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628A - Ap에 접속된 sta에 대한 재연관 시간 감소 - Google Patents

Ap에 접속된 sta에 대한 재연관 시간 감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628A
KR20180003628A KR1020177037109A KR20177037109A KR20180003628A KR 20180003628 A KR20180003628 A KR 20180003628A KR 1020177037109 A KR1020177037109 A KR 1020177037109A KR 20177037109 A KR20177037109 A KR 20177037109A KR 20180003628 A KR20180003628 A KR 20180003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ssociation
request
sta
communication device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3391B1 (ko
Inventor
사친 아후자
가네쉬 콘다바티니
가네쉬 바부 쿠마라벨
무쿨 샤르마
비듈라타 칸챠나팔리
산토시 쿠마 파드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0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04W76/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액세스 포인트(AP)에 스테이션(STA)을 재연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STA는 AP와의 재연관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AP에 재연관 요청을 전송한다. 재연관 요청은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핸드셰이크 동작이 바이패스될 것임을 표시한다. STA는 재연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AP로부터 재연관 응답을 수신하고, 재연관 응답의 수신시, 선재하는 암호화 키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인에이블한다. 예를 들어, 선재하는 암호화 키들의 세트는 이전 연관 프로세스 또는 이전 재연관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 동안 AP와 협의될 수 있다.

Description

AP에 접속된 STA에 대한 재연관 시간 감소
[0001] 본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간의 재연관 시간 감소에 관한 것이다.
[0002] Wi-Fi 네트워크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또는 스테이션(STA: station)들에 무선 통신 채널 또는 링크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AP와 STA 간의 Wi-Fi 접속 설정은 일반적으로, STA와 AP가 서로 데이터 교환을 시작할 수 있기 전에 (순서대로) 완료되어야 하는 다수의 단계들을 수반한다. 먼저, STA는 (예컨대, 프로브 요청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그리고/또는 비컨 프레임들을 청취함으로써) 이용 가능한 모든 채널들을 스캐닝하여 Wi-Fi 통신 범위 내에 있는 AP들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을 식별한다. 이용 가능한 각각의 AP는 해당 AP의 네트워크에 관계된 기본 서비스 세트(BSS: basic service set)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을 다시 전송함으로써 프로브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다음에, STA는 연관된 네트워크 정보를 기초로, AP들 중 접속할 하나의 AP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STA는 가장 높은 신호 세기를 갖는 AP를 선택할 수 있다. 그 다음, STA는 선택된 AP에 인증하고 연관한다. 마지막으로, STA는 AP와 4-방향 핸드셰이크를 수행하여, 디바이스들 간에 전달되는 데이터를 암호화(및 복호화)하기 위한 동적 키들을 생성한다.
[0003] 일단 접속되면, STA는 (예컨대, AP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특징들 또는 능력들을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함으로써) 이후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접속 설정들을 변경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는 AP에 (예컨대, 업데이트된 설정들과 함께) 재연관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AP와의 접속 설정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재연관이 성공적이라면, AP는 업데이트된 설정들의 수락을 표시하는 재연관 응답을 다시 STA에 전송할 수 있다. 성공적인 재연관에는 일반적으로, STA와 AP 간의 다른 핸드셰이크 동작이 뒤따른다. 이러한 핸드셰이크는, STA가 처음에 AP에 연관할 때(예컨대, STA와 AP 간의 접속이 처음 설정되었을 때) 수행되는 핸드셰이크 동작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유사하고, 상당한 양의 시간을 소모할 수 있다.
[0004] 이 발명의 내용은 아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설명되는 개념들의 선택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발명의 내용은 청구 대상의 핵심적인 특징들 또는 본질적인 특징들을 확인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도, 청구 대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도 아니다.
[0005] 무선 스테이션(STA)과 액세스 포인트(AP) 간의 재연관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STA는 재연관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재연관 요청을 AP에 전송한다. 재연관 요청은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핸드셰이크 동작이 바이패스될 것임을 표시한다. STA는 AP로부터 재연관 요청의 수락을 표시하는 재연관 응답을 수신하고, 재연관 응답의 수신시, 선재하는 암호화 키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인에이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재하는 암호화 키들은 이전 연관 프로세스 또는 이전 재연관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 동안 AP와 협의될 수 있다.
[0006] 핸드셰이크 동작은 STA와 AP 간의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한 확장 가능 인증(EAPoL: Extensible Authentication over Local Area Network) 프레임들의 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재연관 요청은 핸드셰이크 동작이 바이패스될 것임을 표시하는 벤더 특정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재연관 요청의 시퀀스 제어 필드는 핸드셰이크 동작이 바이패스될 것임을 표시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0007] STA는 STA가 여전히 연관되어 있는 AP에 재연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재연관 요청은 AP와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접속 설정들을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는 STA 상에서 블루투스 통신들을 인에이블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AP에 재연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재연관 요청은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에 대한 예정 외 자동 절전 전달(U-APSD: unschedule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을 디세이블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의 경우, STA는 STA 상에서 블루투스 통신들을 디세이블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AP에 재연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재연관 요청은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에 대한 U-APSD를 인에이블하는 것일 수 있다.
[0008]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동작 방법들은 무선 스테이션이 액세스 포인트에 신속히 재연관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무선 스테이션은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에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여 액세스 포인트와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접속 설정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스테이션이 액세스 포인트에 이미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다른 핸드셰이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불필요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다. (예컨대, 이전 연관 또는 재연관 이벤트 동안 협의된) 선재하는 암호화 키들을 사용함으로써, 무선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핸드셰이크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서로 신속하게 재연관할 수 있다.
[0009] 본 실시예들은 예로서 예시되며 첨부 도면들의 도면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들 및 명세서 전반에서 유사한 번호들은 유사한 엘리먼트들에 참조 표시를 한다.
[0010]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무선 시스템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0011] 도 2는 무선 스테이션(STA)과 액세스 포인트(AP) 간의 고속 재연관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시퀀스도를 보여준다.
[0012] 도 3a - 도 3b는 STA와 접속된 AP 사이의 무선 접속 설정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동작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타이밍도들을 보여준다.
[0013]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STA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0014]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AP)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0015] 도 6은 예시적인 고속 재연관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보여준다.
[0016] 도 7은 재연관 동안 핸드셰이크를 선택적으로 바이패스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보여준다.
