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87A - 시소형 물놀이 튜브 - Google Patents

시소형 물놀이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387A
KR20160001387A KR1020140079823A KR20140079823A KR20160001387A KR 20160001387 A KR20160001387 A KR 20160001387A KR 1020140079823 A KR1020140079823 A KR 1020140079823A KR 20140079823 A KR20140079823 A KR 20140079823A KR 20160001387 A KR20160001387 A KR 20160001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eesaw
water
tubes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건식
채원영
Original Assignee
윤건식
채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건식, 채원영 filed Critical 윤건식
Priority to KR1020140079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387A/ko
Publication of KR20160001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4/52Inflatable or partly inflat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놀이를 즐길 때 더욱 즐겁게 즐길 수 있는 기구로써, 수면 위에서 시소를 타는 것과 같은 놀이 기구를 구현하기 위하여 변형된 튜브이며, 수중에서 시소형 물놀이 튜브를 탑승함에 있어서 좌우측으로 기울어져 전복되지 않고 편리하게 탑승 할 수 있으며, 탑승 인원들이 수면 위에서 안정된 균형을 유지 할 수 있고 편안한 자세로 쉽고 큰 반동을 줄 수 있게 되어 수면 위에서 시소를 타는 감을 더욱 더 크게 더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소형 물놀이 튜브{Seesaw type tube for dabble in water}
본 발명은 물놀이를 할 때 물위에 뜨는 튜브의 모양을 변형하여 물위에서 시소를 타는 것과 같이 즐길 수 있는 물놀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여름 휴가철이 되면 사람들은 시원한 바다나 계곡 및 워터파크에 가서 물놀이를 생각하게 되며 바다나 계곡 또는 워터파크에서 물놀이를 할 때에 보통 물안에 들어가 수영만 하면서 물놀이를 즐기는 것에 더하여 물에서 더욱 즐겁게 놀수 있는 방안을 찾게 되고, 물에서 더욱 즐겁게 놀수있는 방안으로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에 하나가 튜브를 사용하여 수면 위에 떠서 물장구를 치며 물놀이를 더욱 즐겁게 즐길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튜브는 원형의 중앙에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뚫려 있어 구멍으로 사람이 들어가는 구성으로 단순히 수면 위에 뜨는 형태이다.
이러한 튜브만을 가지고 물놀이를 즐기기에 부족하여 튜브의 형태를 비행기나 자동차 또는 동물의 형태로 바꾸거나, 땅위에서 즐겨 타던 놀이기구를 물위에서도 즐길 수 있도록 구현화한 물놀이 기구로 물놀이를 한층 더 즐길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말한 땅에서 즐기는 놀이기구 중 시소를 물위에서 즐길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여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시소형 물놀이 튜브가 있는데, 이러한 시소형 물놀이 튜브는 물위에 띄워 2인 이상의 사람이 올라타야하며, 튜브위에 올라 탄 사람이 시소형 물놀이 튜브의 좌우로 반동을 주게 되면 시소형 물놀이 튜브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다가 다시 반대편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러한 움직임이 반복되면서 마치 물 위에서 시소는 타는 것과 같게 된다.
하지만, 도 3과 같이 기존에 있던 시소형 물놀이 튜브는 중앙에 굵은 원기둥 튜브가 원호와 같이 휘어진 형태의 메인 튜브로 구성되어 있고, 메인 튜브의 양측에 굵은 원기둥의 둘레보다 작은 둘레의 원기둥이 원호의 형태로 휘어져 붙어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시소형 물놀이 튜브를 가지고 물놀이를 즐기기 위해서 튜브에 올라타야하는데, 수면의 높이와 시소형 물놀이 튜브 자체의 높이를 보면 결코 낮은 높이가 아니며, 시소형 물놀이 튜브에 탑승 시 시소형 물놀이 튜브에 체중을 싣게 되면 튜브의 균형이 한쪽으로 기울게 되어 튜브에 올라타기에 어려운 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탑승자가 시소형 물놀이 튜브에 탑승하여도 먼저 탑승한 사람은 또다른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균형을 잡아주어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으며, 탑승자가 시소형 물놀이 튜브에 탑승을 완료 후 수면 위에서 좌우로 반동을 주어 시소를 타는 것과 같이 즐기는 도중에 튜브의 균형을 잃고 옆으로 전복되는 경우도 발생되며, 이러한 시소형 물놀이 튜브에 대한 균형의 불안정성 때문에 반동을 주는 것에 제약이 따르게 되며, 튜브의 균형을 잃지 않게 하기 위해 조심성을 기울여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2106호(공고: 2001년11월23일)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시소형 물놀이 튜브에 탑승 시 좌우측으로 균형을 잃지 않고 안정된 탑승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탑승 시 편안한 자세로 안정된 균형을 유지하며, 시소형 물놀이 튜브를 즐기기에 필요한 반동을 쉽고 크게 줄 