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119U - 물놀이 기구 - Google Patents

물놀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119U
KR20180003119U KR2020170002034U KR20170002034U KR20180003119U KR 20180003119 U KR20180003119 U KR 20180003119U KR 2020170002034 U KR2020170002034 U KR 2020170002034U KR 20170002034 U KR20170002034 U KR 20170002034U KR 20180003119 U KR20180003119 U KR 201800031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lumn tube
tube
buoyant bod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이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재 filed Critical 이용재
Priority to KR2020170002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119U/ko
Publication of KR201800031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B35/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72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놀이를 할 때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물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물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진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를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부력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마련된 덮개와,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는 나무 무늬가 인쇄된다.

Description

물놀이 기구{APPARATUS FOR PLAYING IN THE WATER}
본 고안은 물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물놀이를 할 때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물놀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놀이 기구는 수영을 하거나 물놀이를 즐길 때 사용하는 보조 기구이다. 이러한 물놀이 기구를 이용하면 수영을 잘 하지 못하는 사람도 물에 뜰 수 있게 되어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영을 보조하거나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물놀이 기구에는 다양한 제품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물놀이 기구들은 부피가 크고 모양이 획일적이어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만 사용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등록실용실안공보 제20-0481745호(2016.10.31.)에 개시된 물놀이 튜브는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된 도넛 형상이다. 이러한 도넛 형상의 물놀이 튜브의 경우 흥미로운 부분을 찾기 어려워 금방 싫증을 내기도 하고 물놀이를 지겨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실안공보 제20-0481745호(2016.10.31.)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놀이를 할 때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물놀이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워터 해먹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물놀이 기구의 제공을 추가적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물놀이 기구는, 물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진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를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부력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마련된 덮개와,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는 나무 무늬가 인쇄된다.
상기 부력체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경우 부력을 발생시키는 튜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는 니트릴(Nitrile Butadien Rubber; NBR), EVA(Ethylene Vinyl acetate), PE(Polyethylene)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된 매트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물놀이 기구는 워터 해먹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부력체와 커버로 구성된 제1칼럼튜브와, 상기 제1칼럼튜브와 이격되되 평행하게 배치된 제2칼럼튜브와, 상기 제1칼럼튜브와 상기 제2칼럼튜브 사이에 구비된 메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칼럼튜브의 일측, 상기 제2칼럼튜브의 타측, 그리고 상기 메시의 양측에 연결고리가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부력체를 덮는 커버의 몸체에 나무 무늬가 인쇄되어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영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복수의 칼럼튜브와 메시를 조합하여 워터 해먹으로 변경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100)는, 물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진 부력체(110)와, 부력체(110)를 덮는 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력체(110)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경우 부력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튜브이다. 이러한 부력체(1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칼럼(column) 형상을 가지며, 그 일단에는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주입구(112)가 형성된다.
커버(120)는 부력체(110)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커버(120)는, 부력체(110)가 수용되는 몸체(122)와, 몸체(122)의 일단에 마련된 덮개(124)와, 몸체(122)와 덮개(124)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체결수단(126)으로 이루어진다.
커버(120)의 몸체(122)는 부력체(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부력체(110)와 동일한 형상, 즉 일 방향으로 연장된 칼럼 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122)의 일단은 부력체(1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며, 몸체(122)의 내부에는 부력체(11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128)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 중 몸체(122)의 표면에는 나무 무늬가 인쇄된다. 이와 같이 나무 무늬를 인쇄할 경우 물놀이 기구(100)가 통나무 형상을 갖게 되므로, 아이들이 흥미를 가지고 물놀이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영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도 있다.
한편, 체결수단(126)은 몸체(122)의 개방된 일단에 마련된 덮개(124)를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체결수단(126)으로는 몸체(122)의 개방된 일단을 따라 설치되는 지퍼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100)의 변형례로서, 물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진 부력체(130)와, 부력체(130)를 덮는 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부력체(130)는 얇은 두께를 가진 매트이다. 이러한 부력체(130)는 커버(120)에 수납된 상태에서 부력체로 사용되지만, 커버(120)에서 꺼낼 경우 돗자리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부력체(130)는 물에서 부력을 발생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된다. 예컨대, 니트릴(Nitrile Butadien Rubber; NBR), EVA(Ethylene Vinyl acetate), PE(Polyethylene)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1)는,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칼럼튜브(100,200)와, 한 쌍의 칼럼튜브(100,200) 사이에 구비된 메시(300)를 포함한다.
칼럼튜브(100,200)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며 평행하게 배치된 제1칼럼튜브(100)와 제2칼럼튜브(200)로 구성된다. 제1칼럼튜브(100)와 제2칼럼튜브(200)는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부력체(110,130)와 커버(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칼럼튜브(100,200)의 커버(120)에는 나무 무늬가 인쇄되며,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는 연결고리(140)가 마련된다.
메시(300)는, 일정한 넓이를 가진 그물망(310)과, 그물망(310)의 양측에 마련도니 테두리부(320)와, 테두리부(320)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연결고리(330)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물놀이 기구(1)는 사용자가 누워서 편안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워터 해먹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 기구의 변형례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1)는,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칼럼튜브(100,200)와, 한 쌍의 칼럼튜브(100,200) 사이에 구비된 메시(300)와, 한 쌍의 칼럼튜브(100,200)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튜브(400)로 구성된다.
연결튜브(400)는, 제1 및 제2칼럼튜브(100,200)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환형부와, 상기 환형부를 연결하는 바 형태의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튜브(400)는 공기를 주입할 경우 부력을 발생시키는 튜브의 형태이며, 그 일측에는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주입구(410)가 형성된다.
상술한 형상의 연결튜브(400)는 칼럼튜브(100,200)의 양단에 각각 끼워져 칼럼튜브(100,2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메시(300)에 올라간 상태에서 칼럼튜브(100,200) 사이가 좁아져 사용자에 몸에 감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물놀이 기구 110: 부력체
120: 커버

