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625A -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625A
KR20180004625A KR1020160084444A KR20160084444A KR20180004625A KR 20180004625 A KR20180004625 A KR 20180004625A KR 1020160084444 A KR1020160084444 A KR 1020160084444A KR 20160084444 A KR20160084444 A KR 20160084444A KR 20180004625 A KR20180004625 A KR 20180004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rate
induction heating
temperature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700B1 (ko
Inventor
김용현
안시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700B1/ko
Priority to US15/641,483 priority patent/US10549977B2/en
Publication of KR20180004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700B1/ko
Priority to US16/726,329 priority patent/US1164915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43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comprising flow or pressure sensors, e.g. for controll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9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connected to a supply
    • B67D1/00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connected to a supply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5Details concerning the used flow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Safety means, e.g. over-pressure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67D1/1279Flow control valves regulating the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2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5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8Continuous-flow hea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1259Fluid leve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18Heating and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급 유량의 감소 또는 출수 온도에 따라서 유도가열 방식의 온수 모듈의 출력이 조절되어 일정한 온도의 온수를 출수할 수 있도록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통상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게 될 경우 노즐을 통해 저장된 물이 취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는 동안 노즐의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는 컵 또는 용기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면서 상기 레버 또는 버튼의 조작을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냉장고와 정수기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냉장고와 정수기에 구비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서 단순히 정수된 물의 공급뿐만 아니라, 냉수와 온수까지 공급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온수가 공급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서 공급되는 유량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온수의 온도 변화가 크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공급 유량이 줄어들게 되면 고정된 출력으로 물을 가열하는 히터에 의해 물이 과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히터가 손상되거나, 물이 끓어 증기가 발생되어 유로가 파손되거나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112060호에는,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여, 유입되는 물의 유량이 최저동작 유량보다 적은 경우 히터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온수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유량이 불안정한 경우 히터가 오프되어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만족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급되는 유량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온도의 온수를 제공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급 유량의 감소 또는 출수 온도에 따라서 유도가열 방식의 온수 모듈의 출력이 조절되어 일정한 온도의 온수를 출수할 수 있도록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어셈블리;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로 물을 급수 하는 급수 배관; 상기 급수 배관상에 제공되며, 상기 온수 모듈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장치; 및 상기 유량 감지장치를 통해 감지된 급수 유량이 설정 유량 이하인 경우,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어셈블리;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에서 가열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 배관; 상기 출수 배관상에 제공되며,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장치; 및 상기 온도 감지장치를 통해 감지된 온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는, 정수가 통과되는 온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다수회 권취되며, 상기 온수 탱크를 유도 가열하기 위한 전자기력을 방출하는 워킹 코일; 상기 워킹 코일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며, 상기 워킹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의 손실을 방지하는 페라이트 코어; 및 상기 온수 탱크와 워킹 코일 및 페라이트 코어가 모듈 형태로 장착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후면에는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브라켓의 후면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온수 탱크의 출구측에는 상기 온수 탱크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세이프티 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온수 탱크의 입구측에는 상기 온수 탱크로 입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 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온수 탱크는, 상기 워킹 코일과 마주보는 면을 형성하며, 평면 형상의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와 둘레면이 접합되며, 상기 제 1 커버와 일부가 이격되어 물이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커버에는 상기 제 1 커버를 향하여 함몰되어 상기 제 1 커버와 접하는 포밍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수 유량의 감소량 또는 출수 온도의 증가량에 비례하여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급수 배관에는 입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유량 감지장치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온수 출수 조작에 의해 출수 밸브가 개방되며, 급수되는 물을 유도 가열방식으로 가열하여 배출하는 유도 가열 어셈블리에 의해 가열된 후 출수 되며, 제어부에서는 급수되는 물의 유량 변화에 따라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유량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설정 