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106A - 신발 안창 - Google Patents

신발 안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106A
KR20180004106A KR1020177027401A KR20177027401A KR20180004106A KR 20180004106 A KR20180004106 A KR 20180004106A KR 1020177027401 A KR1020177027401 A KR 1020177027401A KR 20177027401 A KR20177027401 A KR 20177027401A KR 20180004106 A KR20180004106 A KR 20180004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heel
pad
heel pa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브레들리 그레인저
자콥 마르티네즈
Original Assignee
임플러스 풋케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플러스 풋케어 엘엘씨 filed Critical 임플러스 풋케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004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09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alveolar or honeycomb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8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hook-and-loop typ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안정성 크래들 및 안창의 기부의 이면에 고정된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를 포함하고, 뿐만 아니라 상보형 뒤꿈치 패드가 또한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부분 위에 놓이도록 부착되어 있는 발 모션의 제어 및 완충을 제공하는 안창이 개시된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및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발 회내 및 회외를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한 재료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신발 안창
관련 출원 데이터
본 출원은 2015년 5월 28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167,763호, 및 2015년 6월 19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182,025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에 대한 향상된 완충, 지지 및 회내(pronation) 제어를 갖는 신발 안창(insole)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발은 매우 복잡한 생물학적 메커니즘이기 때문에, 적절하게 설계된 신발 안창은 발이 이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보조하고 발을 상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뒤꿈치 착지(heel strike)시의 발 위의 하중은 통상적으로 사람이 보행할 때 사람의 체중의 약 1.5배이다. 달리기 할 때 또는 백팩과 같은 가외의 중량을 짊어질 때, 발 위의 하중은 체중의 3배를 초과할 수 있다. 발의 다수의 뼈, 근육, 인대 및 건(tendon)은 충격력을 흡수하고 소산하는 기능을 하고, 체중 및 다른 하중을 지탱하고, 추진을 위한 힘을 제공한다.
안창은 개인의 특정 요구를 처리하도록 맞춤화 제조될 수도 있다. 이들 안창은 최종 사용자의 발의 주형(cast)에 기초하여 제조될 수도 있고 또는 최종 사용자의 발의 윤곽으로 성형된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대부분의 맞춤화 제조된 아이템과 같이, 맞춤화 안창은 소량 및 이들 안창을 적절하게 제조하고 적합화하는데 요구되는 광대한 시간에 기인하여 고가인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일반 대중을 위해 이러한 맞춤화 제조된 안창을 제조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다.
일반 대중에게 분배를 위해 실용적이게 하기 위해, 안창은 개인화된 조정 및 적합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에 이익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입수 가능한 시판의(over-the-counter) 제1 유형의 안창은 충격 흡수를 최대화하기 위해 발의 완충을 강조하고 있다. 통상의 개인에 있어서, 완충 안창은 보행 또는 달리기와 같은 가벼운 내지는 중간의 활동에 종사하는 동안 적절하게 수행한다. 즉, 완충 안창은 이러한 활동을 위한 충분한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무거운 백팩을 짊어지거나 또는 험한 지형을 횡단하는 것과 같은, 더 격렬한 또는 기술적으로 어려운 행동에 있어서, 통상의 완충 안창은 적절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완충 안창 자체는 충분한 지지 및 제어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고, 완충 안창을 최대로 압축함으로써 사용 중에 바닥에 이르는(bottom out) 경향이 있다.
다른 유형의 시판의 안창은 제어를 강조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안창은 발 모션(motion)을 제한함으로써 발의 굽힘 및 비틀림을 제어하기 위해 비교적 강직성(stiff) 및 강성(rigid)이 되도록 제조된다. 강성 구조체는 모션 제어에 양호하지만, 매우 관용적(forgiving)이진 않다. 그 결과, 발의 모션이 강성 구조체에 의해 부여된 한계에 도달할 때, 발 위의 하중은 급격히 변화하는 경향이 있고 발의 구조 상의 하중을 증가시킨다. 건 및 인대와 같은 생물학적 조직은 이들의 하중을 받는 속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하중의 급격한 변화는 발, 발목 또는 다리에 상해 또는 손상을 유발한다.
상기의 견지에서, 완충 및 제어의 모두를 제공하는 시판의 안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완충 및 제어의 모두를 제공하고 크로스 트레이닝(cross-training) 또는 트라이애슬론 관련 활동(triathlon-related activities) 중에 일반 대중에 의해 사용을 위해 실용적인 안창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것이다.
본 출원인은 그 위에 위치된 안정성 크래들(stability cradle) 및 다수의 포드(pod)를 갖는 안창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이들 특허는 미국 특허 제7,484,319호; 제7,665,169호; 제7,908,768호; 및 제8,250,784호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특허는 향상된 완충 및 안정성, 신발 동작 중에 안창의 가능한 이동, 또는 달리기 및 보행 관습을 처리하기 위한 향상된 완충 특성을 설정하는 문제점을 처리하지 않는다.
신발 안창이 (1) 증가된 발목 및 발 안정성을 제공하고, (2) 뒤꿈치 밀기(push-off) 및 착지 중에 뒤꿈치 및 전족부(forefoot)를 완충하고, (3) 모든 유형의 신발의 내부 형상에 윤곽을 맞춤화하고, (4) 극단적으로 경량이고, (5) 향상된 완충 능력을 제공하고, (6) 본질적으로 제로 이동 또는 미끄러짐을 갖는 목표를 성취하는 현재의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요소: (1) 외측(lateral) 중족부(midfoot)/뒤꿈치 패드 만입부 영역,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 및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을 갖는 기부, (2) 갑피 냉각 상부 천, (3) 복수의 횡방향으로 배향된 안정성 리브를 갖는 다면 안정성 크래들, (4) 외측 중족부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 내로 연장하는 세장형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5) 뒤꿈치 영역에서 세장형 뒤꿈치 패드의 부분 위에 놓이는 상보형 뒤꿈치 패드, (6) 전족부 만입부 영역에 위치된 전족부 패드, (7) 안정성 크래들의 저부면 상의 다면 홈 패턴, 및 (8)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전족부 패드 및 상보형 뒤꿈치 패드의 저부면 상의 벌집형 홈 패턴의 조합의 합체에 의해 종방향 아치 지지, 회내의 방지 및 회외(supination)의 방지를 향상하는 균형화된 접근법을 제공하는 안창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향상된 완충, 지지, 및 제어를 제공하고 일반 대중에 의해 사용을 위해 실용적인 안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및 장점은 향상된 모션 제어, 지지 및 완충을 제공하는 안창에 의해 제공된다. 안창은 발 완충, 지지 및 모션 제어의 원하는 조합을 성취하도록 협동하는 상호작용 구성요소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강직성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패드와 조합되어 관련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공지되었던 것보다 더 큰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외측 중족부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및 뒤꿈치 영역에서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부분 위에 놓이는 상보형 뒤꿈치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는 기부 또는 안정성 크래들과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는 회외의 방지를 보조하고,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회내의 방지를 보조한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및 상보형 뒤꿈치 패드의 견고성은 패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저 회내, 과/저 회외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안정성 크래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상보형 뒤꿈치 패드, 및 전족부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정지마찰 파지를 위한 랜덤 다면 홈이 있는 패턴을 이들의 저부면 상에 갖는다.
