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984A - apparatus for using lumbar erector spinae muscle strengthen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using lumbar erector spinae muscle strengthe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984A
KR20180002984A KR1020160082182A KR20160082182A KR20180002984A KR 20180002984 A KR20180002984 A KR 20180002984A KR 1020160082182 A KR1020160082182 A KR 1020160082182A KR 20160082182 A KR20160082182 A KR 20160082182A KR 20180002984 A KR20180002984 A KR 20180002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rm
rehabilitation
movement
arm 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1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1020160082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984A/en
Publication of KR20180002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08For a single arm or 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chest region, e.g. to the back che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ultimedia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capable of strengthening lumbar erector muscl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capable of strengthening the lumbar erector muscles, comprising: an upper limb exercise unit enabling a user to perform rehabilitation training for upper limbs of the user; and a support unit supported on a bottom unit, connected to the upper limb exercise unit and supporting a physical body of the user. The upper limb exercise unit includes: a body unit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and an arm seating unit on which the arm of the user is seated. The arm sea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body unit to enable the whole of the arm of the user seated on the arm seating unit to rotate in a yaw direction and in a pitch direction. In this case, the arm seating uni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member, an upper arm seating unit, a lower arm seating unit, a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a third connection member.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body unit to be able to rotate in the yaw direction. The upper arm seating unit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to be able to rotate in the pitch direction and gets the upper arm of the user to be seated thereon. The lower arm seating unit gets the lower arm of the user to be seated there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connects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rm seating unit to the lower arm seating unit to enable the lower arm seating unit to rotate in the pitch direction. The third connection member connects the upper arm seating unit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changes the length in the case that the upper arm seating unit rotates in the pitch direction.

Description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apparatus for using lumbar erector spinae muscle strengthenin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strengthening a lumbar spinal muscle,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재활훈련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상기 부위에 대한 재활치료 특히, 요추기립근강화 재활치료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상지 운동부를 구비하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rehabilitating a user's part, particularly, a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capable of strengthening a lumbar support muscle with an upper limb exercise part for allowing a lumbar support muscle strengthening rehabilitation treatment to proceed Training device.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사람의 수명이 늘어나면서 인구의 고령화가 가속화 되고 있다. 고령인구의 증가로 노인성 질환, 예를 들면 중풍, 관절 노화 등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통하여 여가 시간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인구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스포츠 활동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의의 사고로 인해 신체 부위가 손상되는 환자의 증가를 수반한다. 이와 같은 노인성 질환이나 신체 부위 손상으로 불편을 겪고 있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재활치료를 통하여 근력을 회복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불의의 사고,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뇌성마비, 중추신경계손상 등에 기인하거나, 노화로 인한 약화된 근력에 기인하여 손상된 신체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재활치료가 필요하다.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he life span of people is increasing, and the aging population is accelerating. With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incidence of geriatric diseases such as paralysis and joint aging is increasing. In addition, as people's standard of living improves, more and more people are enjoying leisure time through various sports activities. The increase in population enjoying sports activities necessarily entail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whose body parts are injured due to unintentional accidents that occur during sports activities.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such geriatric diseases or injuries to the body parts usually undergo a process of restoring strength through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is needed to restore some or all of the damaged physical function due to injuries, stroke, traumatic brain injury, cerebral palsy, central nervous system injury, or weakened strength due to aging.

일반적으로 재활치료는 의사, 물리 치료사 등의 전문가에 의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물리적 재활치료를 통하여 진행된다. 그리고 체계적인 재활훈련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재활치료 과정 동안의 재활환자의 재활훈련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현재 재활치료의 진행과 재활훈련정보의 저장은 의사, 물리 치료사 등의 전문가에 의하여 진행되고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재활훈련을 안전하게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의사, 물리 치료사의 전문가의 숙련도가 요구되며, 아울러 전문가의 유체적, 시간적 노력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하지만, 재활치료가 요구되는 환자수의 증가에 비하여 배출되는 재활 전문가의 수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재활로봇 등과 같은 재활기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Generally, rehabilitation treatment is performed through long-term and systematic physical rehabilitation by experts such as physicians and physical therapists. In order to perform systematic rehabilitation training, it is necessary to store and manage the rehabilitation training information of rehabilitation patients during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cess. Currently, progress of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storage of rehabilitation training information are managed and managed by experts such as doctors and physiotherapists. Therefore, in order to carry out rehabilitation training safely and repeatedly, professions of physicians and physiotherapists are required, and a fluid and time-consuming effort by experts is required. However, the number of rehabilitation specialists who are discharged compared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requiring rehabilitation is insufficient. As a result, studies on rehabilitation devices such as rehabilitation robot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상지 재활운동기기의 경우에 환자 상태에 따라 다양한 위치 및 각도조절에 따른 회전운동이 요구되는데 종래의 상지 운동기구의 대부분은 위치 및 각도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는 형태로써 그 치료효과가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상지 재활기기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KR 10-1115545 "재활치료용 상하지연동 운동장치", 한국등록특허 KR 10-1316840 "상지 재활 훈련용 외골격 장치" 등이 있다. 이들 종래의 기술은 환자의 한 쪽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만을 수행할 수 있어 환자의 양쪽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을 동시에 수행하고, 환자의 체격의 변화에 따라 폭, 높이 등이 가변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와는 차이점이 있다.In the case of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rotational movement according to various positions and angles is required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Most of the conventional upper extremity exercise apparatuses are in a position and angle-controlled manner, . Conventional techniques related to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devices include Korean Patent No. KR 10-1115545 entitled " Upper and Lower Interlocking Exercise Devic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nd Korean Exemplary Patent KR 10-1316840" Exoskeleton Apparatus for Upper Rehabilitation Exercise ". These conventional techniques can perform rehabilitation on only one upper limb of a patient and perform rehabilitation on both upper limbs of the patient at the same tim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which the width, height,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본 명세서에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따른 재활훈련기기는 요(yaw) 방향 회전 및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몸체부와 연결되는 팔 안착부를 포함하는 상지 운동부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몸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팔 안착부를 포함하는 상지 운동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양쪽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apable of strengthening the lumbar spin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user can perform a rehabilitation training on his / her upper limb through an upper limb exercise part including an arm rest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the yaw direction and rotate in the pitch direction Rehabilitation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technique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rehabilitation for both upper extremity parts of a user through an upper limb motion part including a pair of arm rest parts slidab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가 개시된다. 상기 재활훈련기기는 사용자의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치료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상지 운동부 및 바닥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상지 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apable of strengthening the lumbar spine is disclosed.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s supported by an upper limb motion part and a floor part for allowing rehabilitation of the upper limb of the user to proceed, and a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upper limb motion part and supporting the body of the user.

상기 상지 운동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팔 안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팔 안착부는 상기 팔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팔 전체가 요(yaw) 방향 회전 및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다.The upper limb movement part includes a body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and an arm rest part on which the arm of the user is seated. The arm rest part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so that the entire arm of the user seated on the arm rest part can rotate in the yaw direction and rotate in the pitch direction.

