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541A - 치료용 임플란트의 표적화된 전달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치료용 임플란트의 표적화된 전달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541A
KR20180003541A KR1020177030140A KR20177030140A KR20180003541A KR 20180003541 A KR20180003541 A KR 20180003541A KR 1020177030140 A KR1020177030140 A KR 1020177030140A KR 20177030140 A KR20177030140 A KR 20177030140A KR 20180003541 A KR20180003541 A KR 20180003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torso
implant
mold
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우탐 엔. 셰티
아론 엠. 위어
로버트 스콧 루소
랜스 웨첼
Original Assignee
유엔엘 홀딩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엔엘 홀딩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엔엘 홀딩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003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32Semi-automatic needle retract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needle retract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retra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34Fully automatic needle retract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needl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6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friction f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2005/3206Needle or needle hub disconnecting devices forming part of or being attached to the hub or syring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21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23Means impeding or disabling repositioning of used needles at the syringe nozzle
    • A61M2005/3226Means impeding or disabling repositioning of used needles at the syringe nozzle with means obstructing or blocking the needle mounting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21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31Proximal end of needle captured or embedded inside piston head, e.g. by friction or hoo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2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몸통(218) 및 플런저(212)를 가지는 주사기(200)용 몸통 어댑터(220). 어댑터는 몸통 선단부(232) 및 바늘 후퇴 메커니즘(211)을 포함하고, 바늘 후퇴 메커니즘(211)은 바늘(201) 및 내강을 가지는 바늘 하위 조립체(221), 작동기 하위 조립체(210), 및 편향 부재(240)를 갖는다. 바늘 하위 조립체는 주입 위치로부터 몸통 선단부 내의 후퇴 위치로 이동된다. 작동기 하위 조립체는 몸통 선단부에 연결된 유지부(224), 속침 디스크(214) 내에서 유지되는 속침(254), 및 유지부 내로 통과되는 가지부(242)를 포함한다. 속침은 바늘 내강 내에서 활주되고 주입 위치에서 바늘 선단부로부터 이격된다. 편향 부재는 NOM을 유지부로부터 편향시킨다. 결속 배열체는 결속 되었을 때 편향 부재를 압축하고, 가지부를 유지부에 대해서 이동시키는 플런저의 누름에 의해서 작동될 때 편향 부재를 해제한다. 편향 부재는, 해제될 때, 바늘 및 속침을 주입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치료용 임플란트의 표적화된 전달을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치료용 임플란트의 표적화된 전달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약물 임플란트를 특정 위치에 정착시킬(depositing) 수 있는 전달 시스템, 약물 임플란트, 비드, 정제, 또는 캡슐의 전달을 돕는 후퇴 가능한 캐뉼라를 가지는 주사기, 그러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치료는, 연령-관련 황반변성,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 황반부종 등과 같은 질병을 치유하는 방법에 혁명을 일으켰다. 인구 고령화 및 당뇨병의 증가로 인해서 안과 질환의 치유에서 이용되는 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몇몇 제약사는, 이미 상용화된 약물을 가지는데 더하여, 이러한 공간 내에서 새로운 치료를 개발하는데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현재, 연령-관련 황반변성의 습식 형태를 치유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대부분의 일반적인 약물은, 눈의 유리질 부분(수정체 후방부로부터 망막까지 눈을 차지하는 투명 젤리와 유사한 물질) 내로 전형적으로 주입되는 신생 혈관 억제제이다. 대부분의 치유는 월마다 주입할 것을 요구한다. 주입은 환자의 불편함뿐만 아니라 안내 염증과 같은 일부 감염 위험과 연관된다. 또한, 임상의가 점점 더 많은 수의 환자를 치유하여야 할 필요성은 의료보험 제도에 전체적으로 부담을 준다.
약물-임플란트 또는 약물 보급부는, 약물이 목표 장소에서 활성적으로 유지되는 지속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이는, 환자가 필요로 할 수 있는 주입 치유의 빈도수를 감소시키고; 이는 결과적으로 의료보험 제도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키고 또한 환자에 대한 주입-관련 위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그러한 임플란트 또는 보급부를 전개 또는 정착시키기 위한 장치는 이상적으로 임상의가 사용하기 용이하여야 하고, 환자에게 불편함을 최소한으로 주어야 하며, 약물 임플란트 또는 보급부의 약물 전달 동력을 변경하지 않아야 한다. 임플란트를 전개/정착시키기 위해서 이용되는 현재의 장치는 전형적으로 임상의의 일부의 집중적인 훈련을 필요로 하고, (부상 가능성에 더하여) 환자에게 고통스러우며, 그리고 임플란트를 손상시킬 수 있는 상당한 전단력의 원인이 된다. 임플란트의 물리적 손상은 약물 전달 동력을 변경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약물의 임상적 효능 및/또는 규제 준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현재의 장치는 또한 전형적으로 임플란트 또는 보급부의 정확한 배치를 허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서, 몸통 및 몸통 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 플런저 조립체를 가지는 전달 주사기를 위한 몸통 어댑터가 제공된다. 몸통 어댑터는 몸통의 원위 단부와 밀봉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몸통 선단부를 포함한다. 몸통 어댑터는 또한 바늘 하위 조립체, 작동기 하위 조립체, 및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바늘 후퇴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바늘 하위 조립체는 바늘 및 바늘이 통과하여 연장되는 바늘-오버-몰드(needle-over-mold)를 포함한다. 바늘은 내강(lumen)을 가지고, 바늘 하위 조립체는 몸통 선단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바늘이 몸통 선단부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주입 위치로부터 바늘이 몸통 선단부 또는 몸통 중 적어도 하나 내에 배치되는 후퇴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작동기 하위 조립체는 몸통 선단부에 연결된 바늘-오버-몰드 유지부, 속침(stylet), 및 속침의 근위 단부를 유지하는 속침 디스크를 포함한다. 작동기 하위 조립체는 또한 바늘-오버-몰드 유지부 내로 속침 디스크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prong)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는 몸통 내의 플런저 조립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작동될 수 있다. 속침은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늘 내강 내에 배치되며, 속침은, 바늘이 주입 위치에 있을 때, 바늘의 원위 선단부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그로부터 이격된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가 바늘-오버-몰드와 바늘-오버-몰드 유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바늘-오버-몰드를 바늘-오버-몰드 유지부로부터 멀리 편향시킨다. 몸통 어댑터는 또한, 결속 배열체가 결속될 때 에너지화된 위치(energized position)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유지하도록 그리고 작동기 하위 조립체에 의해서 작동될 때 편향 부재를 해제하도록 배치된 작동 가능 결속 배열체를 포함한다. 결속 배열체는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를 바늘-오버-몰드 유지부에 대해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플런저 조립체를 누르는 것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편향 부재가 에너지화된 위치로부터 해제될 때, 주입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까지의 바늘과 속침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자동적으로 후퇴될 수 있는 임플란트 전달 주사기가 제공된다. 전달 주사기는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가지는 몸통, 및 몸통 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 플런저 조립체를 포함한다. 전달 주사기는 몸통의 원위 단부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 몸통 선단부, 및 바늘 후퇴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바늘 후퇴 메커니즘은 바늘 하위 조립체, 작동기 하위 조립체, 및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바늘 하위 조립체는 바늘 및 바늘이 통과하여 연장되는 바늘-오버-몰드를 포함한다. 바늘은 내강(lumen)을 가지고, 바늘 하위 조립체는 몸통 선단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바늘이 몸통 선단부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주입 위치로부터 바늘이 몸통 선단부 또는 몸통 중 적어도 하나 내에 배치되는 후퇴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작동기 하위 조립체는 몸통 선단부에 연결된 바늘-오버-몰드 유지부, 속침, 및 속침의 근위 단부를 유지하는 속침 디스크를 포함한다. 작동기 하위 조립체는 또한 바늘-오버-몰드 유지부 내로 속침 디스크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는 몸통 내의 플런저 조립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작동될 수 있다. 속침은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늘 내강 내에 배치되며, 속침은, 바늘이 주입 위치에 있을 때, 바늘의 원위 선단부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그로부터 이격된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가 바늘-오버-몰드와 바늘-오버-몰드 유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바늘-오버-몰드를 바늘-오버-몰드 유지부로부터 멀리 편향시킨다. 전달 주사기는 또한, 결속 배열체가 결속될 때 에너지화된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유지하도록 그리고 작동기 하위 조립체에 의해서 작동될 때 편향 부재를 해제하도록 배치된 작동 가능 결속 배열체를 포함한다. 결속 배열체는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를 바늘-오버-몰드 유지부에 대해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플런저 조립체를 누르는 것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편향 부재가 에너지화된 위치로부터 해제될 때, 주입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까지의 바늘과 속침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자동적으로 후퇴될 수 있는 전달 주사기를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러한 방법은 몸통 내에서 이동되도록 플런저 조립체를 배치하는 단계, 몸통 선단부를 몸통의 원위 단부와 밀봉 결합시키는 단계, 및 몸통 내에 바늘 하위 조립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늘 하위 조립체는 바늘 및 바늘이 통과하여 연장되는 바늘-오버-몰드를 포함한다. 바늘은 내강을 가지고, 바늘 하위 조립체는 몸통 선단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바늘이 몸통 선단부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주입 위치로부터 바늘이 몸통 선단부 또는 몸통 중 적어도 하나 내에 배치되는 후퇴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방법 또한 몸통 내에 작동기 하위 조립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작동기 하위 조립체는 몸통 선단부에 연결된 바늘-오버-몰드 유지부, 속침, 및 속침의 근위 단부를 유지하는 속침 디스크를 포함한다. 작동기 하위 조립체는 바늘-오버-몰드 유지부 내로 속침 디스크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는 몸통 내의 플런저 조립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작동될 수 있다. 속침은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늘 내강 내에 배치되며, 속침은, 바늘이 주입 위치에 있을 때, 바늘의 원위 선단부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그로부터 이격된다. 그러한 방법은, 바늘-오버-몰드를 바늘-오버-몰드 유지부로부터 멀리 편향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바늘-오버-몰드와 바늘-오버-몰드 유지부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결속 배열체가 결속될 때 에너지화된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유지하도록 그리고 작동기 하위 조립체에 의해서 작동될 때 편향 부재를 해제하도록, 결속 배열체 내에서 바늘-오버-몰드를 바늘-오버-몰드 유지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속 배열체는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를 바늘-오버-몰드 유지부에 대해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플런저 조립체를 누르는 것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편향 부재가 에너지화된 위치로부터 해제될 때, 주입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까지의 바늘과 속침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서, 달리 표시된 바가 없는 경우에, "포함한다"("comprise", "comprises"), 및 "포함하는" 또는 "포괄한다" 또는 "~로 이루어진다"와 같은 관련 용어는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포괄적인 것으로 사용되며, 그에 따라 기술된 정수 또는 정수의 그룹이 하나 이상의 다른 기술되지 않은 정수 또는 정수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의료 장치 산업에서 표준 구성요소로서 간주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 및 그러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본 발명의 고려 사항에 포함되고,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달 주사기의 제1 실시예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분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통 어댑터의 확대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길이방향 축을 따른 도 3a의 몸통 어댑터의 횡단면적 측면도를 도시한다(명료함을 위해서 교차-평행선을 제거하였다).
도 3c는, 바늘 조립체를 몸통 어댑터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분리한, 도 3a의 몸통 어댑터의 부분적 분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속 메커니즘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통 선단부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지부 기부, 속침 디스크, 및 속침을 포함하는 활성화 메커니즘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주사기가 바늘 주입 스테이지, 바늘 후퇴 활성화 스테이지, 임플란트 전달 스테이지, 및 속침 후퇴 스테이지를 통해서 진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통 어댑터를 포함하는 전달 주사기의 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유사하게 주사기가 바늘 주입 스테이지, 바늘 후퇴 활성화 스테이지, 임플란트 전달 스테이지, 및 속침 후퇴 스테이지를 통해서 진행될 때,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실시예의 확대된 부분적인 횡단면도를 도시한다(명료함을 위해서 교차-평행선을 제거하였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사-핏(screw-fit) 연결부를 가지는 몸통 어댑터를 포함하는 전달 주사기의 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9b는, 포장, 운송, 및/또는 조립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명료함을 위해서 투명 구성요소로서 도시된) 바늘 캡 내에 포함된 도 9a에 도시된 몸통 어댑터의 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9c는 조립된 구성으로 도 9a에 도시된 전달 주사기 및 몸통 어댑터의 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조립체의 확대 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속침 및 속침 디스크를 가지는 속침 조립체의 확대 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속침 안내부 및 하나 이상의 돌출부 또는 가지부의 확대 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화살표(R)에 의해서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 90도 간격으로 축(A)을 중심으로 회전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막대의 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9a에 도시된 전달 주사기의 실시예의 확대된 부분적 횡단면도를 도시한다(명료함을 위해서 교차-평행선을 제거하였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주사기가 바늘 주입 스테이지, 바늘 후퇴 활성화 스테이지, 임플란트 전달 스테이지, 및 속침 후퇴 스테이지를 통해서 진행될 때,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의 확대된 부분적인 횡단면도를 도시한다(명료함을 위해서 교차-평행선을 제거하였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달 주사기 및 전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명료함을 위해서 교차-평행선을 제거하였다)를 도시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실시예의 확대된 부분적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늘-오버-몰드("NOM") 및 NOM 유지부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플란트를 정착시키기 위해서 바늘의 후퇴를 이용한다. 임플란트는, 예를 들어, 약물을 용출할 수 있거나, 방사 방출 비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서, "임플란트"라는 용어는, 집합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보급부, 임플란트, 비드, 정제, 캡슐, 덩어리, 약물-용출 장치, 건조 또는 동결건조 약물 또는 치료제, 또는 다른 형태의 임플란트 등을 포함하기 위해서 사용될 것이다.