[0017]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아래에서 단지 단순성을 위해 WLAN 시스템들에 관련하여 설명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예컨대, 셀룰러 네트워크들, 피코 네트워크들, 펨토 네트워크들, 위성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유선 표준들 또는 프로토콜들(예컨대, 이더넷 및/또는 HomePlug/PLC 표준들)의 신호들을 사용하는 시스템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WLAN" 및 "Wi-Fi®"라는 용어들은 IEEE 802.11 표준군, BLUETOOTH®(블루투스), HiperLAN(유럽에서 주로 사용되며, IEEE 802.11 표준들과 비교할 만한 무선 표준들의 세트), 및 비교적 짧은 무선 전파 범위를 갖는 다른 기술들에 의해 통제되는 통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WLAN" 및 "Wi-Fi"라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하기에서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AP들 및 다수의 STA들을 포함하는 인프라구조 WLAN 시스템에 관해 설명되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다수의 WLAN들, 피어 투 피어(또는 독립적인 기본 서비스 세트) 시스템들, Wi-Fi Direct 시스템들 및/또는 핫스팟들을 포함하는 다른 WLAN 시스템들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0018] 추가로, 본 명세서에서는 무선 디바이스들 간 데이터 프레임들의 교환에 관해 설명되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무선 디바이스들 간의 임의의 데이터 유닛, 패킷 및/또는 프레임의 교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프레임, 패킷, 또는 예를 들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들,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 MAC protocol data unit)들 및 물리 계층 컨버전스 프로시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rotocol data unit)들과 같은 데이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MPDU"라는 용어는 집성된 MPDU들을 의미할 수 있다.
[0019] 다음 설명에서는, 본 개시내용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컴포넌트들, 회로들 및 프로세스들의 예들과 같이 많은 특정 세부사항들이 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연결된"이라는 용어는 직접 접속되는 것 또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개입 컴포넌트들 또는 회로들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접속된 AP"라는 용어는 주어진 STA가 현재 연관되어 있는 그리고/또는 접속되어 있는 AP(예컨대, AP와 주어진 STA 사이에 설정된 통신 채널 또는 링크가 존재함)를 의미한다.
[0020] 또한, 다음 설명에서 그리고 설명을 목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도록 특정 명명법이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실시하는 데 필요하지 않을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는, 본 개시내용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잘 알려진 회로들 및 디바이스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들의 일부 부분들은 컴퓨터 메모리 내의 데이터 비트들에 대한 연산들의 프로시저들, 로직 블록들, 처리 및 다른 심벌 표현들에 관해 제시된다. 이러한 설명들 및 표현들은 데이터 처리 기술들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이들의 작업의 요지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다른 자들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이다. 본 출원에서, 프로시저, 로직 블록, 프로세스 등은 원하는 결과로 이어지는 단계들이나 명령들의 자기 부합적 시퀀스로 이해된다. 단계들은 물리량들의 물리적 조작들을 필요로 하는 것들이다. 대개,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양들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저장, 전송, 결합, 비교될 수 있고 달리 조작될 수 있는 전기 또는 자기 신호들의 형태를 취한다.
[0021] 그러나 이러한 그리고 유사한 용어들 전부는 적절한 물리량들과 연관되어야 하며 단지 이러한 양들에 적용되는 편리한 표시들일 뿐임을 유념해야 한다. 다음 논의들로부터 명백하듯이 달리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는 한, 본 출원 전반에서 "액세스," "수신," "전송," "사용," "선택," "결정," "정규화," "곱셈," "평균," "모니터링," "비교," "적용," "업데이트," "측정," "도출" 등과 같은 용어들을 이용하는 논의들은 컴퓨터 시스템의 레지스터들 및 메모리들 내에서 물리적(전자적) 양들로서 표현되는 데이터를 조작하고 이를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들 또는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이러한 정보 저장, 송신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내에서 물리량들로서 유사하게 표현되는 다른 데이터로 변환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유사한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의 동작들 및 프로세스들을 의미한다고 인식된다.
[0022] 도면들에서, 단일 블록은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지만; 실제 실시에서, 그 블록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또는 기능들은 단일 컴포넌트에서 또는 다수의 컴포넌트들에 걸쳐 수행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각종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좌우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특정 애플리케이션마다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또한, 예시적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프로세서, 메모리 등과 같은 잘 알려진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도시된 것들 이외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23] 특정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또는 컴포넌트들로서 설명되는 임의의 특징들은 또한 통합된 로직 디바이스로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별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술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실행될 때 앞서 설명한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비-일시적 프로세서 판독 가능 데이터 저장 매체는 패키징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0024] 비-일시적 프로세서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이를테면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다른 공지된 저장 매체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이 기술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코드를 운반 또는 전달하고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판독 및/또는 실행될 수 있는 프로세서 판독 가능 통신 매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0025]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명령들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 이를테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들,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들, 주문형 명령 세트 프로세서(ASIP: application specific instruction set processor)들,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또는 다른 대등한 집적 또는 이산 로직 회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프로세서"라는 용어는 앞서 말한 구조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의 구현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구조 중 임의의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추가로, 일부 양상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성된 전용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하드웨어 모듈들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 기술들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회로들 또는 로직 엘리먼트들로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26]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무선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무선 시스템(100)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110), 무선 스테이션(STA)(120) 및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15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WLAN(150)은 IEEE 802.11 표준군에 따라(또는 다른 적합한 무선 프로토콜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복수의 Wi-Fi 액세스 포인트(AP)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성을 위해 도 1에는 단 하나의 AP(110)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WLAN(150)은 AP(110)와 같은 임의의 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AP(110)에는 고유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도 1에서 WLAN(150)은 인프라구조 기본 서비스 세트(BSS)로서 도시되지만,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경우에, WLAN(150)은 독립적인 기본 서비스 세트(IBSS: independent basic service set), 애드 혹 네트워크, 또는 (예컨대, Wi-Fi Direct 프로토콜들에 따라 동작하는) 피어 투 피어(P2P: peer-to-peer) 네트워크일 수 있다.
[0027] STA(120)는 예를 들어, 셀 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 태블릿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Wi-Fi 가능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STA(120)는 또한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전문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STA(120)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트랜시버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처리 자원들(예컨대, 프로세서들 및/또는 ASIC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메모리 자원들 및 전원(예컨대,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자원들은 도 6에 관해 하기에 설명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예컨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비휘발성 메모리 엘리먼트들, 이를테면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0028] AP(110)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디바이스들이 Wi-Fi, 블루투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무선 통신 표준들을 사용하여 AP(110)를 통해 네트워크(예컨대, 근거리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대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및/또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AP(110)는 소프트웨어 가능 액세스 포인트("SoftAP(software-enabled access point)")로서 작동하는 (예컨대, 무선 STA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의 경우, AP(110)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트랜시버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처리 자원들(예컨대, 프로세서들 및/또는 ASIC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메모리 자원들 및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자원들은 도 7에 관해 하기에 설명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예컨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비휘발성 메모리 엘리먼트들, 이를테면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0029] AP(110) 및/또는 STA(120)에 대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트랜시버들은 무선 통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Wi-Fi 트랜시버들, 블루투스 트랜시버들, 셀룰러 트랜시버들, 및/또는 다른 적합한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트랜시버들(단순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트랜시버는 별개의 동작 주파수 대역들에서 그리고/또는 별개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트랜시버는 IEEE 802.11 규격에 따라 2.4 ㎓ 주파수 대역 내에서 그리고/또는 5 ㎓ 주파수 대역 내에서 통신할 수 있다. 셀룰러 트랜시버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기술된 4G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프로토콜에 따라(예컨대, 대략 700 ㎒ 내지 대략 3.9 ㎓) 그리고/또는 다른 셀룰러 프로토콜들(예컨대,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RF 주파수 대역들 내에서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트랜시버들은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트랜시버, 이를테면 ZigBee 규격에 의해 기술된 ZigBee 트랜시버, WiGig 트랜시버, 및/또는 HomePlug 얼라이언스로부터의 규격들에 기술된 HomePlug 트랜시버일 수 있다.