이 경우, 상기 팔 안착부는 제1연결부재, 상완 안착부, 하완 안착부, 제2연결부재 및 제3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는 요(yaw)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다. 상기 상완 안착부는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팔의 상완이 안착된다. 상기 하완 안착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팔의 하완이 안착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하완 안착부가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상완 안착부의 타측과 상기 하완 안착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3연결부재는 상기 상완 안착부와 상기 제1연결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상완 안착부가 피치(pitch) 방향 회전할 경우에 길이가 가변된다.In this case, the arm rest part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an upper arm rest part, a lower arm rest part, a second connecting part and a third connecting par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yaw direction. The upper arm sea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t one side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pitch direction, and the upper arm of the user's arm is seated. And the lower arm of the arm of the user is seated in the lower arm seating portio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onnects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rm seating portion and the lower arm seating portion so that the lower arm seating portion can rotate in the pitch direction. The third connecting member connects the upper arm seating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length is varied when the upper arm seating portion rotates in the pitch direction.

상기 몸체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상지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상지 베이스 프레임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와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팔 안착부는 상기 몸체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top base fram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a sliding portion slidably coupled to the top base fram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sliding member, and the arm rest may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body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liding member.

일례로, 상기 몸체부에는 한 쌍의 상기 팔 안착부-이하 제1 팔 안착부 및 제2 팔 안착부라 함-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부-이하 제1슬라이딩부 및 제2슬라이딩부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팔 안착부와 상기 제2 팔 안착부는 상기 제1 팔 안착부의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2 팔 안착부의 상기 제1연결부재가 각각 상기 제1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팔 안착부와 상기 제2 팔 안착부의 상기 몸체부에 대한 슬라이딩 가능한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1 팔 안착부와 상기 제2 팔 안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a pair of the arm res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arm rest part and a second arm rest par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body part.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pair of the sliding portions -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liding portion and a second sliding portion,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arm rest part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linking member of the first arm rest part and the first link member of the second arm rest part respectively engage with the first sliding part and the second sliding part And can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body by being connecte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rm rest part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can be adjusted through the slidable connection of the first arm rest part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to the body part.

한편, 상기 재활훈련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하지 부위를 고정하는 하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지 고정부는 상기 상지 베이스 프레임과 고정 연결되는 하지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하지 베이스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하지 베이스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상기 사용자의 다리가 안착되는 한 쌍의 다리 안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eg restricting portion for fixing the leg rest of the user. The lower fixing unit includes a lower base frame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base frame and a pair of leg rests connected to the lower base frame and facing each other with the lower base frame interposed therebetween, .

이 경우, 상기 다리 안착부는 상기 하지 베이스 프레임과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가 안착되는 허벅지 안착부, 상기 사용자의 발을 받치며 상기 사용자의 종아리가 안착되는 종아리 안착부 및 상기 종아리 안착부가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허벅지 안착부의 타측과 상기 종아리 안착부를 연결하는 제4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허벅지 안착부 및 상기 종아리 안착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신체의 길이의 변화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g rest part includes a thigh seat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g base frame and on which the thigh of the user is seated, a calf seat part on which the user's foot is rested and on which the calf of the user is seated, and a fourth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thigh seat part to the calf seat receiving part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pitch direction. At this time, the thigh seat part and the calf seat part can be varied in length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ength of the user's body.

또 한편, 상기 재활훈련기기는 상기 바닥부에 배치되며,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unit disposed at the bottom and positioned below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gravity direction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바닥부에 안착되는 제1받침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받침대 위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와 접촉하는 제2받침대, 상기 제1받침대와 상기 제2받침대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프레임 및 상기 제2받침대가 상기 제1받침대에 대하여 상하로 상대운동을 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을 구동하는 하는 승강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승강구동기를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가 상기 상지 운동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받침대를 상승시킬 수 있다.The eleva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edestal mounted on the bottom portion, a second pedestal disposed on the first pedestal based on the gravity direction and contacting the user, a lift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edestal and the second pedestal, And a lift synchronization mechanism for driving the lift frame to move the second pedestal up and down relative to the first pedestal. The user may drive the access port synchronization to raise the second pedestal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user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motion portion.

상기 승강부에는 무게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상기 무게는 상기 제2받침대와 상기 사용자와의 밀착을 통하여 상기 승강부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지 운동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에 대한 상기 재활치료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변화하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무게의 중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A weight sensor may be disposed on the lifting unit. And the weight of the user can be transmitted to the elevating unit through close contact between the second pedestal and the user. The weight sensor may sense a change in the center of the weight of the user who changes in the course of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the upper part of the user through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by the user.

또 한편, 상기 재활훈련기기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를 유니버셜 조인트 결합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이격되게 상기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support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by universal joint connection, and a buffer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portion.

이 경우, 상기 상지 운동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의 유니버셜 조인트 결합에 의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완충기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부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지 운동부가 기준 범위를 넘어서 움직일 경우에 상기 타측이 상기 몸체부와 접함으로써 상기 상지 운동부의 상기 기준 범위를 넘어서는 움직임을 완충시켜줄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완충기는 상기 일측이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타측이 상기 지지부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지 운동부가 상기 기준 범위를 넘어서 움직일 경우에 상기 타측이 상기 지지부와 접함으로써 상기 상지 운동부의 상기 기준 범위를 넘어서는 움직임을 완충시켜줄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can freely move by universal joint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body part through the connection part. Wherein the shock absorber is disposed so that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portion such that when the upper motion portion moves beyond the reference range, the other side abuts on the body portion, It is possible to buffer the movement beyond the reference range. Alternatively, the buffer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the other side i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supporting part, and when the upper side moving part moves beyond the reference range, the other side contacts the supporting part The motion of the upper extremity motion part exceeding the reference range can be buffered.

또 한편, 상기 재활훈련기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연결부재의 요(yaw) 방향 회전 운동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상완 안착부의 상기 피치(pitch) 방향 회전에 따른 상기 제3연결부재의 신축 운동을 신축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신축감지센서로부터 각각 제공받는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3연결부재의 상기 신축 운동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근력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sensor for sensing a yaw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by the user, a rotation sensor for sensing rotation of the upper arm seat in the pitch direction, Information about the yaw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linking member, which is received from the elongation sensor, the rotation sensor and the elongation sensor, respectively, and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hird linking member, And a controller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stretching movement.

이 경우, 상기 재활훈련기기는 상기 제1연결부재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3연결부재에 배치되는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상기 회전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제3연결부재의 상기 신축 운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상기 신축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신축 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연결부재가 동작하도록 상기 제2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재활훈련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에 대한 상기 재활치료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disposed o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a second driving unit disposed on the third connecting memb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er and the second driver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In this case, if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n the yaw direction is detected through the rotation sensor, the control unit may detect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The first driving unit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yaw rotational motion. Further, when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third linking member is sensed through the elongation senso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third linking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tretching movement sensed by the elongation sensing sensor, And the second driv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the third connecting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cause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to be performed on the upper limb of the user.

또 한편, 상기 재활훈련기기의 상기 몸체부는 회전의 축 방향이 상기 상지 베이스 프레임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을 가지도록 상기 상지 베이스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딩부의 일부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의 일부는 각각 상기 회전 롤러와 제1접점 및 제2접점에서 접하고, 상기 제1슬라이딩부의 상기 일부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의 상기 일부는 상기 회전 롤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볼 수 있다.The body portion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roller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base frame such that an axial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body portion has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upper base frame. A portion of the first sliding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second sliding portion abut each other at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with the rotating roller, and the portion of the first sliding portion and the portion of the second sliding portion contact the rotating roller Can face each other.

