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056A - 천연소재를 이용한 중풍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소재를 이용한 중풍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056A
KR20180005056A KR1020160084984A KR20160084984A KR20180005056A KR 20180005056 A KR20180005056 A KR 20180005056A KR 1020160084984 A KR1020160084984 A KR 1020160084984A KR 20160084984 A KR20160084984 A KR 20160084984A KR 20180005056 A KR20180005056 A KR 20180005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inger
garlic
mugwort
ag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5416B1 (ko
Inventor
이남희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자연건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자연건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자연건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4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가피를 포함하는 천연소재의 약리적 성분을 함유하여 혈전 관련 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a) 오가피, 한련초, 초석잠, 쑥, 생강 및 마늘을 각각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를 통해 건조된 오가피, 한련초, 초석잠, 쑥, 생강 및 마늘을 각각 중탕하여 오가피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초석잠 추출물, 쑥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및 마늘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를 통해 얻은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Thrombolytic agent composition using the natural}
본 발명은 오가피를 포함하는 천연소재의 약리적 성분을 함유하여 혈전 관련 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전증(thrombosis)은 생체 내의 심혈관 및 혈관 내에서 혈액의 응고로 형성된 혈전(blood clot)이 혈관계 내를 흐르는 동안 생리적 손상을 받을 경우 혈액 성분의 하나인 혈소판이 침착하는 기전으로부터 발생한다. 생체 내에서 혈액은 응고와 용해작용이 항상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정상적으로 순환되는 동안에는 혈전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여러 가지 병적인 요인으로 인해 균형이 깨지게 되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혈액의 기능적 이상 및 순화 이상 발생은 다양한 혈관계 질환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기능 및 순환 장애가 뇌 및 심장 등에서 나타나는 경우 생명에 치명적이 되며 그 후유증 또한 심각하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고영양, 고단백 등 식생활 양상의 변화에 따라 선진국과 같이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하는 인구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망 및 사망원인에 대한 통계결과를 보면,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순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12년 통계연보). 단일 질환별 사망률로 보면 심혈관질환은 암 다음으로 높은 주요 사망원인이다.
현재까지 혈전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는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및 이미 형성된 혈전을 용해하는 혈전용해제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특히 항혈소판제의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아스피린의 효과는 탁월하지만 위장 장애 등으로 부작용을 일으키며, 그 외에 항응고제로 사용하고 있는 헤파린이나 쿠마린 등은 너무 고가의 약물이기 때문에 손쉽게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약물의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동일한 효과를 보이는 천연물을 발굴하여 혈전 형성 억제제를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2-0102349호 공개특허 제10-2003-0084098호 등록특허 제10-0807692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작용이 없는 오가피 등 천연소재 추출물의 약리적 성분을 함유하여 혈전 관련 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오가피, 한련초, 초석잠, 쑥, 생강 및 마늘을 각각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를 통해 건조된 오가피, 한련초, 초석잠, 쑥, 생강 및 마늘을 각각 중탕하여 오가피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초석잠 추출물, 쑥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및 마늘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를 통해 얻은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b)단계의 오가피, 한련초, 초석잠, 쑥, 생강 및 마늘은 각각 50~70℃에서 30~36시간 중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오가피 추출물, 상기 한련초 추출물, 상기 초석잠 추출물, 상기 쑥 추출물, 상기 생강 추출물, 상기 마늘 추출물을 5 : 5 : 5 : 2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천연소재를 이용하므로 소화기 장애 등 부작용의 발생이 없으며, 혈전 관련 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혈전 용해제 조성물은 천연소재인 오가피, 한련초, 초석잠, 쑥, 생강 및 마늘의 유효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크게, 상기 천연소재를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상기 천연소재 각각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각각의 상기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오가피, 한련초, 초석잠, 쑥, 생강 및 마늘을 각각 세척한 후, 건조시켜 자연발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오가피, 상기 한련초, 상기 초석잠, 상기 쑥, 상기 생강 및 상기 마늘은 수분을 건조시켜 수분으로 인한 세균과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도록 하기 위해 건조기 또는 그늘에서 7~10일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오가피, 상기 한련초, 상기 초석잠, 상기 쑥, 상기 생강 및 상기 마늘은 햇빛에 의해 산화되거나 탈색되는 현상을 막고,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 건조시켜 유효한 약리 성분이 변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오가피, 상기 한련초, 상기 초석잠, 상기 쑥, 상기 생강 및 상기 마늘이 가진 독성을 감소시키거나 부작용을 적게 하며, 약효를 높이고, 성질을 우수하게 개선하고, 나아가 상기 천연소재의 저장의 편의성을 위해 햇빛을 피해 건조하여 자연발효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오가피는 간과 신장의 기운을 보하여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므로 사지마비, 구련, 허리와 무릎의 연약증상, 하지무력감, 골절상, 타박상, 부종, 혈액순환에 좋으며 기운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주며, 해독 작용과 항암효과가 탁월한 아칸토산이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 당뇨, 관절염에 효능이 있으며, 면력체계를 증강시켜주어 잔병치레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오가피 열매 속 세사민 성분은 기침을 멎을 수 있게 해주며, 진정작용 으로 인해 심신을 안정시켜주고 우리 몸속 혈관속에 콜레스테롤이 축적되는 것을 막아주고 혈압강하작용이 있어 혈관 질환에도 도움이 되고, 오가피속의 치사노사이드 성분은 간경화를 억제하고 튼튼하게 해주는 작용이 있으므로 혈전 관련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하는데 효과가 있다.