임상의는 통상적인 주사기에 의해서 제공되는 표적화 및 동작의 용이함에 익숙하다. 그러한 주사기의 기본적인 양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그리고 후퇴 메커니즘을 통합하는 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임플란트를 정확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전달 또는 전개하기 위해서 후퇴 가능한 바늘 주사기를 이용하는 사용이 용이한 전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임플란트는 바늘이 표적 위치 내에 배치되는 지점에서 정착된다. 이는 임플란트의 정확한 배치를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바늘의 배치가, 이식을 위한 기존 장치에서 보다, 전달 위치를 더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이식을 위한 기존 장치는 보급부 또는 임플란트 전달을 위한 캐뉼라의 외부로 임플란트를 밀어 내기 위한 수단을 일반적으로 이용한다. 그러한 장치는 종종 부정확한데, 이는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캐뉼라의 선단부를 표적 위치에 배치하려 하기 때문이다. 캐뉼라의 선단부가 표적 위치에 있을 때, 통상적인 방법으로 캐뉼라의 외부로 임플란트를 밀어 내는 것은 임플란트의 부정확한 전달을 초래한다. 이러한 부정확성을 보상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임플란트가 표적 위치에 더 가까이에서 밀려나도록 표적 위치로부터 예상 거리에서 캐뉼라의 선단부를 "짧게 배치"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다른 접근 방식을 이용하고, 그러한 접근 방식은 표적화된 전달의 정확성을 크게 높이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임플란트를 주사기 바늘의 선단부에 배치하는 것, 주사기 바늘을 희망 표적 위치에 삽입하는 것, 이어서 임플란트를 전개하기 위해서 주사기 바늘을 멀리 회수 또는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서, 표적 위치에 대한 임플란트 전달의 정확도가 통상적인 이식을 위한 수단에 의한 경우 보다, 크게 개선된다. 부가적으로, 임플란트의 위치가 이식 프로세스 전체를 통해서 변화되지 않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계산하거나 예상할 어떠한 필요성도 배제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람직한 안전 특징을 제공하는데, 이는 주사기 바늘이 임플란트 전달 주사기의 몸통 내로 후퇴되고, 그에 의해서 바늘-찌름 부상의 위험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제1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바늘, 속침, 후퇴 메커니즘, 활성화 메커니즘, 및 전달용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늘과 실질적으로 동축적인 속침이 바늘의 내강(예를 들어, 바늘의 중공형 보어) 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속침은 비-환자 단부(즉, 근위 단부)로부터 바늘과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임플란트는 속침과 바늘의 환자-단부(즉, 원위 단부) 사이에서 바늘의 내강 내에 배치된다. 플런저 막대와 같은 활성화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후퇴 메커니즘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바늘을 후퇴시킬 수 있다. 초기에, 속침은 바늘에 대해서 정지적이고, 후퇴 메커니즘에 의한 바늘의 후퇴는 전달을 위한 표적 지역 내에서 임플란트를 노출시킨다. 속침은, 바늘이 후퇴될 때 임플란트가 바늘을 따르지 않도록 보장한다. 속침의 원위 단부가 후퇴 바늘의 원위 단부를 지난 이후에만, 속침이 바늘과 함께 후퇴된다. 비록 동일한 후퇴 메커니즘이 바늘 및 속침 구성요소 모두를 후퇴시키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지만, 바늘의 후퇴 이후에 속침의 후퇴가 활성화되거나 격발(trigger)되도록, 속침의 후퇴 시퀀스 및 타이밍이 구성된다. 후퇴 메커니즘에 근접한 속침 디스크를 이용하여 희망 후퇴 시퀀스를 보장할 수 있다. 후퇴 메커니즘과 속침 디스크 사이의 거리는 바늘에 대한 속침의 후퇴 타이밍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잡한 제조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바늘 후퇴를 이용하는 정확한 임플란트 전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비교적 단순화된 주사기 조립체를 제공하고, 그에 의해서 친 사용자적이고 안전한 임플란트 전개 주사기를 제공하는 한편, 제조 비용을 최소로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몸통 어댑터는 특히, 통합된 바늘 조립체 및 후퇴 메커니즘을 몸통에 제공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직선형-몸통 유리 또는 플라스틱 몸통과 같은 다양한 구성 및 재료의 일차적인 약물 몸통에 맞춰 적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응 가능한 임플란트 전개 및 바늘 후퇴 메커니즘은, 직선형-유리 몸통과 같은 표준 몸통에 융통성 있게 부착, 고정, 장착, 또는 달리 교합될 수 있다. 몸통 어댑터는 많은 수의 여러 가지 방식으로 몸통과 교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몸통 어댑터는, 적어도 근위 연결 부분이 몸통의 원위 부분의 내경에 장착되고 그 내부에서 체류되게 성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몸통 어댑터는, 몸통의 원위 단부 내로 삽입되고 그에 부착, 고정, 장착, 또는 달리 교합되는 어댑터의 근위 부분을 적어도 가지는 것에 의해서, 표준 직선형-몸통 주사기에 연결될 수 있다. 몸통 어댑터는, 예를 들어, 간섭성 핏 조립체, 스냅-핏 조립체, 및/또는 나사-핏 조립체에 의해서 몸통에 연결될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이러한 연결 방법이 또한, 예를 들어, 연결이 이루어 졌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그리고 사용 중에 또는 사용 후에 몸통 어댑터가 전달 주사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속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몸통 어댑터는 나사-핏 조립체를 통해서 몸통에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신규한 몸통 어댑터 설계는, 바늘 조립체를 몸통 어댑터에 장착하기 위한 특별한 몸통 형상 또는 구성을 가져야 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이는 특히 특별한 맞춤형 유리 몸통의 제조와 관련된 제조 비용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몸통 어댑터는, 예를 들어, 직선형 유리 또는 플라스틱 몸통에 장착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보다 복잡한 몸통 형상의 제조와 관련된 제조 프로세스를 단순화시키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몸통 어댑터는 사용 시에 선택될 수 있거나 제조 중에 몸통에 미리 부착될 수 있다. 선택할 수 있는 방안에서, 본 발명의 설계 및 구성은, 사용자로 하여금 특별한 설계 또는 치수의 바늘 및/또는 바늘 조립체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약물 보급부 또는 임플란트 전달을 위해서 그러한 바늘 및/또는 바늘 조립체를 주사기 몸통에 적응시킬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몸통 어댑터 및 바늘 조립체는 많은 수의 상이한 바늘 길이 또는 두께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희망하는 바늘 치수를 가지는 몸통 어댑터를 선택할 수 있고 임플란트 전달을 위해서 그러한 몸통 어댑터를 주사기에 적응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몸통 어댑터는 몸통에 직접적으로 장착된다.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이러한 적응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몸통 어댑터의 몸통 선단부를 몸통에 연결할 수 있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수용 구성요소와 같은) 하나의 연결 구성요소가 몸통의 원위 단부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수용 구성요소는 후퇴 메커니즘이 통합된 몸통 선단부를 직접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그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몸통 어댑터는, 수용 구성요소와의 결합을 위해서 이용되는 (교합 구성요소와 같은) 부가적인 연결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본원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몸통 어댑터는, 상응하는 수놈형 및 암놈형 나사 피치 부분 또는 구성요소를 가지는 몸통 어댑터 및 몸통 모두를 가지는 나사-핏 조립체를 통해서 몸통에 연결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탄성중합체 밀봉부와 같은 다른 선택적인 구성요소가 필요할 수 있고 몸통 어댑터와 몸통 사이의 연결을 돕기 위해서 장치 내로 통합될 수 있다. 몸통 어댑터는, 비록 바늘 치수와 관계없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지만, 임플란트 전개 그리고 바늘 및 속침의 몸통 내로의 완전한 후퇴를 돕기 위해서 맞춰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더 긴 바늘의 후퇴를 돕기 위해서 더 긴 편향 부재(예를 들어, 더 긴 스프링)가 선택되거나 수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유사하게, 더 길거나 더 두꺼운 바늘을 이용할 때, 더 길거나 두꺼운 속침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한 치수는 또한, 예를 들어, 전달을 위해 바늘 내에 초기에 유지되는 더 긴 또는 더 짧은 임플란트의 전달을 돕기 위해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의약적인 이용을 위해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중 많은 것이 점점 더 기성품 또는 표준 구성요소로 간주되는, 재료 및 구성요소를 또한 이용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내용물의 추출 가능성이 낮은 재료일 수 있다. 이는 전체적인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조립 프로세스를 간소화하며, 비-표준 재료 및 구성요소의 사용과 종종 관련되는 불필요한 규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바늘 후퇴 메커니즘을 가지지 않는 통상적인 주사기와 미적으로 유사하고 의료 시술자 및 자가-투여 환자와 같은 최종 사용자에게 인체 공학적으로 매력적인 구성요소 및 장치를 제공하고, 매우 바람직한 통합된 안전 특징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이러한 실시예는, 기존 제조 프로세스 내로 용이하게 통합될 수 있는 신규하고 비용-효과적인 구성요소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는 매우 바람직한 기능적 및 미적 특징을 제공할 수 있고, 소정 범위의 상이한 구성을 생성하기 위해서 수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사기는, 흔한 바늘 찌름 부상에서와 같은, 바늘에 대한 우발적인 노출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성을 갖춘 약물 임플란트의 표적화된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전달 주사기를 이용하여, 바늘 주입, 바늘 후퇴 활성화, 임플란트 전달, 및 속침 후퇴를 포함하는, 약물 임플란트 전달 스테이지를 실시할 수 있다. 주사기 재사용 및/또는 바늘 찌름 부상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결속 시스템을 통합하는 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용 효과적으로 제조되고 의료적 시술자 및 자가-투여 환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바람직한 제품을 제공한다. 그러한 결속 시스템은, 예를 들어, 후퇴된 바늘이 주사기의 단부로부터 다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늘 후퇴 메커니즘 및/또는 배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몸통 어댑터 및 주사기의 신규한 특징 및 기능은 많은 수의 안전성 장점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약물 투여량(dose)이 완전히 전달되었다는 것, 후퇴 메커니즘이 활성화되었다는 것, 바늘이 후퇴되었다는 것, 그리고 주사기를 안전하게 폐기할 수 있다는 것에 관한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결속 메커니즘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의 종료시에 구성요소의 그리고 주사기 전체의 파괴된 구성이 증가되도록,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통합된 안전 및 파괴는 주사기의 재사용 가능성을 방지하고 장치의 안전 프로파일을 높인다. 예를 들어, 바늘 후퇴 이후에 몸통 선단부의 외부로 근위 방향으로 바늘이 병진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택적인 바늘 차단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플런저 막대의 누름 및 근위 방향을 따른 바늘의 축방향 병진운동은, 사용자에 의해서 힘이 인가될 때, 바늘이 몸통 내에서 굽혀지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가능해진 다른 안전 특징은 바늘의 후퇴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이다. 제어되는 바늘 후퇴는 약물 투여량이 전달된 후에 환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후퇴 활성화 시에 편향 부재의 확장 속도를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마찰 부재와 같은 능동적인 구성요소에 의해서, 또는 느리게 확장되는 편향 부재의 선택과 같은 피동적인 구성요소에 의해서 촉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퇴는 플런저 막대 및 가지부 기부에 의해서 제어된다. 바늘 후퇴의 활성화 시에, 사용자는 플런저 막대의 근위 단부에 여전히 접촉되고 그에 힘을 인가한다. 편향 부재가 확장됨에 따라, 편향 부재는 근위 방향으로 축방향 힘을 부여하여 바늘 및/또는 바늘 조립체를 후퇴시킨다. 이러한 작용은, 후퇴 시에 바늘 허브와 접촉되는 가지부 기부, 및 플런저 막대에 힘을 전달한다. 바늘 허브 및 가지부 기부에 의해서 유발되는 몸통의 내부에 대한 마찰은 바늘 조립체의 후퇴 속도를 제한한다. 사용자가 플런저 막대에 인가하는 힘을 줄임에 따라, 사용자는 후퇴 속도를 또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된 후퇴는 주사기 사용자에게 매우 바람직한데, 이는 그러한 제어된 후퇴가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환자가 느끼는 고통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단지 비제한적인 실시예라는 것 그리고 다른 유사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고려사항 및 본 개시 내용의 범주 및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달 시스템, 주사기, 몸통, 몸통 어댑터, 또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상대적인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축방향" 또는 "축방향으로"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비록 반드시 주위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지만, 주사기 또는 몸통이 바람직하게 주위에 형성되는 길이방향 축("A")을 지칭한다. "반경방향"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축(A)에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근위", "후방", "후향", "뒤" 또는 "뒤쪽"이라는 용어는 (도 1에서 "P"로 전반적으로 식별된) 환자 내로 주입하고자 하는 바늘 단부로부터 먼 축방향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원위", "전방", "전향", "눌려진" 또는 "앞쪽"이라는 용어는 (도 1에서 "D"로 전반적으로 식별된) 환자 내로 주입하고자 하는 바늘 단부를 향하는 축방향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스프링"이라는 용어는, 주어진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고 확장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권선된 코일과 같은, 편향 부재를 제시하기 위해서 본원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실시예에서 논의되고 이용된 배열체와 같은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지만, 다른 유형의 편향 부재가,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 내 포함되면서, 동일한 목적을 위해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고려사항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 인장 스프링, 일정 힘 스프링, 연장 스프링, 판 스프링, 및 동일한 또는 상이한 유형의 스프링의 조합 또는 다른 구조물과 같은 스프링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스프링 이외의 편향 부재가 유사한 목적을 위해서 또한 이용될 수 있다. 