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332U -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332U
KR20180003332U KR2020170002476U KR20170002476U KR20180003332U KR 20180003332 U KR20180003332 U KR 20180003332U KR 2020170002476 U KR2020170002476 U KR 2020170002476U KR 20170002476 U KR20170002476 U KR 20170002476U KR 20180003332 U KR20180003332 U KR 201800033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lever
buckle
operating space
cas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규
Original Assignee
국제안전물산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안전물산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국제안전물산 유한책임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2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332U/ko
Publication of KR201800033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3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1Belt sorting accessories, e.g. devices keeping the belts in comfortable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현장의 고소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안전벨트를 체결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클의 구성 및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 및 조립이 간편하도록 함에 따른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하게 되며, 간단하고 경량화한 구성으로 레버형식의 작동구조를 구성함에 따른 착용 및 탈착이 편리함과 아울러 견고한 체결성능과 오작동이 방지된 구조를 통해 안전성이 우수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 {Safety belt buckle for high place work}
본 고안은 산업현장의 고소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안전벨트를 체결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소화된 구조로 제조 및 조립이 간편하고, 걸림고리의 탈착이 편리하여 사용편리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고소 작업시에 안전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으며, 상기 안전벨트의 단부에는 버클이 연결되어 안전벨트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도록 체결하게 된다.
종래 안전벨트의 버클은 그 구조가 단순한 슬라이드식과 구조가 복잡한 버튼식으로 대분되며, 버클의 경우 벨트 결착공과 탈착공이 형성된 본체에 개략 'ㄷ'자 형상의 조임구를 핀을 사용하여 결합하되, 본체나 조임구에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에 의하여 조임구가 본체 상에서 슬라이드되도록 하여 조임구에 형성된 이빨이나 칼날과 같은 조임부에 의해 벨트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하였으나, 상기한 슬라이드식 버클의 경우 가공 시 불량이 많고, 벨트의 밀림현상(=슬립현상)이 있어 높은 인장력이 발생할 시 안전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벨트의 착용 시 버클의 반대편 단부를 본체의 탈착공에 관통시킨 후 조임구의 관통공을 통과시키고 다시 본체의 탈착공으로 통과시켜야하므로 안전벨트의 탈착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탈착방식이 버튼의 원터치 누름방식으로 되어 있어 탈착이 용이하게 되는 버튼식 버클이 개발되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상승되고, 조립공정이 늘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090366호에 의하면 버클 케이싱 상하로 형성된 버튼을 독립적으로 토션스프링으로 탄력설치 하되, 버튼을 사용자 복부 전방으로 들어 올리면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토션스프링 단부는 걸고리 해정 후 밀어줄 수 있도록 푸싱부를 형성하고, 2중 안전장치로 슬라이드록커를 구비함으로써 버튼을 사용자 신체 전방으로 당겼을 경우에만 버클이 해정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보다 극대화시킨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을 공지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은 있으나, 조립 구성 및 그 구조가 여전히 복잡하여 제조단가 상승과 아울러 조립공정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KR (B1) 10-1090366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버클의 구성 및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 및 조립이 간편하도록 함에 따른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하게 되며, 간단하고 경량화한 구성으로 레버형식의 작동구조를 구성함에 따른 착용 및 탈착이 편리함과 아울러 견고한 체결성능과 오작동이 방지된 구조를 통해 안전성이 