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590Y1 -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 - Google Patents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590Y1
KR200350590Y1 KR20-2004-0004880U KR20040004880U KR200350590Y1 KR 200350590 Y1 KR200350590 Y1 KR 200350590Y1 KR 20040004880 U KR20040004880 U KR 20040004880U KR 200350590 Y1 KR200350590 Y1 KR 200350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hargeable battery
battery
handle
irradiation lamp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미경
Original Assignee
안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미경 filed Critical 안미경
Priority to KR20-2004-0004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5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5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5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of different shape or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여 수시로 충전이 가능토록 하고, 또한 충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램프를 점등시키도록 하여 이용상 편리함을 배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에 관한 것으로,
육면체 형상의 충전식 배터리를 내장한 케이스와; 상기 충전식 배터리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터리를 휴대 및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일단에 설치되며, 충전식 배터리에 전원을 연결하여 충전하고, 외부 전기장치를 연결하여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입출력 잭과;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며, 충전식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방에 빛을 발산하는 전방 조사용 램프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설치되며, 충전식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부로 빛을 발산하는 상부 조사용 램프와; 상기 손잡이의 후방에 설치되며, 충전식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후방에 빛을 발산하는 후방 조사용 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Multy-Funcing Lamp Connecting a Charging Bettery}
본 고안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여 수시로 충전이 가능토록 하고, 또한 충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램프를 점등시키도록 하여 이용상 편리함을 배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람이 손에 들고 다닐 수 있는 휴대용 랜턴이 많이 보급되고 있는바, 상기 휴대용 랜턴은 본체의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램프가 내장되어 있는 램프 케이스가 설치되며, 본체의 중앙에는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랜턴은 주로 전방을 파악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사냥용으로 구입하거나 과수의 경비용 등으로 구입할 경우 사용하는 시기가 정해져 있고, 또한 사용하는 날보다 사용하지 않은 날이 많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는 별 도움이 못되어 구입하지 않게 되는 실정이다.
즉, 현재 판매되는 휴대용 랜턴은 모두 전방을 비추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은은한 빛이 필요한 경우나, 텐트에서의 경우에는 전용 랜턴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며, 따라서 한가지의 용도로 개발되는 랜턴은 필요한 경우가 극히 한정되므로 일반인들에게 별도 도움이 되지 못하는 실정인 것이다.
또한, 배터리 역시 일반 건전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지 않으면 방전되어 못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더욱이 상기 배터리는 잘못 버리게 되면 환경오염을 일으키게 되어 생태계를 파괴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충전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다양한 발광체를 구비토록 하여, 일개의 랜턴을 다양한 목적으로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육면체 형상의 충전식 배터리를 내장한 케이스와;
상기 충전식 배터리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터리를 휴대 및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일단에 설치되며, 충전식 배터리에 전원을 연결하여 충전하고, 외부 전기장치를 연결하여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입출력 잭과;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며, 충전식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방에 빛을 발산하는 전방 조사용 램프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설치되며, 충전식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부로 빛을 발산하는 상부 조사용 램프와;
상기 손잡이의 후방에 설치되며, 충전식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후방에 빛을 발산하는 후방 조사용 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전방 조사용 램프는, 발광체 및 이를 케이싱한 보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체가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저면 및 전방으로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후방 조사용 램프는, 발광체 및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가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저면 및 후방으로 저면 및 후방으로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전방 조사용 램프와 상부 조사용 램프는 토글 스위치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이 일정길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와 손잡이 사이에는, 배터리의 전력량을 표시하는 볼트미터기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동작 일 실시예도.
도 3은 본 고안의 랜턴에 다른 전기 장치를 접속한 실시예도.