이 경우, 상기 제1접점 및 상기 제2접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상기 몸체부에 대한 상기 제1 팔 안착부의 슬라이딩 이동방향 및 상기 몸체부에 대한 상기 제2 팔 안착부의 슬라이딩 이동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상기 제1 팔 안착부 및 상기 제2 팔 안착부는 각각 상기 제1접점 및 상기 제2접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상기 제1 팔 안착부와 상기 제2 팔 안착부 사이의 상기 간격이 조절될 경우에 상기 제1 팔 안착부와 상기 제2 팔 안착부는 상기 회전 롤러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may be defined by a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arm rest part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and a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arm rest part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Lt; / RTI > The first arm rest part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liding part and the second sliding part so as to be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the gap between the first arm rest part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is adjusted through the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the first arm rest part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are fixed to the rotation roller It is possible to slide the same distance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이 때, 상기 재활훈련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하지 부위를 고정하는 하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지 고정부는 상기 상지 베이스 프레임과 고정 연결되는 하지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하지 베이스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하지 베이스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상기 사용자의 다리가 안착되는 한 쌍의 다리 안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eg restricting portion for fixing the leg rest of the user. The lower fixing unit includes a lower base frame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base frame and a pair of leg rests connected to the lower base frame and facing each other with the lower base frame interposed therebetween, .

이 경우, 상기 다리 안착부는 상기 하지 베이스 프레임과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가 안착되는 허벅지 안착부, 상기 사용자의 발을 받치며 상기 사용자의 종아리가 안착되는 종아리 안착부 및 상기 종아리 안착부가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허벅지 안착부의 타측과 상기 종아리 안착부를 연결하는 제4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벅지 안착부 및 상기 종아리 안착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신체의 길이의 변화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1 팔 안착부 및 상기 제2 팔 안착부는 상기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같은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다리 안착부들 각각은 상기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같은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하지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신체의 중심선이 상기 가상의 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g rest part includes a thigh seat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g base frame and on which the thigh of the user is seated, a calf seat part on which the user's foot is rested and on which the calf of the user is seated, and a fourth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thigh seat part to the calf seat receiving part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pitch direction. The thigh seat part and the calf seat part may vary in length depending on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user's body. Wherein the first arm rest part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ame distance about the imaginary line and are disposed on the body part, and each of the pair of leg rest parts has the same The centerline of the user's body may substantially coincide with the imaginary line by being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by the distance and being disposed in the base frame.

또한, 상기 재활훈련기기는 상기 바닥부에 배치되며,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바닥부에 안착되는 제1받침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받침대 위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와 접촉하는 제2받침대, 상기 제1받침대와 상기 제2받침대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프레임 및 상기 제2받침대가 상기 제1받침대에 대하여 상하로 상대운동을 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을 구동하는 하는 승강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승강구동기를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가 상기 상지 운동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받침대를 상승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ift portion disposed at the bottom portion and positioned below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gravity direction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The eleva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edestal mounted on the bottom portion, a second pedestal disposed on the first pedestal based on the gravity direction and contacting the user, a lift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edestal and the second pedestal, And a lift synchronization mechanism for driving the lift frame to move the second pedestal up and down relative to the first pedestal. The user may drive the access port synchronization to raise the second pedestal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user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motion portion.

또한, 상기 재활훈련기기는 상기 승강부에 배치되는 무게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안착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발을 받치는 발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 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대는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상기 무게는 상기 제2받침대와 상기 발 받침부와의 밀착을 통하여 상기 승강부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지 운동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에 대한 상기 재활치료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변화하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무게의 중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sensor disposed on the lifting unit. The calf seat portion may include a footrest portion that supports the foot of the user. In this case, the footrest portion and the second pedestal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weight of the user can be transmitted to the elevating unit through tight contact between the second pedestal and the footrest. The weight sensor may sense a change in the center of the weight of the user who changes in the course of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the upper part of the user through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by the user.

한편, 상기 재활훈련기기는 회전감지센서, 신축감지센서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감지센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연결부재의 요(yaw) 방향 회전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신축감지센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상완 안착부의 상기 피치(pitch) 방향 회전에 따른 상기 제3연결부재의 신축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신축감지센서로부터 각각 제공받는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3연결부재의 상기 신축 운동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etection sensor, a stretch detection sensor, and a control unit. The rotation detecting sensor may sense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 the yaw direction by the user. The elongation and contraction detection sensor may sense a stretching movement of the third linking member according to the pitch rotation of the upper arm seating portion by the user.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extract information o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yaw direc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elastic movement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received from the rotation sensor and the elongation sensor, Muscle strength can be measured.

이 때, 상기 재활훈련기기는 상기 상지 운동부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동작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limb movement unit,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display unit or the display unit.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에 대한 상기 재활치료와 관련한 재활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상기 재활영상에서 지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움직임과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재활영상에서 지시하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신축감지센서가 각각 감지하는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에 대한 상기 정보 및 상기 제3연결부재의 상기 신축 운동에 대한 상기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운동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a rehabilitation image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the upper part of the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motion detection sensor may sense motion of the user performing an operation indicated in the rehabilitation imag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 sensor and the elasticity sensing sensor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user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operation indicated by the user in the rehabilitation image, The motion data of the user can be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on the yaw direction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linking member and the information on the elastic movement of the third linking member.

또 한편, 상기 재활훈련기기는 상기 제1연결부재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3연결부재에 배치되는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상기 회전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가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제3연결부재의 상기 신축 운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상기 신축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신축 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연결부재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재활훈련기기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에 대한 상기 재활치료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disposed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a second driving unit disposed on the third connection memb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er and the second driver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Wherein when the yaw rotation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sensed through the rotation senso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n accordance with an input command of the user or a pre- yaw direction rotating motion of the first linking member. Further, when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third linking member is sensed through the elongation senso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third linking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tretching movement sensed by the elongation sensing sensor, So that the third linking member is op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linking member. In this case,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cause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to be performed on the upper limb of the user.

