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985A - 자동차용 공기 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 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985A
KR20180003985A KR1020170067463A KR20170067463A KR20180003985A KR 20180003985 A KR20180003985 A KR 20180003985A KR 1020170067463 A KR1020170067463 A KR 1020170067463A KR 20170067463 A KR20170067463 A KR 20170067463A KR 20180003985 A KR20180003985 A KR 20180003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irculation system
coolant
heat exchang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062B1 (ko
Inventor
나비드 두라니
마크 그라프
크리스토프 바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0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78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B60H1/3228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secondary circuits, e.g. at evaporator and condenser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2001/00307Component temperature regulation using a liquid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객실로 공급될 공기 질량 흐름을 독립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 1 냉매 순환계(2, 2", 2""') 및 제 2 냉매 순환계(7, 7", 7""')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시스템(1, 1', 1", 1"', 1"", 1""')에 관한 것이다. 냉매 순환계(2, 2", 2""', 7, 7", 7""')는 각각 압축기(3, 8), 응축기/가스 냉각기(4, 9)로서 작동되는 열교환기, 하나 이상의 팽창 기관(5, 10, 11, 11") 및 증발기(6, 12, 13, 13a, 13")로서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이 공기 조화 시스템(1, 1', 1", 1"', 1"", 1""')은 또한 하나 이상의 제 1 냉각제 순환계(14, 14"") 및 하나 이상의 제 2 냉각제 순환계(20)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냉매 순환계(2, 2", 2""')의 응축기/가스 냉각기(4)는 주변 공기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매-공기-열교환기(4)로서 형성되어 있고, 제 2 냉매 순환계(7, 7", 7""')의 응축기/가스 냉각기(9)는 제 1 냉각제 순환계(14, 14"")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매-냉각제-열교환기(9)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제 1 냉각제 순환계(14, 14"")는 저온-냉각제 순환계로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 조화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객실로 공급될 공기 질량 흐름을 독립적으로 조절(conditioning)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 1 및 제 2 냉매 순환계를 구비하는, 높은 수준의 냉각을 필요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시스템, 특히 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냉매 순환계는 각각 하나의 압축기, 응축기/가스 냉각기로서 작동되는 열교환기, 하나 이상의 팽창 기관 및 증발기로서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공기 조화 시스템은 또한 하나 이상의 제 1 및 제 2 냉각제 순환계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간략히 SUV로도 명명되는 스포츠카 및 상용차 또는 오프-로드 리무진(off-load limousine), 차체가 높여진 차량, 간략히 VAN으로도 명명되는 하이 루프 콤비(high roof combi) 또는 소형 승합차(microbus), 또는 하이엔드(high end) 차량과 같이 큰 용적의 객실을 갖춘 선행 기술에 공지된 승용차는, 객실의 다양한 영역을 상호 분리해서 공기를 조화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증발기를 갖춘 냉매 순환계 및 공기 조화 시스템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객실은 특히 전방 영역 및 후방 영역으로 세분된다. 프런트 에어리어(front area)로서도 명명되는 전방 영역 및 리어 에어리어(rear area)로서도 명명되는 후방 영역이라는 명칭은 자동차의 주행 방향과 관련이 있다.
운전자뿐만 아니라 동승자를 위해서도 안락한 기후(climate)를 발생하기 위하여, 제 1 공기 질량 흐름이 제 1 증발기, 소위 전방 증발기를 통과해서 흐를 때 조절되어 객실의 전방 영역으로 안내된다. 객실 내부에 있는 제 2 및 경우에 따라서는 제 3 좌석 열의 승객에게 안락한 기후를 발생하기 위하여, 제 2 공기 질량 흐름이 제 2 증발기, 소위 후방 증발기를 통과해서 흐를 때 조절되어 객실의 후방 영역으로 안내된다.
전방 증발기 및 후방 증발기는 상호 분리된 형태로 형성된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공기 조화기는 상호 독립적으로, 요구되는 공기 온도 및 사전에 설정된 공기 유동 방향을 갖는 원하는 공기 용적 흐름을 공급할 수 있다.
간략히 EV로서도 명명되는 전기차 또는 간략히 HEV로서도 명명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은 고전압 배터리, 내부 충전 장치, 변압기, 인버터 및 전동기와 같은 추가 부품을 구비하여 형성되었기 때문에, 단순히 내연 기관 구동 방식의 자동차보다 높은 수준의 냉각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통상적으로 20℃ 내지 35℃의 범위 안에 놓여 있는 고전압 배터리의 허용된 온도 한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칠러(chiller)로서도 명명되는 추가의 냉매-냉각제-열교환기 또는 배터리 냉각기로서 형성되어 직접 냉매 냉각되는 열교환기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전기식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를 갖춘 종래의 자동차는 저온-냉각제 순환계를 구비하며, 이와 같은 순환계 내에서는 구동 부품으로부터 방사된 열을 방출하기 위해 순환하는 냉각제가 공기 냉각된 저온 냉각기를 통과해서 안내된다. 저온 냉각기를 통과해서 흐르는 경우에는, 적어도 일정 비율의 열이 냉각제로부터 주변 공기로 전달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90℃까지의 온도에서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식 구동 엔진 또는 인버터와 같이, 주변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작동되는 부품들의 열이 방출될 수 있다.
간접적인 충전 공기 냉각기를 통해서 또는 기어 오일(gear oil) 냉각기로서 형성된 열교환기를 통해서 충전 공기 또는 기어 오일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저온-냉각제 순환계는 오로지 내연 기관 방식으로 구동되는 자동차 모델에서도 사용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전기-내연 기관 방식의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 및 큰 용적의 객실을 갖춘 자동차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냉각을 필요로 한다. 소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냉매 순환계를 구비하는 선행 기술에 공지된 공기 조화 시스템은, 객실 및 전기 부품의 냉각을 위해 요구되는 냉매의 질량 흐름을 공급할 수가 없다.
비교적 높은 수준의 냉각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이한 공기 조화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한 편으로는 종래의 냉매 순환계 내에서 2개 이상의 압축기가 병렬로 작동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냉매의 질량 흐름은 2배 또는 수배가 된다. 다른 한 편으로는, 2개 이상의 냉매 순환계가 상호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이 경우에는 각각의 추가 냉매 순환계가 추가의 부품을 구비한다.
US 7,228,707 B2호 및 US 2013/0145781 A1호에서는 각각, 서로 병렬로 배치된 압축기를 갖춘 냉매 순환계가 기술된다. 서로 병렬로 접속된 압축기들은 냉매를 하나의 공동 압력 라인 내부로 압축하고, 이 공동의 압력 라인은 응축기로서 작동되는 열교환기로 냉매를 안내한다.