편향 부재의 비제한적인 예는 방출 가능한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스프링, 탄성 장치 또는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편향 부재가 바람직하게 압축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유리"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유리를 필요로 할 수 있는 의약 등급의 적용예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사한 비-반응성 재료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플라스틱"이라는 용어는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중합체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중합체는 열에 의해서 그들의 원래의 상태로 다시 연화될 수 있고; 열경화성 중합체는 다시 연화될 수 없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이라는 용어는, 경화제, 충진제, 보강제, 착색제, 및/또는 가소제 등과 같은 다른 성분을 전형적으로 또한 포함하고 그리고 열 및 압력 하에서 형성되거나 몰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또는 아크릴계 수지와 같은 몰딩 가능한 열가소성 고분자 중합체를 주로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이라는 용어는, 플라스틱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또는 플라스틱으로부터 액체 내로 달리 유입될 수 있는 치환기에 의해서 열화(劣化)될 수 있는, 치료 액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적용예에서의 사용을 위해서 승인 받은 유리 또는 고무 탄성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탄성중합체", "탄성중합체의",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라는 용어는, 플라스틱 보다 더 용이하게 변형 가능하나, 의약 등급 유체와 함께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승인된 그리고 침출이나 가스 이동에 쉽게 민감해지지 않는, 가교결합된 열경화 고무 중합체를 주로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유체"라는 용어는 주로 액체를 지칭하나, 그러한 용어는 또한 액체 내에 분산된 고체, 그리고 주사기의 유체-함유 부분 내측의 액체 내에 용해된 또는 그러한 액체 내에 달리 함께 존재하는 기체의 현탁액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치료 유체 또는 약물과 실질적으로 비-반응적이고 의약 등급 적용예에서의 이용에 적합한 재료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그러한 신규한 구성 및 전달 주사기는 향상된 안정성 및 보관 수명 매개변수를 임플란트 및 약물 전달 장치에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공지된 방법 및 재료를 이용하여, 저장 및 운송 중에 약물 임플란트를 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PLGA, CAHP, 및 기타)의 마이크로-침착(micro-deposition)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이용되는 중합체의 특성은 표적 장소에 따라, 예를 들어 수성 또는 물-함유 장소에서의 수용성 중합체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합체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생분해성 재료를 이용하여 바늘의 원위 단부를 막을 수 있고, 그에 따라 바늘 주입 및 임플란트 전개에 앞서서 임플란트를 유지할 수 있다. 임플란트는, 몸통 어댑터 및 전달 주사기의 조립 및 제조를 돕기 위해서 필요할 수 있는 바에 따라, 바늘의 원위 선단부를 막기 전에, 또는 막은 이후에 바늘 내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조립체가 원위 단부로부터의 임플란트 삽입을 요구할 때, 임플란트는 바늘의 원위 선단부를 막기 전에 바늘 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몸통 어댑터가 임플란트의 삽입 전에 몸통에 고정되는 경우에, 필수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임플란트는 바늘의 원위 선단부를 막은 이후에 바늘 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몸통 어댑터를 전달 주사기의 몸통에 조립하기에 앞서서 임플란트가 몸통 어댑터 내로 삽입될 때, 이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속침에 대한 임플란트의 비-특이적 및 특이적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속침 선단부의 표면 처리가 계획되고, 그러한 표면 처리는 몸통 어댑터 및 전달 주사기의 조립 및 제조를 참조하여 임의의 작업 순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침 선단부 표면의 친수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처리를 이용하여 속침을 처리할 수 있고 및/또는 속침 선단부를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특정 표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몸통 어댑터 구성 및 주사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O-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O-링을 이용하여 몸통 선단부를 몸통 내에 밀봉하고 및/또는 몸통의 약물 챔버 내의 멸균 환경 및 용기 무결성(integrity)을 보장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몸통 어댑터는 후퇴 속도의 제어를 돕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몸통 어댑터는 클립, 플랩, 플랜지, 또는 기타와 같은 하나 이상의 바늘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바늘 차단부는, 후퇴 메커니즘이 완성된 후에, 바늘 및 속침이 몸통 선단부의 개구를 통해서 몸통의 외부로 병진운동되거나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전달 주사기는 미감, 용이한 사용,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은, 핑거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핑거 플랜지는 몸통 또는 전달 주사기의 임의 부분을 따라서 미리-형성될 수 있거나, 몸통 또는 전달 주사기에 연결되거나 부착된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핑거 플랜지는 몸통의 근위 단부에 위치되는 미리 형성된 구성요소이다. 핑거 플랜지는 사용자가 그들의 검지 및 중지를 플랜지 상에 놓을 수 있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약물의 주입을 위해서 그들의 엄지를 이용하여 플런저를 누를 때, 지렛대 계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러한 구성요소를 위한 위치, 형상, 개수, 및 재료는 임의 수의 희망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변경될 수 있다.
유사하게, 몸통 어댑터 및 전달 주사기의 구성요소가 본원에서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설명되지만, 이러한 구성요소의 특정 그룹을 조합하여 개별적인 구성요소의 기능을 실시할 수 있는 단일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고려사항에 포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늘 밀봉부가 제공되는 경우에, 바늘 허브 및 바늘 밀봉부가, 이중 기능을 제공하는 하나의 통합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달 주사기의 구성요소는 일체로 형성된 구성요소로서, 또는 개별적으로 또는 단일 구성요소로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핑거 플랜지는, 몸통 자체의 일부로서, 제조 프로세스 중에 미리 형성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핑거 플랜지는 몸통의 유리 핑거 플랜지 연장부일 수 있다. 또한, 몸통 어댑터의 구성요소가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본원에서 설명되지만, 그러한 구성요소는 복수의 기능을 가지는 단일화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지부 기부는 플런저의 일부 또는 플런저와 별개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유사하게, 돌출부 또는 가지부는 가지부 기부의 연장부일 수 있거나, 본원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지부 기부와 별개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구성요소의 구성 및 그 조립은 조립 프로세스, 장치 매개변수, 및 다른 희망 특성을 기초로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달 주사기(10)의 일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달 주사기(10) 및 그 구성요소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몸통 어댑터(20)는 플런저 조립체(12)를 가지는 주사기 몸통(18)에의 부착을 위해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점으로서,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서 임의의 표준 몸통(18)과 교합되도록, 몸통 어댑터(20)의 몸통 선단부(32)가 구성될 수 있다. 몸통(18)은 플라스틱 몸통, 유리 몸통일 수 있거나, 의료 장치에서의 이용을 위한 임의의 다른 공지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몸통(18)은 테이퍼형이거나, 비-원통형이거나, 실질적으로 직선형일 수 있다. 제조 목적에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몸통(18)은 직선형 몸통 유리 실린더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몸통(18)은, 예를 들어, 가치 있는 제조 효율 및 동작 비용-절감을 제공하는, 표준적인, 기성품 부품일 수 있다. 전달 주사기(10)가 일단 조립된 후에 플런저 조립체(12)가 몸통(18)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 또는 금지할 수 있는 몸통 캡(16)이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몸통(18) 또는 몸통 캡(16)이 핑거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전달 주사기 시장에서 다른 상당한 장점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표준 플런저 막대, 몸통, 몸통 캡, 및 강성 바늘 차폐부와 같은 표준 구성요소를 이용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특별하게-맞춤된 또는 사출 몰딩된 구성요소의 필요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주사기(10)는, 다른 가능한 표준 구성요소들 중에서, 표준 플런저 막대(14) 및 강성 바늘 차폐부(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제공되는 경우에, 본원에서 사용되는 밀봉부는, 미국 펜실베니아주 라이온 빌(Lionville, Pennsylvania)에 소재하는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의 상표명 "FluroTec"으로 또는 벨기에에 소재하는 Datwyler Pharma Packaging의 상표명 "Omniflex"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코팅된 고무 마개/밀봉부일 수 있다. 다른 구성요소는 유사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의 큰 장점을 제공하는, 표준형의, 기성품 구성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러한 장점은 가치 있는 제조 효율 및 동작 비용-절감을 제공한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몸통 어댑터(20)는 임의의 적합한 결합 배열체에 의해서 주사기 몸통(18)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통 어댑터(20)는, 몸통 어댑터(20) 및 주사기 몸통(18)의 구성요소와 별개일 수 있거나, 몸통 어댑터(20) 및 주사기 몸통(18)과 일체형일 수 있는 결합 구조물에 의해서 주사기 몸통(18)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몸통 어댑터(20)는 주사기 제조 프로세스 중에 또는 사용 직전에 주사기 몸통(18)에 결합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주사기 어댑터(20)는 주사기 제조 프로세스 중에 간섭성 핏, 접착, 스냅-핏 조립체, 및/또는 나사-핏 조립체, 또는 기타에 의해서 주사기 몸통(18)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주사기 몸통(18) 및 몸통 어댑터(20)가 교합되는 나사산 또는 루어(Luer) 결속 배열체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몸통 어댑터(20)가 사용 직전에 주사기 몸통(18)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몸통 어댑터는, 상응하는 수놈형 및 암놈형 나사 피치 부분 또는 구성요소를 가지는 몸통 어댑터 및 몸통 모두를 가지는 나사-핏 조립체를 통해서 몸통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결합 구조물이 제공되어 몸통 어댑터(20)를 몸통(18)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O-링(36)이 몸통 어댑터(20)와 몸통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몸통 어댑터(20)는 바늘(28)(도 2 참조)을 주사기 몸통(18)에 장착하는 것을 돕는다. 몸통 어댑터(20)는 몸통 선단부(32), 바늘 조립체(42), 및 바늘 후퇴 메커니즘(21)을 포함한다. 몸통 선단부(32)는, 몸통 어댑터(20)를 주사기 몸통(18)에 부착하는 것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서 주사기 몸통(18)에 결합될 수 있다. 몸통 선단부(32)는 전형적으로, 주사기 몸통(18)에 결합될 때, 원위 단부를 안전 주사기(10)에 제공하고, 임플란트의 전달을 위한 주입 중에 바늘(28)은 몸통 선단부(32)의 원위 단부를 통해서 연장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몸통 선단부(32)는 바늘 후퇴 메커니즘(21)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늘 조립체(42)는 일반적으로 바늘(28) 및 바늘 허브(24)를 포함할 수 있다. O-링(36)이 바늘 허브(24) 주위에 제공되어, 바늘 조립체(42)의 폐기를 도울 수 있다. 바늘(28)은 바늘 후퇴 메커니즘(21) 및 몸통 선단부(32)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따라 바늘(28)의 일 단부는 몸통의 내부에 위치되고 바늘(28)의 타단부는 몸통 선단부(32)(도 3b 참조) 내의 개구(33)를 통과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바늘 후퇴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바늘 후퇴를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늘 후퇴 메커니즘은, 전체 내용이 모든 목적을 위해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WO 2013126118 Al로서 공개된 국제특허출원 PCT/US2012/067793 및 미국 특허출원 제13/693,915호에서 개시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늘 후퇴 메커니즘(21)은 편향 부재(30) 및 작동 가능한 결속 배열체(31)를 포함하고 그러한 결속 배열체는, 바늘 조립체(42)의 바늘(28)이 몸통 어댑터(20) 내로 후퇴될 때와 같은 시간까지, 편향 부재(30)를 에너지화된 위치에서 유지한다. 결속 배열체(31)가, 바늘(28)을 후퇴시키고자 할 때와 같은 시간까지, 에너지화된 위치에서 편향 부재(30)를 유지하는 임의의 적절한 설계일 수 있지만, 도시된 실시예에서, 결속 배열체(31)는,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편향 부재(30)를 에너지화된 위치에서 유지하는 표면들의 상대적인 위치들을 유지하기 위해서 교합되는 결속 메커니즘(22) 및 결속 형상부(32a)를 포함한다. 결속 배열체(31)의 작동 시에, 편향 부재(30)는 바늘(28)이 몸통 선단부(32) 내로 후퇴되게 한다.
