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141U -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141U
KR20180003141U KR2020170002095U KR20170002095U KR20180003141U KR 20180003141 U KR20180003141 U KR 20180003141U KR 2020170002095 U KR2020170002095 U KR 2020170002095U KR 20170002095 U KR20170002095 U KR 20170002095U KR 20180003141 U KR20180003141 U KR 201800031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quito
function
led
selection switch
lan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358Y1 (ko
Inventor
김부윤
Original Assignee
김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윤 filed Critical 김부윤
Priority to KR2020170002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35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1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3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05B33/0842
    • H05B33/084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02J2007/006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모기 등의 해충이 싫어하는 특정 파장대의 빛에 의해 모기의 접근을 방지하며 조명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는
수납홈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수납홈에 수용되고 충전가능한 배터리;
상기 몸체 상에 안착되어 상기 배터리에 통전가능하게 접속되고, 가장자리 및 안쪽에 원주방향으로 실장되며 모기 접근방지용 또는 비상신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1 LED와, 안쪽에 배열되는 제1 LED 사이사이에 배열되며 랜턴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2 LED가 실장되는 PCB;
상기 PCB에 접속되고, 모기 접근방지용 제1모드, 랜턴용 제2모드, 비상신호용 제3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선택스위치;
상기 제1,2 LED 숫자에 대응되게 수용홀이 형성되는 LED 홀더에 안착되고, 상기 제1,2 LED 숫자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오목렌즈에 의해 상기 제1,2 LED 빛을 확산시켜 외부로 방출하는 커버;
상기 커버 가장자리를 압착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체결되는 장식링;
상기 기능선택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2,3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2 LED의 휘도 및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a device of interrupt access of mosquito}
본 명세서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기 등의 해충이 싫어하는 특정 파장대의 LED 빛에 의해 모기의 접근 방지기능 및 조명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철은 기후가 온난해지면서 인체에 극히 유해한 모기, 파리 등의 해충이 인적이 드문 산이나 강 등의 야외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으며, 주택 또는 불빛이 밝은 상가 등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해충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낚시 또는 등산과 같은 야외활동시 해충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훈증제, 살포약제, 모기향 등의 약을 사용하거나, 또는 모기장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해충 퇴치구는 화학 약품을 주로 사용하게 되므로 피부에 알러지가 있는 사용자는 거부반응이 발생되고, 모기장 등을 휴대 및 설치해야 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된다.
또한, 모기 또는 파리 등의 해충은 여기저기로 날아다니면서 사람 또는 동물에게 각종 병균을 옮기는 매개체가 되고 있다. 이로 인해 모기와 같은 해충이 선호하는 파장대의 빛을 램프로 표출하여 해충을 유인하여 고전압으로 태워 죽이거나 회전되는 기구물에 의해 포획하거나, 또는 살충시키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구물에 의한 해충을 유인하여 태워죽이거나, 포획 또는 살충하는 경우, 해충 사체로 인해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음은 물론이고, 해충 사체로 인해 오염된 기구물을 자주 세척해야 되는 불편함과, 해충 사체로 인해 기구물이 오염되어 램프의 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20490호에 해충 퇴치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이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해충이 기피하는 특정 파장대의 LED 빛에 의해 모기의 접근을 방지하며, 조명등, 또는 비상등 기능을 수행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등산, 낚시터 등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지않는 지역에서 충전배터리(2차 전지를 말함)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랜턴을 미 사용시 대기전류를 제로화하기 위해 대기전류 차단모드로 전환시킴에 따라 충전배터리(Li-Ion)의 자연방전 이외의 소모전류를 최대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LED등이 백열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수명이 길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납홈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수납홈에 수용되고 충전가능한 배터리;
상기 몸체 상에 안착되어 상기 배터리에 통전가능하게 접속되고, 가장자리 및 안쪽에 원주방향으로 실장되며 모기 접근방지용 또는 비상신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1 LED와, 안쪽에 배열되는 제1 LED 사이사이에 배열되며 랜턴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2 LED가 실장되는 PCB;
상기 PCB에 접속되고, 모기 접근방지용 제1모드, 랜턴용 제2모드, 비상신호용 제3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선택스위치;
상기 제1,2 LED 숫자에 대응되게 수용홀이 형성되는 LED 홀더에 안착되고, 상기 제1,2 LED 숫자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오목렌즈에 의해 상기 제1,2 LED 빛을 확산시켜 외부로 방출하는 커버;
상기 커버 가장자리를 압착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체결되는 장식링;
상기 기능선택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2,3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2 LED의 휘도 및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해충이 싫어하는 특정 파장대의 LED 빛에 의해 모기의 접근을 방지하며, 하나의 램프에 의해 조명등, 비상등(등산 도중에 조난을 당하거나, 주행 도중에 비상시 차량삼각대 등으로 사용할 수 있음)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실용성 및 경제성을 갖게 된다.
또한, 등산, 캠핑, 낚시터 등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지않는 지역에서 충전배터리를 활용함에 따라 때와 장소를 가지지않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편리성을 갖는다.