유량과 비교하여, 공급 유량이 설정 유량 이상이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유지하고, 공급 유량이 설정 유량 이하이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정 유량은 목표 유량보다 20% ~ 30% 감소된 유량으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은 상기 공급 유량이 감소된 비율에 비례하여 감소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온도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출수되는 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유지하고, 출수되는 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정 온도는 목표 온도보다 5℃ ~ 10℃ 감소된 유량으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은 상기 출수 온도가 상승된 비율에 비례하여 감소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온수 모듈이 출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방식으로 온수 탱크를 가열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유량 감지장치에 의해 입력되는 유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제어부에서는 입력되는 유량의 급감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온수 모듈의 출력을 낮추어 항상 일정한 온도의 온수를 출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온도 감지장치에 의해 출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될 경우에도 상기 온수 모듈의 출력을 낮추어 항상 일정한 온도의 온수를 출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유량의 금감시 온수가 과열되어 사용자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되거나, 증기로 인한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내부 구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 환경에 의한 물 동시 사용에 따른 유량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온도의 온수를 출수할 수 있게 되어 품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온수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주요 구성인 온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온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온수 취출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상기 유량 변화에 따른 출수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온수 취출시 유량과 온수모듈의 출력 그리고 출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온수 취출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장착된 냉장고 도어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1)는 정수기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1)는 케이스(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전면과 후면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과 하면 그리고 좌우 측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미도시),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온수 모듈(30)을 비롯한 각종 밸브와 급수를 위한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는 조작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10)는 사용자가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물 취출을 조작하기 위한 취출 버튼(11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1)를 통해 취출되는 물의 상태 즉, 온수와 냉수 또는 정수의 선택을 위한 선택 버튼(112)이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1)의 동작 또는 설정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는 출수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120)는 상기 케이스(10)의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며, 상기 출수부(120)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출수 노즐(121)이 구비되어 하방의 용기에 물을 급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120) 하방에는 트레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30)는 물의 취출시 용기를 받칠 수 있도록 출수부(120) 하방에 위치되며, 출수시 발생될 수 있는 잔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30)는 상기 케이스(10)에서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130)와 상기 출수부(120)는 상기 케이스(10)에서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온수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1)는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 배관(21)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 배관(21)에 의해 공급되는 물은 정수 및 가열된 후 상기 출수부(12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1)는 급수원으로부터 연결되는 급수 배관(21)에 의해 원수를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배관(21)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온수의 생성을 위한 상기 온수 모듈(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상기 급수 배관(21) 상에는 유량 감지장치(211)와 유량 조절 밸브(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량 감지장치(211)는 상기 급수 배관(21)을 통해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 조절 밸브(212)는 개도의 조절이 가능한 밸브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급수 배관(2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온수 모듈(30)의 일 구성인 온수 탱크(41)를 통과하는 물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상기 온수 탱크(41)를 빠른 속도로 지나는 물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없게 되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온수의 온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212)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41)를 지나는 물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균일한 온도의 온수를 출수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유량 감지장치(211)와 유량 조절 밸브(21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급수 배관(21)은 상기 온수 모듈(30)로 물을 공급하며, 상기 온수 모듈(30)을 통과하여 가열된 물은 출수 배관(22)을 통해 상기 출수 노즐(121)로 출수 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 배관(22)에는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장치(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장치(221)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취출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 배관(22)에는 온수의 출수를 위해 개폐되는 출수 밸브(22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모듈(30)의 출구측은 분지되어 증기 배관(23)과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증기 배관(23)은 상기 온수 탱크(41) 내부의 물이 끓게 되는 