본 발명은 (1) 발목 및 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2) 뒤꿈치 밀기 및 착지 중에 뒤꿈치 및 전족부를 완충하고, (3) 과회내 및 과회외 조건을 방지하는 것을 돕고, (4) 뒤꿈치, 중족부, 아치 및 전족부 영역에 향상된 완충 특징부를 제공하기 위한 목표를 성취한다.
구성요소의 특성, 이들의 크기 및 형상, 및 이들의 위치는 향상된 완충 및 제어의 원하는 혼합을 제공하고, 더 구체적으로는 원하는 생체역학적 기능을 성취하도록 선택된다. 패드 크기 및 압축 특성은 패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여, 과/저 회내, 과/저 회외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창의 구성요소는 서로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의도된 유형 또는 카테고리의 활동을 위해 설계된 안창을 생성한다. 다수의 안창 디자인이 광범위한 상이한 활동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유사한 도면 부호가 전체에 걸쳐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고려시에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안창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안창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안창의 기부를 도시하고 있는 저면 평면도이다.
도 3은 안창의 평면도(발등측)이다.
도 4는 안창의 내측(medial)(내부측) 측면도이다.
도 5는 안창의 외측(외부측) 측면도이다.
도 6은 안창의 정면도(기단측)이다.
도 7은 안창의 후면도(기단측)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강직성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패드와 조합되어 관련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공지되었던 것보다 더 큰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외측 중족부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 내로 연장하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및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부분 위에 놓이는 상보형 뒤꿈치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는 기부 및/또는 안정성 크래들과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및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회외의 방지 또는 회내의 방지를 보조한다.
기부, 안정성 크래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및 상보형 뒤꿈치 패드의 조합은 수 도의(a couple of degree) 향상된 회내 "제어"를 제공하는 내측 종방향 아치 지지의 "정도(degree)"를 제공한다. 내측 종방향 아치 지지의 "정도"는 연구 증거에 기초하여 대략 1 내지 2도이다. 회내 "제어"라는 것은, 후족부(rearfoot)의 관절 주위에 작용하는 회외 모멘트의 증가 및 회내 모멘트의 크기의 감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1)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만입부 영역,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 및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을 갖는 기부, (2) 갑피 냉각 상부 천, (3) 복수의 안정성 리브를 갖는 랜덤 다면 안정성 크래들, (4) 외측 중족부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 내로 연장하는 세장형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5) 뒤꿈치 영역에서 세장형 뒤꿈치 패드의 부분 위에 놓이는 상보형 뒤꿈치 패드, (6) 전족부 만입부 영역에 위치된 전족부 패드, (7) 안정성 크래들의 저부면 상의 랜덤 다면 패턴, 및 (8)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전족부 패드 및 상보형 뒤꿈치 패드의 저부면 상의 벌집형 홈 패턴과 같은 요소의 조합의 합체에 의해 종방향 아치 지지, 회내의 방지 및 회외의 방지를 향상하는 균형화된 접근법을 제공하는 안창(300)이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및 상보형 뒤꿈치 패드의 견고성은 과/저 회내, 과/저 회외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는데, 이는 이들 패드가 패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정성 크래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상보형 뒤꿈치 패드, 및 전족부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정지마찰 파지를 위한 랜덤 다면 홈이 있는 패턴을 이들의 저부면 상에 갖는다. 본 발명은 이하의 목표: (1) 향상된 발목 및 발 안정성, (2) 뒤꿈치 밀기 및 착지 중에 뒤꿈치 및 전족부의 더 큰 완충, (3) 과회내 및 과회외 조건의 더 큰 방지, 및 (4) 뒤꿈치, 중족부, 아치 및 전족부 영역으로의 향상된 완충 특징부를 성취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안창(300)이 개시되어 있다. 안창은 사용자의 신발의 내부 내부에 삽입되고 사용자의 신발의 내부의 저부면 상에 위치되도록 일반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안창(300)은 본질적으로 운동화의 저부 내부와 같이 성형되고 따라서 휴지시에 일반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안창(300)은 뒤꿈치 단부(기단측)로부터 발가락 단부(말단측)로 연장하고, 안창의 아치 측면을 따라 상기 발가락 단부를 상기 뒤꿈치 단부에 연결하는 발의 아치 측면 상의 내측 경계 또는 내측면 및 안창의 다른 측면 상에서 상기 발가락 단부를 상기 뒤꿈치 단부에 연결하는 그 다른 측면(내측면으로부터 반대측면) 상의 외측 경계 또는 외측면을 갖는다.
안창(300)은 안창(300)의 발가락 패드(340) 위에 위치된 발의 지골(phalange) 부근에서 중족골 영역과 상관하는 전족부 영역, 내측면을 따른 아치 영역, 뒤꿈치 단부의 바로 전방에 있는 뒤꿈치 영역, 및 뒤꿈치 영역과 전족부 영역 사이의 중족부 영역을 또한 갖는다. 사용자의 오른쪽 신발 및 왼쪽 신발은 서로 경면 대칭이고, 오른쪽 신발 및 왼쪽 신발에 각각 삽입되도록 구성된 안창도 마찬가지이다. 단지 왼쪽 안창만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오른쪽 안창은 왼쪽 안창의 경면 대칭 구성을 갖는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창(3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301)와, 상기 상부 시트(3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저부면을 갖는 기부(302)를 포함한다. 기부(302)는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여 발의 아치 영역에 가외의 쿠션 및 지지를 제공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319)를 또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302)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으로 연장하는 부분 또는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를 형성한다(도 4 및 도 7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음).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301)의 부분을 위로 압박한다.