우수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안전벨트 양단에 걸고리와 상기 걸고리를 결속 및 해제하는 버클본체로 구성하는 안전벨트버클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는 후단에 안전벨트의 단부가 결속되는 결속공이 형성되고, 전단에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부가 돌출되고, 상기 경사부의 끝단부에 경사부와 직교되도록 걸림구가 돌출된 고리구로 형성되며, 상기 버클본체는 후단에 안전벨트의 단부가 결속되고 전단에 레버작동공간부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레버작동공간부 양측으로 대향되게 조립되어 걸고리를 결속 및 해제하도록 작동하는 탈착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전단 양측으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탈착레버의 회전반경을 제한하여 일정각도에서 각운동하도록 유도하는 스톱핑수단과, 상기 탈착레버와 스톱핑수단 사이로 설치되어 탈착레버를 탄력 지지하도록 하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한 쌍의 케이싱으로 분리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의 후단은 관통공이 뚫린 결합편이 형성되고, 전단으로 케이싱을 결합시 레버작동공간부와 선단면에 걸고리가 삽입되는 진입공이 형성되도록 결합편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부를 갖도록 연장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탈착레버는 케이싱의 양측에서 대향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지지편 내측에 개재된 상태로 힌지공에 핀 체결되어 회동하도록 체결공이 관통된 회동편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편의 외측방으로 파지부가 돌출되며, 상기 회동편의 후단으로 탄성수단이 탄지되는 탄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톱핑수단은 케이싱의 양단에서 레버작동공간부로 돌출되도록 프레스가공으로 일체 형성되며, 지지편의 양단부에 탄지스토퍼가 돌출되며, 상기 탄지스토퍼의 전단에 탈착레버 파지부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도록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구조의 잠금회동제한스토퍼가 돌출되고, 상기 탄지스토퍼의 후단에 탈착레버 탄지부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도록 내측방향으로 잠금회동제한스토퍼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되는 풀림회동제한스토퍼가 형성되며, 케이싱을 결합시 레버작동공간부에서 탄성수단을 구속하게 되는 탄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에 의하면, 버클의 구성 및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조단가는 낮추고 조립성이 향상되어 생산성과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량화되면서 간편한 구조의 레버형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착용이 편리함과 아울러 작동성능이 우수하며, 견고한 체결력과 오작동을 방지한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안전성이 극대화된 안전벨트버클을 산업현장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구성 실시예에 따른 하기 도면은 구성과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좁게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하다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기술용어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을 도시한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을 도시한 결합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은 안전벨트(4) 양단에 걸고리(1)와 상기 걸고리(1)를 결속 및 해제하는 버클본체(2)로 구성하는 안전벨트버클(3)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1)는 후단에 안전벨트(4)의 단부가 결속되는 결속공(11)이 형성되고, 전단에 고리구(12)가 돌출되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3)의 끝단부에 경사부(13)와 직교되도록 걸림구(1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버클본체(2)는 후단에 안전벨트(4)의 단부가 결속되는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전단에 레버작동공간부(22)와 걸고리(1)의 걸림구(14)가 출입되는 진입공(23)을 형성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전단 양측으로 대향되게 조립되어 걸고리(1)를 결속 및 해제하도록 작동하는 탈착레버(30)와, 상기 하우징(20)의 전단 양측으로 대향되게 일체 형성되어 탈착레버(30)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스톱핑수단(40)과, 상기 탈착레버(30)의 탄성작동을 위해 탈착레버(30)와 스톱핑수단(40) 사이로 설치되어 탈착레버(30)를 탄력 지지하도록 하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탄성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상호 대향하도록 체결되는 한 쌍의 케이싱(24,24')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24,24')의 후단은 관통공(21)이 뚫린 결합편(25)이 형성되고, 전단으로 케이싱(24,24')을 결합시 내측으로 레버작동공간부(22)와 선단면에 진입공(23)이 형성되도록 결합편(25)에서 외측방향으로 소정간격 절곡되는 절곡부(29)를 갖도록 연장되는 지지편(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25)의 후단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공(27)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26)의 전단 양측으로 탈착레버(30)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공(28)이 형성된다.
