의 변형이 용이해진다.
제2 공간(e)의 점착면(20b), 특히 제2 공간(e)에 위치하는 점착면(20b)에 응력조절 패턴(26)을 형성하여 점착면(20b)이 곡면 부품(MD) 방향으로 쉽게 돌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응력조절 패턴(26)은 홈(groove), 핀(fin) 패턴과 같은 요철일 수 있고, 굽어짐을 유도하는 밴딩 필름(banding film)을 점착면(20b)에 덧댈 수 있다. 상기 밴딩 필름은 외력이 가해지면 점착면(20b)의 밴딩을 쉽게 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굽어있는 필름이다. 도면에서는 응력조절 패턴(26)의 하나의 사례로 홈(groove)을 제시하였다.
유동성 유체(21)는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고분자 겔 또는 그 혼합물로써 투명한 물질이면서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화되는 유동성을 가지면 충분하다. 상기 기체는 공기, 불활성 가스 등이 있고, 상기 액체 및 고분자 겔은 물, 오일,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겔 등이 있다. 유동성 유체(21)가 제1 공간(d)의 전부 또는 일부를 채울 수 있다. 유동성 유체(21)이 제1 공간(d)을 채우는 정도는 제1 공간(d)의 크기, 비산방지 포켓(20)의 재질 및 두께, 테두리(b)와 코너(c)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조절한다. 유동성 유체(21)를 비산방지 포켓(20)에 채우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이면 모두 가능하며, 이에 따라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보호시트(100)는 유동성 유체(21)가 측면(20c)로 밀리면서 점착층(31) 및 곡면 부품(MD) 사이의 기포를 밀어내므로, 기포 배출이 용이하다. 또한, 곡면 투명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평탄한 투명시트(10)를 적용하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스프링백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제2 공간(e)은 테두리(b) 및 코너(c)의 형상에 맞추어 유연하게 변형되므로, 테두리(b) 및 코너(c)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잘 부착된다. 제2 공간(e)는 유동성 유체(21)에 의해 팽창되므로, 제1 보호시트(100)에 주름과 같은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제2 공간(e)에서 접착면(20a) 및 측면(20c)이 이루는 공간 코너(25)은 라운딩될 수 있다. 공간 코너(25)가 라운딩되면, 유동성 유체(21)의 흐름을 점착면(20b)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보호시트(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제2 보호시트(200)는 투명시트(10) 및 비산방지 포켓(20) 사이에 고분자 필름(22)을 개재한 것을 제외하고, 제1 보호시트(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이때, 곡면 부품(MD)의 형상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제2 보호시트(200)에서, 투명한 고분자 필름(22)이 접착층(23)에 의해 비산방지 포켓(20)에 접합된다. 고분자 필름(22)은 바람직하게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N(PolyEthylene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U(PolyUrethane), TPU(Thermal PolyUrethane), TAC(Tri-Acrtyl-Cellulos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고분자 필름(22)을 부가하면, 투명시트(10)의 비산방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고분자 필름(22)의 외측은 투명시트(10)와 동일한 프로파일(profile)을 이루는 것이 좋으나, 경우에 따라 고분자 필름(22)은 투명시트(10)의 안쪽으로 소정의 내측 마진(margin)만큼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내측 마진을 가지면 접착층(30, 23) 및 점착층(31)이 투명시트(10)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마진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0mm보다 크고 0.5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고분자 필름(22)은 투명시트(10)의 바깥쪽으로 소정의 외측 마진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마진을 가지면, 사용자가 투명시트(10)의 측면으로 인한 자상과 같은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3 보호시트(3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제3 보호시트(300)는 비산방지 포켓(20)의 접착면(20a) 및 점착면(20b)에 발수층(24)을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제1 보호시트(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3 보호시트(300)은 제2 보호시트와 같이, 고분자 필름(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곡면 부품(MD)의 형상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제3 보호시트(300)는 비산방지 포켓(20)의 접착면(20a) 및 점착면(20b)의 적어도 하나의 내면에 발수층(24)이 존재한다. 발수층(24)은 접착면(20a), 점착면(20b) 또는 접착면(20a)/점착면(20b) 중의 어느 하나에 형성한다. 발수층(24)은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물질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이 혼합물을 포함하며, 실리콘계는 65°~103°, 불소계는 103°~121°의 접촉각을 보인다. 대표적인 발수층(24)의 소재는 퍼플루오르복합물(perfluoro compound)이다. 발수층(24)의 코팅방식은 습식 도포 방식이며, 공지의 방식이 적용된다. 제1 보호시트(100)의 제1 공간(d)는 발수층(24)에 의해 제3 공간(f)로 변환된다.