US 7,228,707 B2호에 공지된 이코노마이저 회로(economizer circuit) 내의 냉매 순환계는 또한, 증발기로서 작동되는 다수의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이들 열교환기는 다양한 주변 공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증발기가 하나의 압축기와 연결되어 있다.
US 2013/0145781 A1호는 2개의 압축기를 갖춘 냉매 순환계를 개시하며, 이 경우 제 1 압축기는 회전 속도 조절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압축기는 고정된 회전 속도로 작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냉매 순환계의 경우에는, 응축기/가스 냉각기로서 작동되는 열교환기, 2개 부품 사이에 형성된 연결 라인으로서의 냉매 라인,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 열교환기 및 밸브와 같은 개별 부품이 냉매의 높은 최대 질량 흐름에 상응하게 매우 크게 치수 설계되어야만 한다.
전기식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를 갖춘 자동차 및 순전히 내연 기관 방식의 구동 장치를 갖춘 자동차에서는, 냉각제 순환계 내부에 이미 추가의 냉각제-공기-열교환기, 특히 저온 냉각기가 통합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자동차의 전방 영역에는 더 크게 치수 설계된 응축기/가스 냉각기를 위한 설치 공간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크게 치수 설계되었거나 시스템의 다수의 작동 점을 위해 과도하게 치수 설계된 냉매 라인도 설치될 수 있다.
개별 유동 경로 및 이와 더불어 증발기는 상호 독립적으로 차단될 수 있지만, 증발기들은 다만 서로 간의 압력에 따라서만 작동될 수 있다. 작동이 병렬로 이루어지는 경우, 증발기들은 또한 비용 집중적인 전기식 팽창 밸브의 사용에 의해서도 매우 비용 소비적으로 서로 매칭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각각 별도로 형성된 부품들을 갖추어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될 냉매 순환계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경우에는, 항상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응축기/가스 냉각기가 필요하다. 전기식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 또는 순전히 내연 기관 방식의 구동 장치를 갖춘 자동차에서는 냉각제 순환계 내부에 이미 추가의 냉각제-공기-열교환기, 특히 저온 냉각기가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 전방 영역에 있는 빈 설치 공간은 또 다른 응축기/가스 냉각기의 통합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한정되어 있다.
병렬로 작동되는 압축기들을 갖춘 하나의 냉매 순환계 또는 상이한 냉매 순환계들을 갖춘, 선행 기술에 공지된 상이한 공기 조화 시스템의 경우에는 또한, 후방 증발기 및 경우에 따라서는 또 다른 증발기가 각각 냉매 라인에 의해서, 자동차 전방 영역에 배치된 응축기/가스 냉각기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 라인은 전체 자동차를 관통해서 설치될 수 있고 값비싼 설치 공간을 요구한다. 냉매 라인은 고압용으로 설치될 수 있고, 매우 비용 집중적인 특별한 연결 요소들을 필요로 한다. 더 나아가, 길이가 긴 냉매 라인은 또한 냉매 순환계 내에서 높은 압력 손실을 야기하며, 이와 같은 상황은 냉각 출력의 감소 또는 압축기 출력의 증가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냉각 수요가 큰 자동차, 예컨대 전기식과 내연 기관 방식이 조합된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큰 용적의 객실을 구비하는 자동차를 위한 충분한 냉각 출력을 갖춘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 시스템에서는, 제조 비용, 관리 비용 및 작동 비용 그리고 요구되는 설치 공간이 최소이어야만 하고, 냉매 순환계도 종래의 질량 흐름용으로 치수 설계된 부품들로부터 형성되어야만 한다. 공기 조화 시스템은 최대 효율로 작동될 수 있어야만 한다. 이 경우에는, 냉매 순환계 내부에서 높은 압력 손실을 피하기 위해, 냉매 라인에 의해서 가급적 짧은 간격이 극복되어야만 한다.
상기 과제는, 독립 특허 청구항의 특징들을 갖는 대상에 의해서 해결된다. 개선예들은 종속 특허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과제는, 객실의 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1차 냉매 순환계로서의 하나 이상의 제 1 냉매 순환계 및 객실의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2차 냉매 순환계로서의 하나 이상의 제 2 냉매 순환계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에 의해서 해결된다. 1차 냉매 순환계 및 2차 냉매 순환계는 객실로 공급될 공기 질량 흐름을 독립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각각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응축기/가스 냉각기로서 작동되고 압축된 냉매를 냉각 및/또는 액화하기 위한 열교환기, 하나 이상의 팽창 기관 및 증발기로서 작동되고 냉매를 증발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이 공기 조화 시스템은 또한 하나 이상의 제 1 냉각제 순환계 및 제 2 냉각제 순환계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상에 따르면, 응축기/가스 냉각기로서 작동되는 제 1 냉매 순환계의 열교환기는 주변 공기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매-공기-열교환기로서 형성되어 있고, 응축기/가스 냉각기로서 작동되는 제 2 냉매 순환계의 열교환기는 제 1 냉각제 순환계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매-냉각제-열교환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냉각제 순환계는 저온-냉각제 순환계로서 구성되어 있다.
냉매의 액화가 예컨대 냉매 R134a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은 임계 이하의 모드에서 이루어지거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특정 주변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열교환기가 응축기로서 명명된다. 열 전달의 일부분은 일정한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임계 초과의 모드 또는 열교환기 내에서 임계 초과의 열이 방출되는 경우에는, 냉매의 온도가 일정하게 감소한다. 이 경우에는 열교환기가 가스 냉각기로서도 명명된다. 임계 초과의 모드는, 예컨대 이산화탄소를 냉매로서 사용하는 냉매 순환계의 특정 주변 조건 또는 작동 방식에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동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 2 냉각제 순환계는 고온-냉각제 순환계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객실로 공급될 하나 이상의 공기 질량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온 열교환기 및 주변 공기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냉각제-공기-열교환기를 구비한다. 고온 열교환기 및 냉각제-공기-열교환기에는 바람직하게 상호 독립적으로 냉각제가 공급될 수 있다. 구동 엔진은 바람직하게 연소 엔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냉각제 순환계가 바람직하게 제 2 냉각제 순환계보다 낮은 온도 수준에서 작동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 1 냉각제 순환계는 저온-냉각제 순환계로서도 명명되고, 제 2 냉각제 순환계는 고온-냉각제 순환계로서도 명명된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 제 2 냉각제 순환계는, 객실 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제 1 고온 열교환기를 갖춘 제 1 유동 경로 및 객실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고온 열교환기를 갖춘 제 2 유동 경로를 구비한다. 이 경우, 이들 유동 경로는 각각 한 분기 지점으로부터 한 입구 지점까지 연장되며, 이들 유동 경로에는 상호 독립적으로 냉각제가 공급될 수 있다.