경우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증기 배관(23)에는 세이프티 밸브(231)가 구비되어 설정된 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될 경우 상기 세이프티 밸브(231)가 개방되어 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세히, 상기 세이프티 밸브(231)는 상기 온수 탱크(41) 내에서 온수의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온수 탱크(41)의 내부가 증기에 의해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세이프티 밸브(231)는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수 탱크(41) 내부의 증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이프티 밸브(231)의 출구는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드레인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 모듈(30)은 제어부(50)에 의해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온수 모듈(30)의 출력을 조절하되, 상기 유량 감지장치(211)에서 감지된 유량 또는 상기 온도 감지장치(221)에서 감지된 출수 온도에 따라 출력이 조절되어 입수되는 물을 일정한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여 출수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온수 모듈(3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주요 구성인 온수 모듈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온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온수 모듈(30)은 온수를 만들기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40)와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와 제어부(50)는 하나의 모듈 상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는 급수 배관(21)을 통해 공급되는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온수로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는 정수된 물이 통과되는 온수 탱크(41)와, 상기 온수 탱크(41)를 지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워킹 코일(42) 그리고 상기 워킹 코일(42)과 온수 탱크(41)가 장착되는 마운팅 브라켓(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43)은 상기 온수 탱크(41)와 상기 워킹 코일(42) 및 페라이트 코어(44)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43)은 고온에도 변형 또는 손상되지 않는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43)의 모서리에는 상기 제어부(50)와의 결합을 위한 브라켓 결합부(431)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결합부(431)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 결합부(431)의 연장된 단부는 그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되며, 방향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는 상기 제어부(50)와 각각 형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는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41)가 장착되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43)의 일면 중앙에는 센서 브라켓(45)이 장착되기 위한 브라켓 장착부(43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장착부(432)의 중앙에는 탱크 온도센서(451)와 퓨즈(4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브라켓(45)에는 상기 온수 탱크(41)의 온도를 측정하는 탱크 온도센서(45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탱크 온도센서(451)는 온수 탱크(41) 중앙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온수 탱크(41) 내부의 온수 온도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도 온수의 온도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 온도센서(451)에 의해서 취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적정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탱크 온도센서(451)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의해 추가 가열 또는 가열 정지 여부를 결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브라켓(45)에는 퓨즈(45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퓨즈(452)는 온수 탱크(41) 내의 물이 지나치게 많이 과열되었을 때 유도 가열 어셈블리(40)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센서 브라켓(45)의 둘레에는 다수의 코일 고정부(4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 고정부(453)는 상기 센서 브라켓(45)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브라켓(43)에 장착된 워킹 코일(42)을 고정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 고정부(453)는 상기 센서 브라켓(45)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2개씩 구비될 수 있으며, 양측 모서리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워킹 코일(42)을 눌러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43)의 전면에는 워킹 코일(42)이 구비된다. 상기 워킹 코일(42)는 온수 탱크(41)의 발열을 유발하는 자기력선을 형성한다. 상기 워킹 코일(42)에 전류가 공급되면, 워킹 코일(42)에서 자기력선이 형성되며, 이 자기력선은 상기 온수 탱크(41)에 영향을 주게 되고, 상기 온수 탱크(41)는 자기력선에 영향을 받아 발열된다.
상기 워킹 코일(42)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43)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온수 탱크(41)의 양면 중 평면 형상으로 된 일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워킹 코일(42)은 여러 가닥의 구리 또는 기타 도체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가닥들은 절연되어 있다. 워킹 코일(42)은 상기 워킹 코일(42)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자기장 또는 자기력선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워킹 코일(42)과 마주보고 있는 상기 온수 탱크(41)의 전면은 워킹 코일(42)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선에 영향을 받아 열을 발생시킨다. 도면에는 워킹 코일(42)의 가닥들을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고, 각 가닥들이 상기 브라켓 장착부(432)의 외측으로 권선되어 형성된 워킹 코일(42)의 전체적인 윤곽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워킹 코일(42)의 전면에는 페라이트 코어(44)가 구비된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44)는 전류의 손실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자기력선의 차폐막 역할을 한다. 상기 워킹 코일(42)는 복수의 페라이트 코어(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페라이트 코어(44)는 상기 워킹 코일(42)의 중심부분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44)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43)의 코어 고정부(43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코어 고정부(433)에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44)가 접착될 수도 있고 압입 또는 형합 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코어 고정부(433)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44)의 배치와 같이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43)의 둘레에는 상기 온수 탱크(41)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온수 탱크(41)의 단부가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결합부(43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43)에 상기 워킹 코일(42)과 페라이트 코어(44), 센서 브라켓(45) 및 온수 탱크(41)가 장착된 상태에서 하나의 모듈 형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수 탱크(41)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43)의 전면에 장착된다. 