[0030] 초기 Wi-Fi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STA(120)가 AP(110)에 프로브 요청들을 송신 또는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브 요청은 STA(120)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통신 능력들을 표시할 수 있다. AP(110)가 STA(120)로부터 프로브 요청을 수신하면, AP(110)는 AP(110)에 의해 지원되는 능력들과 교차하는, 프로브 요청에서 제공된 정보를 미러링하는 프로브 응답을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AP(110)로부터 프로브 응답의 수신시, STA(120)는 AP(110)에 인증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요청은 IEEE 802.11 규격에 의해 기술된 저 레벨 인증 메커니즘을 트리거할 수 있다. AP(110)는 STA(120)에 다시 인증 응답을 전송함으로써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인증 프로세스를 완료한다.
[0031] 일단 인증되면, STA(120)는 다음에 AP(110)에 연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관 요청은 STA(120)와 AP(110) 사이의 데이터 통신들에 사용될 (예컨대, IEEE 802.11 규격에 따른)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요청된 능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AP(110)가 연관 요청에 표시된 요청된 능력들을 지원할 수 있다면, AP(110)는 STA(120)에 대한 연관 ID(AID: Association ID)를 생성하고 다시 STA로 연관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AP(110)는 2개의 디바이스들 간의 데이터 통신들을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데 사용될 동적 키들을 생성하기 위해 핸드셰이크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셰이크 동작은 IEEE 802.11 규격에 기술된 바와 같이, 4-방향 핸드셰이크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STA(120)과 AP(110)가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한 확장 가능 인증(EAPoL) 프레임들을 서로 교환하여 PTK(Pairwise Transient Key) 및/또는 데이터 암호화(및 복호화)에 사용될 다른 암호화 키들을 생성한다. 핸드셰이크가 완료되면, STA(120)가 AP(110)(그리고 WLAN(150))에 접속된다.
[0032] IEEE 802.11 규격은 또한, AP(110)에 재연관하기 위해 STA(120)에 의해 개시될 수 있는 재연관 프로세스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STA(120)가 (본의 아니게 또는 고의로) AP(110)로부터 접속이 끊어진 후 STA(120)는 AP(110)에 재연관하도록 시도할 수 있다. STA(120)는 AP(110)에 재연관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재연관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재연관 요청은 STA(120)와 AP(110) 사이의 초기 접속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 연관 요청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런 다음, AP(110)는 재연관 요청을 수락하거나 거부하는 재연관 응답을 다시 STA(120)에 전송할 수 있다. 재연관 요청이 수락된다면, AP(110)는 2개의 디바이스들 간의 데이터 통신들을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데 사용될 새로운 세트의 동적 키들을 생성하기 위해 STA(120)와의 다른 핸드셰이크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0033]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연관 메커니즘은 종래에는 STA(120)와 AP(110) 사이의 끊어진 접속 또는 통신 링크를 복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STA(120)와 AP(110) 사이의 새로운 통신 세션을 위해 일반적으로는 새로운 세트의 암호화 키들이 생성된다. 그러나 일부 경우들에는, STA(120)는 AP(110)에 대한 접속을 유지하면서 AP(110)와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접속 설정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재연관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WLAN(150)으로부터의 접속을 끊지 않고, STA(120)는 STA(120)와 AP(110) 사이의 데이터 통신들에 사용될 요청된 능력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능력을 인에이블 및/또는 디세이블하도록 재연관 요청을 AP(110)에 전송할 수 있다.
[0034] 예를 들어,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STA(120)는 스테이션이 AP(110)에 전송할(그리고/또는 이로부터 수신할) 데이터가 없을 때, 저 전력 유휴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 IEEE 802.11e 규격은, STA(120)가 AP(110)에 예정 외 자동 절전 전달(U-APSD)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언제라도(예컨대, 비컨 프레임 및/또는 TIM 정보를 기다리지 않고) AP(110)와 계획되지 않은 서비스 기간을 개시할 수 있게 하는 U-APSD 메커니즘을 정의한다. 이는 STA(120)가 (예컨대, AP(110)로부터 비컨 프레임들을 수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할 필요 없이) 더욱 긴 지속기간들 동안 저 전력 유휴 상태를 유지하면서 WLAN(150)과의 접속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0035] 일부 경우들에는, U-APSD 메커니즘을 동적으로 인에이블 및/또는 디세이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120)는 (예컨대, 블루투스 공존 모드에서) AP(110)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블루투스(BT: Bluetooth) 디바이스(130)와의 블루투스 접속을 활성화할 수 있다. STA(120)는 블루투스 접속이 활성인 동안에는 저 전력 유휴 상태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STA(120)와 BT 디바이스(130) 간 블루투스 접속의 활성화시에 STA(120)와 AP(110) 사이의 Wi-Fi 접속에 대한 U-APSD를 디세이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STA(120)와 BT 디바이스(130) 간의 블루투스 접속이 비활성화되면, STA(120)와 AP(110) 사이의 Wi-Fi 접속에 대한 U-APSD를 인에이블(또는 다시 인에이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0036] U-APSD 메커니즘을 인에이블 및/또는 디세이블하기 위해, STA(120)는 업데이트된 접속 설정들과 함께 (예컨대, U-APSD가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되어야 함을 표시하는) 재연관 요청을 AP(11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런 다음, AP(110)는 업데이트된 접속 설정들의 수락 또는 거부를 표시하는 재연관 응답을 다시 STA(120)에 전송할 수 있다. 종래에는, IEEE 802.11 규격에 따라, AP(110)가 재연관 요청의 수락시 새로운 세트의 암호화 키들을 협의하기 위해 STA(120)와의 다른 핸드셰이크 동작을 개시할 것이다. 그러나 STA(120)는 재연관 요청을 전송할 때 이미 AP(110)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후속 핸드셰이크 동작이 불필요할 수 있다. 더욱이, STA(120)는 핸드셰이크가 완료될 때까지 AP(110)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개시할 수 없으며, 이는 상당한 양의 시간을 소모할 수 있다.