제 1 유동 경로의 분기 지점은 바람직하게 3-경로-밸브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밸브는 또한 냉각제로부터 주변 공기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각제-공기-열교환기를 구비하는 한 유동 경로의 유동 횡단면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유동 경로는 바람직하게 차단 밸브를 구비한다. 3-경로-밸브 및 차단-밸브는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고온 열교환기 및 냉각제-공기-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상이한 유동 경로는 냉각제에 의해 서로 병렬로 관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냉각제 순환계는 냉매-냉각제-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제 2 냉매 순환계로부터 열을 흡수하도록 그리고 상이한 유동 경로를 갖는 자동차의 열을 발생하는 부품들로부터 열을 흡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주변 공기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각제-공기-열교환기를 구비한다. 유동 경로들은 각각 한 분기 지점으로부터 한 입구 지점까지 연장되고, 이들 유동 경로에는 상호 독립적으로 냉각제가 공급될 수 있다.
유동 경로의 분기 지점은 바람직하게, 유동 경로의 유동 횡단면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3-경로-밸브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대안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라, 냉각제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교환기 및 냉매용 증발기로서 형성되었고 냉매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매-냉각제-열교환기를 갖춘 제 3 냉각제 순환계가 제공되어 있다.
냉각제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교환기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자동차 전기 구동렬의 고전압 배터리와 같은 전기 부품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냉매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매-냉각제-열교환기는 바람직하게 제 2 냉매 순환계의 한 부품으로서 또는 제 1 냉매 순환계의 한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대안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라, 냉매로 열을 직접 전달하기 위한 냉매용 증발기로서 형성된 열교환기와 조합된 열교환기를 갖춘 공기 조화 시스템이 형성되어 있다.
이 증발기는 바람직하게 제 2 냉매 순환계의 한 부품으로서 또는 제 1 냉매 순환계의 한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냉매 순환계가, 증발기로서 구동되는 열교환기 및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앞에 배치된 팽창 기관을 각각 하나씩 구비하는 2개의 유동 경로를 구비한다. 이 경우, 이들 유동 경로는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유동 경로에는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병렬로 냉매가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 순환계들 중 하나 이상은 고압 상태의 냉매와 저압 상태의 냉매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기 위한 내부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 3 냉매 순환계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응축기/가스 냉각기로서 작동되고 압축된 냉매를 냉각 및/또는 액화하기 위한 열교환기, 하나 이상의 팽창 기관 및 증발기로서 작동되고 2상 냉매를 증발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열교환기를 갖춘 2차 냉매 순환계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응축기/가스 냉각기는 제 1 냉각제 순환계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매-냉각제-열교환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 1 냉각제 순환계는 바람직하게, 냉매-냉각제-열교환기를 갖춘 제 2 냉매 순환계로부터 열을 흡수하도록, 자동차의 열을 발생하는 부품들로부터 열을 흡수하도록, 그리고 상이한 유동 경로를 갖는 하나의 냉매-냉각제-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제 3 냉매 순환계로부터 열을 흡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주변 공기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각제-공기-열교환기를 구비한다. 이들 유동 경로는 각각 하나의 분기 지점으로부터 하나의 입구 지점까지 연장되고, 이들 유동 경로에는 상호 독립적으로 냉각제가 공급될 수 있다.
유동 경로의 분기 지점은 바람직하게 3-경로-밸브로서 형성되어 있다.
요약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 2개 이상의 냉매 압축기를 사용함으로써, 공지된 시스템들에 비해 높은 질량 흐름이 냉매로 공급되고, 이로써 높은 냉각 출력에 도달하게 되며,
- 냉매 순환계들의 결합을 해제하고, 2개 이상의 압축기를 사용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냉각 출력이 매우 우수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 1차 냉매 순환계와 2차 냉매 순환계로 세분함으로써, 증발기들의 상호 압력 의존성이 제거되며,
- 이로써, 작동 동안에 높은 동력학(dynamic) 및 높은 유연성이 보장되며,
- 1차 냉매 순환계 및 2차 냉매 순환계의 전체 부품들이 원하는 냉각 요구에 맞추어 정확하게 치수 설계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치수 설계는 크기가 더 작으면서 더 가벼운 부품들을 야기하며,
- 공기에 의해 냉각된 단 하나의 냉매-공기-열교환기를, 냉매로부터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그리고/또는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1차 냉매 순환계 내에서 응축기로 사용함으로써, 2차 냉매 순환계 내의 방출 열 및 응축 열이 냉각제에 의해 냉각된 응축기/가스 냉각기를 통해서는 저온-냉각제 순환계로 전달되고, 저온-냉각기를 통해서는 주변 공기로 방출되며,
- 특히 2차 냉매 순환계 내에서는 냉매 라인이 짧은데, 그 이유는 압축기뿐만 아니라 냉각제에 의해 냉각된 응축기/가스 냉각기도 가변적으로 그리고 장소와 무관하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배치 상태는 또한 냉매 순환계 내부에서 냉매 측의 전체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며,
- 이로써, 작동 동안에 공기 조화 시스템의 최대 효율 및 최소 설치 공간에 도달하게 되며,
- 제조 및 관리 작업 중에 그리고 작동 동안에 적은 비용이 소요된다.
공기 조화 시스템, 특히 냉매 순환계는 사용된 냉매와 무관하기 때문에 R134a, R744, R1234yf 또는 다른 냉매용으로도 설계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세부 사항, 특징들 및 장점들은 관련 도면을 참조해서 이루어지는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각각의 도면은, 객실의 전방 영역을 위한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냉매 순환계 및 객실의 후방 영역을 위한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냉매 순환계, 그리고 제 2 냉매 순환계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한 제 1 냉각제 순환계 및 구동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객실용 유입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 2 냉각제 순환계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은 제 2 냉매 순환계와 열적으로 결합 되어 있고, 배터리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제 3 냉각제 순환계를 도시하며,
도 2는 제 2 냉매 순환계와 열적으로 직접 결합 되어 있는, 배터리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를 도시하고,
도 3은 제 1 냉매 순환계와 열적으로 결합 되어 있고, 배터리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제 3 냉각제 순환계를 도시하며,
도 4는 배터리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가 없는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도면을 도시하고,
도 5는 냉매 순환계 내부에 내부 열교환기가 제공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도시하며, 그리고
도 6은 제 1 냉각제 순환계와 열적으로 결합 되어 있는 제 3 냉매 순환계가 제공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도시한다.