상기 온수 탱크(41)는 워킹 코일(42)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선에 영향을 받아 열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수는 온수 탱크(41)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는 동안 가열되어 온수가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41)의 전체적인 형상은 납작하고 컴팩트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41)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의 전체적인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의 구동시 상기 온수 탱크(41)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온수 탱크(41)는 평면 형상의 판상의 제 1 탱크부(411)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함몰되는 판상의 제 2 탱크부(412)의 둘레가 서로 접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41)의 상단에는 가열된 물이 배출되는 출력관(414)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 탱크(41)의 하단에는 가열을 위한 물이 공급되는 입력관(4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관(413)으로 물이 유입되어 상기 출력관(414)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워킹 코일(42)에 형성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41)는 순간 가열될 수 있으며, 온수의 토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탱크부(411)는 상기 워킹 코일과 마주보는 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워킹 코일(42)과 인접하도록 하여 상기 워킹 코일(42)에서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에 의해 전체면이 고르게 발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탱크부(412)에는 다수의 포밍부(41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밍부(412a)는 상기 제 1 탱크부(411)를 향하도록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 1 탱크부(411)와 제 2 탱크부(412)의 결합시 상기 제 1 탱크부(411)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제 1 탱크부(411)와 제 2 탱크부(412)가 서로 이격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포밍부(412a)에 의해 상기 제 1 탱크부(411)와 제 2 탱크부(412)는 물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밍부(412a)는 각각 상기 입력관(413) 및 출력관(414)과 인접한 위치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온수 탱크(41)의 폭 방향으로 다수개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41) 내부를 유동하는 물이 상기 온수 탱크(41) 내부 전체 영역으로 분산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워킹 코일(42)에 의한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즉, 두께가 얇고 면적이 넓은 온수 탱크(41) 내부를 유동하는 물이 상기 워킹 코일(42)에 의해 빠르고 신속하게 가열되어 출수에 필요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의 후방에는 제어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 및 유량 감지장치(211), 유량 조절 밸브(212), 온도 감지장치(221), 출수 밸브(222) 등 다수의 밸브 및 전장품들과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5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를 제어하는 부분과 그 외 다른 구성들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나뉘어 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부(50)는 컨트롤 피시비(51)와 컨트롤 케이스(52) 및 컨트롤 커버(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피시비(51)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컨트롤 케이스(52)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피시비(51)는 유도 가열 어셈블리(40)와 연결된 밸브들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 케이스(52)는 상기 컨트롤 피시비(51)를 내부에 수용하며, 개구된 일면이 상기 컨트롤 커버(5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 피시비(51)는 상기 컨트롤 케이스(52)와 상기 컨트롤 커버(53)의 결합에 의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커버(53)의 전면에는 쉴드 플레이트(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쉴드 플레이트(54)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의 구동시 자기력선이 상기 컨트롤 피시비(5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 커버(53)의 전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쉴드 플레이트(54)는 별도의 시트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 커버(53)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디스펜싱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온수 취출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유량 변화에 따른 출수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1)를 통해 온수를 취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기를 출수 노즐(121)의 하방에 두고, 상기 조작부(110)의 취출 버튼(111)을 조작하게 된다. 상기 취출 버튼(11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출수 밸브(222)가 개방되며, 동시에 유량 조절 밸브(212)를 통과하여 상기 온수 탱크(41)로 급수가 시작된다. [S110]
상기 온수 탱크(41)로의 급수가 시작되면, 상기 유량 감지장치(211)에서는 급수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게 된다. 통상적인 상황에서는 상기 유량 조절 밸브(212)의 개도에 따라 상기 온수 탱크(41)로 입수되는 유량이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41)로 공급되는 물은 설정된 유량을 유지하게 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 즉 워킹 코일(42)의 출력 또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균일한 온도의 온수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1)의 조작에 의해 물이 취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 요인에 의해 상기 급수 배관(2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량의 급감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1)로 급수가 진행 또는 진행 직전인 상태에서, 화장실 또는 주방 또는 물을 사용하는 세탁기, 식기세척기와 같은 가전제품에서 다량을 물을 취출하게 된다면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1)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이 급감하는 형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시 취출의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될 경우 온수의 취출시 취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가 없다.