또한, 랜턴을 미 사용시 대기전류를 제로화하기 위해 대기전류 차단모드로 전환시킴에 따라 충전배터리의 자연방전 이외의 소모전류를 최대로 차단시켜 충전배터리의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LED등이 백열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수명이 길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모기가 싫어하는 파장 대역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스탠-바이 온/오프(Stand-by On/Off)부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는
수납홈(110)이 형성되는 몸체(111);
수납홈(110)에 수용되고 충전가능한 배터리(리튬 이온 전지 또는 니켈-수소전지 등을 말함)(112);
몸체(111) 상에 안착되어 배터리(112)에 통전가능하게 접속되고, 가장자리(도면에 12개가 표기됨) 및 안쪽(도면에 4개가 표기됨)에 원주방향으로 실장되며, 모기 접근방지용 또는 비상신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1 LED(107)(모기 접근방지용 LED 또는 비상신호용 LED를 말함)와, 안쪽에 배열되는 제1 LED(107) 사이사이에 배열되며 랜턴용(도면에 4개가 표기됨)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2 LED(108)(랜턴용 백색광을 방출하는 LED를 말함)가 실장되는 PCB(115);
PCB(115)에 접속되고, 모기 접근방지용 제1모드, 랜턴용 제2모드, 비상신호용 제3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선택스위치(101);
제1,2 LED(107,108) 숫자에 대응되게 수용홀(116)이 형성되는 LED 홀더(117)에 안착되고, 제1,2 LED(107,108) 숫자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오목렌즈(118)에 의해 제1,2 LED(107,108) 빛을 확산시켜 외부로 방출하도록 투명체(유리재, 또는 합성수지재(아크릴, PE, PVC,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말함)로 형성될 수 있음)로 형성되는 커버(119);
커버(119) 가장자리를 압착지지한 상태에서 몸체(111)에 체결되며, 중앙이 비어있는 장식링(120);
기능선택스위치(101)의 조작에 의해 제1,2,3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제1,2 LED(107,108)의 휘도 및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1);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몸체(111) 바닥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스플라인 형태의 돌기부(미 도시됨)가 형성되는 고정판(122);
돌기부에 틸팅가능하게 요철결합되는 회동부(123)와, 회동부(123)에 연장형성되고 몸체(111) 바닥면에 형성되는 수납홈(124)에 수용되는 거치부(125)로 이루어지는 손잡이(126);를 구비한다.
PCB(115)에 접속되어 몸체(111)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며, USB 잭 또는 휴대용 보조배터리에 의해 배터리(112)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커넥터(127);를 구비한다.
PCB(115)에 접속되어 몸체(111)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고, 배터리(112)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충전 표시부(130);를 구비한다. 즉 배터리(112)가 충전되고 있을 경우에는 충전 표시부(130)에 적색등이 점등되고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충전 표시부(130)에 녹색등이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기능선택스위치(101)의 조작에 의해 모기 접근방지용 제1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주변에 모기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LED(107)는 580∼620㎚파장의 오렌지색을 발광하게 된다.
제어부(121)는
모기 접근방지 기능, 고휘도 랜턴 기능 및 비상신호 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선택 스위치(101);
기능선택 스위치(101)의 오프(OFF)시 스탠-바이 오프해서 배터리(112)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배터리(112)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하는 스탠-바이 온/오프(Stand-by On/Off)부(102);
스탠-바이 온/오프부(102)의 스탠-바이 오프(OFF)시 배터리(112)에 배터리 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스탠바이 온/오프부(102)의 스탠-바이 온(ON)시 배터리(112)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터(103);
스탠-바이 온/오프부(102)의 스탠-바이 오프(OFF)시 배터리(112)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배터리(112)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하고, 스탠-바이 온/오프부(102)의 스탠-바이 온(ON)시 레귤레이터(103)로부터 일정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모기 접근방지기능과 고휘도 랜턴 기능 및 비상신호 기능으로 통합하여 이루어진 모기 접근방지-고휘도 랜턴-비상신호 통합 기능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MCU(104);
MCU(104)의 제어하에 모기 접근방지 기능과 고휘도 랜턴 기능 및 비상신호 기능시 밝기 제어하는 스텝-업 드라이버(Step-Up Driver)(105);
MCU(104)의 제어하에 모기 접근방지 기능시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고, 고휘도 랜턴 기능시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며, 비상신호 기능시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LED 제어부(106);
LED 제어부(106)의 제어하에 모기 접근방지기능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비상 신호기능시의 점멸 동작을 수행하는 제1 LED(107) 및 LED 제어부(106)의 제어하에 고휘도 랜턴 기능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제2 LED(108);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를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사용자 주변에 모기 접근을 차단하는 기능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밤에 랜턴 기능으로 사용하거나, 등산 도중에 조난을 당하는 상황 등에서는 비상신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낚시터 또는 산 속과 같은 비교적 어두운 환경의 장소에서는 사용자가 PCB(115) 중앙에 장착된 기능선택스위치(101)를 한 번 터치시킴에 따라 PCB(115)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실장된 제1 LED(107)(도면에서 12개 LED가 표기됨) 및 안쪽에 실장된 제1 LED(107)(도면에서 4개 LED가 표기됨)가 동시에 점등되어 저휘도 LED 빛을 발광하게 된다.
2) 밤에 캠핑하는 장소에서는 사용자가 PCB(115) 중앙에 장착된 기능선택스위치(101)를 두 번 연속적으로 터치시킴에 따라 PCB(115)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실장된 제1 LED(107)(도면에서 12개 LED가 표기됨) 및 안쪽에 실장된 제1 LED(107)(도면에서 4개 LED가 표기됨)가 동시에 점등되어 중휘도 LED 빛을 발광하게 된다.