수 있는 시소형 물놀이 튜브를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놀이를 더욱 더 즐겁게 즐길 수 있는 시소형 물놀이 튜브에 있어서, 도 2와 같은 기존의 시소형 물놀이 튜브와 같이 중앙에 집중되어 있던 튜브를 2개의 메인 튜브로 양측에 나뉘어 일정한 간격으로 띄워서 구성하고 일정하게 띄워진 간격 사이에 양측 메인 튜브와 연결되도록 4개의 연결 튜브로 이어지도록 구성되게 하며, 이 4개의 연결 튜브로 인하여 탑승자의 발판 및 등을 기댈 수 있는 등판이 되고, 메인 튜브의 하측 중앙에 구성되어 있는 연결 튜브의 일정한 간격 사이로 탑승자가 시소형 물놀이 튜브의 밑으로 탑승 할 수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시소형 물놀이 튜브의 구성과 달리 양측으로 나뉘어진 메인 튜브로 인하여 시소형 물놀이 튜브의 안정된 균형을 유지 할 수 있게 되며, 양측의 메인 튜브에 이어지는 4개의 연결 튜브 사이에 일정한 간격의 공간이 생성되어 있어 시소형 물놀이 튜브의 밑으로 탑승함으로써 좌우측면으로 탑승 할 시 한쪽으로 균형이 기울어져 전복되는 점을 해결 할 수 있게 된다.
메인 튜브에 이어지는 4개의 연결 튜브는 탑승자의 발판 및 등을 기댈 수 있는 등판이 되어 물놀이 할 때 몸을 뒤로 젖혀 기대는 편안한 자세로 물놀이를 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자세에서 몸을 뒤로 젖히는 것으로도 시소형 물놀이 튜브의 반동을 쉽고 크게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3은 종래 튜브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좌우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원호형을 갖는 2개의 메인 튜브(10)로 구성하고 메인 튜브(10) 사이에 4개의 연결 튜브(20)가 메인 튜브(10)에 구성되는데, 메인 튜브(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2개의 연결 튜브(20)가 시소형 물놀이 튜브 하측에 구성되며, 중앙에 구성된 연결 튜브(20)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메인 튜브(10)의 가장자리 부위를 연결 하는 연결 튜브(20)가 구성되어 있다.
여러 형태로 활용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4개의 연결 튜브(20) 중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2개의 연결 튜브(20)는 탑승자의 발판이 되고, 메인 튜브(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2개의 연결 튜브(20)는 탑승자의 등받이로 사용된다.
4개의 연결 튜브(20) 중 중앙에 구성된 2개의 연결 튜브(20)의 가운데에 생겨나는 간격으로 탑승자가 시소형 물놀이 튜브(1)에 탑승 할 수 있는 탑승 구멍(40)이 될 수 있게 한다.
탑승자가 시소형 물놀이 튜브(1)를 잡기위한 손잡이(12)는 탑승자를 기준으로 좌우측면에서 메인 튜브(10) 가장자리 부위의 내측면에 전후방으로 각각 2개씩 구성되어 있고, 메인 튜브(10)의 가장자리를 이어주는 연결 튜브(20)의 중앙에 전후방으로 각각 1개씩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메인 튜브(10)의 가장자리 끝부분에 시소형 물놀이 튜브(1) 내에 공기를 충진시킬 수 있는 공기 주입구(30)가 1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사용법에 따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시소형 물놀이 튜브(1)를 사용하기 위하여 시소형 물놀이 튜브(1) 내에 공기를 충진하여야 함으로 메인 튜브(10)의 가장자리 끝부분에 구성된 공기 주입구(30)를 열고 시소형 물놀이 튜브(1) 내에 공기를 충진하게 된다.
충진이 완료되면 공기 주입구(30)를 닫고 시소형 물놀이 튜브(1)를 수면위에 띄운다. 수면 위에 띄워진 시소형 물놀이 튜브(1)에 탑승 하기 위하여 보통 좌우측의 메인 튜브(10)를 통하여 올라탈 수 있으나, 대게 이런 경우 시소형 물놀이 튜브(1)는 한쪽으로 균형이 기울어져 전복될 수 있지만, 이러한 탑승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시소형 물놀이 튜브(1)의 중앙에 구성된 2개의 연결 튜브(20)의 일정한 간격 사이로 탑승하기 위해 시소형 물놀이 튜브(1)의 밑으로 탑승하는 방법으로 탑승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시소형 물놀이 튜브(1)의 구성을 보면 2개의 메인 튜브(10)를 이어주는 연결 튜브(20)는 일정한 간격으로 띄어져 4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에 메인 튜브(10)의 중앙에 구성된 2개의 연결 튜브(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의 공간을 탑승구멍(40)으로 하여 탑승하게 되면 좌우로 균형을 잃지 않고 탑승할 수 있게 된다.
메인 튜브(10)와 함께 연결되어 있는 4개의 연결 튜브(20) 중 중앙에 위치한 연결 튜브(20)는 탑승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이 되고, 가장자리에 위치한 연결 튜브(20)는 탑승자의 엉덩이 및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가 되어,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시소형 물놀이 튜브(1)의 발판과 등받침에 몸을 기대고 탑승자는 몸을 뒤로 젖히는 것만으로 편하게 큰 반동을 줄 수 있으므로 수면 위에서 시소를 타는 감을 더욱 더 크게 더하여 주게 된다.
반동을 주며 물놀이를 즐길 경우, 탑승자가 시소형 물놀이 튜브(1)위에서 균형을 잃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시소형 물놀이 튜브(1)에 구성된 손잡이(12)를 잡고 물놀이를 하게 되며, 물놀이가 끝나게 되면 공기 주입구(30)를 열고 공기를 빼내게 된다.
1: 시소형 물놀이 튜브
10: 메인 튜브
12: 손잡이
20: 연결 튜브
30: 공기 주입구
40: 탑승구멍