기부(302)의 저부면은 안창(300)의 발가락 패드(340) 위에 위치된 발의 지골 부근에서 중족골 영역에 상관하는 전족부 영역 내의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 및 중족부 및 뒤꿈치 영역을 따른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을 형성한다. 기부(302)의 저부면은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332)를 또한 형성한다. 리브(332)는 바람직하게는 설형부(cuneiform) 주위에서 더 길고 설형부로부터 말단측으로 그리고 기단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안정성 크래들(306)에 의해 형성되고 아치 영역에서 안정성 크래들(306)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리브 또는 돌기를 갖는다.
기부(3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heel cup)을 갖도록 발의 측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고 뒤꿈치 주위에 감기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도 4, 도 5, 및 도 7에서 가장 양호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얇고,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두껍다.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은 발의 기단측 지골의 말단부 부근에서 안창(300)의 발가락 패드(340)로부터 부분적으로 기단측에서 시작한다.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은 외측부에서 대략 제3 내지 제5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제1 및 제2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은 제1 및 제2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357)을 갖는다.
전족부 패드(308)는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전족부 패드(308)는 내측 에지, 외측 에지, 기단(후방) 에지 및 말단(전방) 에지를 갖는다. 전족부 패드(308)의 내측 에지는 상기 안창의 상기 내측 경계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라인을 따라 연장한다. 기단 에지는 상기 내측 에지로부터 상기 후방 정점(357)으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기단측으로, 제3 중족골두를 향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말단측으로, 이어서 제3 내지 제5 중족골두를 대략적으로 따라 외측 에지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기단측으로 연장한다. 전족부 패드의 외측 에지는 상기 기단 에지를 상기 전족부 패드의 상기 상부 에지에 연결한다. 사용시에,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 및 전족부 패드(308)는 사용자의 발의 제1 중족골두 또는 내측볼을 제외하고, 사용자의 발의 엄지발가락의 부분 및 발의 "볼" 아래에 놓인다.
접착제가 구성요소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전족부 패드(308)는 수직 점프로부터 착지시에 완충 및 에너지 반환을 제공한다. 이는 추진 패드 및 사용자의 발의 중족골두, 특히 제1 및 제2 중족골두를 위한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더 인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발 안창의 이 부분을 위해 더 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안창에 비해 35 내지 65%만큼 안창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족부 패드(308)는 공지의 재료에 비해 전족부 패드의 내구성 및 완충 양태를 향상시키는 랜덤 다면 그리드 형태를 갖는다.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은 기부(302)의 저부면의 중족부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의 약간 기단측의 말단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기단 에지로 연장한다. 말단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떼기 중에 제1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기부(302)의 측면 및 후방을 위로 감싸서 뒤꿈치의 외부 영역을 커핑함(cupping)으로써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여, 중족부로부터 뒤꿈치 영역까지 안정성 강직성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발의 내측 아치 영역에 상향 지지를 제공하는 단부벽 및 측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3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로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3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306)은 대략 쇼어(Shore) A85 내지 A110의 경도를 갖는 나일론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반강성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강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신발의 내부 부분에 대면하는 안정성 크래들(306)의 표면은 랜덤 다면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면이 있는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의 내부 또는 외부로 배치될 때 "적소에 유지"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이들 면이 있는 텍스처는 안창이 신발의 외부로의 이동을 저지하게 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랜덤 다면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면이 없는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퇴거를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306),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 및 전족부 패드(308)는 상이한 유형의 홈 패턴을 갖는다. 안창(300)의 저부면 상에 307A로 도시되어 있는 랜덤 다면 홈이 있는 패턴은 신발의 내부면의 내부에 더 양호한 완충 및 정지마찰 파지를 제공한다. 벌집형 홈 패턴(320, 321, 323)은 안창의 완충 및 안정성 특성을 향상시킨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바람직하게는 내측 아치 영역에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3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331)는 기부(302)의 상기 리브(3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302)는 리브(332)가 리브형 개구(331) 내로 돌출하여 리브(332)가 안정성 크래들(3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306)과 기부(3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332)는 또한 기부(3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보행 또는 달리기시에) 리브형 개구(3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3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331)는 안정성 크래들(306)이 안정성 크래들(3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되게 한다. 보강 재료의 하나 이상의 시트가 안정성 크래들(306) 내에 또는 안정성 크래들(306)과 기부(302) 사이에 배치되어 안창의 내구성 및 강도/견고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보강 시트 재료는 시간 경과에 따라 크기가 "수축"하거나 형상이 왜곡하지 않는 임의의 유형의 복합 제직된(weaved) 재료 또는 임의의 유형의 직포 또는 부직포 시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3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형부 주위에서 더 길고 설형부로부터 말단측으로 그리고 기단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제3 내지 제5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부로 기단측으로 그리고 또한 안정성 크래들(3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으로 후방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를 형성한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족부로부터 뒤꿈치 영역으로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에 상관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 내의 기부(302)의 저부면에 고정되고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가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를 통해 외향 연장하게 한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는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50 애스커(ASKER) C의 경도의 열가소성 고무("TPR")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302)의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 내에서 기부(3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302)에 적절하게 부착하게 한다.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뒤꿈치 영역에서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의 부분 위에 놓인다.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의 부분 위에 놓이도록 성형되고 뒤꿈치 영역의 부분 및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를 통해 연장하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의 부분에 상관하는 위치에서 접착제 또는 기계적 체결구(예를 들어, 후크 및 루프 체결구)에 의해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의 저부면에 고정된다.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측면 에지를 갖는다. 측면 에지는 뒤꿈치 영역의 부분 주위로 뒤꿈치 영역의 중간 섹션까지 연장한다.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대안적으로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 대신에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의 외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애스커 C±3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부터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기부(302)에 고정되어 TPR이 기부(302)에 적절하게 부착하게 한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 및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의 견고성은 패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저 회내, 과/저 회외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의 구성, 재료 및 위치는 완충을 제공하고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와 연계하여 작용하여 발목을 안정화한다.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 및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의 경도는 본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데, 이는 외측 발목 접질림(roll-over)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도록 서로 조화하여 작용한다. 이들 뒤꿈치 패드는 바람직하게는 약 쇼어 C 45 내지 50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부터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302)의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 내에서 기부(3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302)에 적절하게 부착하게 한다.