도 1에서는, 객실의 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냉매 순환계(2) 및 객실의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냉매 순환계(7)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1)이 개시된다. 이 공기 조화 시스템(1)은 또한, 제 2 냉매 순환계(7)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한 제 1 냉각제 순환계(14), 구동 엔진(32)을 냉각시키기 위한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객실의 전방 및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 2 냉각제 순환계(20) 그리고 제 3 냉각제 순환계(33)를 구비한다. 제 3 냉각제 순환계(33)는, 증발기로서 작동되고 칠러로서도 명명되는 냉매-냉각제-열교환기(13)를 통해서 제 2 냉매 순환계(7)와 열적으로 결합 되어 있고, 고전압 배터리와 같은 전기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35)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1차 냉매 순환계(2)로서도 명명되는 제 1 냉매 순환계(2)는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압축기(3), 응축기/가스 냉각기(4)로서 작동되는 냉매-공기-열교환기(4), 팽창 기관(5) 및 증발기로서 작동되는 냉매-공기-열교환기(6)를 구비한다. 증발기(6)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압축기(3)에 의해서 흡입된다. 냉매 순환계(2)는 폐쇄되어 있다.
증발기(6) 내에서 냉매를 증발시킬 때 발생하는 냉각 출력은, 전방 영역에 있는 객실에 공급되는 공기 질량 흐름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냉매에 의해서 흡수된 열은, 자동차 전방 영역에 배치된 냉매-공기-열교환기(4)를 관류할 때 방출 열 또는 응축 열로서 주변 공기로 전달된다.
이하에서 2차 냉매 순환계(7)로서도 명명되는 제 2 냉매 순환계(7)는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압축기(8), 응축기/가스 냉각기(9)로서 작동되는 냉매-냉각제-열교환기(9), 팽창 기관(10) 및 증발기로서 작동되는 냉매-공기-열교환기(12)를 구비한다. 증발기(12)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압축기(8)에 의해서 흡입된다. 냉매 순환계(7)는 폐쇄되어 있다.
증발기(12) 내에서 냉매를 증발시킬 때 발생하는 냉각 출력은, 후방 영역에 있는 객실에 공급되는 공기 질량 흐름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냉매에 의해서 흡수된 열은, 냉매-냉각제-열교환기(9)를 관류할 때 방출 열 또는 응축 열로서 제 1 냉각제 순환계(14)의 냉각제로 전달된다. 제 1 냉각제 순환계(14)는 냉각제의 온도 수준으로 인해 저온-냉각제 순환계(14)로서도 명명된다.
증발기로서 작동되는 냉매-공기-열교환기(12) 및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앞에 배치된 팽창 기관(10)을 구비하는 유동 경로에 대해 병렬로, 팽창 기관(11) 및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볼 때 뒤에 배치된 제 3 냉각제 순환계(33)의 냉매-냉각제-열교환기(13)를 구비하는 유동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증발기(12, 13)에는,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앞에 배치된 팽창 기관(10, 11)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병렬로 냉매가 공급된다.
냉각제 순환계(14, 20, 33)는 냉각제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각제 펌프(16, 22, 34)를 각각 하나씩 구비한다.
제 1 냉각제 순환계(14)는 냉매-냉각제-열교환기(9)를 구비하여, 2차 냉매 순환계(7)로부터 냉매의 방출 열 또는 응축 열을 흡수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더 나아가, 제 1 냉각제 순환계(14)는 저온-냉각제 순환계로서 또한 상이한 부품(19), 예를 들어 내부 충전 장치, 변압기, 인버터 또는 전기 구동 엔진과 같은 전기 구동렬로부터 열을 방출하기 위해서, 또는 충전 공기 또는 기어 오일로부터 열을 방출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때, 냉각제는, 각각 분기 지점(17)으로부터 입구 지점(18)으로 연장되는 2개의 상이한 유동 경로로 세분되며, 이 경우 제 1 유동 경로는 냉매-냉각제-열교환기(9)를 구비하고, 냉각제는 제 2 유동 경로를 통해서 냉각될 부품(19)으로 안내된다. 이때, 2개의 유동 경로에는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그리고 병렬로 냉각제가 공급된다. 냉각제를 분배하기 위해 분기 지점(17)이 3-경로-밸브로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질량 흐름의 비율은 필요에 따라 0 내지 100%에 달할 수 있다.
냉매-냉각제-열교환기(9) 내에서 또는 부품(19)으로부터 흡수된 열은 냉각제-공기-열교환기(15)를 관류할 때 주변 공기로 방출된다. 저온 냉각기로서도 명명되는 냉각제-공기-열교환기(15)는 자동차의 전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냉각제 순환계(20)는 한 편으로는 구동 엔진(32), 특히 연소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객실의 전방 및/또는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이 경우 냉각제는 상이한 유동 경로(24, 28)로 분배될 수 있다. 제 2 냉각제 순환계(20)는 냉각제의 온도 수준으로 인해 고온-냉각제 순환계(20)로서도 명명된다.
제 1 유동 경로(24)는 분기 지점(23)으로부터 입구 지점(25)으로 연장되고, 제 1 고온 열교환기(26)를 구비한다. 제 1 고온 열교환기(26)는, 증발기로서 작동되는 냉매-공기-열교환기(6)와 마찬가지로, 전방 영역에 있는 객실에 공급되는 공기 질량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때, 객실의 전방 영역에 공급되는 공기 질량 흐름은 필요에 따라 냉각 및 습기 제거되고 재차 가열될 수 있거나 다만 냉각 및 습기 제거 또는 가열만 될 수 있다.
제 2 유동 경로(28)는 분기 지점(27)으로부터 입구 지점(30)으로 연장되고, 제 2 고온 열교환기(31)를 구비한다. 제 2 고온 열교환기(31)는, 증발기로서 작동되는 냉매-공기-열교환기(12)와 마찬가지로, 후방 영역에 있는 객실에 공급되는 공기 질량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때, 객실의 후방 영역에 공급되는 공기 질량 흐름은 필요에 따라 냉각 및 습기 제거되고 재차 가열될 수 있거나 다만 냉각 및 습기 제거 또는 가열만 될 수 있다.
구동 엔진에 의해 흡수된 열은 적어도 비율적으로 유동 경로(24, 28)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냉각제-공기-열교환기(21)를 구비하는 또 다른 한 유동 경로를 통해서도 안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냉각제-공기-열교환기(21)를 관류할 때에는 열이 주변 공기로 방출된다. 고온 냉각기로서도 명명되는 냉각제-공기-열교환기(21)는 자동차의 전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연소 엔진으로서 형성된 구동 엔진(32)의 초과량의 열은 가열 모드에서 뿐만 아니라 냉각 모드에서도 고온 냉각기를 통해 주변 공기로 방출될 수 있다.
고온 열교환기(26, 31)를 구비하는 2개의 유동 경로(24, 28) 및 냉각제-공기-열교환기(21)를 구비하는 유동 경로에는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그리고 병렬로 냉각제가 공급될 수 있다. 제 1 유동 경로(24)를 통해서 또는 냉각제-공기-열교환기(21)를 통해서 냉각제를 분배 및 안내하기 위해, 분기 지점(23)은 3-경로-밸브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유동 경로(28)를 통해서 냉각제를 분배 및 안내하기 위해, 제 2 유동 경로(28)는 차단 밸브(29)를 구비한다. 냉각제의 질량 흐름의 비율은 필요에 따라 0 내지 100%에 달할 수 있다.