이 때, 상기 재활훈련기기는 상기 상지 운동부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동작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limb movement unit,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display unit or the display unit.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에 대한 상기 재활치료와 관련한 재활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상기 재활영상에서 지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활영상에서 지시하는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표준운동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 rehabilitation image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the upper part of the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motion detection sensor may sense motion of the user performing an operation indicated in the rehabilitation imag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n standard mo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dicated by the rehabilitation image.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재활영상에서 지시하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신축감지센서로부터 각각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 및 상기 제3연결부재의 상기 신축 운동이 감지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움직임과 연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표준운동데이터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가 회전하고, 상기 제3연결부재가 동작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Wherein the rotation detecting sensor and the elongation sensor respectively detec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 the yaw direction and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operation indicated by the user in the rehabilitation image, Motion can be detected. Correspondingly,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first linking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tandard movement data stored in the database,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user sensed by the movement detecting sens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can be controlled.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는 요(yaw) 방향 회전 및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몸체부와 연결되는 팔 안착부를 포함하는 상지 운동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performs a rehabilitation for a user's own upper limb through an upper limb exercise part including an arm rest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the yaw direction and rotate in the pitch direction Provide technology that can be done.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는 몸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팔 안착부를 포함하는 상지 운동부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상체의 크기에 상기 상지 운동부의 크기를 맞춘 후, 양쪽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ser adjusts the size of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to the size of her upper body through the upper limb motion part including a pair of arm rest parts slidab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We suggest a technique that can perform rehabilitation at the site simultaneously.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는 승강부를 통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신장을 가지는 사용자도 자신의 신체 크기에 맞추어 재활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이때, 승강부에 배치되는 무게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운동과정에서의 무게 중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 준다. 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technique for allowing a user having different sizes of stretches to perform rehabilitation according to his or her body size through a lifting portion. At this time, the user can detect the change of the center of gravity dur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for the upper part through the weight sensor disposed at the elevating part.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는 하지 고정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이 경우, 한 쌍의 팔 안착부와 하지 고정부를 회전 롤러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승강부에 배치되는 무게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과정에서 변화하는 사용자의 무게 중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는 표준화된 재활 프로그램의 적용을 가능하게 해 준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technique that allows the user to stably fix the user's body in the process of rehabilitating the user's upper extremity region through the leggings. In this case, the pair of arm rest portions and the leg rest portion can be positioned at the same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roller, and rehabilitation can be performed on the upper limb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user's body. Meanwhile, a change 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which is changed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for the user's upper limb region, can be detected through the weight sensor disposed on the lifting unit. Thus,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enables the application of the standardized rehabilitation program.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는 제1연결부재의 요(yaw) 방향 회전 운동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 제3연결부재의 신축 운동을 감지하는 신축감지센서 및 제어부를 통하여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근력을 포함하는 재활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rotation sensing sensor for sensing a rotational movement in the yaw direction of the first linking member, an elongation sensing sensor for sensing the elastic movement of the third linking member, The rehabilitation data including the strength of the user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for the user can be collec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는 제1연결부재 및 제3연결부재에 각각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를 제어부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반대 방향으로 힘을 제공해 줌으로써 재활운동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해 준다.Also,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which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by a control unit to provide a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s motion, It provides a technique that can improve the effect.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는 디스플레이부 및 동작감지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게임을 즐기는 듯한 느낌을 가지고 상지 재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준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n effect of allowing a user to perform upper limb rehabilitation with a feeling of enjoying a game through a display unit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전술한 내용은 이후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The foregoing provides only a selective concept in a simplified form as to what is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or limit the scope of essential features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상지 운동부와 지지부의 연결관계 및 상승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상지 운동부 및 하지 고정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상지 운동부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하지 고정부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연결부재의 요(yaw) 방향 회전 운동 및 제3연결부재의 신축 운동으로부터 사용자의 근력을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재활영상을 통하여 사용자(10)이 재활을 진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apable of strengthening the lumbar spasm;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and the support part and the structure of the rising part.
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n upper limb movement part and a limb rest part.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restraining par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easuring a user's strength from a yaw rotation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a stretching movement of the third connection member.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10 proceeds to rehabilitate through a rehabilitatio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배치"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drawings, and the claim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utilized, and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is, the components generally described herein and illustrated in the figures, may be arranged, arranged, combined, or arranged in a variety of different configurations, all of which are expressly contemplated, As shown in FIG.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or shape of an element, etc.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various layers (or films), regions and shapes.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 deploy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the case where the component is directly disposed on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the case where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erposed therebetween.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spos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the case where the one component is disposed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the case where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erposed therebetween.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연결"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ing to another component ",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one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a case where an additional component is interposed therebetween.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결합"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one component is directly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a case where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erposed therebetween.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안착"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안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 seated "with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the case where the one component is seated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the case where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erposed therebetween.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technique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is present and not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can not be constru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상지 운동부와 지지부의 연결관계 및 상승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측면도이며, (b)는 상지 운동부와 지지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c)는 승강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상지 운동부 및 하지 고정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 및 (b)는 각각 상지 운동부 및 하지 고정부를 앞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모습 및 뒤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상지 운동부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하지 고정부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연결부재의 요(yaw) 방향 회전 운동 및 제3연결부재의 신축 운동으로부터 사용자의 근력을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재활영상을 통하여 사용자(10)이 재활을 진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apable of strengthening the lumbar spasm;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and the support part and the structure of the rising part. Fig. 2 (a) is a side view, Fig. 2 (b) is a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and the support part, and Fig. 2 (c) is a view showing the elevation part. 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n upper limb movement part and a limb rest part. 3 (a) and 3 (b) are views showing an oblique view of the upper limb motion part and the limb-rest part from the front and an oblique view from the rear, respectively.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restraining par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easuring a user's strength from a yaw rotation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a stretching movement of the third connection member.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10 proceeds to rehabilitate through a rehabilitatio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100)는 지지부(110) 및 상지 운동부(12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재활훈련기기(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하지 고정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재활훈련기기(100)는 선택적으로 하지 승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재활훈련기기(100)는 선택적으로 무게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재활훈련기기(100)는 선택적으로 하지 연결부(150) 및 완충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재활훈련기기(100)는 선택적으로 회전감지센서(미도시), 신축감지센서(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재활훈련기기(100)는 선택적으로 제1구동부(미도시) 및 제2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재활훈련기기(100)는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부(170) 및 동작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6,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capable of strengthening the lumbar standing muscles includes a support portion 110 and an upper limb exercise portion 120.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rehabilitation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portion 130 that is optional.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notch elevator 140.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weight sensor (not shown).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may further optionally include a lower limb connection 150 and a cushion 160.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sensing sensor (not shown), an elastic sensing sensor (not shown), and a controller (not shown). In some further embodiments,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river (not shown) and a second driver (not shown).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portion 170 and motion detection sensors (not shown).

지지부(110)는 바닥부(2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지 운동부(120)와 연결되며, 사용자(10)의 신체를 지지한다. 도면에는 바닥부(20)로서 캐스터(caster), 캐스터 홀더(caster holder), 가이드 바(guide bar) 및 에어밸런서(air balancer)가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부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캐스터를 통하여 바닥부(20)는 이동이 가능하다. 사용자(10)는 상지 운동부(120)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바를 잡고 이동할 수 있다. 에어밸런서를 통하여 바닥부(20)는 균형을 잡을 수 있고, 주변 진동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지지부(110) 및 상기 운동부(120)는 재활훈련기기(100)가 배치되는 건물의 바닥면이나 지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건물의 바닥면이나 지면이 바닥부(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부(110) 및 상지 운동부(120)를 배치할 수 있는 한 바닥면(20)의 형상 또는 구조에는 그 제한이 없다.The support portion 110 is supported by the bottom portion 20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limb movement portion 120 to support the body of the user 10. In the figure, a plate-like bottom portion in which a caster, a caster holder, a guide bar, and an air balancer are disposed as the bottom portion 20 is shown as an example. The bottom portion 20 is movable through the casters. The user 10 can move while holding the guide bar in the process of wearing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120. [ Through the air balancer, the bottom portion 20 can be balanced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peripheral vibration. For example, the supporting portion 110 and the moving portion 120 may be disposed directly on the floor or the floor of the building where the rehearsal training device 100 is disposed. In this case, the bottom surface or the ground of the building can serve as the bottom portion 20. [ In other words,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bottom surface 20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support portion 110 and the upper limb motion portion 120 can be disposed.

상지 운동부(120)는 사용자(10)의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치료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지 운동부(120)는 지지부(110)와 연결되는 몸체부(122) 및 사용자(10)의 팔이 안착되는 팔 안착부(124, 124-1, 124-2)를 포함한다. 팔 안착부(124, 124-1, 124-2)는 팔 안착부(124, 124-1, 124-2)에 안착된 사용자(10)의 상기 팔 전체가 요(yaw) 방향 회전 및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몸체부(122)와 연결된다.The upper limb exercise unit 120 allows rehabilitation to be performed on the upper limbs of the user 10.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120 includes a body part 122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10 and arm rest parts 124, 124-1 and 124-2 on which the arm of the user 10 is seated. The arm rests 124, 124-1 and 124-2 are arranged so that the entire arm of the user 10 seated in the arm rests 124, 124-1 and 124-2 is rotated in the yaw direction and the pitch pitch direction to be rotatable.