발수층(24)이 있으면, 도 3에서와 같이, 접착면(20a) 및 점착면(20b)가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 유체(21)의 워터마크를 방지하고, 유동성 유체(21)가 신속하게 제3 공간(f)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워터마크는 곡면 부품(MD) 화면의 명시성을 크게 저해하므로, 이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 제3 보호시트(300)는 상기 워터마크가 생성되는 원인이 제거되므로, 화면의 명시성이 나빠지지 않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4 보호시트(4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제4 보호시트(400)가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된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4 보호시트(400)는 휘어진 투명시트(50) 및 비산방지 포켓(60)을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1 보호시트(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4 보호시트(400)은 제2 및 제3 보호시트(200, 300)와 같이, 고분자 필름(22) 및 발수층(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곡면 부품(MD)의 형상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4 보호시트(400)는 투명시트(50) 및 비산방지 포켓(60)에서 곡면 부품(MD)의 테두리(b) 및 코너(c)에 부착되는 부분이 휘어져 있다. 휘어진 투명시트(50) 및 비산방지 포켓(60), 접착층(70) 및 점착층(71)은 곡면을 이루는 부분이 있는 것 이외에, 재질 등은 제1 보호(100)의 투명시트(10), 비산방지 포켓(20), 접착층(30) 및 점착층(31)과 동일하다. 다만, 비산방지 포켓(60)의 접착면(60a), 점착면(60b) 및 측면(60c)의 두께는 비산방지 포켓(20)의 접착면(20a), 점착면(20b) 및 측면(20c)과는 달리 정해질 수 있다. 왜냐하면, 제4 보호시트(400)는 휘어진 부분이 있으므로, 제1 보호시트(100)에 비해 점착면(60b) 및 측면(60c)의 변형을 적게 요구하기 때문이다.
투명시트(50) 및 비산방지 포켓(60)의 휘어진 형상은 곡면 부품(MD)의 테두리(b) 및 코너(c)와 부합되지 않아도 좋다. 상기 휘어진 형상이 부합되지 않더라도, 점착면(60b)의 변형에 의한 해, 곡면 디스플레 부품(MD)의 테두리(b) 및 코너(c)에 충분하게 밀착된다. 제1 보호시트(100)의 제1 공간(d)은 제4 보호시트(400)에서 제4 공간(g), 제2 공간(e)은 제5 공간(h)에 대응하도록 변환된다. 제4 및 제5 공간(g, h)은 본 발명의 제4 보호시트(400)가 부착되는 곡면 부품(MD)의 크기, 형상 등에 따라 정해진다.
유동성 유체(21)는 제5 공간(h)으로 이동하여, 제5 공간(h)을 팽창시킨다. 그렇게 되면, 제5 공간(h)는 외부로 팽창하려는 팽창력을 가진다. 상기 팽창력은 휘어진 투명시트(50) 및 접착층(70) 사이에 가해져서, 투명시트(50) 및 비산방지 포켓(60) 사이의 부착력을 강화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5 보호시트(5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제5 보호시트(500)는 비산방지 포켓(80)을 달리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1 보호시트(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5 보호시트(400)은 제2 내지 제3 보호시트(200, 300, 400)와 같이, 고분자 필름(22), 발수층(24) 및 휘어진 투명시트(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곡면 부품(MD)의 형상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8에 의하면, 제5 보호시트(500)의 비산방지 포켓(80)은 제6 공간(i)에 유동성 유체(21)가 채워진다. 비산방지 포켓(80)은 접착면(81), 점착면(82) 및 격벽(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격벽(83)는 접착면(81) 및 점착면(82) 사이에 위치하여 측벽을 형성하는 측면이다. 비산방지 포켓(80)의 접착면(81) 및 점착면(82)은 재질 등에 있어서 제1 보호(100)의 접착면(20a) 및 점착면(20b)과 동일하다. 다만, 비산방지 포켓(80)의 접착면(81) 및 점착면(82)의 두께는 비산방지 포켓(20)의 접착면(20a) 및 점착면(20b)과는 달리 정해질 수 있다. 왜냐하면, 제5 보호시트(500)의 비산방지 포켓(80)은 제1 보호시트(100)의 비산방지 포켓(20)과는 다른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특히, 비산방지 포켓(80)은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특히 점착면(82)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혼합하면 더욱 좋다.