결속 배열체(31)의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편향 부재(30)는 압축 스프링이다. 스프링(30)의 단부는 결속 메커니즘(22)의 표면(23) 및 몸통 선단부(32) 내의 표면(35)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표면들(23, 35)의 상대적인 위치들은 주입 전에 편향 부재(30)를 압축된, 에너지화된 위치에서 유지하거나, 스프링(30)이 주입에 후속하여 탈-에너지화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하여 바늘(28)이 후퇴될 수 있게 한다. 스프링(30)을 에너지화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결속 메커니즘(22) 및 몸통 선단부(32)는 교합 구조물을 포함하고, 그러한 구조물은 결합 해제되어(decoupled) 스프링(30)이 탈-에너지화된 위치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바늘 후퇴 메커니즘(21)의 구조 및 동작은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결속 메커니즘(22)이 몸통 선단부(32)로부터 분리된 구성을 포함한다. 그러나, 결속 메커니즘(22)은 몸통 선단부(32)의 일부가 되도록, 또는 그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속 메커니즘(22)은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이중 목적의 결속 메커니즘(22) 및 바늘 차단부와 같은, 이중-목적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결속 메커니즘(22)은, 후퇴 메커니즘이 활성화되고 바늘(28)이 후퇴된 후에 바늘(28)이 원위 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병진운동되는 것을 막는 특징부를 포함하거나 활성화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별개의 바늘 차단부(34) 구성요소가 도 2,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몸통 선단부(32)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그러나, 명료함을 위해서, 여러 구성요소의 교차-평행선은 생략하였다. 도 3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편향 부재(30)는 몸통 선단부(3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체류한다. 압축 상태에 있을 때, 편향 부재(30)의 원위 단부는 몸통 선단부(32) 내에 체류하며, 그 근위 단부는 결속 메커니즘(22) 내에 체류한다. 몸통 어댑터(20)의 구성요소가 도 3c에서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바늘 허브(24) 및 바늘(28)을 포함하는 바늘 조립체(42)는 몸통 어댑터(20)의 다른 구성요소와 별개로 또는 함께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구성요소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몸통(18)과 같은, 몸통 내로의 교합을 위해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한 몸통 어댑터(20)로 미리 조립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바늘 조립체(42)의 구성요소가 몸통 어댑터(20)의 나머지 구성요소와 별개로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구성에서, 바늘 조립체(42)는, 몸통 어댑터(20)와 함께 원위 단부에서 장착되는 대신에, 조립 중에 근위 단부로부터 몸통 내로 장착될 수 있다.
바늘 후퇴 메커니즘(21)은 임의 적절한 격발부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늘 후퇴 메커니즘(21)은 결속 메커니즘(22)의 이동에 의해서 전달 주사기(10)의 원위 단부를 향해서 작동된다. 그러한 구성에서, 바늘 허브(24)는 강제로 결속 메커니즘(22) 내로 접촉될 수 있고 및/또는 결속 메커니즘(22) 상으로 눌려진다. 이러한 접촉은 결속 메커니즘(22)을 분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편향 부재(30)가 실질적으로 몸통(18)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근위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게 하고, 그에 의해서 결속 메커니즘(22), 및 바늘(28)을 포함하는 바늘 조립체(42)의 구성요소가 몸통(18) 내로 후퇴되게 한다. 바늘 허브(24)는, 몸통 어댑터(20), 전달 시스템, 및 전달 주사기(10)가, 바늘 주입 및 임플란트 전달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구성되는, 제1 스테이지에 있는 동안, 바늘(28)을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유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결속 메커니즘(22)은 약물 주입을 위한 이러한 제1 스테이지 중에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바늘을 유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결속 메커니즘(22)의 분리 및 후퇴 메커니즘의 활성화 시에, 편향 부재 또는 스프링(30)이 확장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바늘 조립체(42)가 실질적으로 몸통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근위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체 바늘 조립체(42)가 후퇴되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 바늘(28)을 포함하는, 그 특정 구성요소 만이 결속 메커니즘(22)의 해제 및 편향 부재(30)의 확장 시에 후퇴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결속 메커니즘(22)이 바늘 조립체(42)와 함께 후퇴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 결속 메커니즘(22)이 실질적으로 정지적으로 유지되나, 바늘 조립체(42) 또는 그 구성요소는 이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늘(28)의 후퇴 이후에, 몸통 어댑터(20)가 차단부를 구비할 수 있고, 그러한 차단부는 바늘(28)이 원위 방향으로 그리고 몸통 선단부(32)의 외부로 병진운동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금지한다. 도 3c는, 몸통 선단부(32)의 원위 단부 내에서 체류할 수 있는, 바늘 차단부(34)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늘 차단부(34)는 바늘(28)의 통과를 위한 중앙 개구를 가지는 플랜지(60)를 포함한다. 아암(62)의 쌍이 플랜지(60)로부터 연장되고, 아암(62)의 원위 단부는 클립(64)의 쌍을 지지한다. 바늘 차단부(34)가 몸통 선단부(32) 내에 배치될 때, 아암들(62)은 클립들(64)을 서로를 향해서 편향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바늘(28)이 플랜지(60)의 개구를 통해서 연장되고, 바늘(28)이 주입 및 후퇴 스테이지에 있을 때, 바늘 차단부(34)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클립(64)이 확장되고 바늘(28)이 클립들(64) 사이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클립(64)을 통한 근위 방향을 따른 바늘(28)의 후퇴시에, 아암(62)은 클립(64)을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고 바늘(28)이 원위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조립체가 달리 구성될 수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에서, 편향 부재(30) 또는 스프링(30)의 원위 단부가 조립 중에 플랜지(6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늘 차단부(34)가 단지 예로서 개시된 것이고, 그러한 차단부가 대안적인 구성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주사기 몸통(18)과 함께 전달 주사기(10) 및/또는 몸통 어댑터(20)가 임플란트(49)의 전달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49)는 집합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보급부, 임플란트, 비드, 정제, 캡슐, 덩어리, 약물-용출 장치, 건조 또는 동결건조 약물 또는 치료제, 또는 다른 형태의 임플란트 또는 기타일 수 있고, 약물, 분말, 현탁액, 또는 기타, 또는 그 임의 조합의 분배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49)의 배치 또는 전개를 허용하기 위해서, 몸통 어댑터(20)는 바늘(28)의 내강(29) 내에 배치된 속침(54) 및, 바람직하게, 복수 스테이지 후퇴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도 3b을 참조하면, 바늘(28)은 중앙 내강(29)을 포함한다. 바늘 허브(24)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이러한 구성요소 및 몸통의 길이방향 축에서) 중심에 위치되는 관통로로서 작용하는 개구(25)를 갖는다. 이러한 개구(25)는 바늘(28)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바늘(28)은 초기 주입 스테이지 중에 바늘 허브(24) 내의 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고, 후퇴 메커니즘의 활성화시에, 바늘 허브(24)가 있는 상태 또는 없는 상태로, 근위 방향으로 축방향을 따라 병진운동될 수 있다. 바늘(28)이 바늘 허브(24)를 통해서 개구(25)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바늘(28)의 근위 단부는 중앙 내강(29)을 제공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시에, 속침(54)은 바늘(28)의 중앙 내강(29) 내에 배치되고, 이식하고자 하는 임플란트(49)는 속침(54)에 대해서 원위 방향으로 바늘(28)의 내강(2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바늘(28)이 표적(미도시)에 진입할 때, 바늘(28)은 속침(54) 위에서 축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속침(54)은 임플란트(49)가 바늘(28)과 함께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여, 임플란트(49)를 표적 내의 제 위치에 남긴다. 속침(54)이 몸통 선단부(32)를 지나서 연장되는 경우에, 속침(54)은, 임플란트(49)의 배치에 이어서 바늘(28)과 함께, 또는 바늘(28)이 후퇴되었을 때 바늘(28)과 별개로 표적으로부터 유사하게 후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임플란트(49)의 주입을 제공하기 위해서 적어도 바늘(28)이 후퇴된다. 다른 양태에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속침(54)은 임플란트(49)의 전달에 이어서 유사하게 후퇴된다.
먼저 바늘(28)의 후퇴를 살펴보면, 임의의 적절한 작동 가능한 결속 배열체(31)가 제공될 수 있지만, 작동 가능한 결속 배열체(31)의 일 실시예가 도 3b, 도 3c,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도 4는 결속 메커니즘(22)을 도시하고, 도 5는 몸통 선단부(32)를 도시한다. 몸통 선단부(32)는, 결속 메커니즘(22)과 결합될 수 있는 결속 형상부(32a)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몸통 선단부(32)는, 결속 메커니즘(22) 내의 수용 구조물과 결합되는 2개의 결속 형상부(32a)를 갖는다. 그러나, 몸통 선단부(32)가 하나 이상의 결속 형상부(32a)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 메커니즘(22)의 수용 구조물은, 예를 들어, 결속 포털(locking portal)(46)의 형태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결속 포털(46)은 "L" 형상의 절취부이지만, 다른 형상 및 배열이 예상된다. 결속 메커니즘(22)의 내경 내의 하나 이상의 채널(47)은 결속 형상부(32a)가 결속 포털(46) 내로 활주될 수 있게 하고, 결속 메커니즘(22)의 회전 시에, 결속 메커니즘(22)의 결속 포털(46)의 안착부(22a) 내에서 휴지 상태로(at rest)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러한 실시예의 편향 부재(30)가 결속 메커니즘(22) 및 몸통 선단부(32)를 서로 멀리 편향시킴에 따라, 결속 메커니즘(22) 및 몸통 선단부(32)의 상대적인 위치들이 유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결속 메커니즘(22) 및 몸통 선단부(32)가 결속 포털(46) 및 결속 형상부(32a)를 각각 포함하지만, 연관된 구성요소들을 결합 가능하게/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는 배열체를 결합이 제공하기만 한다면, 결속 메커니즘(22) 및 몸통 선단부(32)가 대안적으로 결속 형상부 및 결속 포털을 각각, 또는 일부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배열체가 주사기 내의 바늘(28)의 후퇴 가능한 배치를 제공하기만 한다면, 바람직하게 임플란트(49)를 주입하기 위한 전달 주사기(10)의 이용의 결과로서 작동될 수 있다면, 결속 메커니즘(22)이 전체적으로 다른 구조일 수 있다는 것을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늘 후퇴 메커니즘(21)은 결속 메커니즘(22)에 인가되는 축방향 힘에 의해서 작동된다. 축방향 힘이 대안적인 구조물의 결과로서 인가될 수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에서, 바늘 허브(24)에 의한 접촉 및 그 축방향 이동은 상응하는 결속 메커니즘(22)의 축방향 이동을 유발한다. 작동 시에, 예를 들어 바늘 허브(24)에 의한 접촉에 의해서, 결속 메커니즘(22)이 원위 방향으로 병진운동됨에 따라, 결속 메커니즘(22)은 몸통 선단부(32)의 하나 이상의 상응하는 결속 형상부(32a)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스프링(30)이 확장될 수 있게 하고 후퇴 메커니즘이 활성화될 수 있게 한다. 결속 형상부(32a)로부터의 결속 메커니즘(22)의 분리는 결속 메커니즘(22)의 축방향 병진운동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결속 형상부(32a)로부터의 결속 메커니즘(22)의 분리는, 축방향 병진운동시의 회전과 같은, 결속 메커니즘(22)의 회전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회전은, 그 자체 또는 축방향 병진운동과 함께, 결속 메커니즘(22)이 결속 형상부(32a)와의 결합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회전은 압축 스프링(30)을 비틀림 편향시키는 것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고, 이는 압축시에 축을 중심으로 결속 메커니즘(22)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회전은, 결속 형상부(32a)의 성형에 의해서, 또는 이하의 이동을 촉진하고 구성요소의 결합 및 분리를 허용하는 결속 형상부(32a)와 결속 메커니즘(22)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결속 메커니즘(22)의 피치형 형상부 프로파일(pitched aspect profile)과 같은, 이러한 기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결속 메커니즘(22) 자체의 구성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플런저 막대(14)를 축방향으로 병진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은 작동 가능한 결속 메커니즘(31)을 활성화시켜 결속 메커니즘(22)을 몸통 선단부(32)로부터 분리하고 바늘(28)을 후퇴시키기 위해서 마찬가지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속침(54)이 주입 및 임플란트 전달을 위한 위치에 있는 동안, 바늘 후퇴 작동력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도록, 플런저 조립체(12)의 플런저 막대(14) 구성요소가 배치된다. 플런저 조립체(12)로부터 바늘 허브(24)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결속 메커니즘(22)으로 바늘 후퇴 작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속침(54)이 주사기 몸통(18) 내에서 실질적으로 정지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플런저 조립체(12)의 이동 시에, 적어도 하나의 작동 가지부(51)가 길이방향으로 전진되도록 배치된다.