상기 탈착레버(30)는 케이싱(24,24')의 양측에서 대향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어 레버작동공간부(22)에 조립하되, 지지편(26) 내측에 개재된 상태로 힌지공(28)에 핀 체결되어 회동하도록 체결공(31)이 관통된 회동편(32)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편(32)의 외측방으로 파지부(33)가 돌출되며, 상기 회동편(32)의 후단으로 탄성수단(50)이 탄지되는 탄지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톱핑수단(40)은 케이싱(24,24')의 레버작동공간부(22)의 양측에서 탈착레버(30)의 회동반경을 제한하여 일정각도에서 각운동하도록 유도함과 아울러 탄성수단(50)의 일단부를 탄력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지지편(26)의 양단부에 탄지스토퍼(41)가 돌출되며, 상기 탄지스토퍼(41)의 전단에 탈착레버(30) 파지부(33)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도록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구조의 잠금회동제한스토퍼(42)가 돌출되고, 상기 탄지스토퍼(41)의 후단에 탈착레버(30) 탄지부(33)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도록 내측방향으로 잠금회동제한스토퍼(42)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되는 풀림회동제한스토퍼(43)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톱핑수단(40)은 제조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작동구조의 간편성을 위해 프레스로 압착하여 일체 가공하게 되며, 케이싱(24,24')을 결합시 양측 지지편(26)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접하게 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레버작동공간부(22)에서 탄성수단(50)을 구속하게 되는 탄지홈(44)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톱핑수단(40)을 별개의 부품으로 구비되지 않고 일체 형성된 구조에 따라 아주 단순한 작동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탄성수단(50)은 탈착레버(30)의 탄성작용을 위해 스톱핑수단(40)의 탄지홈(44)과 탈착레버(30)의 탄지부(34)에 코일스프링(51)이 끼움되도록 설치되어 코일스프링(51)이 탄지스토퍼(41)에 의해 탈착레버(30)의 탄지부(34)를 탄력 지지함으로써 탄성작용을 유도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하우징(20)의 레버작동공간부(22) 양측으로 걸고리(1)를 잠금 또는 해제하도록 탄성수단(50)에 의해 탄성 작동되는 탈착레버(30)를 일체 조립함으로써 버클본체(2)를 구성하게 되며, 걸고리(1) 및 버클본체(2)의 후단에는 안전벨트(4)를 체결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20)을 구성하는 한 쌍으로 분리 구비되는 일측 케이싱(24)의 지지편(26) 양측 힌지공(28)으로 탈착레버(30)의 체결공(31)이 연통하도록 위치시킨 후, 타측 케이싱(24')을 결합하여 체결핀으로 힌지 결합하되, 상기 탈착레버(30)의 파지구(33)는 레버작동공간부(22)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탄지부(34)와 스톱핑수단(40)의 탄지홈(44)이 대향되는 구조에서 탄지부(34)와 탄지홈(44) 사이로 코일스프링(51)이 개재되도록 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버클본체(2)는 케이싱(24,24')의 구조가 결합편(25)에서 지지편(26)이 전단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싱(24,24')을 결합시 양측 지지편(26) 사이가 이격됨에 따른 레버작동공간부(22)가 형성되는 구조이며, 또 지지편(26)의 이격되는 양단부에 레버작동공간부(22)측으로 스톱핑수단(40)이 프레스가공으로 일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조립의 불편함이 없이 단순히 탈착레버(30)와 코일스프링(51)만 개재한 상태에서 양측 케이싱(24,24')을 결합하게 되면 조립이 완료되어 아주 편리하다.
버클본체(2)와 걸고리(1)의 탈착작용은 걸고리(1)의 걸림구(14)를 버클본체(2)의 진입공(23)으로 삽입하게 되면 걸림구(14)가 탄지부(34)의 반대면을 가압하여 탈착레버(30)의 탄지부(34)가 스톱핑수단(40)측으로 밀려들어가도록 각운동시키게 되며, 걸림구(14)가 완전히 들어가게 되면, 코일스프링(51)에 의한 탄성복원력으로 탄지부(34)의 반대면이 내측으로 복원됨과 동시에 탄지부(34)의 반대면과 걸고리(1)의 경사부(13)가 연접되면서 걸림구(14)는 체결되어 잠금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탈착레버(30)는 탄지부(34)가 코일스프링(51)에 의해 탄지스토퍼(41)로부터 탄력 지지된 상태에서 탄성복원작용으로 작동시에 탄지스토퍼(41)의 전단에 형성된 잠금회동제한트토퍼(42)에 의해 파지부(33)의 회동반경이 제한되고, 상기 탄지스토퍼(41)의 후단에 형성된 풀림회동제한스토퍼(43)에 의해 탈착레버(30) 탄지부(33)의 회동반경을 제한됨에 따라 제한된 회전반경 내에서 일정각도로 각운동하게 된다.