상부 시트(301)는 안창의 상부면 상에 사용자의 발을 결합하도록 배향되고, 갑피 냉각 및 통기 기능을 담당한다. 상부 시트(301)는 경옥 상부 천 재료와 같은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지면과의 발 접촉은 일반적으로 3개의 단계: 뒤꿈치 닿기, 중족부 지지(midfoot support), 및 발가락 떼기(toe off)로 분할된다. 뒤꿈치 닿기 중에, 발의 뒤꿈치는 상당한 힘으로 지면에 충돌한다. 지면에 의한 뒤꿈치의 초기 충돌 후에, 발은 비틀리거나, 또는 회내하여, 뒤꿈치의 내측면이 지면과 접촉하게 한다. 발은 회내의 양 뿐만 아니라 회내가 발생하는 속도에 민감하다. 회내는 자연적이고, 소정 정도의 회내는 보행 또는 달리기 중에 발 상의 응력 및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한 회내의 양 또는 속도는 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 및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1) 발목 및 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 (2) 뒤꿈치 밀기 및 착지 중에 뒤꿈치 및 전족부를 완충하는 것, (3) 과회내 및 과회외 조건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 것, 및 (4) 뒤꿈치, 중족부, 아치 및 전족부 영역에 향상된 완충 특징부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안정성 크래들(306)과 함께 작용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발 회내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내측 아치 영역을 포함하고 뒤꿈치 영역을 둘러싸는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 및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또한 회내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와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를 형성함으로써, 회내 및 회외 속도가 조절되고, 제어되고, 증가/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내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더 견고한 또는 더 강직한 재료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더 연성 재료만큼 또는 빠르게 압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된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보다 덜 압축할 것이다. 그 결과,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 위에 놓일 때 그리고 이 유형의 더 견고한 재료로 구성될 때, 회내를 저지하거나 상쇄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회내의 정도 및 속도를 감소시킬 것이다. 역으로,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 상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 상에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를 배치하는 것은 회외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회내의 양 및 속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의 위치 및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 내에 사용된 재료의 견고성은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의 견고성, 의도된 활동의 유형, 및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요구되는 회내/회외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어,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 및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의 견고성은 가벼운 내지 적당한 활동 중에 사용될 안창에 대해 약 20 내지 30%만큼 상이하다. 무거운 백팩 또는 다른 물품을 짊어지는 것은 뒤꿈치 닿기 중 및 후에 발 위의 하중 및 회내의 속도를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가 백패킹 중에 사용을 위해 설계된 안창 내의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보다 상당히 더 견고한 재료로 제조될 때, 약 20 내지 40%의 견고성의 차이는 이러한 활동을 위해 더 적절하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는 발걸음의 중간입각기(midstance) 중에 발의 외측면에 완충 및 제어를 제공한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는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와 동일한 특성, 예를 들어 견고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 및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발목 안정성을 촉진하기 위해 발 기능의 운동학적 변화를 유발하도록 채용된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를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의 견고성보다 더 연성이 되게 하는 것은 특정 관절 이동 또는 발목 접질림을 처리하고 최소화할 것이라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발걸음의 추진 또는 발가락 떼기 단계의 시작시에, 뒤꿈치는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시작하고 중량은 발의 볼로 시프트한다. 전족부 패드(308)는 발의 이 부분 아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족부 패드(308)는 압축하는 전족부 패드(308) 내로 입력된 에너지가 발가락 떼기시에 발을 추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반환되도록 비교적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발가락 떼기 중에, 제1 중족골은 하향으로 자연적으로 굴곡한다. 제1 중족골의 이 자연적인 하향 굴곡을 방지하는 것은 발의 아치가 편평화되게 하고 발이 과회내되게 하여, 발목 및 무릎 상의 응력을 증가시킨다. 하향 굴곡을 수용하기 위해, 전족부 패드(308)의 후방 정점(357)은 안정성 크래들(306)의 말단 에지의 대응하는 오목형 에지부 내로 후방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306) 및 전족부 패드(308)의 형상은 제1 중족골이 더 자연적으로 굴곡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에 의해 발가락 떼기 중에 엄지발가락의 하중을 조장한다.
전족부 패드(308)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고무("TPR")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부터 제조된다. 전족부 패드(308)에 사용된 TPR 또는 PU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애스커 C±3이다. 남성용 사이즈 11 내지 12 안창에 있어서,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 전족부 패드의 폭은 약 85 내지 95 mm이다. 높이는 약 100 내지 110 mm이다. 깊이는 약 0.95 내지 1.50 mm이다.
전족부 패드(308)의 저부면,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 및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 상의 벌집형 홈 패턴(320), 뿐만 아니라 안정성 크래들(306) 상의 랜덤 다면 홈 패턴(307A)은 저부 내부 신발면과 접촉하고, 더 양호한 완충을 제공하고, 안창(300)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안창의 저부면 상에 구성된다. 랜덤 다면 홈 패턴은 패드면 내로 공기 간극을 도입하는데, 이는 각각의 패드의 충격 흡수 특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더 적은 재료의 사용을 허용하고 원하는 완충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족부 패드(308) 상의 벌집형 셀 패턴(320) 및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 상의 벌집형 홈 패턴(323)은 대략 0.10 내지 0.35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306) 상의 랜덤 다면 홈 패턴(307A) 및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 상의 벌집형 홈 패턴(321)은 대략 .025 내지 .75 mm 깊이이다. 랜덤 다면 홈 패턴 및 벌집형 홈 패턴은 신발 캐비티 내부에 안창을 고정하고 안창을 신발의 저부 내부면 상에 적소에 유지하여 안창이 주위로 이동하거나 미끄러지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공기 순환을 허용하고 그리고/또는 상이한 완충 및 탄력 특성을 제공하는 것을 보조한다.
기부(302)는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발포체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302)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발포체, 열가소성 고무("TPR")/EVA 혼합물, 또는 취입된 EVA 재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취입된 EVA, EVA 또는 TPR/EVA 혼합물은 대략 애스커 C 45 내지 50의 듀로미터(경도)를 갖는다.
안창의 구조적 특징을 촉진하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안창의 총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남성용 사이즈 10/11)의 총 중량은 약 4.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총 중량은 남성용 사이즈 10/11에 대해 약 5.0 내지 6.0 온스 및 남성용 사이즈 12/13에 대해 약 6.5 내지 7.5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가 비례할 것이다. 랜덤 다면 홈 패턴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은 또한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302)는 안창의 발가락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으로 상부 시트(301)로 덮여지고, 이 상부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물집(blister)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301)는 천연 원천으로부터 얻어진 특수 저온 옥을 포함하는 냉각 직물(cooling fabric)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항균제로 처리되는데, 이는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저부면 상에 기부(302)에 의해 형성된 만입부 영역에서 기부(302)에 고정되어 있는 안창의 다양한 패드 구성요소는 접착제 또는 기계적 체결구(예를 들어, 후크 및 루프)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기부(302)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구성요소는 또한 안창을 성형하는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기술을 사용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고정될 수 있다.