도 6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속침 조립체(53)는, 속침(54)을 제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주사기 몸통(18) 내에 안착되는 속침 디스크(52) 형태의 지지 구조물로부터 연장되는 속침(54)을 포함한다. 속침 디스크(52)는 하나 이상의 O-링을 통해서 주사기 몸통(18) 내의 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플런저 조립체(12)로부터의 힘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몸통을 통해서 길이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작동 가지부(51)가 제공되며, 속침 디스크(52)는 그러한 속침 디스크(52)를 통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작동 가지부(51)를 수용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통로(53)를 포함한다. 비록 도시된 실시예가 2개의 그러한 가지부(51) 및 통로(53)를 포함하지만, 더 많은 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가 속침 디스크(52)의 둘레부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통로(53)를 제공하지만, 당업자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53)가 속침 디스크(52)의 둘레부를 따라서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주사기 몸통(18)의 내부 벽이 마찬가지로 길이방향 연장 통로(53)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통로(53) 및 가지부(51)의 수가 동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 통로(53)가 하나 초과의 가지부(51)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가지부(51)는, 주사기 몸통(18)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기부(50)로부터 연장된다. 가지부 기부(50)는 하나 이상의 O-링을 통해서 주사기 몸통(18) 내의 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기부(50)가 디스크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기부(50)가 가지부(51)를 지지를 유지하기만 한다면 그리고 몸통(18) 내에서의 그들의 이동을 돕기만 한다면, 그러한 기부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동작 시에, 플런저 조립체(12)의 축방향 이동은 기부(50) 및 연관된 가지부(51)의 이동을 유발하고, 그에 따라 가지부(51)가 바늘 허브(24)에 접촉된다. 그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지부(51)는 바늘 허브(24)와 접촉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서 플런저 막대(14)에 인가되는 힘은 기부(50)에 인가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늘 허브(24)로 전달된다. 이러한 전달을 통해서, 바늘 허브(24)의 표면, 또는 그 유사 형상부에 의해서, 몸통 선단부(32)의 결속 형상부(32a)와의 결합 연결로부터 결속 메커니즘(22)이 밀릴 수 있거나 그러한 결속 메커니즘(22)의 해제가 달리 개시될 수 있다. 결속 메커니즘(22)을 몸통 선단부(32)의 결속 형상부(32a)로부터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편향 부재(30)(예를 들어, 스프링)가 확장될 수 있고 바늘(28)을 포함하는 바늘 조립체(42)를 실질적으로 몸통(18)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근위 방향으로 후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결속 메커니즘(22)의 해제 및 편향 부재(30)의 확장 시에, 바늘(28), 바늘 허브(24), 및 결속 메커니즘(22)이 후퇴된다.
가지부(51), 기부(50) 및 플런저 조립체(12)가 별개로 제조될 수 있거나, 그 하나 이상의 형상부가, 별개로 형성되고 추후에 조립된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전달 주사기(10)의 조립 중에 또는 사용 중에 서로 결합되는 별개의 유닛들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지부(51), 기부(50) 및 플런저 막대(14)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플런저 조립체(12)가 눌려질 때 가지부(51), 기부(50), 및 플런저 막대(14)가 단일 유닛으로서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기부(50) 및 가지부(5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그에 따라 플런저 막대(14)가 주사기 몸통(18) 내에서 전방으로 밀릴 때, 플런저 막대(14)가 기부(50)와 결합되어 기부(50) 및 연관된 가지부(51)를 이동시킨다.
조립 시에, 바늘(28)과 실질적으로 동축적인 속침(54)이 바늘(28)의 내강(29) 내에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속침(54)은 비-환자 단부(즉, 근위 단부(P))로부터 바늘(28)과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임플란트(49)는 속침(54)과 바늘(28)의 환자-단부(즉, 원위 단부(D)) 사이에서 바늘(28)의 내강(29) 내에 배치된다.
사용 시에, 플런저 막대(14)와 같은 활성화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바늘 후퇴 메커니즘(21)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바늘(28)을 후퇴시킬 수 있다. 초기에, 속침(54)은 바늘(28)에 대해서 정지적이고; 바늘 후퇴 메커니즘(21)에 의한 바늘(28)의 후퇴는 전달을 위한 표적 지역 내에서 임플란트(49)를 노출시킨다. 속침(54)은, 바늘(28)이 후퇴될 때 임플란트(49)가 바늘(28)을 따르지 않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서, 임플란트(49)의 정확한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서, 속침(54)은, 그러한 속침(54)의 원위 단부가 후퇴 바늘(28)의 원위 단부를 지난 후에만 후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비록 동일한 후퇴 메커니즘이 바늘 및 속침 구성요소 모두를 후퇴시키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지만, 속침(54)의 원위 단부를 지나는 바늘(28)의 원위 단부의 후퇴 이후에 속침(54)의 후퇴를 위한 메커니즘이 활성화되거나 격발되도록 속침(54)의 후퇴 시퀀스 및 타이밍이 구성된다. 바늘 후퇴 메커니즘(21)에 근접한 속침 디스크(52)를 이용하여 희망 후퇴 시퀀스를 보장할 수 있다. 바늘 후퇴 메커니즘(21)과 속침 디스크(52) 사이의 거리는 바늘(28)에 대한 속침(54)의 후퇴 타이밍을 설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속침 후퇴 메커니즘은 바늘 허브(24)와 속침 디스크(52)의 결합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주사기(10)가: 바늘 주입 스테이지, 바늘 후퇴 활성화 스테이지, 임플란트 전달 스테이지, 및 속침 후퇴 스테이지를 통해서 진행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통 어댑터(20), 후퇴 메커니즘(21), 및 전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달 주사기(10)를 도시한다. 도 7a는 몸통(18)에 장착된 몸통 어댑터(20)를 도시한다. 포장 내에서, 몸통 어댑터(20)는, 바늘(28)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몸통 선단부(32)와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강성 바늘 차폐부(RN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RNS가 제거되고 환자 내로의 주입을 위해서 바늘(28)이 노출된 주사기를 도시한다. 바늘(28)의 내강(29)은, 속침(54)과 바늘 선단부 사이에서, 주입을 위한 약물 임플란트(49)를 포함한다. 도 7b는 후퇴 메커니즘(21)이 활성화된 이후의 주사기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플런저 막대(14)는 원위 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눌려 있고, 가지부 기부(50)는 바늘 허브(24)와 접촉되어 있다. 플런저 막대(14)의 최소의 추가적인 누름 시에, 후퇴 메커니즘(21)이 활성화되고 결속 메커니즘(22)은, 예를 들어, 편향 부재(30)의 비틀림 편향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결속 메커니즘(22)의 축방향 회전 시에, 결속 메커니즘(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몸통 선단부(32)의 결속 형상부(32a)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부재(30)는 근위 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편향 부재(30)의 근위 단부는 결속 메커니즘(22)을 근위 방향으로 밀고, 이는 바늘 허브(24) 및 바늘(28)을 밀어서 바늘(28)이 몸통(18) 내로 후퇴되게 한다. 바늘(28)을 가지는 속침(54)의 비-이동과 결합된 이러한 작용은 환자로의 표적화된 전달을 위해서 임플란트(49)를 노출시킨다. 임플란트(49)가 완전히 노출되고 전달된 후에, 속침(54)은 바늘(28)과 함께 후퇴된다. 이러한 작용은 바늘 허브(24)와 접촉되는 속침 디스크(52)에 의해서 유발되고, 이러한 양 구성요소는 함께 후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치수는, 임플란트(49)가 전달된 후에만 속침(54)의 후퇴가 발생되게 보장하도록, 제어된다. 도 7d는 바늘(28) 및 속침(54)의 후퇴가 완료된 후의 주사기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주사기가 바늘 주입 스테이지, 바늘 후퇴 활성화 스테이지, 임플란트 전달 스테이지, 및 속침 후퇴 스테이지를 통해서 진행될 때, 구성요소들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실시예의 확대된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나사-핏 연결을 통해서 몸통에 장착될 수 있는 몸통 어댑터를 가지는 전달 주사기를 제공한다. 그러한 구성은, 본원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를 몸통 어댑터의 바늘 내로 적재하기 위한 자동화된 임플란트 삽입 프로세스를 도울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핏 연결부를 가지는 몸통 어댑터(120)를 포함하는 전달 주사기(100)의 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그러한 전달 주사기는,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몸통 어댑터(120)를 전달 주사기(100)의 몸통(118)에 부착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명료함을 위해서 도 9b에서 투명 구성요소로서 도시된, 바늘 캡(170)을 이용할 수 있다. 몸통 어댑터(120)는 포장, 운송, 및/또는 조립을 위해서, 예를 들어, 제거 가능한 막(171)에 의해서 폐쇄된 멸균 분위기에서 바늘 캡(170) 내에 전체가 체류될 수 있다. 몸통 어댑터(120)는, 예를 들어, 임플란트의 삽입 및 전달 주사기(100)의 몸통(118)과의 최종 조립을 위해서 멸균 바늘 캡(170) 내에서 충진자 또는 제약회사로 운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몸통 어댑터(120)의 바늘(128)의 원위 선단부가, 몸통 어댑터(120)를 포함하는 멸균 바늘 캡(170)을 충진자 또는 제약회사로 운반하기에 앞서서, 제조자에 의해서, 예를 들어 생분해성 중합체에 의해서, 막힌다. 몸통(118) 및 전달 주사기(100)의 다른 구성요소와 별개로 바늘 캡(170)을 받았을 때, 충진자 또는 제약회사는 제거 가능한 막(171)을 벗겨 내거나 달리 제거할 수 있고 몸통 어댑터(120)의 근위 단부를 통해서 임플란트를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몸통 어댑터(120)는, 바늘 캡(170)의 보조로 또는 그러한 보조가 없이, 전달 주사기(100)의 몸통(118)에 부착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속침(154)이 바늘 허브(124)의 개구를 통해서 바늘(128)의 근위 단부와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그 내부로 삽입될 때에만, 몸통 어댑터(120)를 몸통(118)에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전달 주사기가 구성된다. 도 9c는 그러한 조립된 구성에서 도 9a에 도시된 전달 주사기 및 몸통 어댑터의 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가지부(151)가 가지부 기부(150)로부터 탈착되거나 분리된 구성요소인 구성을 도시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지부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전달 주사기 내에서 이용된 가지부와 동일한 상대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도 9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지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부 기부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속침 안내부(155)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성과 관계없이, 전달 주사기가 동작 스테이지들을 통해서 진행될 때 속침(154)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속침 디스크(152)가 가지부(151) 상에서 축방향으로 병진운동될 수 있도록, 가지부(151)가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또는 도 9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플런저 막대(114)에 인가된 힘을 결속 메커니즘(122)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서 바늘 후퇴 메커니즘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가지부(151)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도 10b 및 도 10c는, 전달 주사기(100)의 동작 중에 속침 안내부(155) 및 가지부(151)와 상호 작용하는 속침(154) 및 속침 디스크(152)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플란트 전달 주사기의 조립, 제조, 및 동작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인 플런저 안내 조립체(112)의 이용에 의해서 촉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런저 안내 조립체(112)는 몸통 캡(116), 및 기부(150)를 가지는 플런저 막대(114)를 포함한다. 몸통 캡(116)은 안내 핀(117)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포트(116A)를 가질 수 있다. 안내 핀(117)은, 예를 들어 전달 장치의 조립, 제조, 및 동작을 안내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플런저 막대(114)의 채널, 통과부, 및 정지 부재로, 플런저 막대(114)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화살표(R)에 의해서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 90도 간격으로 축(A)을 중심으로 안내 핀(117)에 대해서 회전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막대(114)의 측면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11a는 정지 부재(114D), 통과부(114A), 채널(114E), 및 기부 연결 형상부(114C)를 가지는 플런저 막대(114)를 도시한다. 기부 연결 형상부(114C)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막대(114)를 기부(150)에 연결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핀 안내부(117)는 채널(114E) 내에 체류할 수 있고, 핀 안내부(117)가 정지 부재(114D)와 접촉될 때까지, 플런저 막대(114)의 축방향 병진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구성은, 예를 들어, 초기 조립 및 제조자로부터 충진자 또는 제약회사로의 운반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정지 부재(114D)는 플런저 막대의 원위 방향을 따른 축방향 병진운동을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몸통 캡(116)은 플런저 막대(114)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플런저 막대의 근위 방향을 따른 축방향 병진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1b는, 안내 핀(117)이 통과부(114A)를 통해서 채널(114E)과 채널(114F)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게 허용하도록, 축(A)을 중심으로 화살표(R)에 의해서 표시된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플런저 막대(114)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충진자 또는 제약회사는 최종 조립 및 동작을 위해서 속침 디스크(152) 및 속침(154)을 배치하기 위해 플런저 막대(114)를 병진운동시킬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도 11b에 도시된 구성으로의 전환은,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몸통 어댑터를 전달 주사기의 몸통에 부착하기 전에 임플란트를 몸통 어댑터 내에 배치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전달 주사기는 도 11b에 도시된 구성으로 사용자에게 운반될 수 있다. 사용에 앞서서, 사용자는 플런저 막대(114)를 축(A)을 중심으로 화살표(R)에 의해서 표시된 방향으로 또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핀(117)이 통과부(114B)를 통해서 채널(114F)과 채널(114G) 사이에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도 11c에 도시된 구성에서, 플런저 막대(114)는 임플란트의 전개 그리고 바늘 및 속침의 후퇴를 돕기 위해서 원위 및 근위 방향으로 축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병진운동될 수 있다. 