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512A - 착즙 모듈 - Google Patents

착즙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512A
KR20180004512A KR1020160084149A KR20160084149A KR20180004512A KR 20180004512 A KR20180004512 A KR 20180004512A KR 1020160084149 A KR1020160084149 A KR 1020160084149A KR 20160084149 A KR20160084149 A KR 20160084149A KR 20180004512 A KR20180004512 A KR 20180004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gear
screw
rotary brush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160084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4512A/ko
Publication of KR20180004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를 수용하는 착즙망과, 상기 착즙망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와, 상기 스크류와 상기 착즙망과 상기 회전 브러시를 수용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착즙 모듈;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관통되어 상기 스크류와 연결되는 스크류축에 장착되고, 구동력을 상기 회전 브러시측으로 전달하는 구동축기어; 하단부는 상기 구동축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용기 내부의 바닥면에 치되는 구동전달기어; 및 상기 구동전달기어의 상단부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회전 브러시 하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구동전달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종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기어와 상기 구동전달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는 상기 착즙망과 상기 회전 브러시의 내부 공간과는 서로 격리되게 배치되며, 구동 전달 경로를 간소화하여 부품 갯수를 줄이고 생산 원가 절감이 가능하며, 기밀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착즙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즙 모듈{JUICE EXTRACTION MODULE}
본 발명은 착즙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 전달 경로를 간소화하여 원액기를 컴팩트화 시킬 수 있는 착즙 모듈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가정에서 녹즙이나 주스를 직접 만들어 먹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야채나 과일을 이용하여 즙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많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출원된 등록특허 제10-1038074호의 "착즙장치"(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은 회전 브러쉬부(40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메인 구동축(101)으로부터 제1 회전기어(102)와 제1 회전축(103)과 제2 동력전달기어(110)를 거치는 구동 전달 경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구동 전달 경로가 복잡하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축 부재와 기어를 추가적으로 준비하고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행기술은 늘어난 축 부재와 기어의 수만큼 장착되는 공간과 면적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므로 장치 전체의 부피와 무게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0380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구동 전달 경로를 간소화하여 부품 갯수를 줄이고 생산 원가 절감이 가능하며, 경량화 및 컴팩트화의 구현이 가능한 착즙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를 수용하는 착즙망과, 상기 착즙망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와, 상기 스크류와 상기 착즙망과 상기 회전 브러시를 수용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착즙 모듈;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관통되어 상기 스크류와 연결되는 스크류축에 장착되고, 구동력을 상기 회전 브러시측으로 전달하는 구동축기어; 하단부는 상기 구동축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용기 내부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구동전달기어; 및 상기 구동전달기어의 상단부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회전 브러시 하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구동전달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종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기어와 상기 구동전달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는 상기 착즙망과 상기 회전 브러시의 내부 공간과는 서로 격리되게 배치되는 착즙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구동축기어와 구동전달기어 및 종동 기어를 통하여 스크류 및 회전 브러시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구조로부터, 구동 전달 경로를 간소화하여 부품 갯수를 줄이고 생산 원가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불필요한 축 부재나 기어 등의 부품 갯수를 줄이고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줄임으로써 경량화 및 컴팩트화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액기용 착즙 모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액기용 착즙 모듈의 주요부인 착즙 모듈과 구동축기어와 구동전달기어 및 종동 기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로 700은 스크류축(600)를 구비한 구동 모터(이하 미도시)가 내장된 본체이며, 800은 투입구(810)를 구비한 뚜껑이고, 900은 기어 박스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 모듈(100)에 구동축기어(200)와 구동전달기어(300) 및 종동 기어(50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착즙 모듈(100)은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400)를 수용하는 착즙망(110)과, 착즙망(1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스크류(40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120)와, 스크류(400)와 착즙망(110)과 회전 브러시(120)를 수용하는 용기(130)를 포함하는 것이다.
구동축기어(200)는 용기(130)의 바닥면에 관통되어 스크류(400)와 연결되는 스크류축(600)에 장착되고, 구동력을 회전 브러시(120)측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구동전달기어(300)는 하단부는 구동축기어(200)와 기어 결합되고, 상단부는 용기(130) 내부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것이다.
종동 기어(500)는 구동전달기어(300)의 상단부와 기어 결합되고, 회전 브러시(120) 하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구동전달기어(30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축기어(200)와 구동전달기어(300) 및 종동 기어(500)는 착즙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 및 즙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즙망(110)과 회전 브러시(120)의 내부 공간과는 서로 격리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용기(130) 내부의 바닥면은 착즙된 원액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기어(200)는 만일의 경우 누설될 수 있는 찌꺼기와 즙의 일부로부터 격리된 상태로 구동될 수 있도록 용기(13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동전달기어(300)는 구동축기어(200)와 기어 결합되는 하부전달 기어(310)와, 하부전달 기어(310)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되어 용기(130)의 바닥면에 관통 지지되어 회전하는 중간 샤프트(320)와, 중간 샤프트(32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종동 기어(500)와 기어 결합되는 상부전달 기어(33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즉, 구동전달기어(300)는 전체적으로 단면의 형상이 90도로 눕힌 "H"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류(400)와 회전 브러시(120)가 연동할 수 있도록 하고, 구동 전달 경로를 극히 단순화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구동전달기어(300)의 구체적인 배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즉, 하부전달 기어(31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용기(130) 외측에 배치되는 구동축기어(200)와 기어 결합되며, 용기(13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부전달 기어(330)는 중간 샤프트(32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종동 기어(500)와 기어 결합되고, 용기(130) 내부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중간 샤프트(320)의 안정적인 회전 지지를 위하여, 용기(130) 외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중간 샤프트(320)를 지지하는 양단 관통의 지지 부싱(132)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은 확실한 기밀 유지와 함께 상부전달 기어(330)와 종동 기어(500) 상호 간의 기어 결합 및 회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착즙망(110)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용기(130)의 바닥면과 착즙망(110)의 하부측을 상호 이격한 상태를 유지하는 차단링(150)을 더 구비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차단링(150)은 도 4와 같이 착즙망(110)의 바닥면을 중심으로 하고 착즙망(110) 외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하단부 가장자리는 용기(130) 내부의 바닥면과 밀착되는 링 형상의 제1 격벽(151)과, 착즙망(110)의 바닥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고, 하단부 가장자리는 용기(130) 내부의 바닥면과 밀착되는 링 형상의 제2 격벽(152)을 포함한다.