3) 밤에 공원주변 등에서 돗자리 등을 깔고 앉아 시간을 보내게 되어 상대적으로 밝은 환경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사용자가 PCB(115) 중앙에 장착된 기능선택스위치(101)를 세 번 연속적으로 터치시킴에 따라 PCB(115)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실장된 제1 LED(107)(도면에서 12개 LED가 표기됨) 및 안쪽에 실장된 제1 LED(107)(도면에서 4개 LED가 표기됨)가 동시에 점등되어 고휘도 LED 빛을 발광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기능선택스위치(101)를 한 번, 두 번, 세 번 연속적으로 터치하여 모기 접근방지 제1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오렌지색을 발광하는 제1 LED(107) 빛에 의해 사용자 주변에 모기 접근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LED(107) 숫자에 대응되게 커버(119)에 형성되는 오목렌즈(118)에 의해 LED 빛을 확산시킴에 따라 모기가 접근하지 못하는 영역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제1 LED(107) 빛은 580∼620㎚ 파장 대역의 오렌지색을 띠게 되므로 모기와 같은 해충이 가장 싫어하게 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온도 25℃를 유지하는 환경분위기에서, 1.7m를 유지하는 스탠드를 이용하여 1m 높이에 모기 포획장치를 설치하고, 그 위에 유인제 통과 램프를 장착하여 모기 기피 실험을 실시하였다(이때, 모기 유인제는 드라이아이스(10×7.5×10㎝)를 사용함).
모기 기피 실험 결과, 파장 대역이 580㎚인 LED 빛에서는 모기 기피율이 69.3%, 610㎚인 LED 빛에서는 모기 기피율이 58.4%, 620㎚인 LED 빛에서는 모기 기피율이 61.4%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야간에 사용자가 기능선택스위치(101)를 네 번 연속적으로 터치하여 랜턴용 제2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PCB(115) 안쪽에 실장된 제1 LED(107) 사이 사이에 배열된 제2 LED(108)(도면에서 4개가 표기됨)가 고휘도 LED 빛을 발광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백색광을 발광하는 제2 LED(108) 빛에 의해 랜턴 주변을 밝힐 수 있게 된다.
이때, PCB(115) 가장자리에 실장된 제1 LED(107)(12개를 말함)와, 안쪽에 실장된 제1 LED(107)(4개를 말함)는 소등된다.
5) 등산 도중에 조난을 당하는 상황, 또는 주행 도중에 비상 상황이 발생되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기능선택스위치(101)를 다섯 번 연속적으로 터치하여 비상신호용 제3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PCB(115)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실장된 제1 LED(107)와 안쪽에 실장된 제1 LED(107)가 동시에 2번 점멸된 후 소등된다.
이와 동시에, 안쪽에 실장된 제1 LED(107) 사이사이에 배열된 제2 LED(108)가 1번 점멸된 후 소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상상황에서는 제1 LED(107)(16개를 말함)가 2번 점멸된 후 소등되고, 제2 LED(108)가 1번 점멸된 후 소등되는 동작을 수차례에 걸쳐 반복할 경우, 사용자가 위험상황에 놓인 상태를 주변에 비상신호를 보내 도움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의 작동을 블록도 및 회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스탠-바이 온/오프(Stand-by On/Off)부(102)는 기능선택 스위치(101)의 오프(OFF)시 스탠-바이 오프해서 배터리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배터리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스탠-바이 온/오프부(102)가 기능선택 스위치(101) 온(ON)시에 절전 차단 포트(Power-Saving Shutdown Port) 활성화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기능선택 스위치(101) 오프(OFF)시 절전 차단 포트 비활성화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해서 기능선택 스위치(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가지고, 기능선택 스위치(101) 온(ON)시에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여 스탠-바이 온(Stand-by On)시키고, 기능선택 스위치(101)의 오프(OFF)시 배터리 전원을 차단해서 스탠-바이 오프(Stand-by Off)시키는 것이다.
스탠-바이 온/오프(Stand-by On/Off)부(102)는 기능선택 스위치(101) 오프(OFF)시 오프 상태에 대해, 오프된 기능선택 스위치를 절전 차단하는 연결부인 절전 차단 포트(Power-Saving Shutdown Port)로부터 분리 제어해서 절전 차단 포트를 휴지화시켜 스탠-바이 오프하고, 기능선택 스위치(101) 온(ON)시 온 상태에 대해, 온된 기능선택 스위치를 절전 차단 포트상으로 접속 제어해서 상기 절전 차단 포트를 활성화시켜 스탠-바이 온하는 것이다.
레귤레이터(Regulator)(103)는 절전 차단 포트(Power-Saving Shutdown Port)를 구비하여, 스탠-바이 온/오프부(102)로부터 절전 차단 포트 활성화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경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고, 스탠-바이 온/오프부(102)로부터 절전 차단 포트 비활성화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경우 배터리 전원의 배터리 전압 공급을 차단한다.