팔 안착부(124, 124-1, 124-2)는 요(yaw)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몸체부(122)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124a),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일측이 제1연결부재(124a)와 연결되며 사용자(10)의 상기 팔의 상완이 안착되는 상완 안착부(124b), 사용자(10)의 상기 팔의 하완이 안착되는 하완 안착부(124c), 하완 안착부(124c)가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상완 안착부(124b)의 타측과 하완 안착부(124c)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124d) 및 상완 안착부(124b)와 제1연결부재(124a)를 연결하며 상완 안착부(124b)가 피치(pitch) 방향 회전할 경우에 길이가 가변되는 제3연결부재(124e)를 포함한다. 도 4에는 상지 운동부(12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The arm rests 124, 124-1 and 124-2 include a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22 so as to be capable of rotating in the yaw direction, An upper arm seating portion 124b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and on which the upper arm of the arm of the user 10 is seated, a lower seating portion 124c on which the lower arm of the arm of the user 10 is seate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24d and the upper arm seating portion 124b that connect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rm seating portion 124b and the lower arm seating portion 124c so that the seating portion 124c can rotate in the pitch direction, And a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connecting the connecting member 124a and varying in length when the upper arm seating portion 124b rotates in the pitch direction. In FIG. 4, the upper limb motion part 120 is shown as an example.

몸체부(122)는 지지부(110)와 연결되는 상지 베이스 프레임(122a) 및 상지 베이스 프레임(122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122b, 122b-1, 122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124a)는 슬라이딩부(122b, 122b-1, 122b-2)와 연결되며, 제1연결부재(124a)와 슬라이딩부(122b, 122b-1, 122b-2)와의 연결을 통하여 팔 안착부(124, 124-1, 124-2)는 몸체부(122)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팔 안착부(124, 124-1, 124-2)가 몸체부(12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10)는 자신의 상체의 폭에 맞게 팔 안착부(124, 124-1, 124-2)를 몸체부(12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 후 팔 안착부(124, 124-1, 124-2)를 착용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22 may include upper and lower base frames 122a and 122b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110 and sliding portions 122b and 122b-1 and 122b-2 slidably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base frames 122a and 122b .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is connected to the sliding portions 122b, 122b-1 and 122b-2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and the sliding portions 122b, 122b-1 and 122b-2 The arm rests 124, 124-1 and 124-2 can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body 122. [ Namely, since the arm rests 124, 124-1, 124-2 can slide along the body portion 122, the user 10 can move the arm rests 124, 124-1, 124-2 in accordance with the width of his or her upper body, 124-2 may be slid along the body portion 122 and then the arm rests 124, 124-1, 124-2 may be worn.

제1연결부재(124a)는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한 유압실린더 또는 전동실린더일 수 있다. 제1연결부재(124a)는 도 4에 예로서 표현한 바와 같이, 축의 양끝단 또는 축의 양끝단에 인접한 부위가 몸체부(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요(yaw)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몸체부(122)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연결부재(124a)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유압이나 전원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몸체부(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요(yaw) 방향 회전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물이 제1연결부재(124a)로서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may be a hydraulic cylinder or an electric cylinder capable of rotating in the axial direction.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4, the first linking member 124a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22 at a position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shaft or both ends of the shaft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yaw direction, (Not shown). Meanwhile, the first linking member 124a may be rotated by an external hydraulic pressure or a power source. As an example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above example can be used as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in various structure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22 and capable of rotating in the yaw direction.

제3연결부재(124e)는 길이 방향 신축이 가능한 유압실린더 또는 전동실린더일 수 있다. 도 4에 예로서 표현한 바와 같이, 제3연결부재(124e)는 일단이 상완 안착부(124b)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제1연결부재(124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완 안착부(124b)와 제1연결부재(124a)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3연결부재(124e)는 상완 안착부(124b)가 피치(pitch) 방향 회전할 경우에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제3연결부재(124e)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유압이나 전원에 의하여 길이가 신축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완 안착부(124b)와 제1연결부재(124a)를 연결하며, 상완 안착부(124b)가 피치(pitch) 방향 회전할 경우에 길이가 가변되는 한 다양한 구조물이 제3연결부재(124e)로서 사용될 수 있다.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may be a hydraulic cylinder or an electric cylinder capable of extending and contr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4, one end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arm receiving portion 124b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b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can be connected. Through this, the length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can be varied when the upper arm receiving portion 124b rotates in the pitch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third linking member 124e can be elongated and contracted by an external hydraulic pressure or a power source. The above example connects the upper arm 124b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as an example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and may be modified as long as the length of the upper arm 124b varies in the pitch direction, May be used as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22)에는 한 쌍의 상기 팔 안착부(124)-이하 제1 팔 안착부(124-1) 및 제2 팔 안착부(124-2)라 함-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2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122b)-이하 제1슬라이딩부(122b-1) 및 제2슬라이딩부(122b-2)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팔 안착부(124-1)와 제2 팔 안착부(124-2)는 제1 팔 안착부(124-1)의 제1연결부재(124a) 및 제2 팔 안착부(124-2)의 제1연결부재(124a)가 각각 제1슬라이딩부(122b-1) 및 제2슬라이딩부(122b-2)와 연결됨으로써 몸체부(122)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팔 안착부(124-1)와 제2 팔 안착부(124-2)의 몸체부(122)에 대한 슬라이딩 가능한 연결을 통하여 제1 팔 안착부(124-1)와 제2 팔 안착부(124-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body portion 122 includes a pair of arm rests 124 -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arm rest 124-1 and a second arm rest 124- 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body portion 122 may include a pair of sliding portions 122b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liding portion 122b-1 and a second sliding portion 122b-2. The first arm rest part 124-1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124-2 are connected to the first arm rest part 124a of the first arm rest part 124-1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124-2 May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22 by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sliding portion 122b-1 and the second sliding portion 122b-2, respectively. The first arm rest part 124-1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124-2 are slidab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122 of the first arm rest part 124-1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124-2,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24-2 can be adjusted.

하지 고정부(130)는 사용자(10)의 하지 부위를 고정할 수 있다. 하지 고정부(130)는 상지 베이스 프레임(122a)과 고정 연결되는 하지 베이스 프레임(132) 및 하지 베이스 프레임(132)과 연결되며 하지 베이스 프레임(13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사용자(10)의 다리가 안착되는 한 쌍의 다리 안착부들(134)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130 can fix the lower part of the user 10. The fixing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lower base frame 132 and the lower base frame 132 which are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base frame 122a and faces the user 10 with the lower base frame 132 therebetween. And a pair of leg rests 134 on which legs of the leg rests are seated.