증발기로서 형성된 냉매 순환계(2, 7)의 냉매-공기-열교환기(6, 12) 및 고온-냉각제 순환계(20)의 고온 열교환기(26, 31)는 각각, 자동차의 객실에 공급될 공기 질량 흐름이 냉매-공기-열교환기(6, 12) 및 고온 열교환기(26, 31)의 열 교환 면을 통해서 연속으로 흐르도록, 하나의 공기 채널 내에 배치되어 있다.
한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증발기로서 형성된 냉매 순환계(2, 7)의 냉매-공기-열교환기(6, 12) 및 고온-냉각제 순환계(20)의 고온 열교환기(26, 31)는 각각, 자동차의 객실에 공급될 공기 질량 흐름이 냉매-공기-열교환기(6, 12) 및 고온 열교환기(26, 31)의 열 교환 면을 비율적으로 서로 병렬로 그리고 상호 독립적으로 관류하도록, 상호 분리된 형태로 형성된 2개의 공기 채널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1)의 형성에 의해서는, 객실의 전방 영역 및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 흐름을 별도의 구역으로서 상호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만 열교환기(35)만을 예를 들어 고전압 배터리를 냉각시키기 위한 배터리 냉각기로서 이용하는 한편, 1차 냉매 순환계(2)의 압축기(3) 및 이와 더불어 1차 냉매 순환계(2)는 작동 정지시킬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 경우, 열은 배터리-냉각제 순환계(33), 냉매-냉각제-열교환기(13) 및 2차 냉매 순환계(7)의 냉매-냉각제-열교환기(9) 그리고 저온-냉각제 순환계(14)의 냉각제-공기-열교환기(15)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고전압 배터리로부터 주변 공기로 전달된다.
압축기(8), 냉각제에 의해 냉각된 응축기/가스 냉각기(9), 팽창 기관(10, 11) 및 2차 냉매 순환계(7)의 증발기(12, 13)와 같은 부품들의 최적의 배치를 통해, 이들 부품은 최소 길이를 갖는 냉매 라인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최소 길이를 갖는 냉매 라인을 사용함으로써, 한 편으로는 냉매 라인을 관류할 때 냉매의 압력 손실이 최소로 된다. 다른 한 편으로는, 냉매 라인의 중량 및 이와 결부된 비용이 최소로 된다.
열을 주변 공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저온-냉각제 순환계(14)의 냉각제-공기-열교환기(15) 및 1차 냉매 순환계(2)의 냉매-공기-열교환기(4) 및 고온-냉각제 순환계(20)의 냉각제-공기-열교환기(21)는 각각 자동차의 전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열교환기(15, 4, 21)가 주변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전술된 순서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저온-냉각제 순환계(14)의 냉각제-공기-열교환기(15)로는 상응하는 온도를 갖는 차가운 주변 공기가 직접 유입된다.
2차 냉매 순환계(7) 내에서의 응축 온도 및 가능한 충전 공기 냉각과 관련하여 최대의 효율을 갖는 공기 조화 시스템(1)의 작동으로 인해, 그리고 고전압 배터리의 온도와 같은 부품 고유의 여러 가지 이유에서, 저온-냉각제 순환계(14) 내에서 순환하는 냉각제의 온도는 가급적 낮다.
1차 냉매 순환계(2)의 냉매-공기-열교환기(4)는 주변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저온-냉각제 순환계(14)의 냉각제-공기-열교환기(15) 뒤에 배치되어 있다. 냉매-공기-열교환기(4)를 통해서 흐르는 공기의 온도는 공기 조화 시스템(1)의 작동 모드에 따라 주변 공기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냉매-공기-열교환기(4)를 통해서 흐르는 공기가 냉각제-공기-열교환기(15)를 관류할 때에 저온-냉각제 순환계(14)로부터 열을 흡수했기 때문이다.
고온-냉각제 순환계(20)의 냉각제-공기-열교환기(21)는 주변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볼 때 1차 냉매 순환계(2)의 냉매-공기-열교환기(4) 뒤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제-공기-열교환기(21)를 통해서 흐르는 공기는 공기 조화 시스템(1)의 작동 모드에 따라 이미 저온-냉각제 순환계(14)로부터 그리고 1차 냉매 순환계(2)로부터 열을 흡수했고, 주변 공기보다 확연하게 더 높은 온도를 갖는다. 그럼에도, 연소 엔진으로서 형성된 구동 엔진(32)에 의해서 발생 되는 열은 냉각제-공기-열교환기(21)를 관류할 때에 공기로 방출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고온-냉각제 순환계(20) 내부에서의 냉각제의 온도 수준이 1차 냉매 순환계(2) 내부에서 고압 상태에서의 냉매의 온도 수준 또는 저온-냉각제 순환계(14) 내부에서의 냉각제의 온도 수준보다 확연하게 더 높기 때문이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1)과 유사하게, 객실의 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냉매 순환계(2) 및 객실의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냉매 순환계(7)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시스템(1')도, 제 2 냉매 순환계(7)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한 제 1 냉각제 순환계(14), 구동 엔진(32)을 냉각시키기 위한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객실의 전방 및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 2 냉각제 순환계(20)를 구비한다.
도 1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1)과 달리, 도 2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1')은, 2차 냉매 순환계(7)와 직접 열적으로 결합 되어 있는, 배터리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35')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냉매-냉각제-열교환기(13)를 통해 2차 냉매 순환계(7)와 결합 되어 있는 배터리-냉각제 순환계(33) 대신에, 열교환기(35')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의 배터리는 직접 냉매에 의해서 냉각된다. 2차 냉매 순환계(7)의 증발기(13a)와 배터리 냉각기(35')는 일체형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직접 냉매에 의해서 냉각된 열교환기(35')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1)에 비해 작동 중에 더 높은 효율을 제공해주는데, 그 이유는 배터리의 폐열이 직접 냉매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공기 조화 시스템(1)의 배터리를 간접적으로 냉각시키는 경우에는, 열이 배터리-냉각제 순환계(33)의 냉각제를 통해 중간 매질로서 전달된다.
공기 조화 시스템(1)의 기능과 공기 조화 시스템(1')의 기능은 동일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과 유사하게, 객실의 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냉매 순환계(2") 및 객실의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냉매 순환계(7")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1")을 보여준다. 이 공기 조화 시스템(1")도, 제 2 냉매 순환계(7")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한 제 1 냉각제 순환계(14), 구동 엔진(32)을 냉각시키기 위한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객실의 전방 및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 2 냉각제 순환계(20), 그리고 고전압 배터리와 같은 전기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35)를 구비하는 제 3 냉각제 순환계(33")를 구비한다.