도 4는 본 고안의 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배터리 케이스 20: 잭
30: 전방 조사용 램프 40: 상부 조사용 램프
50: 후방 조사용 램프 60: 손잡이
80: 전기장치 90: 토글 스위치
100: 배터리 110, 120: 힌지축
130: 볼트 미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충전식 배터리(100)를 탑재한 케이스(10)와, 상기 충전식 배터리(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입출력 잭(20)과, 상기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방을 조사하는 전방 조사용 램프(30)와, 상기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부를 조사하는 상부 조사용 램프(40)와, 상기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후방을 조사하는 후방 조사용 램프(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10)를 들고 다닐 수 있도록 케이스(10)의 상부에 손잡이(60)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60)에는 상술한 잭(20)과 토글 스위치(90)등이 설치된다.
상기 잭(20)은 배터리(100)를 충전시키는 단자로 활용되기도 하고, 다른 전기 장치(80)를 연결하여 배터리 전원을 출력받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배터리(100)보다 전위가 높은 전원이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100)로 충전작용을 일으키고, 상기 잭(20)에 부하가 연결되면 자연스럽게 배터리(100)의 전원이 이동하여 전기장치(80)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방 조사용 램프(30)는 발광체(31) 및 이를 수용하는 보호체(32)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체(31)는 배터리(1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스위칭 작용에 의해 빛을 발산하며, 상기 보호체(32)는 내부에 반사경(33)이 설치되어 빛이 전방으로 널리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체(32)는 원형으로 제작되며, 조립식으로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서 잠금을 해제하고 발광체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체(32)는 힌지 결합되어 있는바, 상기 힌지축(110)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꺾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전방 및 저면을 적당한 각도로 꺾은 상태에서 임시고정할 수가 있어 필요한 부분을 비출 수가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보호체(32)는 전방을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반 후래쉬의 쓰임새와 비슷하게 전방을 관찰하거나 이동중에 사용하면 그 효과가 극대화된다.
한편, 상기 상부 조사용 램프(40)는 손잡이(60)의 상단에 결합되며, 역시 전방 조사용 램프(40)와 마찬가지로 발광체(41)와 보호체(42)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체(41)는 충전식 배터리(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칭 작용에 의해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상부 방향으로 발산하게 된다.
상기 상부 조사용 램프(40)는 특히 집안에 정전시나 캠핑시에 필요로 하는 공간에 빛을 전달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종래의 후래쉬는 전방만을 비추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상부방향을 조사할 수 없으나, 본 고안은 배터리 케이스(10)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로 지지가 가능하여 필요한 지점에 놓고 스위치만 작동시키면 점등되므로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특히, 캠핑시에 텐트 내부에서 촛불을 켜거나 하여 화재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으나,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직접적인 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안전하며, 또한 충전식 배터리(100)를 이용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후면에 후방 조사용 램프(50)를 더 설치하는바, 상기 후방 조사용 램프 역시 전방 조사용 램프(30)의 구조와 비슷하게 발광체(51) 및 커버(52)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발광체(51)는 은은한 빛을 내는 소자를 채택하여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발광체(51)는 낚시등 밝은 빛보다는 은은한 빛이 출력되어 낚시도구 손질등을 할 때 물고기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조용히 작업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2)는 대략 패널 형상으로 제작되는바, 이는 조사각을 후방 및 저면으로 유도하여 저면에 보다 많이 빛이 조사되어 작업의 편리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즉, 전방 조사용 램프(30)는 빛을 모아서 일방향으로 강하게 조사되도록 함으로서 먼거리의 사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되나, 상기 후방 조사용 램프(50)는 빛을 모으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사방으로 퍼지도록 하여 먼거리의 물체를 식별하는 기능보다는 근거리의 물체를 식별하고 또한 많은 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패널형 커버(52)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커버(52)는 손잡이 후방에 힌지결합되는바, 상기 힌지축(120)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를 꺾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범위로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칭 작용에 있어서도 일정각도이상 올라오면 자동으로 점등되는 스위칭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전방 조사용 램프(30)와 상부 조사용 램프(40)는 일개의 스위치에 의해서 스위칭되도록 설계하였으며, 상기 스위치는 토글 스위치(90)로서 전방 조사용 램프와 상부 조사용 램프를 원터치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스위치는 