도 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온수의 공급을 위해서 상기 워킹 코일(42)이 2,550W의 출력으로 동작되는 상태에서 상기 온수 탱크(41)로 급수되는 물의 유량이 목표 유량보다 20% 감소된 상태(대략 0.4LPM)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가 대략 90.3℃가 된다. 이와 같은 온도는 목표 출수 온도보다는 다소 높은 상태이나 스팀의 발생량은 많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온수의 공급을 위해서 상기 워킹 코일(42)이 2,550W의 출력으로 동작되는 상태에서 상기 온수 탱크(41)로 급수되는 물의 유량이 목표 유량보다 30% 감소된 상태(대략 0.356LPM)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가 대략 94.2℃가 된다. 이와 같은 온도는 목표 출수 온도보다 높은 상태로 스팀이 발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보다 작은 유량의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보다 높은 온도의 물이 출수되고 스팀이 다량 발생되어 제품의 내구성과 사용자의 안전을 저해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 온도를 일정하게 하여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1) 내부 구성의 파손을 방지하고, 보다 안전한 상태로 온수를 출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온수 탱크(41)로 입수되는 유량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S120]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입수되는 유량이 설정 유량보다 대략 30% 이상 감소하게 되면, 증기의 발생 과다 및 온수의 과도한 온도 상승으로 온수의 취출 작업이 위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입수 유량이 설정 유량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워킹 코일(42)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설정 유량은 상기 급수 배관(21)을 통해 유입되어야 할 목표 유량보다 30% 만큼 작은 유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유량은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나, 출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어 증기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목표 유량보다 30% 낮은 유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유량 감지장치(211)를 통해서 입력되는 현재의 유량을 설정 유량과 비교하게 된다. [S130]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입수 유량이 설정 유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워킹 코일(42)의 출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때, 감소되는 상기 워킹 코일(42)의 출력은 상기 감소된 유량의 비율에 대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수 유량의 감소가 큰 경우에는 워킹 코일(42)의 출력을 상대적으로 더 낮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워킹 코일(42)의 출력이 낮아지게 되면 상기 온수 탱크(41)에서 가열되는 온수의 온도가 그에 비례하여 낮아질 수 있으며, 결국 출수되는 물의 온도는 최초 목표 온도를 유지하면서 출수된다.[S141]
반면에, 상기 입수 유량이 설정 유량보다 큰 경우 또는 상기 입수 유량이 목표 유량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워킹 코일(42)은 설정된 출력으로 동작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는 최초 목표 온도 또는 목표 온도 범위를 유지하면서 출수된다.[S142]
이와 같이 입력되는 물의 유량이 변동되는 상태에서도 상기 출수 노즐(121)을 통해서 일정한 온도 즉, 목표 온도로 온수가 출수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 감지장치(211)는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출수 유량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상기 제어부(50)에서 목표 출수 유량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목표 출수 유량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상기 온수 탱크(41)로 물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지속적으로 입수 유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입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워킹 코일(42)의 출력을 조정하여 상기 온수 탱크(41) 내부를 지나는 물을 가열하게 된다.[S150]
그리고, 상기 제어부(50)에서 목표 출수 유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상기 가열 모듈 즉, 상기 워킹 코일(42)의 동작이 중지되며, 상기 출수 밸브(222)는 닫히게 되고 온수 출수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S160]
도 7은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온수 취출시 유량과 온수모듈의 출력 그리고 출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상 출수 구간(D1)에서는 목표 유량만큼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설정된 출력으로 상기 워킹 코일(42)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41)를 통과하는 물이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입력되는 유량의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워킹 코일(42)의 출력 또한 크게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출수되는 물의 온도는 85℃ ~ 90℃를 유지하여 출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량 변동 출수 구간(D2)에서는 온수의 취출 도중 입수되는 유량이 설정 유량 이하로 감소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부(50)에는 입력 유량이 설정 유량 이하로 감소되는 경우 상기 워킹 코일(42)의 출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유량의 급격한 감소에도 불구하고 출수되는 물의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되지 않고 대략 90℃이하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유량의 변화 및 워킹 코일(42)의 출력 조정은 1회의 출수 도중 다수회 발생될 수 있으며, 유량의 감소에 따라서 목표 출수 유량에 도달하는 시간은 다소 길어지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수 온도를 측정하여, 출수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워킹코일의 출력을 조정하여 일정한 온도의 온수가 출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와 그 구성은 동일하며, 제어 방법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동일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온수 취출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1)를 통해 온수를 취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기를 출수 노즐(121)의 하방에 두고, 상기 조작부(110)의 취출 버튼(111)을 조작하게 된다. 상기 취출 버튼(11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출수 밸브(222)가 개방되며, 동시에 유량 조절 밸브(212)를 통과하여 상기 온수 탱크(41)로 급수가 시작된다. [S210]
상기 온수 탱크(41)로의 급수가 시작되면, 상기 온도 감지장치(221)에서는 상기 출수 배관(22)을 통해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통상적인 상황에서는 상기 유량 조절 밸브(212)의 개도에 따라 상기 온수 탱크(41)로 입수되는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40) 즉 워킹 코일(42)의 출력 또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균일한 온도의 온수가 제공 된다.