도 12는 전달 주사기(100)의 (명료함을 위해서 교차-평행선을 제거한) 확대된 횡단면도를 도시하며, 안내 핀(117)과 플런저 막대(114) 사이의 상호 작용을 몸통 캡(116)을 통해서 볼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전달 주사기(100)가 바늘 주입 스테이지, 바늘 후퇴 활성화 스테이지, 임플란트 전달 스테이지, 및 속침 후퇴 스테이지를 통해서 진행될 때의 확대된 횡단면도를 도시한다(명료함을 위해서 교차-평행선을 제거하였다). 도 13a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속침 조립체는, 속침(154)을 초기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주사기 몸통(118) 내에 안착되는 속침 디스크(152) 형태의 지지 구조물로부터 연장되는 속침(154)을 포함한다. 속침 디스크(152)는 하나 이상의 O-링을 통해서 주사기 몸통(118) 내의 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속침 디스크(152) 및 속침(154)은, 바늘(128)이 근위 방향으로 후퇴되어 전개를 위해서 임플란트를 노출시킬 때까지 임플란트(129)를 고정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동작의 초기 스테이지 중에 O-링에 의해서 또는 균등한 수단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고정 위치에서 유지된다. 바늘 허브(124) 및 바늘(128)의 후퇴 시에 속침 디스크(152)가 속침 안내부(154)에 의해서 접촉될 때까지, 속침 조립체의 이러한 초기 위치가 유지된다.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후퇴 메커니즘의 활성화 시에 바늘(128)이 후퇴되어 속침(154)에 의해서 전개용 임플란트(129)가 노출되고, 이어서 속침(154)이 몸통(118) 내로 후퇴된다. 마개(127)를 이용하여 임플란트(129)를 바늘(128)의 원위 선단부의 제 위치에서 초기에 유지할 때, 임플란트(129)의 전개에 더하여 마개(127)가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침 안내부(155)는 플런저 막대(114) 및/또는 기부(150)에 의해서 가지부(151)에 인가되는 힘에 의해서 바늘 허브(124)에 접촉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속침 안내부(155)는 바늘 허브(24)와 접촉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서 플런저 막대(114)에 인가되는 힘은 기부(150)에 인가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늘 허브(124)에 전달된다. 이러한 전달을 통해서, 바늘 허브(124)의 표면, 또는 그 유사 형상부에 의해서, 몸통 선단부(132)의 결속 형상부와의 결합 연결로부터 결속 메커니즘(122)이 밀릴 수 있거나 그러한 결속 메커니즘(122)의 해제가 달리 개시될 수 있다. 결속 메커니즘(122)을 몸통 선단부(132)의 결속 형상부로부터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편향 부재(130)(예를 들어, 스프링)가 확장될 수 있고 바늘(128)을 포함하는 바늘 조립체를 실질적으로 몸통(118)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근위 방향으로 후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결속 메커니즘(122)의 해제 및 편향 부재(130)의 확장 시에, 바늘(128), 바늘 허브(124), 및 결속 메커니즘(122)이 후퇴된다. 초기에, 속침(154)은 바늘(128)에 대해서 정지적이고; 바늘 후퇴 메커니즘에 의한 바늘(128)의 후퇴는 전달을 위한 표적 지역 내에서 임플란트(129)를 노출시킨다. 속침(154)은, 바늘(128)이 후퇴될 때 임플란트(129)가 바늘(128)을 따르지 않도록 보장한다. 임플란트(129)의 정확한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서, 속침(154)은, 그러한 속침(154)의 원위 단부가 후퇴 바늘(128)의 원위 단부를 지난 후에만 후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비록 동일한 후퇴 메커니즘이 바늘 및 속침 구성요소 모두를 후퇴시키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지만, 속침(154)의 원위 단부를 지나는 바늘(128)의 원위 단부의 후퇴 이후에 속침(154)의 후퇴를 위한 메커니즘이 활성화되거나 격발되도록 속침(154)의 후퇴 시퀀스 및 타이밍이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속침 디스크(152)는 바늘 후퇴 메커니즘에 근접되고 희망 후퇴 시퀀스를 보장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바늘 후퇴 메커니즘과 속침 디스크(152)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바늘(128)에 대한 속침(154)의 후퇴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바늘 후퇴 메커니즘의 활성화 시에, 바늘(128)은 전달 주사기(100)의 몸통(118) 내로 후퇴되고, 그에 의해서 표적 위치로의 전개를 위해서 임플란트(129)를 노출시킨다. 바늘 허브(124) 및 바늘(128)을 포함하는 바늘 조립체의 후퇴는 바늘 허브(124)가 속침 안내부(155)와 접촉되게 하고 그러한 속침 안내부(155)를 후퇴시킨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침 디스크(152) 및 속침(154)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치에서 유지되어, 바늘(128)이 그 주위로 후퇴될 때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임플란트(129)를 유지한다. 임플란트(129)가 전개를 위해서 바늘(128)로부터 노출될 때,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침 안내부(155)가 속침 디스크(152)와 접촉되고 후퇴시키며, 그에 의해서 속침(154)을 후퇴시킨다. 특히, 바늘 조립체 및 속침 안내부(155)의 후퇴가 근위 방향을 따른 가지부(151)의 축방향 병진운동을 초래하기 때문에, 플런저 막대(114) 및/또는 기부(150)가 또한 근위 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병진운동된다. 이는, 플런저 막대(114)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바늘 조립체의 후퇴 및 임플란트의 전개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전개의 종료 시에, 바늘(128) 및 속침(154)이 완전히 후퇴되고 전달 주사기(100)의 몸통(118) 내에 안전하게 수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적인 안내 핀(117)을 플런저 막대(114)와 함께 이용하여 전달 주사기(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이한 사용을 유지하면서 그리고 바늘-찌름 부상을 방지하면서, 약물 임플란트를 표적 위치에 정확하게 전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표준적인, 상업적으로 입수가 가능한 구성요소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그에 의해서 전체적인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조립 프로세스를 간결하게 하며, 비-표준 재료 및 구성요소와 종종 연관되는 규제 문제를 피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몸통은 의료 등급 제품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특정 플라스틱, 유리, 또는 임의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또한 "LEXAN"이라는 상표명으로 미국 매사추세츠 피츠필드에 소재하는 SABIC Innovative Plastics이 판매하는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과 같은 특정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유사하게, 바늘 밀봉부(제공되는 경우) 및 가지부 기부(50)와 같은 구성요소를 위해서, "HELVOET"라는 상표 명으로 미국 뉴저지 펜사우켄에 소재하는 Datwyler Pharma Packaging USA Inc.가 판매하는 고무 제품과 같은 특정 탄성중합체 또는 고무가 이용될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여러 가지 의료 등급 금속이 바늘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 몸통 어댑터, 및 전달 주사기는 희망 매개변수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많은 상이한 구성으로 성형되고 그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 몸통 어댑터, 및 주사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수의 프로세스에 의해서 조립될 수 있고 및/또는 임플란트로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지의 접착제 또는 초음파 용접과 같은 용접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달 주사기는 통상적인 주사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이용 방법은: 후퇴 메커니즘(21)의 활성화 및 바늘(28)로부터의 임플란트(49)의 전달을 돕기 위해서 플런저 조립체(12)를 누르는 단계; 편향 부재(30)와 바늘 조립체(42) 사이의 접촉에 의해서 편향 부재(30)를 그 에너지화된 상태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 결속 메커니즘(22)을 격발하여, 바늘 조립체(42)가 몸통 내로 후퇴되게 하는 단계; 임플란트(49)를 표적 위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임플란트(49)의 전달 시에, 속침(54)을 주사기의 몸통 내로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주사기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편향 부재(30)의 결합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결속 메커니즘(22), 바늘 허브(24), 및 다른 구성요소를 구성할 수 있는 수 많은 상이한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주사기(10)에서, 결속 메커니즘(22)은, 결속 메커니즘(22)과 결합되는 몸통 선단부(32) 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활성화 시에, 바늘 허브(24)를 이용하여 결속 메커니즘(22)을 몸통 선단부(32)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하는 것을 개시할 수 있다. 주사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결속 형상부(32a)는 몸통 선단부(32)와 별개이나, 주사기(10)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전달 주사기(100)의 기능은 전달 주사기(10)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특별한 구성요소와 관계없이, 본 발명의 전달 주사기의 이용 방법들이 비교적 유사하다. 결속 메커니즘(22)을 그 결합 조건으로부터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편향 부재(30)가 확장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바늘 조립체(42)를 실질적으로 몸통(18)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근위 방향으로 후퇴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체 바늘 조립체(42)가 후퇴되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 바늘(28)을 포함하는, 그 특정 구성요소 만이 결속 메커니즘(22)의 해제 및 편향 부재(30)의 활성화 시에 후퇴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결속 메커니즘(22)이 바늘 조립체(42)와 함께 후퇴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 결속 메커니즘(22)이 실질적으로 정지적으로 유지되나, 바늘 조립체(42) 또는 그 구성요소는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그러한 이용 방법은, 바늘 차단부로, 바늘 조립체(42)가 몸통(18) 내로 후퇴된 후에 바늘(28)이 원위 방향으로 축방향을 따라 병진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6c 는 전달 주사기(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전달 주사기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달 주사기(200)는 임플란트를 표적 조직 내에 정착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달 주사기(200)는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상이한 바늘 후퇴 메커니즘을 이용한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주사기(200)는 플런저 조립체(212)를 가지는 주사기 몸통(218) 내로 부착하기 위한 몸통 어댑터(220)를 포함한다. 몸통 어댑터(220)의 몸통 선단부(232)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서 임의의 표준 몸통과 교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몸통(18)에서와 같이, 몸통(218)은 테이퍼형이거나, 비-원통형이거나, 실질적으로 직선형일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조 목적에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몸통(218)은 직선형 몸통 유리 실린더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몸통(218)은, 예를 들어, 가치 있는 제조 효율 및 동작 비용-절감을 제공하는, 표준적인, 기성품 부품일 수 있다. 전달 주사기(200)가 일단 조립된 후에 플런저 조립체(212)가 몸통(218)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 또는 금지할 수 있는 몸통 캡(208)이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몸통(218) 또는 몸통 캡(208)이 핑거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 조립체(212)는 플런저 막대(213) 및 플런저(21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215)는, 예를 들어 나사산 결합에 의해서, 플런저 막대(213)의 원위 단부에 연결될 수 있거나 그와 일체형일 수 있다. 플런저(215)는 플런저 막대(213)를 따르도록 몸통(218)에 대해서 상하로 작동될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몸통 어댑터(220)는 임의의 적합한 결합 배열체에 의해서 주사기 몸통(218)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통 어댑터(220)는, 몸통 어댑터(220) 및 주사기 몸통(218)의 구성요소와 별개일 수 있거나, 몸통 어댑터(220) 및 주사기 몸통(218)과 일체형일 수 있는 결합 구조물에 의해서 주사기 몸통(218)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몸통 어댑터(220)는 주사기 제조 프로세스 중에 또는 사용 직전에 주사기 몸통(218)에 결합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주사기 어댑터(220)는 주사기 제조 프로세스 중에 간섭성 핏, 접착, 스냅-핏 조립체, 및/또는 나사-핏 조립체, 또는 기타에 의해서 주사기 몸통(218)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주사기 몸통(218) 및 몸통 어댑터(220)가 교합되는 나사산 또는 루어 결속 배열체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몸통 어댑터(220)가 사용 직전에 주사기 몸통(218)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몸통 어댑터는, 상응하는 수놈형 및 암놈형 나사 피치 부분 또는 구성요소를 가지는 몸통 어댑터 및 몸통 모두를 가지는 나사-핏 조립체를 통해서 몸통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댑터 칼라(233)와 같은 하나 이상의 결합 구조물이 제공되어 몸통 어댑터(220)를 몸통(218)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O-링(236)이 몸통 어댑터(220)와 몸통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몸통 어댑터(220)는 바늘(201)을 주사기 몸통(218)에 장착하는 것을 돕는다. 몸통 어댑터(220)는 몸통 선단부(232) 및 바늘 후퇴 메커니즘(211)을 포함한다. 바늘 후퇴 메커니즘(211)은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작동기 하위 조립체(210), 바늘 하위 조립체(221), 내부 및 외부 편향 부재(240, 241), 및 편향 부재(240, 241)를 에너지화된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배치된 작동 가능한 결속 배열체를 포함한다. 몸통 선단부(232)는 전형적으로, 주사기 몸통(218)에 결합될 때, 원위 단부를 주사기(200)에 제공하고, 약제의 주입 중에 바늘(201)은 몸통 선단부(232)의 원위 단부를 통해서 연장된다.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몸통 선단부(232)는, 슬리브(250)와 같은, 바늘 후퇴 메커니즘(211)의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하위 조립체(221)는 바늘-오버-몰드("NOM")(222), 바늘(201), 및 바늘 허브(216)를 포함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201)의 근위 단부(229)는 바늘 허브(216)의 중심 내에 배치되고, 바늘 허브는 NOM(222)의 근위 단부(223)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그에 따라 NOM의 상향 이동은 몸통(218)에 대한 바늘 허브의 상향 이동을 초래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NOM(222)의 근위 단부(223)가 바늘 허브(216)에 연결될 수 있다. NOM(222)은 바늘(201) 상으로 몰딩될 수 있거나, 결합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거나, 함께-몰딩될 수 있고, 또는 수많은 방법으로 바늘에 부착, 장착, 또는 고착될 수 있다. 의료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 NOM(222)이 바늘(201)의 몰딩된 형상부일 수 있다.