외부에 1개만 노출되며, 따라서 상기 스위치(9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전방 조사용 램프(30) 및 상부 조사용 램프(40)가 선택 점등되고, 후방 조사용 램프는 커버(52)를 일정각도 이상 상승시키면 내부 스위치(53)가 작동되어 점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손잡이(60)와 배터리 케이스(10) 사이에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에는 볼트 미터(130)를 설치하는바, 상기 볼트미터(130)는 배터리(100)의 남은량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국, 본 고안은 배터리 케이스(10)를 한 방향으로 고정한 채로 배터리(100)와 접속된 각각의 램프(30, 40, 50)를 이용하여 전후방과 저면 및 상부를 모두 비출수 있으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하고 아울러 상기 충전식 배터리의 출력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램프를 적절히 배치하며, 또한 상기 배터리를 이용하여 외부 전지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상 편리함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즉, 배터리의 형태를 직육면체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심미감을 높이기 위해서 다각형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조사각 램프와 상부 조사각 램프 및 후면 조사각 램프의 구조 역시 원형이나 사각 패널형이 아닌 다각형 형태 내지는 원형 패널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은 포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Claims (6)

  1. 육면체 형상의 충전식 배터리를 내장한 케이스와;
    상기 충전식 배터리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터리를 휴대 및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 일단에 설치되며, 충전식 배터리에 전원을 연결하여 충전하고, 외부 전기장치를 연결하여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입출력 잭과;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며, 충전식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방에 빛을 발산하는 전방 조사용 램프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설치되며, 충전식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부로 빛을 발산하는 상부 조사용 램프와;
    상기 손잡이의 후방에 설치되며, 충전식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후방에 빛을 발산하는 후방 조사용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조사용 램프는, 발광체 및 이를 케이싱한 보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체가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저면 및 전방으로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조사용 램프는, 발광체 및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가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저면 및 후방으로 저면 및 후방으로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조사용 램프와 상부 조사용 램프는 토글 스위치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이 일정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손잡이 사이에는, 배터리의 전력량을 표시하는 볼트미터기를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
KR20-2004-0004880U 2004-02-24 2004-02-24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 KR200350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880U KR200350590Y1 (ko) 2004-02-24 2004-02-24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880U KR200350590Y1 (ko) 2004-02-24 2004-02-24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590Y1 true KR200350590Y1 (ko) 2004-05-14

Family

ID=4934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880U KR200350590Y1 (ko) 2004-02-24 2004-02-24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5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3220B2 (ja) 着脱可能なライトを備えるランタン
US10969065B2 (en) Task-area light
US2018022407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multi-functional folding straight light
US20110058361A1 (en) Lantern apparatus
KR101218372B1 (ko) 휴대용 랜턴
US20110063818A1 (en) Desk lamp
KR200350590Y1 (ko)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다용도 랜턴
US20060098424A1 (en) Rechargeable flashlight
US20100244750A1 (en) Hand lantern
JP2009097230A (ja) 照明付き手摺
KR200488358Y1 (ko) 복합기능을 갖는 모기 접근 방지장치
KR101097491B1 (ko) 휴대용 조명등
KR20150122953A (ko) 훈증기 겸용 led 랜턴
JP2012028129A (ja) 携帯電灯
KR101708766B1 (ko) 휴대용 램프 겸용 비상등
CN212204103U (zh) 抽拉式露营灯
KR200425653Y1 (ko) 이동형 작업등
KR20140003164U (ko) 탈부착식 중장비차량의 실내조명등
KR101451077B1 (ko) 비상시 휴대가 용이한 조명기구
KR200364518Y1 (ko) 휴대용 조명등
CN201391754Y (zh) 紧急照明装置的控制系统
CN111998246A (zh) 抽拉式露营灯
CN206943873U (zh) 一种多功能充电照明用手提马灯
KR2008000783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한 조명장치
KR200243680Y1 (ko) 전기 스탠드 겸용 손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