레귤레이터(Regulator)(103)는 스탠-바이 온/오프부(102)가 제어하는 절전 차단 포트를 구비해, 스탠-바이 온/오프부(102)의 기능선택 스위치(101)의 오프(OFF)시 절전 차단 포트 휴지화 제어로 휴지화해 배터리 전원 공급을 기기 제어 점에 대해 차단하고, 스탠-바이 온/오프부(102)의 기능선택 스위치(101)의 온(ON)시 절전 차단 포트 활성화 제어로 활성화해 배터리 전원 공급을 일정 직류 전압 변환해 기기 제어 점에 대하여 투입하는 것이다.
MCU(104)는 레귤레이터(103)의 기능선택 스위치(101)의 오프(OFF)시 배터리 전압 공급 차단으로 각 기능 동작을 포함한 전체 랜턴 제어 동작 정지하여 배터리 전원 절약(saving)하고, 레귤레이터(101)의 기능선택 스위치의 온(ON)시 배터리 전원 공급 투입으로 랜턴을 사용해 각 기능 동작을 전체 수행하는 것이다.
MCU(104)가 레귤레이터(103)의 일정 직류 전압 공급시, 기능선택 스위치(101)의 상이한 휘도별 모기 접근방지 기능 선택시에, 상이한 각 휘도 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설정 주기 간격만큼 설정 기준 PWM 주기에서 차이 값을 둔 상이한 PWM 신호로 모기 접근방지시 상이한 휘도별 밝기 제어하고 모기 접근방지 점멸 제어신호 발송하며, 기능선택 스위치(101)의 고휘도 랜턴 기능 선택시, 모기 접근방지시 상이한 휘도별 밝기 제어하는 PWM 신호와 더불어 연동해 모기 접근방지시 가장 높은 휘도 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설정 주기 간격만큼 설정 기준 PWM 주기에서 차이 값을 둔 PWM 신호로 상기 고휘도 랜턴 시 최대밝기 제어하며 랜턴 점멸 제어신호 발송하고, 기능선택 스위치(101)의 비상 신호 기능 선택시, 모기 접근방지시 상이한 휘도별 밝기 제어하는 PWM 신호와 더불어 연동해 모기 접근방지시 가장 높은 휘도 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설정 주기 간격만큼 설정 기준 PWM 주기에서 차이 값을 둔 PWM 신호로 비상 신호 시 최대밝기 제어하고 모기 접근방지 및 랜턴 점멸 제어신호 발송하여, 각 기능 동작을 전체 수행하는 즉, 레귤레이터(103)의 기능선택 스위치(101) 온시 배터리 전원 공급 투입으로 랜턴을 사용해 각 기능 동작을 전체 수행하는 것이다.
스텝-업 드라이버(Step-Up Driver)(105)는 MCU(104)의 제어에 따라 각 밝기 스텝-업하는 것이다.
스텝-업 드라이버(Step-Up Driver)(105)가 MCU(104)의 제어하에,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 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주기 간격만큼 설정 기준 PWM 주기에서 차이 값을 둔 PWM 신호로 상기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별 모기 접근방지 기능시의 밝기 제어하고, 고휘도 랜턴 기능시의 최대밝기 제어하며, 비상 신호 기능시의 최대밝기 제어하는 것이다.
LED 제어부(106)는 MCU의 제어에 따라 각 점멸 제어하는 것이다.
스텝-업 드라이버(105)의 제어하에, MCU(104)로부터 발송된 모기 접근방지 점멸 제어 신호에 따라 모기 접근방지 기능시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고, MCU(104)로부터 발송된 랜턴 점멸 제어 신호에 따라 고휘도 랜턴 기능시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며, MCU(104)로부터 발송된 모기 접근방지 및 랜턴 점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비상 신호 기능시의 점멸 동작을 제어한다.
발광부 및 랜턴 LED부(107, 108)는 밝기 스텝-업과 점멸 제어에 따라, 모기 접근방지시 상이한 휘도별 점멸하는 모기 LED부(107)와 비상 신호시 점멸하는 랜턴 LED부(108)를 가져, 모기 LED부(107)와 랜턴 LED부(108)는 비상 신호 기능시 더불어 점멸하는 것이다.
발광부 및 랜턴 LED부(107, 108)가 모기 LED부(107)는 밝기 스텝-업과 점멸 제어에 따라, 모기 접근방지 기능시의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별에 대응해서 점멸하고 비상 신호시에 대응해서 점멸하며, 랜턴 LED부(108)는 고휘도 랜턴 기능시의 고휘도에 대응하여 점멸하고, 비상 신호 기능시에 대응해서 모기 LED부(107)와 더불어 점멸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랜턴 미 사용시, 배터리 대기전류 차단 기능을 수행해서, 대기전류를 제로화하여 배터리(Li-Ion)의 자연방전 이외의 소모전류를 최대로 차단하여 사용시간을 최대한 연장한다.
스탠-바이 온/오프(Stand-by On/Off)부(102)가 모기 접근방지 기능이나 고휘도 랜턴 기능과 비상 신호 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선택 스위치의 온(ON)시 절전 차단 포트(Power-Saving Shutdown Port) 활성화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기능선택 스위치의 오프(OFF)시 절전 차단 포트 비활성화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해서 기능선택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기능선택 스위치의 온(on)시에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여 스탠-바이 온(Stand-by On)시키며, 기능선택 스위치의 오프(off)시 배터리 전원을 차단해서 스탠-바이 오프(Stand-by Off)시킨다.