만입부 영역은 또한, 기부면 및 패드면을 갖고 상기 기부면을 따라 상기 기부(302)에 그리고 상기 패드면을 따라 상기 패드에 고정된 천으로 라이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천은 패드에 고정되고, 이어서 복합 구조체가 만입부 영역에 고정된다.
몇몇 신발은 신발의 내부 부분 상에서 크기가 약간 상이할 수도 있다. 몇몇 신발은 신발의 내부 부분 상의 발 및/또는 안창을 위해 제공된 실제 공간을 변경하는 가외의 패딩을 신발의 내부측, 전방 또는 후방을 따라 또한 제공할 수도 있다. 기부(302)는 사용자가 신발 내에 적절한 적합을 위해 안창의 길이를 단축하게 하는 사이징 가이드(350)를 가질 수도 있다. 사이징 가이드(350)는 바람직하게는 가위로 사용자가 그를 따라 절단할 것인 다양한 절단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도 3은 상부 시트(301)와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를 도시하고 있는 안창(300)의 평면도이다. 안창(300)은 발가락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으로 기부(302)의 전체 상부면을 가로질러 고정된 상부 시트(30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302)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으로 연장하는 부분 또는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를 형성한다.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301)의 부분을 위로 압박한다.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는 바람직하게는 제2 내지 제4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는 발의 전족부 및 중간부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 시트(301)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301)는 천연 원천으로부터 얻어진 특수 저온 옥을 포함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항균제로 처리되는데, 이는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킨다. 일련의 공기 구멍이 상부 시트(301)와 기부(302)를 통해 연장하여 안창(300) 위아래의 공기 순환을 허용한다.
도 4는 안창의 내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3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301)와, 상기 상부 시트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저부면을 갖는 기부(302)를 포함한다. 기부(302)는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여 발의 아치 영역에 가외의 쿠션 및 지지를 제공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319)를 또한 형성한다.
기부(302)의 저부면은 전족부 영역에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 및 중족부 및 뒤꿈치 영역을 따른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을 형성한다. 기부(302)의 저부면은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332)를 또한 형성한다. 리브(332)는 바람직하게는 설형부 주위에서 더 길고 설형부로부터 말단측으로 그리고 기단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331)는 기부(302)의 상기 리브(3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302)는 리브(332)가 리브형 개구(331) 내로 돌출하여 리브(332)가 안정성 크래들(3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306)과 기부(3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332)는 또한 기부(3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보행 또는 달리기시에) 리브형 개구(3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3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331)는 안정성 크래들(306)이 안정성 크래들(3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되게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3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형부 주위에서 더 길고 설형부로부터 말단측으로 그리고 기단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기부(3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발의 측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고 뒤꿈치 영역의 외부 에지 주위에 감기는 내측 아치 영역을 따른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껍고,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은 발의 기단측 지골의 말단부 부근에서 안창(300)의 발가락 패드(340)로부터 부분적으로 기단측에서 시작한다.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은 외측부에서 대략 제3 내지 제5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제1 및 제2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은 제1 및 제2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전족부 패드(308)는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은 기부(302)의 저부면의 중족부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302)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의 약간 기단측의 말단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기단 에지로 연장한다. 말단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떼기 중에 제1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측면 및 기부(302)의 후방을 따라 위로 감겨서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3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로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3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중족부 영역의 외측면을 따라 외측 중족부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안정성 크래들(306)은 제3 내지 제5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부로 기단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를 형성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의 대략 후방부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3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를 형성한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에 상관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 내의 기부(302)의 저부면에 고정되고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가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를 통해 외향 연장하게 한다.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의 부분 위에 놓인다. 이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의 이 위에 놓인 영역 위에 방향성 지지 및 완충을 제공하고, 도 1a, 도 1b 및 도 2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접착제 또는 기계적 체결구(예를 들어, 후크 및 루프 체결구)에 의해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에 부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302)는 상부 시트(301)로 덮여지고, 이 상부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301)는 천연 원천으로부터 얻어진 특수 저온 옥을 포함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항균제로 처리되는데, 이는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기부(302)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으로 연장하는 부분 또는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를 형성한다.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301)의 부분을 위로 압박한다.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는 바람직하게는 제2 내지 제4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는 발의 전족부 및 중간부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도 5는 안창의 외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3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301)와, 상기 상부 시트(3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저부면을 갖는 기부(302)를 포함한다. 기부(302)는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여 발의 아치 영역에 가외의 쿠션 및 지지를 제공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319)를 또한 형성한다. 기부(302)의 저부면은 전족부 영역에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 및 중족부 및 뒤꿈치 영역을 따른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을 형성한다.
기부(3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발의 측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고 뒤꿈치 주위에 감기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껍고,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은 발의 기단측 지골의 말단부 부근에서 안창(300)의 발가락 패드(340)로부터 부분적으로 기단측에서 시작한다.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은 외측부에서 대략 제3 내지 제5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제1 및 제2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은 제1 및 제2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전족부 패드(308)는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은 내측 중족부 영역 내에 위치되고 기부(302)의 저부면의 뒤꿈치 영역 주위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의 약간 기단측의 말단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기단 에지로 연장한다. 말단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떼기 중에 제1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제3 내지 제5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부로 기단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를 형성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측면을 따라 위로 감기고 기부(302)의 후방을 둘러싸서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3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로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3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에 상관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 내의 기부(302)의 저부면에 고정되고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가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를 통해 외향 연장하게 한다.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의 부분 위에 놓인다. 이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의 이 위에 놓인 영역 위에 방향성 지지 및 완충을 제공하고, 도 1a, 도 1b 및 도 2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접착제 또는 기계적 체결구에 의해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에 부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302)는 상부 시트(301)로 덮여지고, 이 상부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301)는 천연 원천으로부터 얻어진 특수 저온 옥을 포함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항균제로 처리되는데, 이는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기부(302)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으로 연장하는 부분 또는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를 형성한다.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301)의 부분을 위로 압박한다.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는 바람직하게는 제2 내지 제4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는 발의 전족부 및 중간부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도 6은 안창(300)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안창(300)의 후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3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301)와, 상기 상부 시트(3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저부면을 갖는 기부(302)를 포함한다. 기부(302)는 안창의 중족부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여 발의 아치 영역에 가외의 쿠션 및 지지를 제공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319)를 또한 형성한다.