[0037]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STA(120)는 핸드셰이크 동작을 바이패스함으로써, 접속된 AP와의 고속 재연관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는데, 이와 다르게 종래의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에는 이러한 핸드셰이크 동작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시퀀스도(200)를 참조하면, STA(120)는 AP(110)에 고속 재연관 요청(FRR: fast re-association request) 프레임(101)을 전송함으로써 고속 재연관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고속 재연관 요청 프레임(101)이 수락된다면(예컨대, STA(120)가 이미 WLAN(150)에 접속되어 있다고 AP(110)가 결정한다면), AP(110)는 후속 핸드셰이크 동작을 개시하지 않고 STA(120)로 다시 재연관 응답(102)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TA(120)와 AP(110)는 선재하는 암호화 키들의 세트(예컨대, STA(120)와 AP(110) 사이의 이전 핸드셰이크 동작 동안 협의된 키들)를 사용하여 Wi-Fi 링크를 통한 통신으로 진행할 수 있다(103).
[0038]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FRR 프레임(101)은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핸드셰이크 동작을 바이패스하라는 요청을 표시하는 벤더 특정 정보 엘리먼트(VSIE: vendor-specific 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 FRR 프레임(101)은 재연관 요청 프레임의 시퀀스 제어 필드를 수정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재연관 요청 프레임의 시퀀스 제어 필드는 프레그먼트 번호(예컨대, 비트 B0 - 비트 B3) 및 시퀀스 번호(예컨대, 비트 B4 - 비트 B1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그먼트 번호는 일반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예컨대, 비트 B0 - 비트 B3은 "0"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따라서 STA(120)는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핸드셰이크 동작을 바이패스하라는 요청을 표시하도록 (예컨대, 비트 B0 - 비트 B3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비트를 "1"로 설정함으로써) 재연관 요청 프레임의 프레그먼트 번호를 수정할 수 있다.
[0039] 도 3a - 도 3b는 STA와 접속된 AP 사이의 무선 접속 설정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동작을 각각 도시하는 예시적인 타이밍도들(300A, 300B)을 보여준다. 본 명세서에서의 논의를 위해, STA 및 AP는 각각 도 1의 STA(120) 및 AP(110)일 수 있다.
[0040] 도 3a를 참조하면, STA는 처음에 (예컨대, t0 시점에서부터 t2 시점까지)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스캐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는 t0 시점에서 AP와 연관된 무선 채널 상에서 프로브 요청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브 요청은 STA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통신 능력들을 표시할 수 있다. AP는 t1 시점에 STA로 다시 프로브 응답을 전송함으로써 프로브 요청에 응답한다. 예를 들어, 프로브 응답은 AP에 의해 지원되는 능력들과 교차되는, 프로브 요청에서 제공된 정보를 미러링할 수 있다.
[0041] 검출된 AP와의 Wi-Fi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STA와 AP는 (예컨대, t2 시점에서부터 t4 시점까지) 서로 인증하고 (예컨대, t4 시점에서부터 t6 시점까지) 서로 연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인증 도중, STA는 t2 시점에 AP에 인증 요청을 전송하고, AP는 t3 시점에 다시 STA에 인증 응답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인증 요청은 IEEE 802.11 규격에 의해 기술된 저 레벨 인증 메커니즘을 트리거할 수 있다. 연관 도중, STA는 t4 시점에 AP에 연관 요청을 전송하고, AP는 t5 시점에 다시 STA로 연관 응답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연관 프로세스는 STA와 AP가 디바이스들 간의 후속 무선 통신들에 사용될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능력들을 협의할 수 있게 한다.
[0042] 일단 디바이스들이 서로와 연관되면, STA와 AP는 (예컨대, t6 시점에서부터 t10 시점까지) 4-방향 핸드셰이크를 수행하여 접속 프로세스를 완료할 수 있다. AP는 STA와의 성공적인 연관시, t6 시점에 STA에 제1 EAPoL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4-방향 핸드셰이크를 개시할 수 있다. 제1 EAPoL 프레임은 AP와 연관된 논스(nonce) 값(예컨대, ANonce)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STA에 의해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암호화 및/또는 복호화하기 위한 PTK(Pairwise Transient Key)를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STA는 t7 시점에 AP에 제2 EAPoL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제1 EAPoL 프레임에 응답한다. 제2 EAPoL 프레임은 STA와 연관된 논스 값(예컨대, SNonce)뿐만 아니라 메시지 무결성 코드(MIC: message integrity code)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AP에 의해 STA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암호화 및/또는 복호화하기 위한 PTK에 대한 AP 자체의 사본을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0043] AP는 t8 시점에 STA에 제3 EAPoL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제2 EAPoL 프레임에 응답한다. 제3 EAPoL 프레임은 그룹 임시 키(GTK: Group Temporal Key)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STA(그리고 네트워크 내의 다른 STA들)에 의해 AP로부터의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복호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4 그리고 마지막인 EAPoL 프레임이 t9 시점에 STA에 의해 AP에 전송되어 GTK의 수신을 확인한다. AP가 (예컨대, t9 시점에) STA로부터 제4 EAPoL 프레임을 수신하면 STA와 AP 간에 Wi-Fi 접속이 성공적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STA(및/또는 AP)는 t10 시점에 Wi-Fi 링크를 통한 보안 데이터 통신들을 개시할 수 있다.
[0044] 도 3b를 참조하면, STA는 (예컨대, t11 시점에) 디바이스들이 여전히 Wi-Fi 링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동안 AP와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접속 설정들을 업데이트하도록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는 블루투스 디바이스(예컨대, 도 1의 BT 디바이스(130))와의 블루투스 접속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Wi-Fi 접속 설정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STA는 Wi-Fi 링크에 대한 U-APSD를 (예컨대, 블루투스 접속을 활성화한다면) 디세이블하거나 (예컨대, 블루투스 접속을 비활성화한다면) 인에이블하길 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접속 설정들에 대한 업데이트들은 (예컨대, t11 시점에서부터 t13 시점까지) STA와 AP 간의 재연관 프로세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0045] 예를 들어, STA는 t11 시점에 AP에 고속 재연관 요청(FRR)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재연관 프로세스를 트리거할 수 있다. FRR 프레임은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핸드셰이크 동작이 바이패스될 것임을 또한 표시하면서 업데이트된 접속 설정들(예컨대, U-APSD가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될 것임)을 특정할 수 있다. AP는 t12 시점에 STA로 다시 재연관 응답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고속 재연관 요청을 수락 또는 거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는 AP가 업데이트된 접속 설정들을 지원할 수 있다면 그리고 STA가 이미 AP에 접속되어 있다면 고속 재연관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AP가 업데이트된 접속 설정들을 지원할 수 없고 그리고/또는 AP가 Wi-Fi 네트워크로부터 STA의 접속이 현재 끊어졌음을 검출한다면, AP는 고속 재연관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0046] AP가 (예컨대, t12 시점에) 고속 재연관 요청을 수락한다면, AP는 STA에 재연관 응답을 전송한 후, t13 시점에서 즉시 STA와의 통신들을 다시 인에이블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AP는 그 이후, (예컨대, 도 3의 t6 시점에서부터 t9 시점까지의 4-방향 핸드셰이크 동안 이전에 협의된) 선재하는 암호화 키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STA와 통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STA와 AP 간에 새로운 통신 세션이 설정될 때마다(예컨대, 네트워크로부터 STA의 접속이 끊긴 후) 새로운 PTK(그리고 가능하게는 새로운 GTK)가 협의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b의 예에서, STA는 AP에 여전히 접속되어 있는 동안 (예컨대, t11 시점에서) 재연관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STA는 이전에 협의된 PTK 및 GTK를 사용하여 (예컨대, AP에 재연관한 후) AP와 자신의 현재 통신 세션을 재개할 수 있다.