상기 오가피의 영양성분은 100g기준으로 니아산(1.60mg), 나트륨(85.00mg), 단백질(5.10g), 당질(13.20g), 베타카로틴(2.588.00㎍), 비타민A(431.00㎍RE,), 비타민B1(0.10mg), 비타민B2(0.49mg), 비타민B6(0.39mg), 비타민C(79.00mg), 식이섬유(2.40g), 아연(1.20mg), 엽산(1.20㎍), 인(88.00mg), 지질(0.10g), 철분(0.90mg), 칼륨(647.00mg), 칼슘(229.00mg), 회분(1.70g)이다.
상기 한련초는 지혈작용을 비롯하여 보음, 보신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기 때문에 혈전 관련 질환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초석잠에는 콜린이라는 성분이 풍부한데, 상기 콜린은 혈액과 뇌장벽을 뚫고 들어갈 수 있는 희귀물로 뇌세포에 직접 작용해 기억력을 돕는 생화학물질을 만들어 기억력증진과 노인성치매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다.
또한, 상기 초석잠은 어혈, 적혈을 풀며 기를 내리게 하고, 파혈작용이 우수하여 혈액 순환이 안되어 뭉처있는 것을 뚫어 순환이 되게 하므로 혈전 관련 질환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쑥에는 무기질과 비타민의 함량이 많은 것이 특색이다. 특히 비타민 A가 많아 약 80g만 먹어도 하루에 필요한 양을 공급할 수 있고, 또한 쑥은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데 효과적이어서 특히 부인병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추위를 잘 타는 사람에게 좋고 몸이 차서 일어나는 복통과 설사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쑥은 기혈과 경맥을 따뜻하게 해주기 때문에 자궁과 하복부가 차서 일어나는 자궁출혈 및 임신중 출혈, 토혈, 코피, 각혈 등에 사용하면 지혈작용을 하므로 혈전 관련 질환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쑥의 영양성분은 100g기준 니아산(2.20mg), 나트륨(10.00mg), 단백질(5.00g), 당질(0.50g), 베타카로틴(2.246.00㎍), 비타민A(374.00㎍RE,), 비타민B1(0.09mg), 비타민B2(0.17mg), 비타민B6(0.24mg), 비타민C(22.00mg), 식이섬유(8.50g), 아연(0.44mg), 엽산(145.80㎍), 인(96.00mg), 지질(0.50g), 철분(6.00mg), 칼륨(765.00mg), 칼슘(119.00mg), 회분(2.20g), 비타민E(1.60mg)이다.
상기 생강은 생강에 들어 있는 디아스타아제와 단백질 분해효소가 소화액의 분비를 자극하고 장운동을 촉진시키며 구역질과 설사를 치료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생강의 맵싸한 성분인 진저롤과 쇼가올은 각종 병원성균, 특히 티푸스균이나 콜레라균 등에 대해 강한 살균작용을 하기 때문에 혈전 관련 질환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마늘에 있는 아조엔은 혈전방지 효능을 지닌 마늘의 알리신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불포화 이화황 화합물로서 체내의 노폐물과 독소를 배출하고, 특히 유화알릴 성분도 있어 살균과 보온 효과가 좋아 환절기 감기 예방에 도움을 주므로 혈전 관련 질환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음으로, 건조된 상기 오가피, 상기 한련초, 상기 초석잠, 상기 쑥, 상기 생강 및 상기 마늘을 각각 중탕하여 오가피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초석잠 추출물, 쑥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및 마늘 추출물을 얻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오가피, 상기 한련초, 상기 초석잠, 상기 쑥, 상기 생강 및 상기 마늘은 각각의 유효성분 파괴 없이 약리적 성분을 높은 효율로 추출하기 위해 50~70℃에서 30~36시간 중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중탕 온도가 50℃ 미만이면 상기 오가피, 상기 한련초, 상기 초석잠, 상기 쑥, 상기 생강 및 상기 마늘에 있는 세균과 미생물을 없앨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약리적 성분을 충분히 추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중탕 온도가 70℃ 초과이면 높은 온도에 의해 상기 오가피, 상기 한련초, 상기 초석잠, 상기 쑥, 상기 생강 및 상기 마늘의 약리적 성분이 파괴될 우려가 크다.