기부(302)의 저부면은 중족부 및 뒤꿈치 영역을 따른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을 형성한다. 기부(302)의 저부면은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332)를 또한 형성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3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331)는 기부(302)의 상기 리브(3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302)는 리브(332)가 리브형 개구(331) 내로 돌출하여 리브(332)가 안정성 크래들(3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306)과 기부(3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332)는 또한 기부(3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보행 또는 달리기시에) 리브형 개구(3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브형 개구(331)는 안정성 크래들(306)이 안정성 크래들(3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되게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3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형부 주위에서 더 길고 설형부로부터 말단측으로 그리고 기단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리브(332)는 바람직하게는 설형부 주위에서 더 길고 설형부로부터 말단측으로 그리고 기단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안정성 크래들(306)에 의해 형성되고 아치 영역에서 안정성 크래들(306)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리브 또는 돌기를 갖는다.
기부(3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발의 측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고 뒤꿈치 주위에 감기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두껍고, 안창의 내측면에서 더 높고 더 얇다.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의 부분 위에 놓이고, 벌집형 셀 패턴(323)을 갖는다. 이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의 이 위에 놓인 영역 위에 방향성 지지 및 완충을 제공하고, 도 1a, 도 1b 및 도 2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상보형 뒤꿈치 패드(316)는 접착제 또는 기계적 체결구에 의해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에 부착된다.
기부(302)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으로 연장하는 부분 또는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를 형성한다.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301)의 부분을 위로 압박한다.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는 바람직하게는 제2 내지 제4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방향 아치 지지부(338)는 발의 전족부 및 중간부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은 기부(302)의 저부면의 중족부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307)의 약간 기단측의 말단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기단 에지로 연장한다. 말단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떼기 중에 제1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중족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따라 상향 연장하고 기부(302)의 후방을 둘러싸서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3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로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3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제3 내지 제5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부로 기단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를 형성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중족부 영역의 외측면을 따라 뒤꿈치 단부 내로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를 형성한다.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에 상관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305) 내의 기부(302)의 저부면에 고정되고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312)가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313)를 통해 외향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302)는 상부 시트(301)로 덮여지고, 이 상부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301)는 천연 원천으로부터 얻어진 특수 저온 옥을 포함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항균제로 처리되는데, 이는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킨다.
남성용 사이즈 11 내지 12 안창에 있어서,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 전족부 패드의 폭은 약 85 내지 95 mm이다. 높이는 약 100 내지 110 mm이다. 깊이는 약 0.95 내지 1.50 mm이다. 안창의 구조적 특징과 함께 작용하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안창의 총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남성용 사이즈 10/11)의 총 중량은 약 4.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총 중량은 남성용 사이즈 10/11에 대해 약 5.0 내지 6.0 온스 및 남성용 사이즈 12/13에 대해 약 6.5 내지 7.5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가 비례할 것이다. 개방셀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은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저부면 상에 기부(302)에 의해 형성된 만입부 영역에서 기부(302)에 고정되어 있는 안창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기부(302)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구성요소는 안창을 성형하는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기술을 사용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고정된다.
만입부 영역은 또한, 기부면 및 패드면을 갖고 상기 기부면을 따라 상기 기부(302)에 그리고 상기 패드면을 따라 상기 패드에 고정된 천으로 라이닝된다. 대안적으로, 천은 상기 패드에 고정되고, 이어서 복합 구조체가 만입부 영역에 고정된다.
몇몇 신발은 신발의 내부 부분 상에서 크기가 약간 상이할 수도 있다. 몇몇 신발은 신발의 내부 부분 상의 발 및/또는 안창을 위해 제공된 실제 공간을 변경하는 가외의 패딩을 신발의 내부측, 전방 또는 후방을 따라 또한 제공할 수도 있다. 기부(302)는 사용자가 신발 내에 적절한 적합을 위해 안창의 길이를 단축하게 하는 사이징 가이드(350)를 가질 수도 있다. 사이징 가이드(350)는 바람직하게는 가위로 사용자가 그를 따라 절단할 것인 다양한 절단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개량된 안창(300)이 개시되었다. 이와 같이 개시된 안창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하이킹, 백패킹 등과 같은 활동 중에 발을 완충하고 회내를 제어하는데 유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 즉시 명백할 것이다. 그러나, 안창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다른 활동을 수용하거나 또는 다른 종류의 발 모션을 제어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안창 구성요소의 특정 두께, 재료, 및 특성의 제시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제공된 설명은 한정이 아니라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이고, 본 발명은 단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54)

  1. 사용자의 발에 접촉하기 위한 상부면 및 사용자의 신발의 저부 내부에 접촉하기 위한 저부면을 갖는 안창이며,
    a. 기부 상부측 및 기부 저부측을 갖는 기부로서, 상기 기부는 뒤꿈치 단부, 발가락 단부, 내부 아치 영역을 형성하는 내측면 및 외부 경계 영역을 형성하는 외측면을 갖고,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은 상기 아치 영역 및 상기 안창의 상기 외부 경계 영역 각각을 따라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발가락 단부로 연장하고, 상기 기부의 상기 저부측은 발가락 영역, 전족부 영역, 안정성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형성하는, 기부와,
    b. 반강성 재료로 제조된 안정성 크래들로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크래들 상부측 및 크래들 저부측을 갖고,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상기 내측 아치 영역에서 상기 크래들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크래들 저부측으로 상기 안창의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크래들 상부측은 상기 기부의 상기 저부측의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에 부착되는, 안정성 크래들과,
    c. 상기 안창의 발가락 영역에 있는 발가락 패드와,
    d. 상기 안창의 상기 중족부와 상기 발가락 영역 사이의 전족부 만입부 영역에 위치되어 있는 전족부 패드와,
    e. 상부면 및 저부면을 갖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로서,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는 중족부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으로 상기 안창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상기 상부면은 상기 기부의 상기 저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상기 저부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내의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와,
    f. 상부면 및 저부면을 갖는 상보형 뒤꿈치 패드로서, 상기 상부면은 상기 안창의 뒤꿈치 패드 영역의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부분 위에 부착되어 위치되는, 상보형 뒤꿈치 패드를 포함하는, 안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창은 발 접촉면 및 기부의 상기 기부 상부측에 부착되는 대향면을 갖는 상부 시트를 더 포함하는, 안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상기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안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상기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 상에 위치되는, 안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사용자의 발의 회내의 양 또는 속도의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및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사용자의 발의 회내의 양 또는 속도의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패드의 상기 저부면은 사용자의 안창의 저부 내부로의 접촉을 위한 벌집형 홈 표면을 갖는, 안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의 상기 저부면은 사용자의 안창의 저부 내부로의 접촉을 위한 벌집형 홈 표면을 갖는, 안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상기 저부면은 사용자의 안창의 저부 내부로의 접촉을 위한 벌집형 홈 표면을 갖는, 안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 제조되는, 안창.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보다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되는, 안창.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와 동일한 견고성의 재료로 제조되는, 안창.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사용자의 발의 내측면을 지지하고 발 회내의 제어를 보조하기 위해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안창.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대략 쇼어 A 90의 듀로미터를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안창.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상기 안창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인접하여 놓인 측벽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안창.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벽을 갖는, 안창.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랜덤 다면 디자인의 저부면을 갖는, 안창.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상기 안창이 사용되도록 설계되는 사용자의 발의 종골로부터 중족골 관절을 통한 길이에 본질적으로 등가인 길이를 갖는, 안창.