하지만,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1)의 조작에 의해 물이 취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 요인에 의해 상기 급수 배관(2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량의 급감할 수 있다. 유량이 급감하게 되는 경우 출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될 수 있으며, 이때 증기가 다량 발생되어 제품의 내구성과 사용자의 안전을 저해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 온도를 일정하게 하여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1) 내부 구성의 파손을 방지하고, 보다 안전한 상태로 온수를 출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온도 감지장치(221)를 통해서 출수 온도를 측정한다. [S220]
따라서,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출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워킹 코일(42)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설정 온도는 목표로 설정된 출수 온도보다 설정된 온도만큼 더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온도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나, 출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어 증기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목표 온도보다 5℃유 ~ 10℃ 높은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온도 감지장치(221)를 통해서 입력되는 현재의 유량을 설정 유량과 비교하게 된다. [S230]
상기 제어부(50)는 출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워킹 코일(42)의 출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때, 감소되는 상기 워킹 코일(42)의 출력은 상기 증가된 온도의 비율에 대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높은 경우에는 워킹 코일(42)의 출력을 상대적으로 더 낮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워킹 코일(42)의 출력이 낮아지게 되면 상기 온수 탱크(41)에서 가열되는 온수의 온도가 그에 비례하여 낮아질 수 있으며, 결국 출수되는 물의 온도는 최초 목표 온도를 유지하면서 출수된다. [S241]
반면에, 상기 출수 온도가 목표 온도와 같거나, 목표 온도의 범위내에 있는경우에는 상기 워킹 코일(42)은 설정된 출력으로 동작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는 최초 목표 온도 또는 목표 온도 범위를 유지하면서 출수된다. [S242]
이와 같이 입력되는 물의 유량이 변동되는 상태에서도 상기 출수 노즐(121)을 통해서 일정한 온도 즉, 목표 온도로 온수가 출수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 감지장치(211)는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출수 유량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상기 제어부(50)에서 목표 출수 유량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목표 출수 유량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상기 온수 탱크(41)로 물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지속적으로 출수 온도의 변화를 감지하고 입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워킹 코일(42)의 출력을 조정하여 상기 온수 탱크(41) 내부를 지나는 물을 가열하게 된다. [S250]
그리고, 상기 제어부(50)에서 목표 출수 유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상기 가열 모듈 즉, 상기 워킹 코일(42)의 동작이 중지되며, 상기 출수 밸브(222)는 닫히게 되고 온수 출수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S260]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정수기 외에도 냉장고 도어에 장착되어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는 디스펜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장착되기 위한 케이스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 온수 모듈 및 내부의 구성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장착된 냉장고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냉장고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2)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60)과, 상기 캐비닛(6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71,72)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는 냉장실과 냉동실로 상하 구획될 수 있으며, 각각 냉장실 도어(71)와 냉동실 도어(7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71)의 전면에는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80)는 정수된 물을 외부에서 취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 디스펜서라고 부른다.
상기 냉장실 도어(71)의 배면에는 제빙실 도어(901)에 의해 개폐되는 독립된 단열 공간인 제빙실(90)이 형성될 수 있다. 제빙실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아이스 메이커(91)와 아이스 뱅크(92)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92)는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80)와 연결되어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80)를 통해 얼음이 취출될 수도 있다.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80)는 상기 냉장실 도어(71) 전면에 장착되어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8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81)는 물 또는 얼음을 받을 수 있도록 용기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81)의 내측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 조작을 위한 조작부재(82)가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재(82)의 상방에는 출수 노즐(83)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81)의 상방에는 조작부(84)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80)를 통해 취출되는 물의 종류와 온도, 양 등을 설정하는 등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84)를 통해 상기 냉장고(2)의 동작 상태와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71)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701)와, 배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702),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701)와 도어 라이너(702) 사이에 채워져 열교환을 방지하는 단열재(7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81)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70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81)의 후방에는 온수 모듈(30)이 배치되며, 상기 온수 모듈(30)은 상기 케이스(81) 후방의 모듈 케이스(31)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모듈 케이스(31)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81)와 접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이 모두 상기 단열재(703)에 둘러싸이게 되며, 따라서 상기 온수 모듈(30)에서 발생되는 열이 고내로 침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온수 모듈(30)의 장착위치와 대응하는 도어 라이너(702)의 배면에는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80)로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수 탱크(710)가 배치되어 상기 온수 모듈(30)의 열이 고내로 침투하는 것을 다시 한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80)의 온수 모듈(30)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며, 입수되는 물의 유량 또는 출수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온수 모듈의 출력을 조절하여, 온수 출수시 입수 유량이 급감하더라도 출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7)