다리 안착부(13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지 베이스 프레임(132)과 일측이 연결되며, 사용자(10)의 허벅지가 안착되는 허벅지 안착부(134a), 사용자(10)의 발을 받치며 사용자(10)의 종아리가 안착되는 종아리 안착부(134b) 및 종아리 안착부(134b)가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허벅지 안착부(134a)의 타측과 종아리 안착부(134b)를 연결하는 제4연결부재(134c)를 포함할 수 있다. 종아리 안착부(134b)는 사용자(10)의 상기 발을 받치는 발 받침부(boot base)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허벅지 안착부(134a) 및 종아리 안착부(134b)는 사용자(10)의 신체의 길이의 변화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5, the leg rest portion 134 includes a thigh seat portion 134a to which the thigh of the user 10 is seated,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base frame 132, The other end of the thigh seat part 134a and the calf seat receiving part 134b can be rotated so that the calf seat part 134b and the calf seat part 134b on which the calf of the user 10 is seated can rotate in the pitch direction And a fourth connecting member 134c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134a and 134b. The calf seat portion 134b may include a boot base that supports the foot of the user 10.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thigh seat part 134a and the calf seat part 134b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user's body.

한편,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허벅지 안착부(134a) 및 종아리 안착부(134b)는 핀 홀을 가지며, 서로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는 두 개의 부재의 핀 결합을 통하여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허벅지 안착부(134a) 및 종아리 안착부(134b)의 길이를 가변 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thigh seat part 134a and the calf seat part 134b have pinholes and the lengths thereof can be varied through the pin coupling of the two members that can slide with each other . As an exampl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above example, various structures that can vary the lengths of the thigh seat part 134a and the calf seat part 134b may be used.

승강부(140)는 바닥부(20)에 배치되며,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10)의 아래에 위치하여 사용자(1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승강부(140)는 바닥부(20)에 안착되는 제1받침대(142),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제1받침대(142) 위에 배치되며 사용자(10)와 접촉하는 제2받침대(144), 제1받침대(142)와 제2받침대(144)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프레임(146) 및 제2받침대(144)가 제1받침대(142)에 대하여 상하로 상대운동을 하도록 승강프레임(146)을 구동하는 하는 승강구동기(14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승강구동기(148)를 구동하여 사용자(10)의 상기 상지 부위가 상지 운동부(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2받침대(144)를 상승시킬 수 있다.The lifting portion 140 is disposed on the bottom portion 20 and can be positioned below the user 10 with respect to the gravity direction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10. [ The elevating part 140 includes a first pedestal 142 that is seated on the bottom part 20, a second pedestal 144 that is disposed on the first pedestal 142 with respect to the gravity direction and contacts the user 10, The lifting frame 146 and the second lifting frame 146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42 and 144 drive the lifting and lowering frame 146 to move up and down relative to the first lifting frame 142 And a door opening / The user 10 may drive the elevation gate synchronizer 148 to raise the second pedestal 144 such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user 1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limb motion portion 120. [

일례로,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146)은 X자의 링크바로 구성될 수 있다. 승강프레임(146)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제2받침대(144)의 하면 및 제1받침대(142)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제1받침대(142)의 상면과 접하는 승강프레임(146)의 일부는 제1받침대(142)와 회전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고, 승강프레임(146)의 다른 일부는 제1받침대(142)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프레임(146)의 다른 일부는 연결프레임(146a)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46a)에는 나선이 형성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승강구동기(148)는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48a)와 모터(148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148b)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48b)의 외면에는 연결프레임(146a)의 상기 관통홀과 나사결합을 할 수 있는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모터(148a)가 회전하면, 회전축(148b)은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고, 회전축(148b)과 나사결합을 한 연결프레임(146a)은 회전축(148b)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148b)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승강프레임(146)의 상기 상부는 상승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제2받침대(144)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제2받침대(144)를 상승시킬 수 있는 한 승강부(140)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2, the lift frame 146 may be formed as an X-shaped link ba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ifting frame 146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edestal 14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edestal 142, respectively. A part of the lifting frame 146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edestal 142 may be rotatably engaged with the first pedestal 142 and another part of the lifting frame 146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edestal 142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another part of the lifting frame 146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frame 146a. The connection frame 146a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having a spiral. On the other hand, the elevator shaft synchronization mechanism 148 may include a motor 148a and a rotary shaft 148b that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148a, as shown in FIG.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ry shaft 148b may be formed with a screw thread capable of screwing with the through hole of the connection frame 146a. When the motor 148a rotates, the rotation shaft 148b receives the rotation force and the connection frame 146a, which is screwed with the rotation shaft 148b,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148b, It is possible to mov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this process,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frame 146 is lifted and the second base 144 is lifted. As an example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above example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part 140 as long as the second pedestal 144 can be lifted.

무게센서(미도시)는 승강부(140)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10)의 무게는 제2받침대(144)와 사용자(10)와의 밀착을 통하여 승강부(14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는 사용자(10)가 상지 운동부(120)를 통하여 사용자(10)의 상기 상지 부위에 대한 상기 재활치료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변화하는 사용자(10)의 상기 무게의 중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하지 고정부(130)의 발 받침부(boot base)와 제2받침대(144)의 밀착을 통하여 사용자(10)의 무게가 승강부(140)에 전달되는 경우를 예로서 표현하고 있다.The weight sensor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lifting unit 140. The weight of the user 10 can be transmitted to the elevating unit 140 through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second pedestal 144 and the user 10. The weight sensor detects a change in the center of the weight of the user 10 that changes in the course of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of the upper part of the user 10 through the upper exercise part 120 by the user 10 . The figure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eight of the user 10 is transferred to the elevating unit 140 through the tight contact between the boot base of the leg fixing unit 130 and the second pedestal 144. [

연결부(150)는 지지부(110)와 상지 운동부(120)의 몸체부(122)를 유니버셜 조인트 결합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지 운동부(120)는 연결부(150)를 통한 지지부(110)와 몸체부(122) 사이의 유니버셜 조인트 결합에 의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50 can connect the support part 110 and the body part 122 of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120 by universal joint connection.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120 can freely move by universal joint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part 110 and the body part 122 via the connection part 150. [

완충기(160)는 연결부(150)와 이격되게 지지부(110)와 상지 운동부(120)의 몸체부(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기(160)는 예로서 유압피스톤일 수 있으나,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hock absorber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ing portion 110 and the body portion 122 of the upper leg moving portion 1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50. [ The shock absorber 160 may be, for example, a hydraulic pist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can perform a shock absorbing function.

일례로,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기(160)는 일측이 지지부(110)와 연결되고 타측이 몸체부(122)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지 운동부(120)가 기준 범위를 넘어서 움직일 경우에 상기 타측이 몸체부(122)와 접함으로써 상지 운동부(120)의 상기 기준 범위를 넘어서는 움직임을 완충시켜줄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shock absorber 160 may be disposed such that one side of the shock absorber 16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shock absorber 160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122. Accordingly, when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120 moves beyond the reference range, the other side abuts on the body part 122, thereby buffer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120 beyond the reference range.

다른 예로, 완충기(160)는 상기 일측이 몸체부(122)와 연결되고 상기 타측이 지지부(110)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지 운동부(120)가 상기 기준 범위를 넘어서 움직일 경우에 상기 타측이 지지부(110)와 접함으로써 상지 운동부(120)의 상기 기준 범위를 넘어서는 움직임을 완충시켜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buffer 160 may be disposed such that one side of the buffer 160 is connected to the body 122, and the other side of the buffer 160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ccordingly, when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120 moves beyond the reference range, the other side abuts on the support part 110 to buffer the movement of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120 beyond the reference range.