[0047]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STA(400)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STA(400)는 도 1의 STA(12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STA(400)는 PHY 디바이스(410), MAC(420), 프로세서(430), 메모리(440) 및 다수의 안테나들(450(1)-450(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논의를 위해, MAC(420)은 도 4에서 PHY 디바이스(410)와 프로세서(430)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실제 실시예들의 경우, PHY 디바이스(410), MAC(420), 프로세서(430) 및/또는 메모리(440)는 (단순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버스들을 사용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다.
[0048] PHY 디바이스(410)는 적어도 다수의 트랜시버들(411)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412)를 포함한다. 트랜시버들(411)은 직접 또는 (단순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안테나 선택 회로를 통해 안테나들(450(1)-450(n))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시버들(411)은 AP(110) 및/또는 다른 STA들에 신호들을 송신하고 AP(110) 및/또는 다른 STA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도 1을 또한 참조), 주변 환경을 스캐닝하여 인근 액세스 포인트들 및/또는 (예컨대, STA(400)의 무선 범위 내의) 다른 STA들을 검출하고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412)는 프로세서(430) 및/또는 메모리(440)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들을 안테나들(450(1)-450(n))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안테나를 통한 송신을 위해 트랜시버들(411)에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412)는 또한 트랜시버들(411)을 통해 안테나들(450(1)-450(n))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들을 프로세서(430) 및/또는 메모리(440)에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0049] MAC(420)은 적어도 다수의 경쟁 엔진들(421) 및 프레임 포맷화 회로(422)를 포함한다. 경쟁 엔진들(421)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공유 무선 매체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경쟁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공유 무선 매체들을 통해 송신할 패킷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 경쟁 엔진들(421)은 MAC(420)과 별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 경쟁 엔진들(421)은 프로세서(430)에 의해 실행될 때, 경쟁 엔진들(421)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예컨대, 메모리(440)에 저장되거나 MAC(420) 내에 제공된 메모리에 저장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레임 포맷화 회로(422)는 프로세서(430) 및/또는 메모리(440)로부터 수신된 프레임들을 (예컨대, 프로세서(430)에 의해 제공되는 관리 프레임들에 VSIE들을 부가함으로써 그리고/또는 프로세서(430)에 의해 제공되는 관리 프레임들의 기존 필드들을 수정함으로써) 생성 및/또는 포맷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 포맷화 회로(422)는 또한 PHY 디바이스(410)로부터 수신된 프레임들을 (예컨대, PHY 디바이스(410)로부터 수신된 프레임들로부터 MAC 헤더들을 없앰으로써) 다시 포맷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0050] 메모리(440)는 복수의 AP들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AP 프로파일 데이터 저장소(441), 및 복수의 AP들에 대한 연관된 암호화 키 정보를 저장하는 암호화 키 저장소(442)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AP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는 예를 들어, AP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service set identifier), AP의 MAC 어드레스, 채널 정보, RSSI 값들, 굿풋(goodput) 값들,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지원되는 데이터 레이트들, STA(400)와의 접속 이력, (예컨대, AP의 위치에 관한 신뢰 수준 등을 표시하는) AP의 신뢰성 값, 그리고 AP의 동작에 관계되거나 이를 기술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정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 키 정보는 특정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암호화 및/또는 복호화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사용된 PMK, PTK 및/또는 GTK를 포함할 수 있다.
[0051] 메모리(440)는 또한 적어도 다음의 소프트웨어(SW: software) 모듈들을 저장할 수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예컨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비휘발성 메모리 엘리먼트들, 이를테면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STA(400)와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 간의 임의의 적합한 프레임들(예컨대, 데이터 프레임들, 동작 프레임들, 관리 프레임들, 제어 프레임들 등)의 생성 및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 포맷화 및 교환 소프트웨어 모듈(443); 및
Figure pct00002
(예컨대, AP와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접속 설정들을 업데이트하도록) 접속된 AP와의 고속 재연관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한 고속 재연관 소프트웨어 모듈(444).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프로세서(430)에 의해 실행될 때 STA(400)로 하여금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메모리(440)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도 6에 도시된 STA 측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0052] 프로세서(430)는 STA(400)에(예컨대, 메모리(440) 내에) 저장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의 스크립트들 또는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0)는 프레임 포맷화 및 교환 소프트웨어 모듈(443)을 실행하여, STA(400)와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 간의 임의의 적합한 프레임들(예컨대, 데이터 프레임들, 동작 프레임들, 관리 프레임들, 제어 프레임들 등)의 생성 및 교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또한 고속 재연관 소프트웨어 모듈(444)을 실행하여, (예컨대, AP와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접속 설정들을 업데이트하도록) 접속된 AP와의 고속 재연관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0053]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AP(500)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AP(500)는 도 1의 AP(11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AP(500)는 PHY 디바이스(510), MAC(520), 프로세서(530), 메모리(5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0) 및 다수의 안테나들(560(1)-560(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논의를 위해, MAC(520)은 도 5에서 PHY 디바이스(510)와 프로세서(530)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실제 실시예들의 경우, PHY 디바이스(510), MAC(520), 프로세서(530), 메모리(540)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0)는 (단순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버스들을 사용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다.