레귤레이터는 절전 차단 포트(Power-Saving Shutdown Port)를 구비하여, 스탠-바이 온/오프부(102)로부터 절전 차단 포트 활성화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경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고, 스탠-바이 온/오프부(102)로부터 절전 차단 포트 비활성화 제어 신호를 인가받은 경우 배터리 전원의 배터리 전압 공급을 차단한다.
MCU는 스탠바이 온/오프부(102)의 스탠-바이 오프(off)시 배터리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배터리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한다. 즉 기능선택 스위치의 오프(off)시 배터리의 전원공급을 MCU에 차단하여 배터리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한다.
랜턴 미 사용시, 대기전류를 제로화하여 배터리(Li-Ion)의 자연방전 이외의 소모전류를 최대로 차단하여 사용시간을 최대한 연장한다.
MCU는 스탠바이 온/오프부(102)의 스탠-바이 온(ON)시 레귤레이터의 일정 직류 전압 공급시 기능선택 스위치의 기능 선택에 따라 랜턴으로 각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한다.
MCU는 스탠바이 온/오프부(102)의 스탠-바이 온(ON)시 레귤레이터로부터 일정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모기 접근방지 기능, 고휘도 랜턴 기능 및 비상 신호 기능으로 통합하여 이루어진 모기 접근방지-고휘도 랜턴-비상 신호 통합 기능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MCU는 레귤레이터로부터 일정 직류 전압을 공급받은 경우, 모기 접근방지 기능, 고휘도 랜턴 기능 및 비상 신호 기능으로 통합하여 이루어진 모기 접근방지-고휘도 랜턴-비상 신호 통합 기능의 동작을 개시시킨다.
모기 접근방지-고휘도 랜턴-비상 신호 통합 기능의 동작 개시에 따른 동작시, 기능선택 스위치를 통한 구동신호 중에서 모기 접근방지 기능시의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별 구동신호 각각에 대한 구동 신호 입력시 구동 신호별로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 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주기 간격만큼 설정 기준 PWM 주기에서 차이 값을 둔 상호 간에 상이한 PWM 신호로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별 모기 접근방지 기능시의 밝기 제어하고 모기 접근방지 점멸 제어 신호를 발송한다.
모기 접금방지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저휘도인 경우 MCU에서 PWM 25%주기의 PWM신호를 스텝-업 드라이버로 전송하여 밝기 제어하고, 중휘도인 경우 MCU에서 PWM 50%주기의 PWM 신호를 스텝-업 드라이버로 전송하여 밝기 제어하며, 고휘도인 경우 MCU에서 PWM 100%주기의 PWM 신호를 스텝-업 드라이버로 전송하여 밝기 제어한다.
기능선택 스위치를 통한 구동신호 중에서 고휘도 랜턴 기능시의 구동 신호 입력시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별 모기 접근방지 기능시의 밝기 제어하는 PWM 신호와 더불어 연동해서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 중에서 가장 높은 고휘도 모기 접근방지 기능시의 밝기에 대응하는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 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주기 간격만큼 설정 기준 PWM 주기에서 차이 값을 둔 PWM 신호로 고휘도 랜턴 기능시의 최대밝기 제어하며 랜턴 점멸 제어 신호를 발송한다.
MCU에서 PWM 100%주기의 PWM 신호를 스텝-업 드라이버로 전송하여 최대밝기 제어하고, MCU에서 LED 제어부로 제어신호 발송 즉, 랜턴 점멸 제어 신호를 발송한다.
기능선택 스위치를 통한 구동신호 중에서 비상 신호 기능시의 구동 신호 입력시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별 모기 접근방지 기능시의 밝기 제어하는 PWM 신호와 더불어 연동해서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별 모기 접근방지 기능시의 밝기 제어하는 PWM 신호와 더불어 연동해서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 중에서 가장 높은 고휘도 모기 접근방지 기능시의 밝기에 대응하는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 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주기 간격만큼 설정 기준 PWM 주기에서 차이 값을 둔 PWM 신호로 상기 비상 신호 기능시의 최대밝기 제어하고 모기 접근방지 및 랜턴 점멸 제어신호를 발송한다.
MCU에서 PWM 100%주기의 PWM신호를 스텝-업 드라이버로 전송하여 최대밝기 제어하고, MCU에서 LED 제어부로 제어신호 즉, 모기 접근방지 및 랜턴 점멸 제어신호를 발송한다(레귤레이터로부터 일정 직류 전압을 차단받은 경우 설정 모기 접근방지-고휘도 랜턴-비상 신호 통합 기능의 동작을 완료시킨다).
MCU는 레귤레이터로부터 일정 직류 전압을 공급받은 경우, 모기 접근방지 기능과 휘도 랜턴 기능 및 비상 신호 기능으로 통합하여 이루어진 설정 모기 퇴치-고휘도 랜턴-비상 신호 통합 기능의 동작을 수행한다.
스텝-업 드라이버가 MCU의 제어하에,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 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주기 간격만큼 설정 기준 PWM 주기에서 차이 값을 둔 PWM 신호로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별 모기 접근방지 기능시의 밝기 제어하고, 고휘도 랜턴 기능시의 최대밝기 제어하며 더불어, 비상 신호 기능시의 최대밝기 제어한다.