  1. 유도 가열 방식으로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어셈블리;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로 물을 급수 하는 급수 배관;
    상기 급수 배관상에 제공되며, 상기 온수 모듈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장치; 및
    상기 유량 감지장치를 통해 감지된 급수 유량이 설정 유량 이하인 경우,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2. 유도 가열 방식으로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어셈블리;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에서 가열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 배관;
    상기 출수 배관상에 제공되며,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장치; 및
    상기 온도 감지장치를 통해 감지된 온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는,
    정수가 통과되는 온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다수회 권취되며, 상기 온수 탱크를 유도 가열하기 위한 전자기력을 방출하는 워킹 코일;
    상기 워킹 코일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며, 상기 워킹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의 손실을 방지하는 페라이트 코어; 및
    상기 온수 탱크와 워킹 코일 및 페라이트 코어가 모듈 형태로 장착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후면에는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브라켓의 후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의 출구측에는 상기 온수 탱크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세이프티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의 입구측에는 상기 온수 탱크로 입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는,
    상기 워킹 코일과 마주보는 면을 형성하며, 평면 형상의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와 둘레면이 접합되며, 상기 제 1 커버와 일부가 이격되어 물이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에는 상기 제 1 커버를 향하여 함몰되어 상기 제 1 커버와 접하는 포밍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수 유량의 감소량 또는 출수 온도의 증가량에 비례하여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배관에는 입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유량 감지장치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11. 사용자의 온수 출수 조작에 의해 출수 밸브가 개방되며, 급수되는 물을 유도 가열방식으로 가열하여 배출하는 유도 가열 어셈블리에 의해 가열된 후 출수 되며,
    제어부에서는 급수되는 물의 유량 변화에 따라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량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설정 유량과 비교하여,
    공급 유량이 설정 유량 이상이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유지하고,
    공급 유량이 설정 유량 이하이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유량은 목표 유량보다 20% ~ 30% 감소된 유량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은 상기 공급 유량이 감소된 비율에 비례하여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온도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출수되는 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유지하고,
    출수되는 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온도는 목표 온도보다 5℃ ~ 10℃ 감소된 유량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출력은 상기 출수 온도가 상승된 비율에 비례하여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60084444A 2016-07-04 2016-07-04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1948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444A KR101948700B1 (ko) 2016-07-04 2016-07-04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15/641,483 US10549977B2 (en) 2016-07-04 2017-07-05 Water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726,329 US11649154B2 (en) 2016-07-04 2019-12-24 Water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444A KR101948700B1 (ko) 2016-07-04 2016-07-04 워터 디스펜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625A true KR20180004625A (ko) 2018-01-12
KR101948700B1 KR101948700B1 (ko) 2019-05-10

Family

ID=6080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444A KR101948700B1 (ko) 2016-07-04 2016-07-04 워터 디스펜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549977B2 (ko)
KR (1) KR1019487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7023A1 (en) * 2018-01-26 2019-08-01 Lg Electronics Inc.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92971A (ko) * 2018-01-31 2019-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00107162A (ko) * 2019-03-06 2020-09-16 최윤수 유도가열기 및 이를 이용한 히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478B1 (ko) * 2015-08-21 201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70125561A (ko) * 2016-05-04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제어장치,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66579A (ko) * 2016-12-09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6578A (ko) * 2016-12-09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D876866S1 (en) * 2017-05-16 2020-03-03 Bac Gmbh Blue Aqua Cologne Water dispenser
USD856058S1 (en) * 2017-11-07 2019-08-13 Q&C Magyarorszag Kft. Water dispenser
KR102014392B1 (ko) * 2018-01-11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USD877551S1 (en) * 2018-02-05 2020-03-10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machine
USD879531S1 (en) 2018-02-05 2020-03-31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machine