격벽(83)은 단층 또는 다층으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단층의 경우 경화성 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다층은 고분자 필름과 접착층이 반복되어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 격벽(83)은 접착제로 접착면(81) 및 점착면(82)에 접착되거나, 상기 접착제가 없이 열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격벽(83)에서 접착면(81)과 접합되는 부분의 폭(W1) 및 점착면(82)과 접합되는 부분의 폭(W2)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폭(W1) 및 폭(W2)가 다르면, 격벽(83)은 사다리꼴 형태가 가능하다. 폭(W1) 및 폭(W2)은 제6 공간(i)의 크기, 비산방지 포켓(80)의 재질 및 두께, 테두리(b)와 코너(c)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조절한다.
격벽(83)은 실크 인쇄, 롤 인쇄, 그라비아 인쇄 등과 같은 인쇄 방법,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프 부착방법, 경화수지의 경화에 의한 경화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화방법을 예로 들면, 액상이면서 경화수지인 유동성 유체를 도포하고, 테두리부를 경화시킨 다음, 레이저 등으로 타발하여 격벽(83)을 형성한다. 물론, 반경화성 물질을 활용하여 격벽(83)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5 보호시트(500)는 밀봉 및 유동성 유체(21)의 주입이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제1 내지 제4 보호시트(100, 200, 300. 400)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다. 제1 내지 제4 보호시트(100, 200, 300, 400)는 유동성 유체를 충진하기 위한 수단(예, 홀)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비산방지포켓에 유동성 유체를 충진하기 위해 테두리 홀이 형성되며 테두리 홀 상에 실링부재를 경화시켜 비산방지포켓의 밀봉을 완료한다. 이때, 실링부재를 가열하여 비산방지포켓을 가열 또는 가압에 의해 용융되어 실링 부재가 퍼지게 되어 밀봉될 수 있다. 하지만, 제5 보호시트(500)의 포켓(80)은 격벽(83)에 의해 제공된 공간에 유동성 유체(21)를 주입하고, 접착면(81)을 결합시켜 밀봉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다.
격벽(83)의 내면(S)는 평탄하거나 굴곡질 수 있으며, 나아가 내면(S)는 요철을 이룰 수 있다. 격벽(83)의 내면(S)의 모양은 제6 공간(i)이 도 3에서와 같이 변형될 때, 곡면 부품(MD)의 테두리(b) 및 코너(c)에 원활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격벽(83)의 내면(S)는 제1 보호시트(100)에서 제2 공간(e)의 공간 코너(25)의 라운딩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접착면(81)에서 점착면(82)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서, 유동성 유체(21)의 흐름을 점착면(82)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면(S)는 평탄하거나 요철과 같이 골곡진 형태일 수 있다.
제5 보호시트(500)의 비산방지 포켓(80)은 접착면(81) 및 점착면(82)을 격벽(83)에 각각 독립적으로 접합한다. 그에 반해, 제1 내지 제4 보호시트(100, 200, 300, 400)의 비산방지 포켓(20, 60)은 일체로 제작한다. 일체로 제작 시에 유동성 유체(21)를 주입하고, 비산방지 포켓(20, 60)을 밀봉하거나 또는 비산방지 포켓을 밀봉한 후 유동성 유체(21)를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5 보호시트(500)는 밀봉 및 유동성 유체(21)의 주입이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제1 내지 제4 보호시트(100, 200, 300. 400)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유동층 유체(21)가 주입되는 제1 공간(d) 내지 제6 공간(i)에는 유동층 유체(21)가 어느 한쪽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획면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동성 유체(21)를 다양한 방법으로 주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격벽(8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유체(21)를 주입하거나, 액상의 경화수지의 일부는 격벽(83)으로 만들고 일부는 유동성 유체(21)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반경화의 유동성 유체(21)의 일부를 경화시켜 격벽(83)으로 적용할 수 있다. 유동성 유체(21)는 제1 내지 제4 보호시트(100, 200, 300, 400)의 제조방법 등을 고려하여 재질이 달라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50; 투명시트
20, 60, 80; 비산방지 포켓
20a, 60a, 81; 접착면
20b, 60b, 82; 점착면
20c, 60c; 측면
21; 유동성 유체
22; 고분자 필름
25; 응력조절 패턴
26; 공간 코너
30, 70; 접착층
31, 71; 점착층
d, e, f, g, h, i; 제1 내지 제6 공간
100, 200, 300, 400, 500; 제1 내지 제5 보호시트

Claims (16)

  1. 곡면 형상을 가진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되는 보호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는 투명시트 및 비산방지 포켓이 합지된 것이고,
    상기 비산방지 포켓은 상기 투명시트에 접착되는 접착면, 상기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되는 점착면 및 상기 접착면과 상기 점착면 사이에 위치하여 측벽을 형성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비산방지 포켓은 유동성 유체가 채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면, 상기 점착면 및 상기 측면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면 및 상기 점착면은 상기 측면을 이루는 격벽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시트 및 상기 비산방지 포켓 사이에는 고분자 필름 또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이루는 상기 접착면 또는 상기 점착면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발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시트 및 상기 비산방지 포켓은 휘어진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면의 일측에는 