회전감지센서(미도시)는 사용자(10)에 의한 제1연결부재(124a)의 요(yaw) 방향 회전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감지센서는 제1연결부재(124a)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10)에 의한 제1연결부재(124a)의 요(yaw) 방향 회전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감지센서는 예로서 제1연결부재(124a)에 배치되어 제1연결부재(124a)의 요(yaw) 방향 회전력을 감지하는 토크 센서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사용자(10)에 의한 제1연결부재(124a)의 요(yaw) 방향 회전 운동을 감지할 수 있는 한 상기 회전감지센서의 종류에는 그 제한이 없다.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may sens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by the user 10 in the yaw direction. The rotation sensor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So that it is possible to sens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by the user 10 in the yaw direction. The rotation sensor may be, for example, a torque sensor disposed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and sens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in the yaw direction. As an example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above example is not limited to the kind of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as long as it can detect the yaw direction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by the user 10. [

신축감지센서(미도시)는 사용자(10)에 의한 상완 안착부(124b)의 상기 피치(pitch) 방향 회전에 따른 제3연결부재(124e)의 신축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신축감지센서는 제3연결부재(124e)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10)에 의한 상완 안착부(124b)의 상기 피치(pitch) 방향 회전에 따른 제3연결부재(124e)의 신축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신축감지센서는 예로서 제3연결부재(124e)에 배치되어 제3연결부재(124e)의 신축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유압센서 등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사용자(10)에 의한 제3연결부재(124e)의 신축을 감지할 수 있는 한 상기 신축감지센서의 종류에는 그 제한이 없다.The elastic sensing sensor (not shown) may sense the elastic movement of the third linking member 124e according to the pitch rotation of the upper arm seating portion 124b by the user 10. [ The elasticity sensor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third connection member 124e. The user can sense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third linking member 124e according to the pitch rotation of the upper arm receiving portion 124b by the user 10. The expansion / contraction sensor may be, for example, a pressure sensor, a hydraulic pressure sensor, or the like, which is disposed on the third connection member 124e and senses elongation and contraction of the third connection member 124e. As an example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above example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detect the elongation and contraction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by the user 10.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신축감지센서로부터 각각 제공받는 제1연결부재(124a)의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에 대한 정보 및 제3연결부재(124e)의 상기 신축 운동에 대한 정보로부터 사용자(10)의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과 관련한 상세한 설명에서 상술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received from the rotation detecting sensor and the elongation and contraction sensor,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The strength of the user 10 can be measur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제1구동부(미도시)는 제1연결부재(124a)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는 예로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일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제1연결부재(124a)의 축을 기준으로 제1연결부재(124a)가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거나 제1연결부재(124a)의 축을 기준으로 제1연결부재(124a)가 회전할 경우에 반발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The first driving unit may be a motor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rotates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or wh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pulsive force.

제2구동부(미도시)는 제3연결부재(124e)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는 예로서 신축력을 제공하는 피스톤일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2구동부는 제3연결부재(124e)로서 유압실린더 또는 전동실린더가 사용될 경우에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펌프 이거나 전동실린더의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외부 전원일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The second driving part may be, for example, a piston which provides a stretching force. Alternatively, the second driving portion may be a hydraulic cylinder that supplies hydraulic pressure to the hydraulic cylinder when the hydraulic cylinder or the electric cylinder is used as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or an external power source that applies power to the motor of the electric cylinder.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감지센서를 통하여 제1연결부재(124a)의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10)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상기 회전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1연결부재(124a)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감지센서를 통하여 제3연결부재(124e)의 상기 신축 운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10)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상기 신축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신축 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3연결부재(124e)가 동작하도록 상기 제2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신축감지센서를 통하여 사용자(1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10)의 상기 움직임에 반대 방향으로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제1연결부재(124a) 및 제3연결부재(124e)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10)는 상지 운동부(120)를 통한 재활운동과정에서 반발력을 제공받음으로써 재활운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er and the second driver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In this case, if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in the yaw direction is sensed through the rotation sensor,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rota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irst driving unit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yaw direction rotational movement sensed by the first driving unit 124a. When the extension / contraction movement of the third connection member 124e is sensed through the expansion / contraction senso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xpansion / contraction of the third connection member 124e based on the input command of the user 10 or the pre- The second driving uni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third linking member 124e oper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tion. In other words, when the movement of the user 10 is detected through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elasticity detection senso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to oppose the movement of the user 10 The operation of the first linking member 124a and the operation of the third linking member 124e can be controlled so as to provide a repulsive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rough this, the user 10 can receive the repulsive force dur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through the upper limb exercise unit 120, thereby enhancing the effect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한편,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지 운동부(120)의 몸체부(122)는 회전의 축 방향이 상지 베이스 프레임(122a)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을 가지도록 상지 베이스 프레임(122a)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롤러(12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슬라이딩부(122b-1)의 일부 및 제2슬라이딩부(122b-2)의 일부는 각각 회전 롤러(122c)와 제1접점 및 제2접점에서 접하고, 제1슬라이딩부(122b-1)의 상기 일부 및 제2슬라이딩부(122b-2)의 상기 일부는 회전 롤러(122c)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볼 수 있다.4, the body portion 122 of the upper limb motion part 120 is formed so that the axial direction of rotation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limb base frame 122a, And a rotating roller 122c rotatably coupled with the rotating shaft 122c. A part of the first sliding part 122b-1 and a part of the second sliding part 122b-2 come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roller 122c at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respectively, and the first sliding part 122b- And the part of the second sliding portion 122b-2 may be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rotating roller 122c therebetween.

이 경우, 상기 제1접점 및 상기 제2접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몸체부(122)에 대한 제1 팔 안착부(124-1)의 슬라이딩 이동방향 및 몸체부(122)에 대한 제2 팔 안착부(124-2)의 슬라이딩 이동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제1 팔 안착부(124-1) 및 제2 팔 안착부(124-2)는 각각 상기 제1접점 및 상기 제2접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L)에 위치하도록 제1슬라이딩부(122b-1) 및 제2슬라이딩부(122b-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몸체부(122)에 대한 제1 팔 안착부(124-1) 및 제2 팔 안착부(124-2)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제1 팔 안착부(124-1)와 제2 팔 안착부(124-2) 사이의 상기 간격이 조절될 경우에 제1 팔 안착부(124-1)와 제2 팔 안착부(124-2)는 회전 롤러(122c)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10)는 자신의 상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팔 안착부(124-1)와 제2 팔 안착부(124-2)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a hypothetical line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is formed between a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arm rest part 124-1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122 and a second sliding contac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122, And may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arm rest part 124-2. The first arm rest part 124-1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124-2 are disposed at the same distance L from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And the second sliding portion 122b-2. Through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irst arm rest part 124-1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124-2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122, the first arm rest part 124-1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124-1, The first arm rest part 124-1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124-2 slide the same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roller 122c when the gap between the seat part 124-2 is adjusted, Can be moved. Accordingly, the user 10 us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the first arm rest 124-1 and the second arm rest 124-2 based on the center of his upper body, Can be easily worn.

이때, 한 쌍의 다리 안착부들(134) 각각은 상기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같은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하지 베이스 프레임(13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10)의 신체의 중심선이 상기 가상의 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pair of leg seats 134 may be disposed on the base frame 13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ame distance about the imaginary line. Whereby the centerline of the body of the user 10 using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disclosed herein can be made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virtual line.