LED 제어부가 스텝-업 드라이버의 제어하에, MCU로부터 발송된 모기 접근방지 점멸 제어 신호에 따라 모기 접근방지 기능시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고, MCU로부터 발송된 랜턴 점멸 제어 신호에 따라 고휘도 랜턴 기능시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며, MCU로부터 발송된 모기 접근방지 및 랜턴 점멸 제어신호에 따라 비상 신호 기능시의 점멸 동작을 제어한다.
모기 LED부가 LED 제어부의 제어하에, 모기 접근방지 기능시의 상호 간에 상이한 휘도별에 대응해서 점멸하고 비상 신호시에 대응해서 점멸하고, 랜턴 LED부가 고휘도 랜턴 기능시의 고휘도에 대응하여 점멸하고, 비상 신호 기능시에 대응해서 모기 LED부와 더불어 점멸한다.
모기 접근방지 랜턴의 스탠-바이 온/오프(Stand-by On/Off)부(102)는 기능선택 스위치의 오프(OFF)시 배터리의 전원공급을 MCU(104)에 차단하여 배터리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한다.
모기 접근방지 랜턴의 스탠-바이 온/오프(Stand-by On/Off)부(102)가 기능선택 스위치의 오프(off)시 기능선택 스위치와 베이스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고 레귤레이터의 절전 차단 포트와 콜렉터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며 배터리 전원의 배터리 전압을 레귤레이터로 인가하는 분기 지점으로 배터리 전원과 이미터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절전 차단 포트 간의 하이 레벨 상태로 오프된 기능선택 스위치를 절전 차단 포트로부터 분리 제어해서 절전 차단 포트 휴지화에 따라 절전 차단 포트를 구비한 레귤레이터를 휴지화시켜 배터리 전원 공급 MCU에 차단한다.
기능선택 스위치(101)의 온(on)시 베이스와 절전 차단 포트 간 로우 레벨 상태로 온된 기능선택 스위치(101) 절전 차단 포트로 접속 제어해 제1 트랜지스터를 활성화하여 절전 차단 포트 활성화로 절전 차단 포트를 구비한 레귤레이터를 활성화해 상기 레귤레이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MCU에 전원을 공급하여 MCU를 활성화 시켜 MCU에서 상기 MCU와 베이스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와 콜렉터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며 접지가 이미터 단자와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이미터 단자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102-3) 베이스 단자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2 트랜지스터(102-3)이 활성화하여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레귤레이터의 절전 차단 포트와 콜렉터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며 레귤레이터를 활성화시켜 스탠-바이 온(ON) 상태가 된다.
기능선택 스위치(101)가 비상신호 스텝 이후가 되기 전까지는 스탠-바이 온(ON) 상태를 유지한다. 기능선택스위치가(101) 비상신호 스텝을 지나면 MCU에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102-3) 베이스 단자의 제어신호를 차단시켜 제1 트랜지스터를 비활성하여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절전 차단 포트 간의 하이 레벨 상태로 오프된 기능선택 스위치를 절전 차단 포트로부터 분리 제어해서 절전 차단 포트 휴지화에 따라 절전 차단 포트를 구비한 레귤레이터를 휴지화시켜 MCU에 배터리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그래서, MCU의 랜턴을 사용해 모기 접근방지 기능, 고휘도 랜턴 기능, 비상 신호 기능 동작을 전체 수행시킨다.
MCU의 랜턴 사용시 각 기능 동작 전체 수행으로 MCU가 하이 레벨 상태로 이루어져, MCU와 베이스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고 기능선택 스위치와 콜렉터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며 접지가 이미터 단자와 전기적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활성화시켜 더불어 제1 트랜지스터를 활성화시켜 리사이클(Recycle) 활성화해 레귤레이터를 활성화시켜 배터리 전원 MCU에 투입하는 것이다.
모기 접근방지 랜턴의 스탠-바이 온/오프(Stand-by On/Off)부(102)는 기능선택 스위치 온(ON)시, 절전 차단 포트(Power-Saving Shutdown Port) 활성화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기능선택 스위치 오프(OFF)시 절전 차단 포트 비활성화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트랜지스터(102-1)가 레귤레이터(102-2)의 절전 차단 포트(Power-Saving Shutdown Port)를 제어하여 레귤레이터(102-2)를 활성화시켜 일정 직류 전압 예를 들어, DC 2.8V를 MCU(104)에 공급하여, 스탠-바이 온(Stand-by ON) 동작을 수행해서, 낚시터나 캠핑, 야외에와 같은 전선이 없는 지역에서 모기 접근방지-고휘도 랜턴-비상 신호 통합 기능의 동작을 개시시켜 수행한다.
스탠-바이 온(Stand-by ON) 동작은 기능선택 스위치의 온(On) → 트랜지스터(102-1) 베이스(Base), 레귤레이터(102-2) #2 로우 레벨(Low Level) → 트랜지스터(102-1) 액티브(Active) → 레귤레이터(102-2) 액티브(Active)(VCC) → MCU(104)(레귤레이터 좌측 옆의 소자) 동작 → MCU(104) #3 하이 레벨(High Level) → 트랜지스터(102-3) 액티브(Active) → 트랜지스터(102-1) 액티브(Active) → 리싸이클 액티브(Recycle Active)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기능선택 스위치의 오프(OFF)시, 트랜지스터(102-1)가 레귤레이터(102-2)의 절전 차단 포트를 비활성화시켜 배터리전압이 MCU(104)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스탠-바이 오프(Stand-by Off) 동작을 수행한다.