응력조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조절 패턴은 홈, 핀 패턴을 포함하는 요철 또는 밴딩 필름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 포켓은 상기 투명시트에 대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마진을 두어 상기 투명시트의 안쪽으로 들어가거나 바깥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면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경화성 수지에 의한 단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고분자 필름 및 접착층이 반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유체는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물, 오일, 실리콘 수지 또는 고분자 겔(gel) 또는 그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유체는 UV경화 또는 열경화 또는 그들의 복합경화로 이루어지는 경화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유체는 상기 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KR1020170085756A 2016-07-07 2017-07-06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KR101939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7275 WO2018009015A1 (ko) 2016-07-07 2017-07-07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068 2016-07-07
KR20160086068 2016-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320A true KR20180006320A (ko) 2018-01-17
KR101939715B1 KR101939715B1 (ko) 2019-01-17

Family

ID=6102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756A KR101939715B1 (ko) 2016-07-07 2017-07-06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7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8989A (zh) * 2018-05-04 2018-09-14 达沃客(珠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触控屏的多功能保护膜体
WO2020213988A1 (en) * 2019-04-18 2020-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452B1 (ko) * 2014-08-25 2015-02-13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터치스크린 보호용 강화유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02103B1 (ko) * 2015-05-07 2016-03-21 김영수 곡면 형상을 가진 터치스크린 패널의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452B1 (ko) * 2014-08-25 2015-02-13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터치스크린 보호용 강화유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02103B1 (ko) * 2015-05-07 2016-03-21 김영수 곡면 형상을 가진 터치스크린 패널의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8989A (zh) * 2018-05-04 2018-09-14 达沃客(珠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触控屏的多功能保护膜体
WO2020213988A1 (en) * 2019-04-18 2020-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US11343362B2 (en) 2019-04-18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715B1 (ko)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004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ver member
KR101717507B1 (ko) 곡면부를 가진 휴대기기에 부착되는 복합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EP3547018B1 (en) Display device
TWI538815B (zh) 用以將可撓顯示器之多個功能層連結在一起之方法和裝置
US9688051B2 (en) Window memb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1833733A (zh) 改善可见性的柔性覆盖窗及其制造方法
TW201531897A (zh) 動態觸覺介面和方法
KR101657136B1 (ko) 곡면 테두리부를 가진 터치스크린 패널용 보호시트
EP2631748B1 (en) Touch panel having improved visi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44162A (ko) 가요성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1939715B1 (ko)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US11673363B2 (en) Rollabl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1199690B (zh) 显示面板盖
US9575369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isplay module
TWI717244B (zh) 顯示裝置
US20210208636A1 (en) Display device
CN112820200A (zh) 盖板及显示装置
KR20180000822A (ko) 곡면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되는 보호시트
CN114141149B (zh) 柔性显示模组及显示装置
US20130278845A1 (en) Embedded electrooptical display
US20210333911A1 (en) Touch Display Device
KR101911698B1 (ko) 탈부착 유동층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295157A1 (en)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window
KR101798759B1 (ko) 곡면부를 가진 휴대기기에 부착되는 보호시트 모듈, 이를 이용한 보호시트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보호시트
US20190204943A1 (en) Protective cover of touch key structure,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and touch panel with covered touch ke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