여기서, 차단링(150)은 제2 격벽(15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것으로, 제1 격벽(151)과 제2 격벽(152) 사이에 중심부가 배치된 구동전달기어(300)의 상단부 외주면 일부, 즉 상부전달 기어(330)의 기어이 일부가 노출되는 절개부(154)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차단링(150)은 도 5와 같이 구동전달기어(300)의 상단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동전달기어(300)의 상단부 외주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절개부(154)의 양단부로부터 제1 격벽(151)과 제2 격벽(152) 사이에 배치되고, 착즙망(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제3 격벽(153)을 더 구비한 구조의 실시예 또한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착즙망(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되고, 중심부에 스크류축(600)가 관통하는 중공의 착즙망차단부(112)를 더 포함하며, 착즙망차단부(112)에 스크류(400)가 안착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통상, 스크류(400)의 회전날을 따라 섬유질인 찌꺼기가 착즙망(110) 바닥면측으로 이송되고, 착즙망(110) 바닥으로 이송된 찌꺼기가 착즙망(110)의 바닥에 형성된 착즙망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용기(130)의 찌꺼기배출구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원액기의 구조에서 종래기술은 착즙망 바닥으로 이송된 섬유질의 찌꺼기가 착즙망 배출구로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스크류(400) 사이의 틈새로 새어나가 착즙액과 섞임으로써 착즙이 완료된 착즙액에 섬유질의 찌꺼기가 다량 함유되기 때문에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착즙망차단부(112)는 착즙망(11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스크류(400)가 그 위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착즙망(110)의 바닥으로 이송된 찌꺼기가 새어 나가기 어렵게 되므로, 착즙액에 찌꺼기가 다량으로 함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크류(400)는 착즙망차단부(112)에 밀착되도록, 착즙망차단부(112)와 대응되게 스크류(400)의 바닥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스크류홈(402)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즙망차단부(112)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돌출 격벽(112a)과 안착면(112b)과 안착 단턱(112c)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돌출 격벽(112a)은 착즙망(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부재이다.
안착면(112b)은 돌출 격벽(112a)의 상단부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착즙망(110)의 바닥면과 평행을 이루며, 중심부에 스크류축(600)가 관통되는 연통홀(112bh)을 구비한 것이다.
안착 단턱(112c)은 돌출 격벽(112a)의 외주면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며, 스크류(400)는 이러한 안착 단턱(112c)에 걸림 고정된다.
착즙망차단부(112)는 더욱 확실한 기밀 유지를 위하여 연통홀(112bh)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스크류축(600)의 외주면과 대면하며, 안착면(112b)의 상면 및 하면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는 탄성 재질의 패킹 부재(112d)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착즙망차단부(112)와 함께, 스크류(400)의 바닥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착즙망차단부(112)를 수용하며, 착즙망(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찌꺼기가 일시 수용되는 잉여 공간부를 형성하는 스크류 공동(412)을 더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스크류 공동(412)은 스크류홈(402)에 비하여 체적이 큰 잉여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찌꺼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넉넉히 확보하고, 이러한 잉여 공간부에 일시 수용되는 찌꺼기들의 압력에 의하여 내부에 장착된 패킹 부재(112d)의 외측으로부터 가중되는 압력에 의하여 더욱 기밀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8과 같이 구동축기어(200)를 수용하고 받침 지지하는 기어 박스(900)를 구비하는 등의 구조를 가진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용기(130) 외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구동축기어(200)를 수용하는 기어 박스(900)를 더 포함하되, 기어 박스(900)의 저면에는 용기(130) 외부의 바닥면측을 향하여 단차지게 형성되고 중심부에 관통된 기어받이 홀(911)이 형성되는 단턱부(91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단턱부(910)의 내면에는 기어받이 시트(912)가 형성되고, 기어받이 시트(912)는 기어받이 홀(911)의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축기어(200)의 저면을 받침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구동축기어(200)는 스크류축(6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용기(130) 바닥면에 관통된 지지홀(131)에 외주면이 지지되며, 스크류축(600)가 내부에 관통하여 배치되는 양단 관통의 회전지지 부싱(210)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때, 용기(130) 내부의 바닥면은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착즙 찌꺼기 및 즙의 배출을 위하여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구동축기어(200)는 회전지지 부싱(210)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기어받이 시트(912)에 의하여 받침 지지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종동 기어(500)와 맞물려 회전하더라도 흔들림이나 덜컹거리는 등의 문제 발생을 염려할 필요없이 안정된 구동 전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지지 부싱(210)은 그 자체로서 용기(130) 내부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있던 패킹을 대체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수지 및 고무 등의 원자재를 절약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액기용 착즙 모듈을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스크류(400)에 의하여 착즙되어 배출되어 내려가는 재료들을 한번 더 갈아서 착즙율을 높일 수 있도록, 착즙망(110)의 바닥면과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스크류(400)의 하부측 외주면과 대면하는 복수의 착즙 보조 돌기(113)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착즙 보조 돌기(113)는 착즙망(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착즙망(110)의 내측면에 연결되도록 돌출된 복수의 돌출편(113a)과, 돌출편(113a)의 상단부로부터 착즙망(110)의 내측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편(113b)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400)와 착즙망(110) 사이에서 갈려져 착즙되는 원재료들은 착즙망(110)의 바닥면을 향하여 내려오면서, 일단 스크류(400)의 하부측 외주면과 경사편(113b) 사이에서 1차적으로 분쇄된 후, 다시 스크류(400)의 하부측 외주면과 돌출편(113a) 사이에서 2차적으로 분쇄되어 착즙이 최대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구동 전달 경로를 간소화하여 부품 갯수를 줄이고 생산 원가 절감이 가능하며, 기밀 유지가 가능하고, 경량화 및 컴팩트화의 구현이 가능한 원액기용 착즙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착즙 모듈
110...착즙망
112...착즙망차단부
113...착즙 보조 돌기
120...회전 브러시
130...용기
150...차단링
200...구동축기어
300...구동전달기어
400...스크류
500...종동 기어
600...스크류축
700...본체
800...뚜껑
810...투입구