[0054] PHY 디바이스(510)는 적어도 다수의 트랜시버들(511)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512)를 포함한다. 트랜시버들(511)은 직접 또는 (단순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안테나 선택 회로를 통해 안테나들(560(1)-560(n))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시버들(511)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STA들과,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다른 AP들과, 그리고/또는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512)는 프로세서(530) 및/또는 메모리(540)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들을 안테나들(560(1)-560(n))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안테나를 통한 송신을 위해 트랜시버들(511)에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512)는 또한 트랜시버들(511)을 통해 안테나들(560(1)-560(n))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들을 프로세서(530) 및/또는 메모리(540)에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0055] MAC(520)은 적어도 다수의 경쟁 엔진들(521) 및 프레임 포맷화 회로(522)를 포함한다. 경쟁 엔진들(521)은 공유 무선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경쟁할 수 있으며, 또한 공유 무선 매체를 통해 송신할 패킷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 경쟁 엔진들(521)은 MAC(520)과 별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 경쟁 엔진들(521)은 프로세서(530)에 의해 실행될 때, 경쟁 엔진들(521)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예컨대, 메모리(540)에 저장되거나 MAC(520) 내에 제공된 메모리에 저장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레임 포맷화 회로(522)는 프로세서(530) 및/또는 메모리(540)로부터 수신된 프레임들을 (예컨대, 프로세서(530)에 의해 제공되는 PDU들에 MAC 헤더들을 부가함으로써) 생성 및/또는 포맷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 포맷화 회로(522)는 또한 PHY 디바이스(510)로부터 수신된 프레임들을 (예컨대, PHY 디바이스(510)로부터 수신된 관리 프레임들로부터의 VSIE들을 파싱함으로써) 다시 포맷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005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0)는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단순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WLAN 서버와 직접 또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개입 네트워크들을 통해 통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0)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유선 네트워크들 및/또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백홀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0057] 메모리(540)는 복수의 STA들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STA 프로파일 데이터 저장소(541), 및 복수의 STA들에 대한 연관된 암호화 키 정보를 저장하는 암호화 키 저장소(542)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STA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는 예를 들어, STA의 MAC 어드레스, 이전 AP 개시 채널 사운딩 요청들, 지원 데이터 레이트들, AP(500)와의 접속 이력, 그리고 STA의 동작에 관계되거나 이를 기술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정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 키 정보는 특정 STA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암호화 및/또는 복호화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사용된 PMK, PTK 및/또는 GTK를 포함할 수 있다.
[0058] 메모리(540)는 또한 적어도 다음의 소프트웨어(SW) 모듈들을 저장할 수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예컨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비휘발성 메모리 엘리먼트들, 이를테면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AP(500)와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 간의 임의의 적합한 프레임들(예컨대, 데이터 프레임들, 동작 프레임들, 관리 프레임들, 제어 프레임들 등)의 생성 및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 포맷화 및 교환 소프트웨어 모듈(543); 및
Figure pct00004
(예컨대, 고속 재연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핸드셰이크 동작의 개시를 선택적으로 바이패스하거나 아니면 자제하기 위한 핸드셰이크 바이패스 소프트웨어 모듈(544).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프로세서(530)에 의해 실행될 때 AP(500)로 하여금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메모리(540)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도 7에 도시된 AP 측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0059] 프로세서(530)는 AP(500)에(예컨대, 메모리(540) 내에) 저장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의 스크립트들 또는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30)는 프레임 포맷화 및 교환 소프트웨어 모듈(543)을 실행하여, AP(500)와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 간의 임의의 적합한 프레임들(예컨대, 데이터 프레임들, 동작 프레임들, 관리 프레임들, 제어 프레임들 등)의 생성 및 교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또한 핸드셰이크 바이패스 소프트웨어 모듈(544)을 실행하여, (예컨대, 고속 재연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핸드셰이크 동작의 개시를 선택적으로 바이패스하거나 아니면 자제할 수 있다.
[0060] 도 6은 예시적인 고속 재연관 동작(600)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동작(600)은 핸드셰이크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서, 접속된 AP(예컨대, AP(110))에 재연관하기 위해 STA(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61] STA(120)는 먼저, 재연관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AP(110)에 재연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61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재연관 요청은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핸드셰이크 동작이 바이패스될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120)는 핸드셰이크 동작을 바이패스하라는 요청을 재연관 요청 프레임의 VSIE에 표시할 수 있다. 대안으로, STA(120)는 핸드셰이크 동작을 바이패스하라는 요청을 표시하도록 재연관 요청 프레임의 (예컨대, 시퀀스 제어 필드의) 프레그먼트 번호를 수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재연관 요청은 또한 AP(110)와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Wi-Fi 접속 설정들에 대한 업데이트들을 명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경우, 핸드셰이크 동작을 바이패스하라는 요청은 재연관 요청 프레임의 임의의 적합한 필드, 정보 엘리먼트, 헤더, 페이로드 또는 다른 부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의 경우, 핸드셰이크 동작을 바이패스하라는 요청은 동작 프레임, 관리 프레임 또는 제어 프레임의 임의의 적합한 필드, 정보 엘리먼트, 헤더, 페이로드 또는 다른 부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0062] STA(120)는 재연관 요청의 수락을 표시하는 재연관 응답을 AP(110)로부터 수신한다(62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STA(120)가 WLAN(150)에(그리고/또는 AP(110)에) 이미 접속되어 있고 AP(110)가 업데이트된 접속 설정들을 지원할 수 있다면, AP(110)가 재연관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연관 요청을 수락함으로써, AP(110)가 핸드셰이크 동작을 바이패스할 수 있는데, 이와 다르게는 (예컨대, 종래의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에는) STA(120)에 재연관 응답을 전송한 후 이러한 핸드셰이크 동작이 수행될 것이다. 예를 들어, AP(110)는 재연관 응답에 따라 (예컨대, 4-방향 핸드셰이크 동작을 트리거하는) EAPoL 프레임을 STA(120)에 전송하는 것을 자제할 수 있다.
[0063] AP(110)로부터 재연관 요청의 수락을 표시하는 재연관 응답의 수신시, STA(120)는 선재하는 암호화 키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AP(110)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인에이블할 수 있다(63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STA(120)로부터의 재연관 요청을 수락함으로써, AP(110)는 자신의 재연관 응답에 따라 핸드셰이크 동작을 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STA(120)는 재연관 응답의 수신시 AP(110)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즉시 개시할 수 있다. 더욱이, STA(120)는 이미 AP(110)와의 통신 세션에 관여되어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들은 현재 세션으로부터의 암호화 키들(예컨대, STA(120)와 AP(110) 사이의 이전 핸드셰이크 동작 동안 협의된 키들)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들을 암호화 및/또는 복호화할 수 있다.
[0064] 도 7은 재연관 동안 핸드셰이크 동작을 선택적으로 바이패스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700)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동작(700)은 고속 재연관 요청(FRR)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핸드셰이크 동작을 바이패스하기 위해 AP(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65] AP(110)가 STA(120)로부터 FRR 프레임을 수신하고(710), 수신된 FRR 프레임에서 핸드셰이크 동작을 바이패스하라는 요청을 검출한다(720).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AP(110)는 FRR 프레임의 VSIE로부터 핸드셰이크 동작을 바이패스하라는 요청을 디코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AP(110)는 FRR 프레임의 (예컨대, 시퀀스 제어 필드의) 프레그먼트 번호에 대한 수정들에 기반하여 핸드셰이크 동작을 바이패스하라는 요청을 검출할 수 있다.
[0066] 그런 다음, AP(110)는 STA(120)가 이미 AP(110)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730). 예를 들어, STA(120)는 재연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예컨대, STA(120)가 AP(110)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AP(110)와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접속 설정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러나 AP(110)로부터 STA(120)의 접속이 끊어졌다면, STA(120)와 AP(110)는 새로운 통신 세션을 위한 새로운 세트의 암호화 키들을 협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730에서 테스트된 것처럼) STA(120)가 AP(110)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면, AP(110)는 고속 재연관 요청의 거부를 표시하는 재연관 응답을 다시 STA(120)에 전송할 수 있다(780).