  19. 사용자의 발에 접촉하기 위한 상부측 및 사용자의 신발의 저부 내부면에 접촉하기 위한 저부측을 갖는 신발에 사용을 위한 안창이며,
    a. 기부로서, 상기 기부는 기부 상부면 및 기부 저부면을 갖고, 상기 기부는 뒤꿈치 단부, 발가락 단부, 내측 경계 및 외측 경계를 갖고, 상기 내측 경계 및 상기 외측 경계는 상기 안창의 내측면 및 외측면 각각을 따라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발가락 단부로 연장하고, 상기 기부 저부측은
    (i) 상기 발가락 단부 부근에서 상기 발가락 단부를 덮는 발가락 영역,
    (ii) 상기 발가락 단부로부터 발의 중족골두 영역 후방의 위치로 연장하는 전족부 영역,
    (iii) 상기 중족골두 영역으로부터 발의 종골의 전방에 놓인 에지로 연장하는 중족부 영역,
    (iv) 상기 중족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꿈치 단부로 연장하는 뒤꿈치 영역,
    (v) 상기 전족부 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기부의 말단부 부근으로부터 제1 중족골두의 전방으로 기단측으로 발의 엄지발가락 아래로 연장하는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 및
    (vi) 본질적으로 상기 안창의 중족부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위치된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을 형성하는, 기부와,
    b. 상기 기부의 발가락 단부에 위치된 발가락 패드와,
    c. 상기 뒤꿈치 영역 내로 연장하는 상기 외측 중족부 영역에 위치된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로서,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는 상기 기부의 상기 기부 저부면에 부착되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와,
    d. 반강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기부 저부측의 상기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에 고정된 안정성 크래들로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리브 개구 및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를 갖는, 안정성 크래들과,
    e. 상기 전족부 패드 만입부 영역에 고정된 전족부 패드로서, 상기 전족부 패드는 발의 더 적은 중족골두 아래에서 더 큰 중족골 아래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기단측으로 연장하는, 전족부 패드와,
    f.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에 부착되고 상기 뒤꿈치 영역에서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부분 위에 위치되어 있는 상보형 뒤꿈치 패드를 포함하는, 안창.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안창은 발 접촉면 및 기부의 상기 기부 상부측에 부착되는 대향면을 갖는 상부 시트를 더 포함하는, 안창.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상기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안창.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상기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 상에 위치되는, 안창.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사용자의 발의 회내의 양 또는 속도의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및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사용자의 발의 회내의 양 또는 속도의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패드의 상기 저부면은 사용자의 안창의 저부 내부로의 접촉을 위한 벌집형 홈 표면을 갖는, 안창.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의 상기 저부면은 사용자의 안창의 저부 내부로의 접촉을 위한 벌집형 홈 표면을 갖는, 안창.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상기 저부면은 사용자의 안창의 저부 내부로의 접촉을 위한 벌집형 홈 표면을 갖는, 안창.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 제조되는, 안창.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보다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되는, 안창.
  3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와 동일한 견고성의 재료로 제조되는, 안창.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사용자의 발의 내측면을 지지하고 발 회내의 제어를 보조하기 위해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안창.
  3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대략 쇼어 A 90의 듀로미터를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안창.
  3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상기 안창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인접하여 놓인 측벽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안창.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벽을 갖는, 안창.
  3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랜덤 다면 디자인의 저부면을 갖는, 안창.
  3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상기 안창이 사용되도록 설계되는 사용자의 발의 종골로부터 중족골 관절을 통한 길이에 본질적으로 등가인 길이를 갖는, 안창.
  37. 신발 내의 사용자의 발의 모션을 제어하기 위한 안창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기부 상부면 및 기부 저부면을 갖는 기부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부는 뒤꿈치 단부, 발가락 단부, 내측 경계 및 외측 경계를 갖고, 상기 내측 경계 및 상기 외측 경계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발가락 단부로 연장하고, 상기 기부 저부측은
    (a) 상기 안창의 발가락 단부 부근에서 상기 발가락 단부를 덮는 발가락 영역,
    (b) 상기 발가락 단부로부터 발의 중족골두 영역 후방의 위치로 연장하는 전족부 영역,
    (c) 상기 중족골두 영역으로부터 발의 종골의 전방에 놓인 에지로 연장하는 중족부 영역,
    (d) 상기 중족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꿈치 단부로 연장하는 뒤꿈치 영역,
    (e)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 및
    (f) 전족부 만입부 영역을 형성하는, 기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부에 안정성 크래들을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반강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상기 기부의 상기 기부 저부측의 상기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안정성 크래들 만입부 영역은 본질적으로 발의 중족부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위치되는, 안정성 크래들을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기부의 기부 저부면에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를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는 상기 안정성 크래들 내의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발가락 단부에 근접하여 상기 기부에 발가락 패드를 일체화하는 단계와,
    상기 기부에 전족부 패드를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전족부 패드는 발의 더 적은 중족골두 아래에서 더 큰 중족골 아래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기단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전족부 만입부 영역에 부착되는, 전족부 패드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에 상보형 뒤꿈치 패드를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 상에서 상기 외측면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부분 위에 놓이는, 상보형 뒤꿈치 패드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창은 발 접촉면 및 기부의 상기 기부 상부측에 부착되는 대향면을 갖는 상부 시트를 더 포함하는,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상기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 상에 위치되는,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상기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 상에 위치되는, 방법.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사용자의 발의 회내의 양 또는 속도의 제어를 제공하는, 방법.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 및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사용자의 발의 회내의 양 또는 속도의 제어를 제공하는, 방법.