Claims (2)

  1.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를 수용하는 착즙망과, 상기 착즙망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와, 상기 스크류와 상기 착즙망과 상기 회전 브러시를 수용하며 바닥면에 스크류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용기를 포함하는 착즙 모듈;
    상기 스크류 및 착즙망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 바닥에 결합되어 본체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브러시 하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종동기어와 기어결합되어 회전브러시를 회동시키는 구동전달기어; 및
    상기 스크류바닥면과 구동전달기어가 격리될 수 있도록 착즙망 하부에 형성된 착즙망차단부;
    상기 스크류의 바닥 외주면이 착즙망차단부 외주면에 접하며, 상기 스크류의 중심부에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바닥 외주면은 외측방향으로 일부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외주면은 하부방향으로 링형태의 차단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착즙모듈
KR1020160084149A 2016-07-04 2016-07-04 착즙 모듈 KR20180004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149A KR20180004512A (ko) 2016-07-04 2016-07-04 착즙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149A KR20180004512A (ko) 2016-07-04 2016-07-04 착즙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512A true KR20180004512A (ko) 2018-01-12

Family

ID=61001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149A KR20180004512A (ko) 2016-07-04 2016-07-04 착즙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45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879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체지방측정장치가 구비된 원액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879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체지방측정장치가 구비된 원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0763B (zh) 搅拌机的真空装置
KR101872047B1 (ko) 가압 스크류를 포함하는 전기 주방 기구
JP6218778B2 (ja) ジュース絞り器用の搾汁モジュール
KR20150143125A (ko) 주스기용 착즙모듈
US11910961B2 (en) Bidirectional simultaneous rotary blade bundle for mixer
KR101238437B1 (ko) 회전 교반식 음료 디스펜서
KR101926380B1 (ko) 착즙기
KR101408891B1 (ko) 착즙기
CN110918208B (zh) 一种家用厨房湿垃圾智能处理器
KR101462650B1 (ko) 원액기용 착즙 모듈
KR20180004512A (ko) 착즙 모듈
KR20240023550A (ko)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KR20180004515A (ko) 착즙 모듈
KR20080090220A (ko) 전기 믹서기의 볼타입 배출장치
KR101257443B1 (ko) 착즙기의 구동축 패킹구조
CN219880231U (zh) 离心分离转鼓及离心分离设备
KR101500997B1 (ko) 원액기용 착즙 모듈
JP2015062583A (ja) 洗濯機
KR101803295B1 (ko) 원액기
KR20170037237A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원액기
KR20150017618A (ko) 역류 방지 주서기
CN202340735U (zh) 防飞溅豆浆机
KR101506024B1 (ko) 원액기용 착즙 모듈
KR200489359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CN114947529B (zh) 饮品调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