[0067] (예컨대, 730에서 테스트된 것처럼) STA(120)가 AP(110)에 접속되어 있다면, AP(110)는 수신된 FRR 프레임에서 제공된 접속 설정들을 자신이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740). 예를 들어, AP(110)가 STA(120)에 의해 요청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접속 설정들(예컨대, U-APSD)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AP(110)가 요청 시점에 이러한 구성을 수용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AP(110)가 자신의 접속 설정들을 STA(120)에 의해 요청된 식으로(예컨대, 740에서 테스트된 것처럼) 업데이트할 수 없다면, AP(110)는 고속 재연관 요청의 거부를 표시하는 재연관 응답을 다시 STA(120)로 전송할 수 있다(780).
[0068] AP(110)가 (예컨대, 740에서 테스트된 것처럼) 요청된 접속 설정들을 지원할 수 있다면, AP(110)는 수신된 FRR 프레임에 기반하여 그 자신의 설정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고(750), 고속 재연관 요청의 수락을 표시하는 재연관 응답 프레임을 다시 STA(120)에 전송할 수 있다(76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고속 재연관 요청을 수락함으로써, AP(110)가 핸드셰이크 동작을 바이패스(765)할 수 있는데, 이와 다르게는 (예컨대, 종래의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에는) STA(120)에 재연관 응답을 전송한 후 이러한 핸드셰이크 동작이 수행될 것이다. 예를 들어, 핸드셰이크 동작을 바이패스함으로써, AP(110)는 (예컨대, 새로운 세트의 암호화 키들을 협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4-방향 핸드셰이크 동작을 트리거할 EAPoL 프레임을 STA(120)에 전송하는 것을 자제할 수 있다.
[0069] 그런 다음, AP(110)는 선재하는 암호화 키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STA(120)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인에이블할 수 있다(77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P(110)는 간단히 STA(120)와의 현재 통신 세션이 재개되게 하면서, 현재 세션으로부터의 암호화 키들(예컨대, PTK 및/또는 GTK)(예컨대, STA(120)와 AP(110) 사이의 이전 핸드셰이크 동작 동안 협의된 키들)을 계속해서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들을 암호화 및/또는 복호화할 수 있다.
[007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AP(110)가 요청하고 있는 STA와의 Wi-Fi 접속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에도, AP(110)는 커스텀 IE를 포함하는 비컨 프레임들을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는 STA가 (예컨대, 수동 스캐닝을 통해) AP(110)를 신속히 식별하는 것 그리고 필요하다면(그리고 필요한 경우) AP(110)와의 Wi-Fi 접속을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0071]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고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각종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좌우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특정 애플리케이션마다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0072]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 시퀀스들 또는 알고리즘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0073] 상기한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보다 넓은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명세서 및 도면들은 이에 따라, 제한적인 의미보다는 예시적인 의미로 여겨져야 한다.

Claims (26)

  1.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 스테이션(STA: station)을 재연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STA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방법은:
    재연관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상기 STA가 상기 AP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AP에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핸드셰이크(handshake) 동작이 바이패스될 것임을 표시함 ―;
    상기 재연관 요청의 수락을 표시하는 재연관 응답을 상기 AP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연관 응답의 수신시, 선재하는(preexisting) 암호화 키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인에이블(enable)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P)에 스테이션(STA)을 재연관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AP와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접속 설정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인,
    액세스 포인트(AP)에 스테이션(STA)을 재연관시키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STA 상에서 블루투스 통신들을 인에이블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에 대한 예정 외 자동 절전 전달(U-APSD: unschedule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을 디세이블(disable)하기 위한 것인,
    액세스 포인트(AP)에 스테이션(STA)을 재연관시키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STA 상에서 블루투스 통신들을 디세이블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에 대한 예정 외 자동 절전 전달(U-APSD)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것인,
    액세스 포인트(AP)에 스테이션(STA)을 재연관시키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셰이크 동작은 상기 STA와 상기 AP 사이의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한 확장 가능 인증(EAPoL: Extensible Authentication over Local Area Network) 프레임들의 교환을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P)에 스테이션(STA)을 재연관시키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하는 암호화 키들의 세트는 이전 연관 프로세스 또는 이전 재연관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 동안 상기 AP와 협의되는,
    액세스 포인트(AP)에 스테이션(STA)을 재연관시키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상기 핸드셰이크 동작이 바이패스될 것임을 표시하는 벤더 특정(vendor-specific)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P)에 스테이션(STA)을 재연관시키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상기 핸드셰이크 동작이 바이패스될 것임을 표시하도록 상기 재연관 요청의 시퀀스 제어 필드를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P)에 스테이션(STA)을 재연관시키는 방법.
  9. 통신 디바이스로서,
    액세스 포인트(AP)에 재연관하기 위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엘리먼트; 및
    상기 명령들의 실행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재연관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AP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AP에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게 하고 ―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핸드셰이크 동작이 바이패스될 것임을 표시함 ―;
    상기 재연관 요청의 수락을 표시하는 재연관 응답을 상기 AP로부터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재연관 응답의 수신시, 선재하는 암호화 키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인에이블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AP와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접속 설정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인,
    통신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의 실행은 추가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블루투스 통신들을 인에이블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게 하고,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에 대한 예정 외 자동 절전 전달(U-APSD)을 디세이블하기 위한 것인,
    통신 디바이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상기 명령들의 실행은 추가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블루투스 통신들을 디세이블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게 하고,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에 대한 예정 외 자동 절전 전달(U-APSD)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것인,
    통신 디바이스.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하는 암호화 키들의 세트는 이전 연관 프로세스 또는 이전 재연관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 동안 상기 AP와 협의되는,
    통신 디바이스.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상기 핸드셰이크 동작이 바이패스될 것임을 표시하는 벤더 특정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의 실행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상기 핸드셰이크 동작이 바이패스될 것임을 표시하도록 상기 재연관 요청의 시퀀스 제어 필드를 수정하게 하는,
    통신 디바이스.
  16. 통신 디바이스로서,
    재연관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AP에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핸드셰이크 동작이 바이패스될 것임을 표시함 ―;
    상기 재연관 요청의 수락을 표시하는 재연관 응답을 상기 AP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재연관 응답의 수신시, 선재하는 암호화 키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AP와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접속 설정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인,
    통신 디바이스.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추가로:
    상기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블루투스 통신들을 인에이블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에 대한 예정 외 자동 절전 전달(U-APSD)을 디세이블하기 위한 것인,
    통신 디바이스.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추가로:
    상기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블루투스 통신들을 디세이블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에 대한 예정 외 자동 절전 전달(U-APSD)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것인,
    통신 디바이스.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키들의 세트는 이전 연관 프로세스 또는 이전 재연관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 동안 상기 AP와 협의되는,
    통신 디바이스.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추가로:
    상기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상기 핸드셰이크 동작이 바이패스될 것임을 표시하도록 상기 재연관 요청의 시퀀스 제어 필드를 수정하기 위한 것인,
    통신 디바이스.