스탠-바이 오프(Stand-by Off) 동작은 기능선택 스위치의 오프 → 트랜지스터(102-1) 베이스(Base) 하이 레벨(High Level) → 트랜지스터(102-1) 오프(Off) → 레귤레이터(102-2) 디-액티브(De-Active) → 전류차단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의 내용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 기능선택 스위치 102 : 스탠-바이 온/오프(Stand-by On/Off)부
103 : 레귤레이터 104 : MCU
105 : 스텝-업 드라이버 106 : LED 제어부
107 : 모기 LED부 108 : 랜턴 LED부
110; 수납홈 111; 몸체
112; 배터리 115; PCB
116; 수용홈 117; LED 홀더
118; 오목렌즈 119; 커버
120; 장식링 121; 제어부
122; 고정판 123; 회동부
124; 수납홈 125; 거치부
126; 손잡이 127; 충전커넥터

Claims (8)

  1. 수납홈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수납홈에 수용되고 충전가능한 배터리;
    상기 몸체 상에 안착되어 상기 배터리에 통전가능하게 접속되고, 가장자리 및 안쪽에 원주방향으로 실장되며 모기 접근방지용 또는 비상신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1 LED와, 안쪽에 배열되는 제1 LED 사이사이에 배열되며 랜턴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2 LED가 실장되는 PCB;
    상기 PCB에 접속되고, 모기 접근방지용 제1모드, 랜턴용 제2모드, 비상신호용 제3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선택스위치;
    상기 제1,2 LED 숫자에 대응되게 수용홀이 형성되는 LED 홀더에 안착되고, 상기 제1,2 LED 숫자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오목렌즈에 의해 상기 제1,2 LED 빛을 확산시켜 외부로 방출하는 커버;
    상기 커버 가장자리를 압착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체결되는 장식링;
    상기 기능선택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2,3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2 LED의 휘도 및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바닥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스플라인 형태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돌기부에 틸팅가능하게 요철결합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 바닥면에 형성되는 수납홈에 수용되는 거치부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CB에 접속되어 상기 몸체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며, USB 잭 또는 휴대용 보조배터리에 의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스위치에 의해 모기 접근방지용 제1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주변에 모기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LED는 580∼620㎚파장의 오렌지색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충전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의 오프(OFF)시 상기 오프 상태에 대해, 상기 오프된 기능선택 스위치를 절전 차단하는 연결부인 절전 차단 포트(Power-Saving Shutdown Port)로부터 분리 제어해서 상기 절전 차단 포트를 휴지화시켜 스탠-바이 오프하고,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의 온(ON)시 상기 온 상태에 대해, 상기 온된 기능선택 스위치를 상기 절전 차단 포트상으로 접속 제어해서 상기 절전 차단 포트를 활성화시켜 스탠-바이 온하는 스탠-바이 온/오프부;
    상기 스탠-바이 온/오프부가 제어하는 절전 차단 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스탠-바이 온/오프부의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 오프(OFF)시 절전 차단 포트 휴지화 제어로 휴지화해 배터리 전원 공급을 기기 제어 점에 대해 차단하고, 상기 스탠-바이 온/오프부의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 온(ON)시 절전 차단 포트 활성화 제어로 활성화해 배터리 전원 공급을 일정 직류 전압 변환해 기기 제어 점에 대하여 투입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의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 오프(OFF)시 배터리 전압 공급 차단으로 상기 각 기능 동작을 포함한 전체 랜턴 제어 동작 정지하여 배터리 전원 절약(saving)하고, 상기 레귤레이터의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 온(ON)시 배터리 전원 공급 투입으로 랜턴을 사용해 상기 각 기능 동작을 전체 수행하는 MCU;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 온/오프부는,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 오프시,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와 베이스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고 레귤레이터의 절전 차단 포트와 콜렉터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며 배터리 전원의 배터리 전압을 상기 레귤레이터로 인가하는 분기 지점으로 상기 배터리 전원과 이미터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 베이스와 절전 차단 포트 간의 하이 레벨 상태로 상기 오프된 기능선택 스위치를 절전 차단 포트로부터 분리 제어해서 상기 절전 차단 포트 휴지화에 따라 상기 절전 차단 포트를 구비한 레귤레이터를 휴지화시켜 배터리 전원 공급 상기 레귤레이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MCU에 차단하고,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 온시, 베이스와 절전 차단 포트 간 로우 레벨 상태로 상기 온된 기능선택 스위치 상기 절전 차단 포트로 접속 제어해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활성화하여 상기 절전 차단 포트 활성화로 상기 절전 차단 포트를 구비한 레귤레이터를 활성화해 상기 레귤레이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MCU에 전원을 공급하여 MCU를 활성화시켜 MCU에서 상기 MCU와 베이스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와 콜렉터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며 접지가 이미터 단자와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이미터 단자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 베이스 단자에 제어신호를 전송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활성화하여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를 전기적으로 제어해서 레귤레이터의 절전 차단 포트와 콜렉터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며 레귤레이터를 활성화시켜 스탠-바이 온(ON) 상태가 되어 MCU의 랜턴을 사용하여 상기 모기 접근방지기능, 랜턴기능, 비상 신호기능 동작을 전체 수행시키고, 상기 MCU의 랜턴 사용시 