Claims (1)

  1. 물놀이를 즐기기 위한 놀이 기구인 시소형 물놀이 튜브(1)에 있어서,
    좌우측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원호형으로 된 2개의 메인 튜브(10)로 구성되어 좌우측면의 안정된 균형을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되고, 좌우측면에 구성된 2개의 메인튜브(10)를 연결시켜주는 4개의 연결 튜브(20)는 메인 튜브(10) 중앙 하측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2개의 연결 튜브(20)로 구성되고, 메인 튜브(10)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2개의 연결 튜브(20)로 구성되며, 메인 튜브(10)의 중앙 하측에 구성된 2개의 연결 튜브(20) 간격 사이로 탑승자가 탑승 할 수 있는 탑승구멍(40)이 되도록 하는 시소형 물놀이 튜브.
KR1020140079823A 2014-06-27 2014-06-27 시소형 물놀이 튜브 KR20160001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823A KR20160001387A (ko) 2014-06-27 2014-06-27 시소형 물놀이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823A KR20160001387A (ko) 2014-06-27 2014-06-27 시소형 물놀이 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87A true KR20160001387A (ko) 2016-01-06

Family

ID=5516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823A KR20160001387A (ko) 2014-06-27 2014-06-27 시소형 물놀이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3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2333A (zh) * 2016-11-07 2017-02-22 郑州游爱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杠杆原理的水上跷跷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106Y1 (ko) 2001-08-08 2001-11-23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수상 시이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106Y1 (ko) 2001-08-08 2001-11-23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수상 시이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2333A (zh) * 2016-11-07 2017-02-22 郑州游爱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杠杆原理的水上跷跷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8431A (en) Floating recreational seating device
US9044091B2 (en) Aquatic furniture
US8047926B2 (en) Fluid chamber inflatable apparatus
US6402627B1 (en) Inflatable recreational device
US2562080A (en) Buoyant sustaining seat
US4901998A (en) Multi-functional activity table
US6659822B1 (en) Lake raft
US9975610B2 (en) Small leisure boat provided with table and seats
US3528116A (en) Floatable swimming accessory
KR20160001387A (ko) 시소형 물놀이 튜브
US9975611B1 (en) Cockpit assemblies for towables
US9574362B2 (en) Inflatable pool with drawing board
US20070072500A1 (en) Inflatable water toy
US11148765B2 (en) Inflatable platform
US5603662A (en) Hemispherical rocking toy
CN205516437U (zh) 一种园林风景区专用秋千
KR200169400Y1 (ko) 에어를 이용한 다목적 수상레저기구
US2226911A (en) Tilting raft
KR100803283B1 (ko) 물놀이 기구
JPS61291292A (ja) 小型船舶の座席構造
CN200985087Y (zh) 多功能游泳浮体
US6038991A (en) Seat for use on an inner tube
CN209208997U (zh) 带有充气坐骑的充气漂浮装置
US8202172B1 (en) Child rocking toy
JPH07303762A (ja) 遊戯用ボ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