도 1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1)과 달리, 도 3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1")의 제 3 냉각제 순환계(33")는, 증발기로서 작동되고 칠러로서도 명명되는 냉매-냉각제-열교환기(13")를 통해서 제 1 냉매 순환계(2")와 열적으로 결합 되어 있고, 제 2 냉매 순환계(7")와는 열적으로 결합 되어 있지 않다.
증발기로서 작동되는 냉매-공기-열교환기(6) 및 그 앞에 배치된 팽창 기관(5)을 구비하는 유동 경로와 평행하게, 팽창 기관(11") 및 그 뒤에 배치된 제 3 냉각제 순환계(33")의 냉매-냉각제-열교환기(13")를 구비하는 유동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증발기(6, 13")에는,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앞에 배치된 팽창 기관(5, 11")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병렬로 냉매가 공급된다.
공기 조화 시스템(1")의 실시예는 특히, 고전압 배터리가 자동차의 전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하이브리드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한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는 1차 냉매 순환계(2")와 직접 열적으로 결합 되어 있다. 냉매-냉각제-열교환기(13")를 통해 1차 냉매 순환계(2")와 결합 되어 있는 배터리-냉각제 순환계(33") 대신에,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배터리는 직접 냉매에 의해서 냉각된다. 1차 냉매 순환계(2")의 냉매-냉각제-열교환기와 배터리 냉각기는 일체형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1)과 유사하게, 객실의 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냉매 순환계(2) 및 객실의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냉매 순환계(7)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시스템(1"')도, 제 2 냉매 순환계(7")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한 제 1 냉각제 순환계(14), 구동 엔진(32)을 냉각시키기 위한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객실의 전방 및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 2 냉각제 순환계(20)를 구비한다.
도 1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1)과 달리, 도 4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1"')은, 제 3 냉각제 순환계(33) 및 고전압 배터리를 냉각시키기 위한 배터리 냉각기(35)를 구비하지 않는다.
자동차 객실의 열 관리 및 냉각을 위해, 공기 조화 시스템(1"')에는 순전히 연소 엔진 방식의 구동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전기식 구동 부품이 없기 때문에, 고전압 배터리의 직접적인 냉각 또는 간접적인 냉각도 생략된다.
공기 조화 시스템(1"')의 실시예는 특히, 간접적으로 충전 공기를 냉각시키는 자동차에 간단히 통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냉각제-열교환기(9)를 구비하는 저온-냉각제 순환계(14)는 2차 냉매 순환계(7")로부터 냉매의 방출 열 또는 응축 열을 흡수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충전 공기 냉각을 위해서 그리고 기어 오일 냉각을 위해서도 이용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1)과 유사하게, 객실의 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냉매 순환계(2) 및 객실의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냉매 순환계(7)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1"")을 보여준다. 이 공기 조화 시스템(1"")도, 제 2 냉매 순환계(7)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한 제 1 냉각제 순환계(14""), 구동 엔진(32)을 냉각시키기 위한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객실의 전방 및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 2 냉각제 순환계(20), 그리고 고전압 배터리와 같은 전기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35)를 구비하는 제 3 냉각제 순환계(33)를 구비한다.
도 1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1)과 달리, 도 5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1"")에서는, 제 3 냉매 순환계(36)가 또 다른 2차 냉매 순환계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3 냉매 순환계(36)는 응축기/가스 냉각기(38)로서 작동되는 냉매-냉각제-열교환기(38)를 통해서 제 1 냉각제 순환계(14"")와 열적으로 결합 되어 있다.
제 3 냉매 순환계(36)는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압축기(37), 냉매-냉각제-열교환기(38), 팽창 기관(39) 및 증발기로서 작동되는 냉매-공기-열교환기(40)를 구비한다. 증발기(4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압축기(37)에 의해서 흡인된다. 냉매 순환계(36)는 폐쇄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냉각제 순환계(14"")는, 2차 냉매 순환계(7)로부터 냉매의 방출 열 또는 응축 열을 흡수하기 위해서 그리고 자동차의 상이한 부품(19)으로부터 열을 방출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이외에, 2차 냉매 순환계(36)로부터 냉매의 방출 열 또는 응축 열을 흡수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이 경우, 냉각제는 상이한 유동 경로로 분배된다. 분기 지점(17)으로부터 입구 지점(18)으로 연장되고 냉매-냉각제-열교환기(9)를 구비하는 제 1 유동 경로, 및 분기 지점(41)으로부터 입구 지점(42)으로 연장되고 자동차의 부품(19)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 2 유동 경로 이외에, 냉매-냉각제-열교환기(38)를 구비하는 제 3 유동 경로를 갖는 제 1 냉각제 순환계(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유동 경로에는,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병렬로 냉각제가 공급된다. 냉각제를 분배하기 위해 분기 지점(17, 41)이 각각 3-경로-밸브로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냉각제의 질량 흐름의 비율은 필요에 따라 0 내지 100%에 달할 수 있다.
냉매-냉각제-열교환기(9, 38) 내에서 또는 부품(19)에 의해서 흡수된 열은 냉각제-공기-열교환기(15)를 관류할 때에 주변 공기로 방출된다.
공기 조화 시스템은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또 다른 2차 냉매 순환계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1', 1", 1"')도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또 다른 2차 냉매 순환계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6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1)과 유사하게, 객실의 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냉매 순환계(2""') 및 객실의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냉매 순환계(7""')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1""')이 개시된다. 이 공기 조화 시스템(1""')도, 제 2 냉매 순환계(7""')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한 제 1 냉각제 순환계(14), 구동 엔진(32)을 냉각시키기 위한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객실의 전방 및 후방 영역을 위한 유입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 2 냉각제 순환계(20), 그리고 고전압 배터리와 같은 전기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35)를 구비하는 제 3 냉각제 순환계(33)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1""')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1)에 비해, 1차 냉매 순환계(2""') 및 2차 냉매 순환계(7""')가 각각 하나의 내부 열교환기(43, 44)만큼 확대되었다.
이때, 내부 열교환기(43, 44)는, 고압 상태에서의 냉매와 저압 상태에서의 냉매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기 위해 이용되는, 순환계 내부 열교환기로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고온의 열교환기(43, 44)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응축기/가스 냉각기(4, 9) 내에서 액화된 후에 계속해서 서서히 냉각되거나 응고점 이하로 냉각되는 한편, 그와 동시에 증발기(6, 12, 13)로부터 배출되고 흡입 가스로서 존재하는 냉매는 압축기(3, 8) 내부로의 입구 앞에서 과열된다.