중탕 시간이 30시간 미만이면 상기 오가피, 상기 한련초, 상기 초석잠, 상기 쑥, 상기 생강 및 상기 마늘의 약리적 성분을 충분히 추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중탕 시간이 36시간 초과하면 장시간의 추출 시간에 의해 상기 오가피, 상기 한련초, 상기 초석잠, 상기 쑥, 상기 생강 및 상기 마늘의 유용한 약리적 성분이 파괴될 우려가 크고, 타르 등 기타 유해한 성분이 추출될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오가피 추출물, 상기 한련초 추출물, 상기 초석잠 추출물, 상기 쑥 추출물, 상기 생강 추출물 및 상기 마늘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혈전의 용해 활성, 혈소판의 활성화 및 응고의 억제 등 혈전 관련 질환의 치료의 높은 효과을 얻기 위해, 상기 오가피 추출물, 상기 한련초 추출물, 상기 초석잠 추출물, 상기 쑥 추출물, 상기 생강 추출물, 상기 마늘 추출물은 5 : 5 : 5 : 2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가피 추출물, 상기 한련초 추출물 및 상기 초석잠 추출물은 지방질 분해 효과를 높이고, 단전의 기활동을 돕고, 나아가, 혈전 용해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쑥 추출물, 상기 생강 추출물 및 상기 마늘 추출물은 쓰고 아린 맛이 있어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 너무 많이 혼합하면 속이 쓰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를 통해 얻은 본 발명의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과 배합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캅셀제 등의 고형 제제 또는 시럽, 음료 등의 액상 형태 등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가피, 한련초, 초석잠, 쑥, 생강 및 마늘을 각각 세척한 후, 그늘에서 7일동안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건조된 상기 오가피, 상기 한련초, 상기 초석잠, 상기 쑥, 상기 생강 및 상기 마늘을 65℃에서 35시간 동안 각각 중탕기를 이용하여 중탕하여 오가피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초석잠 추출물, 쑥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및 마늘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상기 오가피 추출물, 상기 한련초 추출물, 상기 초석잠 추출물, 상기 쑥 추출물, 상기 생강 추출물, 상기 마늘 추출물을 5 : 5 : 5 : 2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1의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달리, 상기 오가피 추출물, 상기 한련초 추출물, 상기 초석잠 추출물, 상기 쑥 추출물, 상기 생강 추출물, 상기 마늘 추출물을 3 : 3 : 3 : 1 : 0.5 : 0.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시예 2의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달리, 상기 오가피 추출물, 상기 한련초 추출물, 상기 초석잠 추출물, 상기 쑥 추출물을 5 : 5 : 5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비교예 1의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달리, 상기 오가피 추출물, 상기 한련초 추출물, 상기 초석잠 추출물을 5 :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비교예 2의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달리, 상기 오가피 추출물, 상기 한련초 추출물을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비교예 3의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을 얻었다.
[중풍 예방 효과 실험]
혈압에 의해 뒷목이 뻣뻣하여 당기는 사람, 중풍 초기 증상인 손발 저림, 머리가 무겁고 편두통에 시달리는 사람, 현기증을 자주 느끼는 50대~70대 50명을 선별하여 각 10명씩 상기 실시예 1, 상기 실시예 2, 상기 비교예 1, 상기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3의 혈전 용해제 조성물을 하루 1포씩 섭취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1개월 후 피시험자의 뒷목 당김, 손발 저림, 편두통, 현기증에 대하여 증상 개선 정도에 따라 5-완전한 개선, 4-상당한 개선, 3-중등도의 개선, 2-약간의 개선, 1-개선 없음의 5단계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로 나타내었다.