상기 각 기능 동작 전체 수행으로 MCU가 하이 레벨 상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활성화시켜 더불어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활성화시켜 리사이클 활성화해 레귤레이터를 활성화시켜 배터리 전원 MCU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일정 직류 전압 공급시,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의 상이한 휘도별 모기 접근방지 기능 선택시, 상기 상이한 각 휘도 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설정 주기 간격만큼 설정 기준 PWM 주기에서 차이 값을 둔 상이한 PWM 신호로 모기 접근방지시 상이한 휘도별 밝기 제어하고 모기 접근방지 점멸 제어신호 발송하며,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의 랜턴기능 선택시, 상기 모기 접근방지시 상이한 휘도별 밝기 제어하는 PWM 신호와 더불어 연동해 모기 접근방지시 가장 높은 휘도 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설정 주기 간격만큼 설정 기준 PWM 주기에서 차이 값을 둔 PWM 신호로 상기 랜턴시 최대밝기 제어하며 랜턴 점멸 제어신호 발송하고,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의 비상신호 기능 선택시, 상기 모기 접근방지시 상이한 휘도별 밝기 제어하는 PWM 신호와 더불어 연동해 모기 접근방지시 가장 높은 휘도 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설정 주기 간격만큼 설정 기준 PWM 주기에서 차이 값을 둔 PWM 신호로 상기 비상 신호 시 최대밝기 제어하고 모기 접근방지 및 랜턴 점멸 제어신호 발송하고,
    상기 MCU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밝기 스텝-업하는 스텝-업 드라이버;
    상기 MCU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점멸 제어하는 LED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밝기 스텝-업과 상기 점멸 제어에 따라, 상기 모기 접근방지시 상이한 휘도별 점멸하는 모기 LED부와 상기 비상신호시 점멸하는 랜턴 LED부를 가져, 상기 모기 LED부와 랜턴 LED부는 상기 비상 신호 기능시 더불어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KR2020170002095U 2017-04-25 2017-04-25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KR200488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95U KR200488358Y1 (ko) 2017-04-25 2017-04-25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95U KR200488358Y1 (ko) 2017-04-25 2017-04-25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41U true KR20180003141U (ko) 2018-11-02
KR200488358Y1 KR200488358Y1 (ko) 2019-04-11

Family

ID=6432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095U KR200488358Y1 (ko) 2017-04-25 2017-04-25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3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122B1 (ko) * 2019-08-13 2020-04-20 유상철 해충퇴치용 led 조명장치
WO2021187644A1 (ko) * 2020-03-19 2021-09-23 농업회사법인준준팜주식회사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178Y1 (ko) * 2001-12-19 2002-03-15 엔프라라이트(주) 해충 퇴치용 랜턴
JP2010118244A (ja) * 2008-11-12 2010-05-27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1020490B1 (ko) * 2009-06-19 2011-03-09 전자부품연구원 해충퇴치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KR20120008321U (ko) * 2011-05-26 2012-12-05 전자부품연구원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KR101593057B1 (ko) * 2015-07-14 2016-02-11 엘티프로(주) 다용도 엘이디 랜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178Y1 (ko) * 2001-12-19 2002-03-15 엔프라라이트(주) 해충 퇴치용 랜턴
JP2010118244A (ja) * 2008-11-12 2010-05-27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1020490B1 (ko) * 2009-06-19 2011-03-09 전자부품연구원 해충퇴치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KR20120008321U (ko) * 2011-05-26 2012-12-05 전자부품연구원 휴대용 다목적 led 조명 장치
KR101593057B1 (ko) * 2015-07-14 2016-02-11 엘티프로(주) 다용도 엘이디 랜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122B1 (ko) * 2019-08-13 2020-04-20 유상철 해충퇴치용 led 조명장치
WO2021187644A1 (ko) * 2020-03-19 2021-09-23 농업회사법인준준팜주식회사 해충 퇴치용 광원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358Y1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9377B2 (en) Solar powered light assembly to produce light of varying colors
US6722771B1 (en) Hand held traffic control light
US8104914B2 (en) Light device
US8083392B2 (en) LED light has removable self-power LED unit(s)
US10188091B2 (en) Portable light and insect extermination device
US20080173341A1 (en) Canopy with illumination device
GB2457313A (en) Processor controlled identifying light
KR200488358Y1 (ko)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KR20110131532A (ko) 해충퇴치용 램프
US7429122B1 (en) Lighting device
US9629213B2 (en) Variably controlled lighting mechanism for feeders
KR101493379B1 (ko) 램프 및 램프 거치 결합체
KR101587496B1 (ko) Led 조명장치
KR101690567B1 (ko) 색온도 선택이 가능한 led 실내 평판 조명등 장치
KR101605396B1 (ko) Led 조명장치
KR200364518Y1 (ko) 휴대용 조명등
KR101587497B1 (ko) Led 조명장치
KR20160004263U (ko) 휴대용 다용도 조명등
KR101034314B1 (ko) 다기능 후레쉬
CN214047222U (zh) 一种多功能野外露营灯
CN212937526U (zh) 一种带有照明功能的电蚊拍
JP3030323U (ja) 発光ダイオードを光源とする携帯用照明器具
WO2017031750A1 (zh) 一种便携应急照明装置
KR200350590Y1 (ko)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
KR200309277Y1 (ko) 휴대용 충전식 비상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