Claims (7)

  1. 물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진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마련된 덮개와,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 나무 무늬가 인쇄되어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경우 부력을 발생시키는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니트릴(Nitrile Butadien Rubber; NBR), EVA(Ethylene Vinyl acetate), PE(Polyethylene)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된 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기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칼럼(column) 형상이고, 상기 커버는 상기 부력체를 덮을 수 있는 주머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기구.
  5. 청구항 1에 따른 부력체와 커버로 구성된 제1칼럼튜브;
    상기 제1칼럼튜브와 이격되되 평행하게 배치된 제2칼럼튜브; 및
    상기 제1칼럼튜브와 상기 제2칼럼튜브 사이에 구비된 메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칼럼튜브의 일측, 상기 제2칼럼튜브의 타측, 그리고 상기 메시의 양측에 연결고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칼럼튜브와 상기 제2칼럼튜브의 적어도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칼럼튜브, 상기 제2칼럼튜브, 상기 연결튜브에 나무 무늬가 인쇄되어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기구.
KR2020170002034U 2017-04-21 2017-04-21 물놀이 기구 KR201800031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34U KR20180003119U (ko) 2017-04-21 2017-04-21 물놀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34U KR20180003119U (ko) 2017-04-21 2017-04-21 물놀이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19U true KR20180003119U (ko) 2018-10-31

Family

ID=6404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034U KR20180003119U (ko) 2017-04-21 2017-04-21 물놀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11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1745A (ko) 2002-01-04 2004-09-22 소시에떼 외로뺀느 드 브르베 오토모빌 접이식 변환 차량의 후드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1745A (ko) 2002-01-04 2004-09-22 소시에떼 외로뺀느 드 브르베 오토모빌 접이식 변환 차량의 후드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7926B2 (en) Fluid chamber inflatable apparatus
GR3035970T3 (en) Air cushion grip with pump
US20130318703A1 (en) Water pool, slide and sprinkler
KR101282088B1 (ko) 신체 착용식 수영 보조장치
KR20090128770A (ko) 공기 주입식 서핑용 보드
US20170101164A1 (en) Inflatable sup board
KR200474693Y1 (ko) 이중 구조를 갖는 안전형 다기능 물놀이 튜브
JP2016530155A (ja) テーブルとシートを備えた小型レジャーボート
KR20180003119U (ko) 물놀이 기구
KR20140023526A (ko) 패들링 보드
US8974262B2 (en) Inflatable walking apparatus
US1628368A (en) Water ski
KR200426874Y1 (ko) 물놀이 기구
KR200469794Y1 (ko) 이중 수영튜브
US10132095B2 (en) Pool apparatus
KR102145068B1 (ko)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물놀이용 튜브
KR20130140521A (ko) 공 형상의 레저용 기구
KR101803555B1 (ko) 뒤집어지지 않는 튜브
KR20180061628A (ko) 물놀이용 튜브
KR101265692B1 (ko) 물놀이용 튜브
KR20070120690A (ko) 물놀이 기구
US7189135B2 (en) Underwater fun toy
CN207024573U (zh) 一种游泳训练装备
JPH03206Y2 (ko)
JPH0626922U (ja) 水泳練習用浮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