몸통 어댑터(220)는 또한, 바늘(201)을 후퇴시키기 위해서 작동기 하위 조립체(210)에 의해서 작동될 때까지, 내부 및 외부 편향 부재(240, 241)를 에너지화된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배치된 작동 가능한 결속 배열체를 포함한다. 작동 가능한 결속 배열체는, 부분적으로, NOM(222)과 NOM 유지부(224) 사이의 해제 가능한 결합을 포함한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었을 때, NOM(222)은 실질적으로 NOM 유지부(224)의 중심을 통해서 그리고 몸통 선단부(232)의 중심을 통해서 피팅된다. 도 15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NOM 유지부(224)는, 예를 들어, 슬리브 아암(250A)과 NOM 유지부(224)를 통한 결합 오리피스(225)에 의해서 형성된 결합 표면(224A) 사이의 결합에서와 같이, 몸통 선단부(232)의 슬리브(250)와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슬리브 아암(250A)은, 슬리브(250)가 NOM 유지부(224)의 단부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캠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슬리브 아암(250A)이 결합 오리피스(225)를 통해서 제 위치에 스냅될 수 있게 한다.
NOM(222) 및 NOM 유지부(224)가 도 16a, 도 16b, 및 도 16c에서 분해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바늘(201) 자체는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명료함을 위해서 도 16a 내지 도 16c에서 생략된) 내부 및 외부 편향 부재(240, 241)가 유지부 턱(230) 및 NOM 턱(231) 사이에 개재된다. 비록 도 14 및 도 15의 실시예가 내부 및 외부 편향 부재 모두를 포함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단일 편향 부재 또는 부가적인 편향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부 아암(234)이 제 위치 내로 스냅되어 NOM(222) 상에 포함된 NOM 선반(235)과 결합됨으로써, 결속 배열체의 해제 가능한 결합을 형성하도록, NOM(222)은 NOM 유지부(224)의 중심 내로 수용되게 구성된다. 유지부 아암(234)은 NOM 선반(235)과의 결합을 유지하도록 일반적으로 내측으로 편향될 수 있다. NOM 선반(235)과 유지부 아암(234) 사이의 접촉은 NOM(222)의 상향 이동을 방지하여, 편향 부재(240, 241)를 에너지화된 위치에서 유지한다. 도 15b를 참조하면, NOM(222)이 제 위치에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화된 위치에 있을 때, 몸통 선단부(232)의 슬리브(250)가 NOM 노치(238)와 결합되어 몸통 선단부(232)에 대한 NOM 및 바늘(201)의 추가적인 하향 이동을 방지한다.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결속 배열체는 활성화될 때까지 에너지화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제 도 15a 및 도 15b를 다시 참조하면, 작동기 하위 조립체(210)는, 작동 가능한 결속 배열체를 작동시켜 편향 부재(240, 241)를 탈-에너지화시킬 수 있도록, 그에 따라 바늘(201)을 후퇴시키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기 하위 조립체(210)는 속침 디스크(214), 속침(254),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242), 및 NOM 유지부(224)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플런저(215)로부터 연장되는 가지부(242)의 쌍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런저(215)는 가지부 유지부로서 작용하고, 가지부(242)는 플런저(215)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플런저(215)의 누름시에 가지부(242)가 원위 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기만 한다면, 가지부(242)가 플런저(215)에 결합되거나 고정된 별개의 기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가지부(242)는 바늘 허브(216)에 대해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지부의 작동 단부(243)는 NOM 유지부(224)의 중심 내로 연장되어 유지부 아암(234)의 내부 부분과 결합된다. 가지부(242)의 작동 단부(243)는, 유지부 아암(234)의 내부 부분과 매끄럽게 결합되도록, 캠형일 수 있다.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주사기(200) 및 몸통 어댑터(220)가 임플란트의 전달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허브(216)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이러한 구성요소 및 몸통의 길이방향 축에서) 그 중심에 위치되는 관통로로서 작용하는 개구(227)를 갖는다. 이러한 개구(227)는 바늘(201)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바늘(201)은 초기 주입 스테이지 중에 바늘 허브(216) 내의 제 위치에서 유지되고, 후퇴 메커니즘의 활성화 시에, 바늘 허브(216)가 있는 상태 또는 없는 상태로, 근위 방향으로 축방향을 따라 병진운동될 수 있다. 바늘(201)이 바늘 허브(216)를 통해서 개구(227)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바늘(201)의 근위 단부(229)는 중앙 내강을 제공한다. 동작 시에, 속침(254)은 바늘(201)의 중앙 내강 내에 배치되고, 이식하고자 하는 임플란트는 속침(254)에 대해서 원위 방향으로 바늘(201)의 내강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바늘(201)이 표적(미도시)에 진입할 때, 바늘(201)은 속침(254) 위에서 축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속침(254)은 임플란트가 바늘(201)과 함께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여, 임플란트를 표적 내의 제 위치에 남긴다. 속침(254)이 몸통 선단부(232)를 지나서 연장되는 경우에, 속침(254)은, 임플란트의 배치에 이어서 바늘(201)과 함께, 또는 바늘(201)이 후퇴되었을 때 바늘(201)과 별개로 표적으로부터 유사하게 후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임플란트의 주입을 제공하기 위해서 적어도 바늘(201)이 후퇴된다. 다른 양태에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속침(254)은 임플란트의 전달에 이어서 유사하게 후퇴된다.
이제 도 14a를 참조하면, 속침의 원위 단부가 바늘(201) 내에 배치될 때, 속침 디스크(214)는 속침(254)의 근위 단부(237)를 유지한다. 몸통(218)에 대한 속침 디스크에 의한 축방향 병진운동 시에, 속침(254)이 그러한 축방향 병진운동을 따르도록, 속침(254)이 속침 디스크(214) 내에서 유지된다. 유사하게, 플런저(215)의 축방향 병진운동 시에, 가지부(242)가 원위 방향으로 아래로, 즉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218) 및 작동기 하위 조립체(210)에 대해서 이동되도록, 가지부(242)의 근위 단부(239)가 플런저(215) 내에서 유지된다. 그에 따라, 가지부(242)의 작동 단부(243)가 NOM 유지부(224)의 유지부 아암(234)의 내부 부분에 대해서 결합되기 때문에, 작동기 하위 조립체(210)의 활성화는 플런저 조립체(212)의 하향 축방향 이동에 반응한 플런저(215)의 하향 축방향 이동의 결과로서 발생된다. 작동기 하위 조립체(210)의 작동 시에, 가지부(242)의 작동 단부(243)는 유지부 아암(234)이 NOM(222)에 대해서 외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유지부 아암(234)이 외측으로 이동되고 NOM 선반(235)을 제거하면, 유지부 아암은 더 이상 NOM 선반과 결합되지 않고, NOM 유지부(224)는 내부 및 외부 편향 부재(240, 241)의 힘을 통해서 NOM(222)이 상향 이동되는 것을 더 이상 방지하지 않는다. 편향 부재(240, 241)가 NOM 유지부(224)에 대해서 위쪽으로 NOM(222)에 힘을 가할 때, 바늘(201)은 NOM과 함께 그리고 몸통 선단부(232)의 원위 단부 내로 후퇴된다.
도 13a 내지 도 13d에 대해서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된) 플러그(127)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초기에 바늘(201)의 원위 선단부의 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플러그는 선택적으로 임플란트의 전개에 더하여 전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침 디스크(214)는 플런저(215)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에 따라 플런저 막대(213)가 몸통(218)을 향해서 작동될 때, 플런저(215)는 속침 디스크(214)를 밀어, 속침 디스크 및 속침(254)이 몸통(218)에 대해서 하향 병진운동되게 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속침(254)의 이러한 약간의 하향 축방향 이동은, 작동기 조립체(210)가 활성화되기 직전에, 속침이 바늘(201)에 대해서 하향 병진운동되게 한다. 속침(254)의 약간의 하향 이동은 단지 플러그를 바늘(201)의 원위 단부로부터의 자유롭게 하기에 충분하지만, 임플란트를 바늘로부터 자유롭게 할 정도로 충분하지는 않다. 작동기 하위 조립체(210)가 활성화되어 NOM(222) 및 바늘 허브(216)가 몸통(218) 내로 축방향으로 후퇴되게 하면, 바늘(201)은 속침(254) 주위로 후퇴되어, 속침이 임플란트를 바늘의 외부로 강제하게 한다. 임플란트가 바늘(201)의 외부에 배치되고 편향 부재(240, 241)가 속침 디스크(214)에 대항하여 바늘 허브(216)에 힘을 가하면, 속침(254)은 또한 몸통(218) 및 몸통 선단부(232)에 대해서 후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전달 시스템은, 사용자가 플런저 막대(213)를 몸통(218)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 활성화된다. 플런저 막대(213)의 누름은 플런저(215) 및 속침 디스크(214)의 약간의 하향 축방향 병진운동을 유발한다. 속침 디스크(214)의 하향 이동은 속침(254)이 바늘(201) 내에서 축방향으로 병진운동되게 하여, 임플란트를 바늘의 외부로 강제하지 않으면서, 플러그를 바늘의 원위 단부 외측으로 강제한다. 플런저(215)가 그 하향 병진운동을 계속할 때, 플런저는 가지부(242)를 NOM 유지부(224)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민다. 가지부(242)의 작동기 단부(243)는 NOM 유지부(224)의 유지부 아암(234)에 외측으로 힘을 가하여, NOM(222)을 유지로부터 해제시킨다. NOM(222)이 일단 해제되면, 편향 부재(240, 241)는 에너지화된 위치로부터 탈-에너지화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어, NOM(222)을 NOM 유지부(224) 및 몸통 선단부(232)에 대해서 위쪽으로 축방향으로 강제한다. NOM(222)이 바늘 허브(216)를 밀어, 바늘 허브를 위쪽으로 구동하고 바늘(201)의 원위 단부를 몸통 선단부(232) 내로 후퇴시킨다. 바늘(201)이 후퇴됨에 따라, 속침(254)은 제 위치에서 머무르고, 그에 따라 임플란트를 바늘의 원위 단부 외측으로 강제한다. 바늘 허브(216)가 속침 디스크(214)와 일단 접촉하면, 속침 디스크(214)가 상향으로 강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속침(254)이 또한 몸통 선단부(232) 내로 후퇴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표준적인, 상업적으로 입수가 가능한 구성요소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그에 의해서 전체적인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조립 프로세스를 간결하게 하며, 비-표준 재료 및 구성요소와 종종 연관되는 규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통은 의료 등급 제품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특정 플라스틱, 유리, 또는 임의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또한 "LEXAN"이라는 상표명으로 미국 매사추세츠 피츠필드에 소재하는 SABIC Innovative Plastics이 판매하는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과 같은 특정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유사하게, 바늘 밀봉부(제공되는 경우) 및 플런저(215)와 같은 구성요소를 위해서, "HELVOET"라는 상표 명으로 미국 뉴저지 펜사우켄에 소재하는 Datwyler Pharma Packaging USA Inc.가 판매하는 고무 제품과 같은 특정 탄성중합체 또는 고무가 이용될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여러 가지 의료 등급 금속이 바늘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 몸통 어댑터, 및 전달 주사기는 희망 매개변수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많은 상이한 구성으로 성형되고 그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 몸통 어댑터, 및 주사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수의 프로세스에 의해서 조립될 수 있고 및/또는 임플란트로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지의 접착제 또는 초음파 용접과 같은 용접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몸통 어댑터, 전달 시스템, 및 바늘 후퇴를 제공하는 후퇴 메커니즘과 같은 구성요소 조립체, 그러한 안전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전달 주사기, 그러한 전달 주사기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이용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통 어댑터, 전달 시스템, 후퇴 메커니즘, 및 전달 주사기는 수 많은 상이한 구성들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 몸통 어댑터는, 몸통과 교합되도록, 몸통의 내부에 장착되도록, 또는 몸통에 달리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몸통 어댑터는 몸통 어댑터의 임의의 구성요소를 몸통에 미리-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수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고려되고 포함된다.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일 구성요소, 통합된 구성요소, 다목적 구성요소일 수 있다. 또한, 바늘(28, 201), 속침(54, 254), 바늘 허브(24, 216), 속침 디스크(52, 214), 및 가지부 기부(50), 그리고 관련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을 활용할 수 있는, 본원에서 설명된 신규한 바늘 후퇴 메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는 수 많은 상이한 구성들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예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 내에서, 임의의 수의 구성으로 약물 임플란트 전달을 개시하기 위해서 그리고 바늘 후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몸통 어댑터 및 전달 주사기가 구성될 수 있고, 수정될 있으며,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한,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할 것이다.