KR102655478B1 (ko) 2018-07-13 202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7363A (ko) * 2018-07-13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262207A1 (en) * 2018-08-07 2021-08-26 Andrew Geoffrey Jenkins Liquid control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EP3611134B1 (en) * 2018-08-16 2023-01-04 Riprup Company S.A. Improved beverage dispenser and associated method for suppression of germ formation
KR102042579B1 (ko) * 2018-11-19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A187212S (fr) * 2018-11-27 2020-10-21 Groupe Seb Moulinex Soc Par Actions Simplifiee Cafetière électrique
CA3122036A1 (en) * 2018-12-05 2020-06-11 Pepsico, Inc. Non-electric fountain beverage dispensers and systems
KR102191049B1 (ko) * 2019-02-22 2020-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D948269S1 (en) * 2019-02-28 2022-04-12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dispenser
USD945201S1 (en) * 2019-04-17 2022-03-08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machine
USD948905S1 (en) * 2019-08-13 2022-04-19 Sodaking IPV Pty Ltd Beverage making machine
USD943332S1 (en) * 2019-09-16 2022-02-1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Water dispenser
CN114631728B (zh) * 2020-12-15 2023-09-12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USD968864S1 (en) * 2021-03-18 2022-11-08 Luigi Lavazza S.P.A.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USD977889S1 (en) * 2021-08-27 2023-02-14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dispenser
USD977890S1 (en) * 2021-08-27 2023-02-14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dispenser
USD997620S1 (en) * 2021-12-13 2023-09-05 Instant Brands Holdings Inc. Brewing device
USD998402S1 (en) * 2021-12-20 2023-09-12 Instant Brands Holdings Inc. Brewing device
WO2023159622A1 (zh) * 2022-02-28 2023-08-31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饮水机的控制方法、装置及饮水机
WO2023159618A1 (zh) * 2022-02-28 2023-08-31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饮水机的控制方法、装置及饮水机
USD1024649S1 (en) * 2022-07-19 2024-04-30 Instant Brands Holdings Inc. User interface for a brewing device
USD1024648S1 (en) * 2022-07-19 2024-04-30 Instant Brands Holdings Inc. User interface for a brewing device
USD1024647S1 (en) * 2022-07-19 2024-04-30 Instant Brands Holdings Inc. User interface for a brew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9294A (ja) * 1996-09-03 1998-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水供給装置
KR100300857B1 (ko) * 1994-03-11 2001-10-22 구자홍 세탁기의유도가열장치
KR20070071620A (ko) * 2005-12-30 2007-07-0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온수통
KR20110096868A (ko) * 2010-02-23 201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1906A (ko) 2011-04-01 2012-10-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온수공급장치 및 온수공급방법
US20130104586A1 (en) * 2011-10-31 2013-05-02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hot water dispenser and related control system
US8844713B2 (en) 2012-03-06 2014-09-30 Ashworth Bros., Inc. Conveyor belt link with wear resistance featur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857B1 (ko) * 1994-03-11 2001-10-22 구자홍 세탁기의유도가열장치
JPH1079294A (ja) * 1996-09-03 1998-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水供給装置
KR20070071620A (ko) * 2005-12-30 2007-07-0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온수통
KR20110096868A (ko) * 2010-02-23 201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7023A1 (en) * 2018-01-26 2019-08-01 Lg Electronics Inc.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91102A (ko) * 2018-01-26 2019-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92971A (ko) * 2018-01-31 2019-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WO2019151624A1 (en) * 2018-01-31 2019-08-08 Lg Electronics Inc. Water dispensing device
KR20200107162A (ko) * 2019-03-06 2020-09-16 최윤수 유도가열기 및 이를 이용한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65118A1 (en) 2020-05-28
US11649154B2 (en) 2023-05-16
US10549977B2 (en) 2020-02-04
US20180002153A1 (en) 2018-01-04
KR101948700B1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700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10327283B2 (en) Home appliance
US10214409B2 (en) Refrigerator
US8763422B2 (en) Instant hot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20160083867A (ko) 음료를 제조 및 분배하기 위한 기계에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24883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KR20160005339A (ko) 온수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가전제품
KR102063223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1725621B1 (ko) 물 배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U2021290390B2 (en) Water Purifier
KR101488906B1 (ko)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
KR102511722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29737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10331908A1 (en) Hot liquid suppl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U2018206748B2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57755B1 (ko) 자동 밸브의 체결구조 및 그 자동 밸브를 이용한 온수 매트
KR20170034856A (ko) 물 배출 장치
KR101953780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146676A (ko) 냉장고
KR20210146673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