내부 열교환기(43, 44)를 사용함으로써, 냉각 출력 및 공기 조화 시스템(1""')의 효율이 증가된다. 특히, 냉매 R744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내부 열교환기(43, 44)의 사용에 의해서 냉각 출력이 확연하게 증가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공기 조화 시스템이 1차 냉매 순환계 내부에 또는 2차 냉매 순환계 내부에 내부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공기 조화 시스템(1', 1", 1"', 1"") 및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각각의 관련 실시예들도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내부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1, 1, ', 1", 1"': 공기 조화 시스템
1"", 1""': 공기 조화 시스템
2, 2", 2""': 제 1 냉매 순환계, 1차 냉매 순환계
3: 1차 냉매 순환계(2)의 압축기
4: 냉매-공기-열교환기, 응축기/가스 냉각기
5: 팽창 기관
6: 냉매-공기-열교환기, 증발기
7, 7", 7""': 제 2 냉매 순환계, 2차 냉매 순환계
8: 2차 냉매 순환계(7)의 압축기
9: 냉매-냉각제-열교환기, 응축기/가스 냉각기
10, 11, 11": 팽창 기관
12: 냉매-공기-열교환기, 증발기
13, 13": 냉매-냉각제-열교환기, 증발기
13a: 증발기
14, 14"": 제 1 냉각제 순환계, 저온-냉각제 순환계
15: 냉각제-공기-열교환기
16: 저온-냉각제 순환계(14)의 냉각제 펌프
17: 분기 지점
18: 입구 지점
19: 부품
20: 제 1 냉각제 순환계, 고온-냉각제 순환계
21: 냉각제-공기-열교환기
22: 고온-냉각제 순환계(20)의 냉각제 펌프
23: 3-경로-밸브, 제 1 유동 경로(24)의 분기 지점
24: 고온-냉각제 순환계(20)의 제 1 유동 경로
25: 제 1 유동 경로(24)의 입구 지점
26: 제 1 고온 열교환기
27: 분기 지점
28: 고온-냉각제 순환계(20)의 제 2 유동 경로
29: 차단 밸브
30: 제 2 유동 경로(28)의 입구 지점
31: 제 2 고온 열교환기
32: 구동 엔진
33, 33": 제 3 냉각제 순환계, 배터리-냉각제 순환계
34: 배터리-냉각제 순환계(33)의 냉각제 펌프
35, 35': 열교환기, 배터리 냉각기
36; 제 3 냉매 순환계, 제 2의 2차 냉매 순환계
37: 2차 냉매 순환계(36)의 압축기
38; 냉매-냉각제-열교환기, 응축기/가스 냉각기
39: 팽창 기관
40: 냉매-공기-열교환기, 증발기
41: 분기 지점
42: 입구 지점
43, 44: 내부 열교환기

Claims (12)

  1. - 각각 압축기(3, 8), 응축기/가스 냉각기(4, 9)로서 작동되는 열교환기, 하나 이상의 팽창 기관(5, 10, 11, 11") 및 증발기(6, 12, 13, 13a, 13")로서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열교환기를 갖춘, 하나 이상의 1차 냉매 순환계(2, 2", 2""') 및 하나 이상의 2차 냉매 순환계(7, 7", 7""')를 구비하고,
    - 하나 이상의 제 1 냉각제 순환계(14, 14"") 및 하나 이상의 제 2 냉각제 순환계(20)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시스템(1, 1', 1", 1"', 1"", 1""')에 있어서,
    - 상기 제 1 냉매 순환계(2, 2", 2""')의 응축기/가스 냉각기(4)가 주변 공기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매-공기-열교환기(4)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 상기 제 2 냉매 순환계(7, 7", 7""')의 응축기/가스 냉각기(9)가 제 1 냉각제 순환계(14, 14"")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매-냉각제-열교환기(9)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냉각제 순환계(14, 14"")가 저온-냉각제 순환계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 1', 1", 1"', 1"",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냉각제 순환계(20)가 구동 엔진(32)을 냉각시키기 위해 고온-냉각제 순환계로서 형성되어 있고, 객실에 공급될 하나 이상의 공기 질량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온 열교환기(26, 31) 및 주변 공기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각제-공기-열교환기(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 1', 1", 1"', 1"", 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냉각제 순환계(20)가 객실이 유입 공기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각각 제 1 고온 열교환기(26)를 구비하는 제 1 유동 경로(24) 및 제 2 고온 열교환기(31)를 구비하는 제 1 유동 경로(28)를 구비하며, 상기 유동 경로(24, 28)가 각각 분기 지점(23, 27)으로부터 입구 지점(25, 30)까지 연장되고, 상기 유동 경로(24, 28)에는 상호 무관하게 냉각제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 1', 1", 1"', 1"", 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각제 순환계(14, 14"")가 제 2 냉매 순환계(7, 7", 7""')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해 냉매-냉각제-열교환기(9)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고, 자동차의 열을 발생하는 부품(19)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해 상이한 유동 경로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주변 공기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각제-공기-열교환기(15)를 구비하며, 상기 유동 경로들이 각각 분기 지점(17)으로부터 입구 지점(18)까지 연장되고, 상기 유동 경로들에는 상호 무관하게 냉각제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 1', 1", 1"', 1"", 1""').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냉각제 순환계(33, 33")가 냉각제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열교환기(35), 및 냉매를 위한 증발기로서 형성되었고 냉매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매-냉각제-열교환기(13, 13")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 1", 1"", 1""').
  6. 제 5 항에 있어서,
    냉매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냉매-냉각제-열교환기(13, 13")가 상기 제 2 냉매 순환계(7, 7""')의 한 부품으로서 또는 상기 제 1 냉매 순환계(2, 2")의 한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 1", 1"", 1""').