반대로 버클본체(2)에서 걸고리(1)를 해제시는 탈착레버(30)의 파지부(33)를 걸고리(1)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탄지부(34)가 스톱핑수단(40)측으로 밀려들어가도록 강제 각운동 됨에 따라 탄지부(34)의 반대면과 걸고리 경사부(13)의 연접이 해제되면서 걸림구(14)를 버클본체(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3)은 구성의 간소화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제조 및 조립이 아주 편리하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전벨트버클 자체를 경량화한 구조를 통해 착용성능 및 안전성이 우수한 안전벨트버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탈착레버(30)의 해제 작동시 파지부(33)의 작용구조가 버클본체(2)에 걸고리(1)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 부주의 의해 파지부가 작동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어 보다 향상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걸고리
11:결속공 12:고리구 13:경사부 14:걸림구
2:버클본체
20:하우징 21:관통공 22:레버작동공간부 23:진입공
24,24‘케이싱 25:결합편 26:지지편 27:체결공
28:힌지공 29:절곡부
30:탈착레버 31:체결공 32:회동편 33:파지부
34:탄지부
40:스톱핑수단 41:탄지스토퍼 42:잠금회동제한스토퍼 43:풀림회동제한스토퍼
44:탄지홈
50:탄성수단 51:코일스프링
3:안전벨트버클
4:안전벨트

Claims (3)

  1. 안전벨트(4) 양단에 걸고리(1)와 상기 걸고리(1)를 결속 및 해제하는 버클본체(2)로 구성하는 안전벨트버클(3)에 있어서,
    상기 버클본체(2)는 후단에 안전벨트(4)의 단부가 결속되고 전단에 레버작동공간부(22)를 형성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레버작동공간부(22) 양측으로 대향되게 조립되어 걸고리(1)를 결속 및 해제하도록 작동하는 탈착레버(30)와, 상기 하우징(20)의 전단 양측으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탈착레버(30)의 회전반경을 제한하여 일정각도에서 각운동하도록 유도하는 스톱핑수단(40)과, 상기 탈착레버(30)와 스톱핑수단(40) 사이로 설치되어 탈착레버(30)를 탄력 지지하도록 하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0)은 한 쌍의 케이싱(24,24')으로 분리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24,24')의 후단은 관통공(21)이 뚫린 결합편(25)이 형성되고, 전단으로 케이싱(24,24')을 결합시 레버작동공간부(22)와 선단면에 걸고리(1)가 삽입되는 진입공(23)이 형성되도록 결합편(25)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부(25a)를 갖도록 연장되는 지지편(2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탈착레버(30)는 케이싱(24,24')의 양측에서 대향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지지편(26) 내측에 개재된 상태로 힌지공(28)에 핀 체결되어 회동하도록 체결공(31)이 관통된 회동편(32)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편(32)의 외측방으로 파지부(33)가 돌출되며, 상기 회동편(32)의 후단으로 탄성수단(50)이 탄지되는 탄지부(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톱핑수단(40)은 케이싱(24,24')의 양단에서 레버작동공간부(22)로 돌출되도록 프레스가공으로 일체 형성되며,
    지지편(26)의 양단부에 탄지스토퍼(41)가 돌출되며, 상기 탄지스토퍼(41)의 전단에 탈착레버(30) 파지부(33)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도록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구조의 잠금회동제한스토퍼(42)가 돌출되고, 상기 탄지스토퍼(41)의 후단에 탈착레버(30) 탄지부(33)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도록 내측방향으로 잠금회동제한스토퍼(42)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되는 풀림회동제한스토퍼(43)가 형성되며,
    케이싱(24,24')을 결합시 레버작동공간부(22)에서 탄성수단(50)을 구속하게 되는 탄지홈(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
KR2020170002476U 2017-05-19 2017-05-19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 KR201800033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476U KR20180003332U (ko) 2017-05-19 2017-05-19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476U KR20180003332U (ko) 2017-05-19 2017-05-19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332U true KR20180003332U (ko) 2018-11-28

Family

ID=6455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476U KR20180003332U (ko) 2017-05-19 2017-05-19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332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366B1 (ko) 2009-05-25 2011-12-07 주재황 산업용 안전벨트 버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366B1 (ko) 2009-05-25 2011-12-07 주재황 산업용 안전벨트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1498B1 (en) Buckle
JP5755990B2 (ja) 連結具
US9153910B2 (en) Lever-type connector
EP2392503B1 (en) Child harness fastener system
CN111938279A (zh) 搭扣
JP675514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300702B2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US9961970B2 (en) Watch and band thereof
JP3982955B2 (ja) 合成樹脂製バックル
TW201440680A (zh) 連結具
US20130221665A1 (en) Pipe connecting connector
KR20180003332U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버클
US9241546B2 (en) Buckle
US8938865B2 (en) Buckle for restraint belts, particularly for car safety seats for children
JPH08173218A (ja) コードストッパー
TWI730324B (zh) 插扣用的插銷以及插扣
KR101632531B1 (ko) 버클장치
JP4727398B2 (ja) 安全ベルト用バックル
JP5457084B2 (ja) 連結具
KR20100008345U (ko) 허리띠용 버클
KR200358446Y1 (ko)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WO2017017680A1 (en) Interdental coupling of door-spindles
JP2014079319A (ja) ストラップ用係止具
JP2017056046A (ja) 留め具、バンド、および時計
JPS613504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