  22.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들은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재연관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AP에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게 하고 ―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재연관 프로세스 동안 핸드셰이크 동작이 바이패스될 것임을 표시함 ―;
    상기 재연관 요청의 수락을 표시하는 재연관 응답을 상기 AP로부터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재연관 응답의 수신시, 선재하는 암호화 키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을 인에이블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AP와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접속 설정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의 실행은 추가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블루투스 통신들을 인에이블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게 하고,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에 대한 예정 외 자동 절전 전달(U-APSD)을 디세이블하기 위한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상기 명령들의 실행은 추가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블루투스 통신들을 디세이블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AP에 상기 재연관 요청을 전송하게 하고,
    상기 재연관 요청은 상기 AP와의 데이터 통신들에 대한 예정 외 자동 절전 전달(U-APSD)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하는 암호화 키들의 세트는 이전 연관 프로세스 또는 이전 재연관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 동안 상기 AP와 협의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77037109A 2015-06-25 2016-05-09 Ap에 접속된 sta에 대한 재연관 시간 감소 KR101873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50,499 2015-06-25
US14/750,499 US9775181B2 (en) 2015-06-25 2015-06-25 Reducing re-association time for STA connected to AP
PCT/US2016/031542 WO2016209382A1 (en) 2015-06-25 2016-05-09 Reducing re-association time for sta connected to 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628A true KR20180003628A (ko) 2018-01-09
KR101873391B1 KR101873391B1 (ko) 2018-07-02

Family

ID=5608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109A KR101873391B1 (ko) 2015-06-25 2016-05-09 Ap에 접속된 sta에 대한 재연관 시간 감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75181B2 (ko)
EP (1) EP3314934A1 (ko)
JP (1) JP6437676B2 (ko)
KR (1) KR101873391B1 (ko)
CN (1) CN107852606A (ko)
BR (1) BR112017027932A2 (ko)
WO (1) WO2016209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4237B2 (en) * 2016-02-08 2018-07-2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hotspot onboarding for user equipment in a network environment
US10735960B2 (en) * 2017-10-31 2020-08-04 Intel Corporation And Intel Ip Corporation Wake up receiver frame authentication
KR101986634B1 (ko) * 2017-11-13 2019-09-30 (주)에프씨아이 사물인터넷 기기의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US10541877B2 (en) * 2018-05-29 2020-01-21 Ciena Corporation Dynamic reservation protocol for 5G network slicing
CN111083804B (zh) * 2020-01-21 2022-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0077B2 (en) 2002-11-26 2008-03-25 Cisco Technology, Inc. 802.11 using a compressed reassociation exchange to facilitate fast handoff
US7275157B2 (en) * 2003-05-27 2007-09-25 Cisco Technology, Inc. Facilitating 802.11 roaming by pre-establishing session keys
US8682279B2 (en) 2004-05-07 2014-03-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upporting emergency calls o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4831066B2 (ja) * 2005-03-15 2011-12-0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認証方式、それを備える無線端末装置と無線基地局、それら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7116209A (ja) * 2005-10-17 2007-05-10 Ricoh Co Ltd 無線lan装置
JP4671422B2 (ja) * 2006-01-31 2011-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れらの表示方法
US7899396B2 (en) * 2006-06-02 2011-03-01 Qulacomm Incorporated Efficient operation for co-located WLAN and Bluetooth
KR100739809B1 (ko) * 2006-08-09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Wpa-psk 환경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스테이션을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1257429B (zh) * 2008-04-14 2011-09-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漫游实现方法和装置
US8812833B2 (en) * 2009-06-24 2014-08-19 Marvell World Trade Ltd. Wireless multiband security
CN101610533B (zh) * 2009-07-13 2011-09-07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访问控制器备份切换的方法和装置
US8630416B2 (en) * 2009-12-21 2014-01-14 Intel Corporation Wireless device and method for rekeying with reduced packet loss for high-throughput wireless communications
CN102404720B (zh) * 2010-09-19 2014-10-08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中密钥的发送方法及装置
GB2495550A (en) * 2011-10-14 2013-04-17 Ubiquisys Ltd An access point that can be used to establish connections with UE devices using both cellular and wifi air interfaces
JP2013118480A (ja) * 2011-12-02 2013-06-13 Panasonic Corp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端末および接続制御方法
US20130196708A1 (en) * 2012-01-31 2013-08-01 Partha Narasimhan Propagation of Leveled Key to Neighborhood Network Devices
US9084111B2 (en) * 2012-02-07 2015-07-14 Arub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eveled security key holder
JP2013197653A (ja) * 2012-03-16 2013-09-30 Panasonic Corp 無線伝送システム
US20130305332A1 (en) * 2012-05-08 2013-11-14 Partha Narasimha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Link Layer and Network Layer Mobility Using Leveled Security Keys
US9578514B2 (en) * 2012-05-10 2017-02-2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ablement
CN103888941B (zh) 2012-12-20 2018-03-06 新华三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密钥协商的方法及装置
US20140273884A1 (en) 2013-03-13 2014-09-18 Qualcomm Incorporated Wlan diversity/mimo using shared antenna
US20140337950A1 (en) * 2013-05-07 2014-11-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10028179B2 (en) 2013-05-31 2018-07-17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signaling during AP to AP handoff in dense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27932A2 (pt) 2018-08-28
US9775181B2 (en) 2017-09-26
EP3314934A1 (en) 2018-05-02
JP2018524909A (ja) 2018-08-30
CN107852606A (zh) 2018-03-27
US20160381718A1 (en) 2016-12-29
JP6437676B2 (ja) 2018-12-12
KR101873391B1 (ko) 2018-07-02
WO2016209382A1 (en)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9993B2 (ja) Staとieee802.11ネットワークのアクセスポイントの間の加速されたリンクセットアップ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356844B2 (en) WWAN-WLAN aggregation security
CA2717282C (en) Handling mismatch of cryptographic keys and related battery drain and communication exchange failures
US11374941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873391B1 (ko) Ap에 접속된 sta에 대한 재연관 시간 감소
US20180184428A1 (en) Associating and securitizing distributed multi-band link aggregation devices
KR101990715B1 (ko)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위한 고속 초기 링크 셋업(fils)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US20170064760A1 (en) Assisted wireless connection setup
US9730252B2 (en) Quick connection between customized softap and STA
US97434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fast link synchronization in WLAN system
US20210014732A1 (en) Rapidly disseminated operational information for wlan management
JP6702595B2 (ja) アクセス認証の方法および装置
US10278068B2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cellular-wireless local area network aggregation
EP3028505B1 (en) Link setup level coordination
EP3119117A1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authentication proced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