  7. 제 1 항에 있어서,
    냉매용 증발기(13a)로서 형성된 열교환기와 조합된 열교환기(35')가 냉매로 열을 직접 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3a)가 제 2 냉매 순환계(7)의 한 부품으로서 또는 상기 제 1 냉매 순환계(2)의 한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
  9.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냉매 순환계(2", 2""', 7, 7""')가 각각 증발기(6, 12, 13, 13a, 13")로서 작동되는 열교환기 및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앞에 배치된 팽창 기관(5, 10, 11, 11")을 갖춘 2개의 유동 경로를 구비하며, 상기 유동 경로들이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유동 경로들에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병렬로 냉매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 1', 1", 1"', 1"", 1""').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순환계(2""', 7""') 중 하나 이상이 고압 상태의 냉매와 저압 상태의 냉매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기 위한 내부 열교환기(43, 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
  11.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 3 냉매 순환계(36)가 압축기(37), 응축기/가스 냉각기(38)로서 작동되는 열교환기, 하나 이상의 팽창 기관(39) 및 증발기(40)로서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2차 냉매 순환계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가스 냉각기(38)가 제 1 냉각제 순환계(14"")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냉매-냉각제-열교환기(38)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각제 순환계(14"")가 냉매-냉각제-열교환기(9)를 구비하는 제 2 냉매 순환계(7)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해, 자동차의 열을 발생하는 부품(19)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해, 그리고 냉매-냉각제-열교환기(38)를 구비하는 제 3 냉매 순환계(36)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해 상이한 유동 경로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 경로들은 각각 분기 지점(17, 41)으로부터 입구 지점(18, 42)까지 연장되고, 상기 유동 경로들에는 상호 독립적으로 냉각제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
KR1020170067463A 2016-07-01 2017-05-31 자동차용 공기 조화 시스템 KR101971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2089.8 2016-07-01
DE102016112089.8A DE102016112089B4 (de) 2016-07-01 2016-07-01 Klimatisier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985A true KR20180003985A (ko) 2018-01-10
KR101971062B1 KR101971062B1 (ko) 2019-08-27

Family

ID=60662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463A KR101971062B1 (ko) 2016-07-01 2017-05-31 자동차용 공기 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1062B1 (ko)
DE (1) DE102016112089B4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361A (ko) * 2018-01-24 2019-08-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열 시스템 및 상기 열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20200026697A (ko) * 2018-09-03 2020-03-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열 관리 어레인지먼트 및 열 관리 어레인지먼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20200107478A (ko) * 2019-03-08 2020-09-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WO2020184869A1 (ko) * 2019-03-08 2020-09-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WO2021261320A1 (ja) * 2020-06-23 2021-12-30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車両用冷却装置
CN114174108A (zh) * 2019-07-17 2022-03-11 戴姆勒股份公司 车辆用冷却装置
KR20240009200A (ko) 2022-07-13 2024-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종 냉매가 적용된 차량의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1987B (zh) * 2019-07-15 2024-02-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散热器、控制器、光伏用电设备和散热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208B2 (ja) * 1991-02-18 1996-11-13 関西電力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JP2006321389A (ja) * 2005-05-19 2006-11-30 Denso Corp 車両用廃熱利用装置
JP2013075628A (ja) * 2011-09-30 2013-04-25 Daikin Industries Ltd 自動車用温調システム
KR20130058918A (ko) * 2011-11-28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캐스케이드 히트펌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8564A1 (de) 2004-04-22 2006-01-26 Webasto Ag Heiz- und Klimatisier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7228707B2 (en) 2004-10-28 2007-06-12 Carrier Corporation Hybrid tandem compressor system with multiple evaporators and economizer circuit
DE102010051976B4 (de) 2010-11-19 2017-11-23 Audi Ag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US20130145781A1 (en) 2011-05-16 2013-06-13 Carrier Corporation Multi-Compressor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208B2 (ja) * 1991-02-18 1996-11-13 関西電力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JP2006321389A (ja) * 2005-05-19 2006-11-30 Denso Corp 車両用廃熱利用装置
JP2013075628A (ja) * 2011-09-30 2013-04-25 Daikin Industries Ltd 自動車用温調システム
KR20130058918A (ko) * 2011-11-28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캐스케이드 히트펌프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361A (ko) * 2018-01-24 2019-08-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열 시스템 및 상기 열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20200026697A (ko) * 2018-09-03 2020-03-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열 관리 어레인지먼트 및 열 관리 어레인지먼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20200107478A (ko) * 2019-03-08 2020-09-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WO2020184869A1 (ko) * 2019-03-08 2020-09-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CN113557353A (zh) * 2019-03-08 2021-10-26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用于车辆的热管理系统
US20220181722A1 (en) * 2019-03-08 2022-06-09 Hanon Systems Vehicular heat management system
CN113557353B (zh) * 2019-03-08 2024-03-08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用于车辆的热管理系统
US11936029B2 (en) * 2019-03-08 2024-03-19 Hanon Systems Vehicular heat management system
CN114174108A (zh) * 2019-07-17 2022-03-11 戴姆勒股份公司 车辆用冷却装置
CN114174108B (zh) * 2019-07-17 2024-03-15 戴姆勒卡车股份公司 车辆用冷却装置
WO2021261320A1 (ja) * 2020-06-23 2021-12-30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車両用冷却装置
KR20240009200A (ko) 2022-07-13 2024-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종 냉매가 적용된 차량의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112089A1 (de) 2018-01-04
KR101971062B1 (ko) 2019-08-27
DE102016112089B4 (de)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062B1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시스템
JP6751457B2 (ja) 自動車の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その作動方法
KR101656583B1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시스템
US11413931B2 (en) Vehicle-mounted temperature controller
US10737552B2 (en) Vapor injection heat pump and control method
KR101933166B1 (ko) 차량 공조 장치 및 차량 배터리의 온도 조절을 위해 상기 차량 공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9242527B2 (en) Refrigerant circuit of an HVAC system of a motor vehicle
US10215450B2 (en) Heating, ventilation and/or air-conditioning equipment comprising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battery,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US11752833B2 (en) System for air-conditioning the air of a passenger compartment and for heat transfer with drive components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KR102210277B1 (ko)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용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작동 방법
KR20180083791A (ko) 냉매 회로, 특히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포함한 차량들용 냉매 회로 및 상기 냉매 회로의 작동 방법
CN116583420A (zh) 用于电池供电车辆的具有冷却器的热泵组件和操作热泵组件的方法
KR101952109B1 (ko) 자동차의 객실 공기를 조화하고 드라이브 컴포넌트들을 이용해 열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20190044538A (ko) 자동차의 열 시스템 및 열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CN115768639A (zh) 电池供电机动车辆的具有间接电池加热的热泵布置和操作热泵布置的方法
KR101952115B1 (ko)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 및 드라이브 부품 냉각 시스템 그리고 상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CN112895843A (zh) 用于机动车的热管理系统和具有这种热管理系统的机动车
US20230406072A1 (en) Refrigeration Circuit, and Heat Management System and Motor Vehicle Having a Refrigeration Circuit of This Type
US20230339293A1 (en) System for air-conditioning the air of a passenger compartment and for heat transfer by way of components of a powertrain of a motor vehicle, as well as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CN113752779B (zh) 车辆的热系统控制
US11607925B2 (en) Method for a thermal management of a motor vehicle
KR20200115099A (ko) 승객실의 에어 컨디셔닝 및 자동차의 구동 부품과의 열 전달을 위한 시스템 및 시스템 작동 방법
KR20190045854A (ko) 자동차 객실의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 시스템 및 공조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CN219838413U (zh) 车辆及其热管理系统
KR20230091160A (ko) 자동차의 열 시스템 및 열 시스템 작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