전술한 설명이 개시된 시스템 및 기술의 예를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개시 내용의 다른 구현예가 구체적인 측면에서 전술한 예와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개시 내용 또는 그 예에 대한 모든 언급은 해당 지점에서 설명된 특별한 예를 참조할 것이고, 더 일반적으로 개시 내용의 범위와 관련하여 어떠한 제한도 부여하지 않을 것이다. 특정 특징에 대한 구별 및 비판에 관한 모든 언어는 그러한 특징의 선호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지,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그러한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전적으로 배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문맥에서 (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부정관사("a" 및 "an") 및 정관사("the") 그리고 "적어도 하나" 그리고 유사한 언급을 사용한 것은, 본원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에 의해서 분명히 반대로 설명되지 않는 한, 단수형 및 복수형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에 의해서 분명히 반대로 설명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물품의 목록이 뒤따르는 "적어도 하나"라는 용어의 사용(예를 들어, "A 및 B 중 적어도 하나")은 목록화된 물품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물품(A 또는 B) 또는 목록화된 물품 중 둘 이상의 임의 조합(A 및 B)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본원에서의 값의 범위의 인용은 단지 그러한 범위에 속하는 각각의 별개의 값을 개별적으로 지칭하는 간단한 방법으로서의 역할을 위한 것이고, 각각의 별개의 값은 그러한 것이 본원에서 개별적으로 인용된 것과 같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모든 방법은, 본원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에 의해서 분명히 반대로 설명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시 내용은, 적용 가능한 법률에 의해서 허용되는 바와 같이,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인용된 청구 대상의 모든 수정 및 균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에 의해서 분명히 반대로 설명되지 않는 한, 모든 가능한 변경예 내의 전술한 요소의 임의 조합이 개시 내용에 포함된다.

Claims (13)

  1. 몸통(218) 및 상기 몸통 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 플런저 조립체(212)를 가지는 전달 주사기(200)를 위한 몸통 어댑터(220)로서:
    상기 몸통의 원위 단부와 밀봉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몸통 선단부(232);
    바늘 후퇴 메커니즘(211)으로서:
    바늘(201) 및 상기 바늘이 통과하여 연장되는 바늘-오버-몰드(222)를 포함하는 바늘 하위 조립체(221)로서, 상기 바늘은 내강을 가지며, 상기 바늘 하위 조립체는 상기 몸통 선단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바늘이 상기 몸통 선단부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주입 위치로부터 상기 바늘이 상기 몸통 선단부 또는 몸통 중 적어도 하나 내에 배치되는 후퇴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바늘 하위 조립체,
    상기 몸통 선단부에 연결된 바늘-오버-몰드 유지부(224), 속침(254), 상기 속침의 근위 단부를 유지하는 속침 디스크(214), 상기 속침 디스크를 통해서 그리고 상기 바늘-오버-몰드 유지부 내로 통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242)를 포함하는 작동기 하위 조립체(210)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는 상기 몸통 내의 플런저 조립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속침은 축방향으로 활주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바늘 내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속침은, 상기 바늘이 주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의 원위 선단부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로부터 이격되는, 작동기 하위 조립체(210), 및
    상기 바늘-오버-몰드와 상기 바늘-오버-몰드 유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늘-오버-몰드를 상기 바늘-오버-몰드 유지부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240, 241)를 포함하는, 바늘 후퇴 메커니즘(211); 및
    결속 배열체가 결속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에너지화된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그리고 상기 작동기 하위 조립체에 의해서 작동될 때 상기 편향 부재를 해제하도록 배치된 작동 가능한 결속 배열체로서, 상기 결속 배열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를 상기 바늘-오버-몰드 유지부에 대해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플런저 조립체를 누르는 것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는, 상기 바늘 및 속침의 상기 주입 위치로부터 상기 후퇴 위치로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작동 가능한 결속 배열체을 포함하는, 몸통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배열체는 상기 바늘-오버-몰드와 상기 바늘-오버-몰드 유지부 사이의 해제 가능한 결합을 포함하는, 몸통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가능한 결합은 상기 바늘-오버-몰드 유지부의 적어도 하나의 유지부 아암(234)과 상기 바늘-오버-몰드의 바늘-오버-몰드 선반(235) 사이에 형성되는, 몸통 어댑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의 작동 단부(243)는, 상기 플런저 조립체의 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결속 배열체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바늘-오버-몰드 선반과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부 아암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몸통 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2개의 가지부 및 2개의 유지부 아암을 더 포함하는, 몸통 어댑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의 근위 단부(237)가 상기 플런저 조립체 내에 배치되는, 몸통 어댑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누름이 상기 결속 배열체의 작동을 유발하기 전에, 상기 플런저 조립체의 누름이 상기 바늘 내강 내의 속침의 초기 축방향 이동을 초래하도록, 상기 속침 디스크는 상기 플런저 조립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몸통 어댑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내강은 임플란트(129) 및 상기 임플란트에 대해서 원위 방향으로 배치된 플러그(127)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속침의 초기 축방향 이동이,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바늘의 외부로 강제하지 않고, 상기 플러그를 상기 바늘의 외부로 강제하도록, 상기 속침 디스크가 배치되는, 몸통 어댑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하위 조립체는 상기 바늘-오버-몰드에 인접하여 배치된 바늘 허브(2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늘 허브는 상기 바늘의 후퇴 시에 상기 속침 디스크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몸통 어댑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이 상기 후퇴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바늘은 상기 몸통 선단부 또는 상기 몸통 중 적어도 하나 내에 배치되는, 몸통 어댑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몸통 어댑터를 포함하는 자동적으로 후퇴될 수 있는 전달 주사기(200)로서, 몸통(218) 및 상기 몸통 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 플런저 조립체(212)를 포함하는, 전달 주사기.
  12. 제13항의 자동적으로 후퇴될 수 있는 전달 주사기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상기 바늘-오버-몰드 유지부와 상기 바늘 하위 조립체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바늘-오버-몰드를 상기 바늘-오버-몰드 유지부와 작동 가능하게 결속시켜 작동 가능한 결속 배열체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작동 가능한 결속 배열체는, 상기 결속 배열체가 결속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 부재를, 상기 바늘-오버-몰드를 상기 바늘-오버-몰드 유지부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는 에너지화된 위치에서 유지하고, 작동되었을 때 상기 편향 부재를 해제시키는 단계,
    상기 바늘의 원위 단부가 상기 몸통 선단부를 통해서 연장되는 상태로, 상기 바늘 하위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몸통 선단부 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속침 디스크로부터 연장되는 속침을 상기 바늘의 근위 단부 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가지부의 원위 단부가 상기 작동 가능한 결속 배열체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를 상기 속침 디스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서 배치하는 단계,
    상기 몸통 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플런저 조립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지부를 상기 플런저와 함께 축방향 이동되도록 상기 몸통 내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속침 디스크, 및 상기 작동 가능한 결속 배열체를 상기 몸통 내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몸통 선단부를 상기 몸통의 원위 단부와 밀봉식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내강은 임플란트 및 상기 임플란트에 대해서 원위 방향으로 배치된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플런저의 누름이 상기 결속 배열체의 작동을 유발하기 전에, 상기 플런저 조립체의 누름이,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바늘의 외부로 강제하지 않으면서 상기 플러그를 상기 바늘 외측으로 강제하는, 상기 바늘 내강 내의 상기 속침의 초기 축방향 이동을 초래하도록, 상기 속침 디스크를 상기 플런저 조립체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30140A 2015-04-01 2015-04-01 치료용 임플란트의 표적화된 전달을 위한 장치 KR201800035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5/023789 WO2016160004A1 (en) 2015-04-01 2015-04-01 Devices for targeted delivery of therapeutic impla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541A true KR20180003541A (ko) 2018-01-09

Family

ID=5282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140A KR20180003541A (ko) 2015-04-01 2015-04-01 치료용 임플란트의 표적화된 전달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3277347A1 (ko)
JP (1) JP6574264B2 (ko)
KR (1) KR20180003541A (ko)
CN (1) CN107592819A (ko)
AU (1) AU2015390076A1 (ko)
BR (1) BR112017021081A2 (ko)
CA (1) CA2980714A1 (ko)
HK (1) HK1243657A1 (ko)
IL (1) IL254625A0 (ko)
MX (1) MX2017012591A (ko)
RU (1) RU2683394C1 (ko)
WO (1) WO2016160004A1 (ko)
ZA (1) ZA20170643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035A (ko) 2018-05-11 2020-12-04 가부시키가이샤 우이즈 조광식 롤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65274C (en) 2012-02-23 2020-03-24 Unitract Syringe Pty Ltd Retractable needle safety syringes
US10272234B2 (en) 2012-02-23 2019-04-30 Unl Holdings Llc Devices for targeted delivery of therapeutic implants
JP6109203B2 (ja) 2012-02-23 2017-04-12 ユニトラクト シリンジ プロプライエタリイ リミテッドUnitract Syringe Pty Ltd 治療用インプラントの標的送達の為の器具
WO2018091465A1 (en) * 2016-11-18 2018-05-24 Bayer Oy An inserter for an eye implant
WO2020214135A1 (en) * 2019-04-14 2020-10-22 Gorden Marcus Van Ocular medication delivery apparatus
CN114521147B (zh) * 2019-09-24 2023-06-23 科利登医疗系统公司 用于安全注射器的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7414A (en) * 1987-04-29 1990-05-22 Kulli John C Syringe with safety retracting needle
US5180370A (en) * 1992-05-18 1993-01-19 Gillespie Elgene R Safety hypodermic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CN100391554C (zh) * 2006-04-13 2008-06-04 林作钱 一种针头慢速自动回缩安全医用注射器
MX2010007324A (es) * 2007-12-31 2010-09-30 Deka Products Lp Ensamble de bomba de infusion.
EP2229969A1 (en) * 2009-03-16 2010-09-22 Becton Dickinson France Injection device
CA2865274C (en) * 2012-02-23 2020-03-24 Unitract Syringe Pty Ltd Retractable needle safety syringes
JP6109203B2 (ja) * 2012-02-23 2017-04-12 ユニトラクト シリンジ プロプライエタリイ リミテッドUnitract Syringe Pty Ltd 治療用インプラントの標的送達の為の器具
EP2968795B1 (en) * 2013-03-12 2017-05-03 Unitract Syringe Pty Ltd Retractable needle adapters and safety syringes
US20150065955A1 (en) * 2013-08-27 2015-03-05 Daniel Alberto Ierfino Syringe for the injection of a medicament with automatic needle extension and retra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035A (ko) 2018-05-11 2020-12-04 가부시키가이샤 우이즈 조광식 롤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83394C1 (ru) 2019-03-28
CN107592819A (zh) 2018-01-16
ZA201706437B (en) 2020-02-26
HK1243657A1 (zh) 2018-07-20
CA2980714A1 (en) 2016-10-06
EP3277347A1 (en) 2018-02-07
MX2017012591A (es) 2018-11-12
AU2015390076A1 (en) 2017-11-09
BR112017021081A2 (pt) 2018-07-03
IL254625A0 (en) 2017-11-30
WO2016160004A1 (en) 2016-10-06
JP6574264B2 (ja) 2019-09-11
JP2018511405A (ja)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88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целевой доставки медицинского имплантата
KR20180003541A (ko) 치료용 임플란트의 표적화된 전달을 위한 장치
US10806854B2 (en) Insertion mechanism for a drug delivery pump
US10272234B2 (en) Devices for targeted delivery of therapeutic implants
TWI569835B (zh) 藥物輸送裝置
EP2691144B1 (en) Subcutaneous inserter device
US8162892B2 (en) Injector device for placing a subcutaneous infusion set
JP6326665B2 (ja) 格納式針アダプターおよび安全シリンジ
TWI710388B (zh) 藥劑組裝
MXPA05008537A (es) Aguja de seguridad.
BR112014020766A2 (pt) seringas de segurança com agulha retrátil
CN109758667A (zh) 药剂装置
JP2015166017A (ja) 注射装置
ES2886553T3 (es) Un amortiguador de jeringa para su uso en un dispositivo de inyección
US11617839B2 (en) Self-retracting mechanized syringe and methods of use
JP6536909B2 (ja) 引込み式シリンジ、引込み式シリンジ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引込み式シリンジの使用方法
US10420892B2 (en) Drive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ES2835808T3 (es) Autoinyector
TW202245855A (zh) 注射裝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