뒷목 당김 손발 저림 편두통 현기증
실시예1
섭취 전 1 1 1 1
1개월 후 4.6 4.2 4.3 4.0
실시예2
섭취 전 1 1 1 1
1개월 후 3.9 3.6 3.4 3.7
비교예1
섭취 전 1 1 1 1
1개월 후 3.2 2.8 2.6 2.6
비교예2
섭취 전 1 1 1 1
1개월 후 3.0 2.6 2.4 2.4
비교예3
섭취 전 1 1 1 1
1개월 후 2.4 2.1 1.8 2.0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상기 실시예 1 및 2의 증상 개선 정도가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오가피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초석잠 추출물, 쑥 추출물, 생강 추출물, 마늘 추출물을 5 : 5 : 5 : 2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상기 실시예 1에서는 모두 4.0 이상의 평가를 받았으므로 실시예 1의 혈전 용해제 조성물을 1개월 이상 복용할 경우 중풍 예방 효과가 가장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a) 오가피, 한련초, 초석잠, 쑥, 생강 및 마늘을 각각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를 통해 건조된 오가피, 한련초, 초석잠, 쑥, 생강 및 마늘을 각각 중탕하여 오가피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초석잠 추출물, 쑥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및 마늘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를 통해 얻은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오가피, 한련초, 초석잠, 쑥, 생강 및 마늘은 각각 50~70℃에서 30~36시간 중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오가피 추출물, 상기 한련초 추출물, 상기 초석잠 추출물, 상기 쑥 추출물, 상기 생강 추출물, 상기 마늘 추출물을 5 : 5 : 5 : 2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혈전 용해제 조성물.







KR1020160084984A 2016-07-05 2016-07-05 천연소재를 이용한 중풍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35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984A KR101835416B1 (ko) 2016-07-05 2016-07-05 천연소재를 이용한 중풍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984A KR101835416B1 (ko) 2016-07-05 2016-07-05 천연소재를 이용한 중풍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056A true KR20180005056A (ko) 2018-01-15
KR101835416B1 KR101835416B1 (ko) 2018-03-08

Family

ID=6100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984A KR101835416B1 (ko) 2016-07-05 2016-07-05 천연소재를 이용한 중풍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4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879B1 (ko) * 2019-01-30 2019-08-27 주식회사 한국네스트 중풍 예방 및 혈전용해용 건강보조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36711B1 (ko) * 2019-08-20 2020-07-22 주식회사 한국네스트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2136712B1 (ko) * 2019-08-20 2020-07-22 주식회사 한국네스트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879B1 (ko) * 2019-01-30 2019-08-27 주식회사 한국네스트 중풍 예방 및 혈전용해용 건강보조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36711B1 (ko) * 2019-08-20 2020-07-22 주식회사 한국네스트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2136712B1 (ko) * 2019-08-20 2020-07-22 주식회사 한국네스트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416B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090B1 (ko)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Das et al. Okra and its various applications in drug delivery, food technology, health care and pharmacological aspects-a review
Kumar et al. Green blood therapy of wheat grass-Nature’s finest medicine’-A literature review
KR101202988B1 (ko) 건강 약차 및 그 제조방법
CN112205559A (zh) 含有杜仲和桑叶的组合物及应用
KR101835416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중풍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32794B1 (ko)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CN105250913B (zh) 一种治疗蛋鸡脂肪肝综合症的药物组合物
KR20090127970A (ko) 생식환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42756A (ko) 굼벵이를 포함하는 간 및 혈액순환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5866B1 (ko)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유황오리 엑기스의 제조방법
KR20130009901A (ko) 혈행개선 및 기력보강과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CN111249410A (zh) 一种保肝解毒排脂防治肝损伤恢复肝功能的药膳饮料
KR101642176B1 (ko) 성장촉진 조성물
KR101999675B1 (ko)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생약조성물
KR100773889B1 (ko) 액상본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80458B1 (ko) 당귀 추출물이 포함된 액상차 및 그 제조방법
Rimple et al. Poly pharmacological effects of green blood therapy: An update
KR20030053417A (ko) 삼백초를 주성분으로 한 건강식품
CN104366507B (zh) 用于大米食疗养胃的天然营养素及牛奶组合物
CN110679935A (zh) 一种牛蒡人参精华膏及其制备方法
KR101290190B1 (ko) 오디와 검은 참깨를 포함한 건강 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26947A (ko)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CN105147944B (zh) 一种中药组合物、其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