  43.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패드의 상기 저부면은 사용자의 안창의 저부 내부로의 접촉을 위한 벌집형 홈 표면을 갖는, 방법.
  44.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의 상기 저부면은 사용자의 안창의 저부 내부로의 접촉을 위한 벌집형 홈 표면을 갖는, 방법.
  45.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의 상기 저부면은 사용자의 안창의 저부 내부로의 접촉을 위한 벌집형 홈 표면을 갖는, 방법.
  46.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 제조되는, 방법.
  47.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보다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되는, 방법.
  4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형 뒤꿈치 패드는 상기 외측 중족부/뒤꿈치 패드와 동일한 견고성의 재료로 제조되는, 방법.
  4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사용자의 발의 내측면을 지지하고 발 회내의 제어를 보조하기 위해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방법.
  5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대략 쇼어 A 90의 듀로미터를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방법.
  5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상기 안창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인접하여 놓인 측벽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벽을 갖는, 방법.
  53.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랜덤 다면 디자인의 저부면을 갖는, 방법.
  54.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상기 안창이 사용되도록 설계되는 사용자의 발의 종골로부터 중족골 관절을 통한 길이에 본질적으로 등가인 길이를 갖는, 방법.
KR1020177027401A 2015-05-28 2016-04-25 신발 안창 KR201800041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67763P 2015-05-28 2015-05-28
US62/167,763 2015-05-28
US201562182025P 2015-06-19 2015-06-19
US62/182,025 2015-06-19
PCT/US2016/029155 WO2016191002A1 (en) 2015-05-28 2016-04-25 Shoe ins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106A true KR20180004106A (ko) 2018-01-10

Family

ID=5739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401A KR20180004106A (ko) 2015-05-28 2016-04-25 신발 안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070670A1 (ko)
EP (1) EP3302136A4 (ko)
JP (1) JP2018515172A (ko)
KR (1) KR20180004106A (ko)
AU (1) AU2016268838A1 (ko)
CA (1) CA2980494A1 (ko)
WO (1) WO20161910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680B1 (ko) * 2023-06-29 2023-10-17 박인숙 액세서리 결합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6696B2 (en) * 2017-05-25 2021-05-18 Nike, Inc. Footwear with soles having auxetic structures
JP6799881B2 (ja) * 2018-07-24 2020-12-16 株式会社Bmz 靴用インソール
US20200245727A1 (en) * 2019-01-31 2020-08-06 Nelwood Corp. Natural-cushioning, sock liner apparatus and method
US10856616B2 (en) * 2019-02-01 2020-12-08 Superfeet Worldwide, Inc. Dynamic insoles
USD903268S1 (en) 2019-02-06 2020-12-01 S. C. Johnson & Son, Inc. Insole
USD906658S1 (en) 2019-02-19 2021-01-05 S. C. Johnson & Son, Inc. Insole
WO2020221408A1 (en) * 2019-05-02 2020-11-05 Pinpoint Biomechanics Holding Ivs Anti pronation/eversion/heel spur insole
WO2021141633A1 (en) * 2020-01-07 2021-07-15 Fast Ip, Llc Adjustable footbeds for footwear
US20210386158A1 (en) * 2020-06-16 2021-12-16 Matmarket Modular footbed assembl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TW202245645A (zh) * 2021-05-25 2022-12-01 峰暉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複合式鞋墊結構
US11992088B2 (en) * 2021-05-31 2024-05-28 Chadrian T. Johnson Breathable ergonomic shoe inso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7705B2 (en) * 2002-12-23 2006-09-19 Spenco Medical Corporation Insole with improved cushioning and anatomical centering device
US5014706A (en) * 1988-09-15 1991-05-14 C. Nicolai Gmbh & Co. Kg Orthotic insole with regions of different hardness
US7484319B2 (en) 2005-08-12 2009-02-03 Spenco Medical Corporation Shoe insole
US20090025254A1 (en) * 2007-07-25 2009-01-29 Smith Charles A Orthotic insole assembly
KR100951173B1 (ko) * 2007-12-07 2010-04-06 김준엽 신발의 중창 및 그 제조방법
CN102869278B (zh) * 2010-06-25 2015-11-25 斯彭科医疗公司 仿形支承鞋垫
WO2013130321A1 (en) * 2012-03-01 2013-09-06 Spenco Medical Corporation Insole for relief of over-pronation and knee joint stress
EP2890261A4 (en) * 2012-08-31 2016-04-13 Spenco Medical Corp BASKETBALL INSOLE
US20140259759A1 (en) * 2013-03-18 2014-09-18 Spenco Medical Corporation Arthritis & Diabetes Insole
US20160219970A1 (en) * 2013-09-16 2016-08-04 Spenco Medical Corporation Triathlon Insole
US20170027277A1 (en) * 2014-01-21 2017-02-02 Implus Footcare, Llc Customizable Component Insole System
AU2016268834A1 (en) * 2015-05-28 2017-11-16 Impulse Footcare, LLC Shoe insole
WO2016191617A1 (en) * 2015-05-28 2016-12-01 Spenco Medical Corporation Heel cup support inso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680B1 (ko) * 2023-06-29 2023-10-17 박인숙 액세서리 결합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70670A1 (en) 2018-03-15
EP3302136A4 (en) 2019-01-23
WO2016191002A1 (en) 2016-12-01
JP2018515172A (ja) 2018-06-14
CA2980494A1 (en) 2016-12-01
AU2016268838A1 (en) 2017-10-26
EP3302136A1 (en)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6698B2 (en) Shoe insole
KR20180004106A (ko) 신발 안창
US10485299B2 (en)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KR20180004178A (ko) 윤곽 형성된 지지 신발 안창
KR20180003568A (ko) 윤곽 형성된 지지 신발 안창
KR20180004126A (ko) 윤곽 형성된 지지 신발 안창
KR20160058141A (ko) 트라이애슬론 안창
US20090151194A1 (en) Shoe Insole
US20180242687A1 (en) Sandal with Cushioning and Contoured Support
WO2016191562A2 (en)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