다시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는 하지 고정부(130)를 통하여 사용자(10)가 자신의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는 한 쌍의 팔 안착부(124, 124-1, 124-2)와 하지 고정부(130)를 회전 롤러(122c)를 기준으로 각각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10)의 신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는 승강부(140)에 배치되는 무게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10)의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과정에서 변화하는 사용자(10)의 무게 중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는 표준화된 재활 프로그램의 적용을 가능하게 해 준다.In other words,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reliably fix the user's body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user 10 through the rehabilitation unit 130 have.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 pair of arm rests 124, 124-1 and 124-2 and a leg rest portion 130 with the same distance So that rehabilitation of the upper limbs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user's body.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device for rehabilitating the weight of the user 10 during a rehabilitation process of the upper part of the user 10 via a weight sensor (not shown) It can detect the change of the center. Through this,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nables the application of the standardized rehabilitation program.

디스플레이부(170)는 상지 운동부(120)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7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limb movement unit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동작감지센서(172)는 디스플레이부(170) 또는 디스플레이부(17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motion detection sensor 17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display unit 170 or the display unit 170.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사용자(10)의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치료와 관련한 재활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동작감지센서(172)는 상기 재활영상에서 지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10)의 움직임(motion)을 감지할 수 있다.The rehabilitation image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of the upper part of the user 1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72 may detect a motion of the user 10 performing an operation indicated in the rehabilitation image.

동작감지센서(172)는 예로서 모션감지카메라 또는 키넥트(Kinect)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모션감지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10)의 모션을 캡쳐하여 이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체격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키넥트 센서는 적외선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전면의 물체 즉 사용자(10)에 픽셀 단위의 적외선을 방출하고, 사용자(10)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신하여 사용자(10)의 움직임이나 체격 정보를 인식하는 장치를 말한다. 사용자(10)의 체격 정보를 보다 더 정확히 인식하기 위하여 키넥트 센서는 인체를 구성하는 주요 골격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키넥트 센서는 적외선 프로젝터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인체의 골격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10)의 골격에 해당하는 신체 부위의 정보를 쉽게 얻어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10)의 체격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1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도 얻어낼 수 있다. 한편, 동작감지센서(172)로서 사용자(10)의 인체에 직접 부착되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10)의 상기 인체에 직접 부착되는 상기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10)의 체격 정보, 움직임 정보를 얻을 수 있다.The motion detection sensor 172 may be, for example, a motion detection camera or a Kinect sensor. The motion of the user 10 can be captur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camera and the user's motion or physical information can be analyzed therefrom. The Kinect sensor is a device that emits infrared rays of a pixel unit to an object on the front face, that is, a user 10, by using an infrared projector, receives infrared rays reflected from the user 10, . In order to more accurately recognize the physique information of the user 10, the Kinect sensor may include a database storing position data of the main skeleton constituting the human body. That is, the Kinect sensor can easily obtain the information of the body part corresponding to the skeleton of the user 10 by utilizing the skeleton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stored in the infrared projector and the database. Thus, the physique information of the user 10 can be obtained and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user 10 can be obtained. A sensor directly attached to the human body of the user 10 may be used as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72.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ser 10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or, The physique information and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10 can be obtained.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동작감지센서(172)가 감지하는 사용자(10)의 상기 움직임과 연계하여, 사용자(10)가 상기 재활영상에서 지시하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신축감지센서가 각각 감지하는 제1연결부재(124a)의 요(yaw) 방향 회전 운동에 대한 정보 및 제3연결부재(124e)의 신축 운동에 대한 정보로부터 사용자(10)의 운동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기 운동데이터는 서로 연결되어 삼각형을 이루는 제1연결부재(124a)의 길이(L-1), 상완 안착부(124b)의 길이(L-2), 제3연결부재(124e)의 길이(L-3), 회전력(T) 및 신축력(F)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추출되는 상기 운동데이터는 예로서 사용자(10)의 근력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10)의 상기 운동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user 10 sens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72,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rotation sensor and the motion sensor 160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operation indicated by the user 10 in the rehabilitation image, The movement data of the user 10 is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sensed by the elasticity sensing sensor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elastic movement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 6, the movement data of the us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ength L-1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forming the triangle, the length L-2 of the upper arm seating portion 124b, 3 can be extracted from the length L-3, the rotational force T, and the stretching force F of the connecting member 124e. The extracted exercise data may be muscle strength information of the user 10, for example. The motion data of the user 10 may be stored in a database (not shown).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활영상에서 지시하는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표준운동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준운동데이터는 예로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를 사용한 정상인의 나이, 연령 및 체격 정보와 연계된 근력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근력 정보는 상기 정상인이 상지 운동부(12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게 중심의 변화, 신체의 중심선의 이동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상기 표준운동데이터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를 사용한 정상인의 나이, 연령 및 체격 정보와 연계된 제1연결부재(124a)의 요(yaw) 방향 회전 각도, 제3연결부재(124e)의 신축 거리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이들 정보는 상기 정상인이 상지 운동부(12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게 중심의 변화, 신체의 중심선의 이동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database (not shown) for storing information on standard mo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dicated by the rehabilitation image. The standard exercise data may be, for example, muscle strength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ge, age and physical strength information of a normal person using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rength information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change of the center of gravity, the movement of the center line of the body, and the combination thereof, which occurs in the process of using the upper limb movement unit 120 have. Alternatively, the standard motion data may include a yaw direction rotation angl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associated with the age, age, and physique information of a normal person using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xpansion / contraction distance of the connecting member 124e, and combinations thereof. These information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change of the center of gravity, the movement of the center line of the body, and the combination thereof occurring in the course of using the upper limb movement unit 120 .

사용자(10)가 상기 재활영상에서 지시하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신축감지센서로부터 각각 제1연결부재(124a)의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 및 제3연결부재(124e)의 상기 신축 운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사용자(10)의 상기 움직임과 연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표준운동데이터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가 회전하고, 상기 제3연결부재가 동작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10)는 상지 운동부(120)를 통한 재활운동과정에서 반발력을 제공받음으로써 재활운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operation indicated by the user 10 in the rehabilitation image, in the yaw rotation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and the rotation movement of the third connection member 124a from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expansion /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user 10 sens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extension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tandard movement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third connecting member operates. Through this, the user 10 can receive the repulsive force dur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through the upper limb exercise unit 120, thereby enhancing the effect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한편, 재활훈련기기(100)에는 여러 곳에 와이어 롤러(wire roller)와 롤러 브래킷(roller bracket)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와이어를 이용한 재활훈련을 함께 병행할 수 있다. 도면에는 지지부(110), 상지 운동부(120) 및 하지 고정부(130)에 배치된 여러 와이어 롤러 및 롤러 브래킷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wire roller and a roller bracket may be disposed in various places i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achine 100. Through this,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wire can be performed together. In the drawing, various wire rollers and roller brackets arranged in the support portion 110, the upper motion portion 120, and the lower and upper fixing portion 130 are shown as an example.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가 사용자(10)의 운동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 및 표준운동데이터를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exercise data of the user 10 and the process of applying the standard exercise dat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의 사용자(10)는 자신의 상지를 팔 안착부(124)에 안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사용자(10)는 자신의 하지를 하지 고정부(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10)는 자신의 상지 및 하지를 팔 안착부(124) 및 다리 안착부(134)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상완 안착부(124b), 하완 안착부(124c), 허벅지 안착부(134a) 및 종아리 안착부(134b)에 형성된 결속부(도면에 슬릿으로 표현됨)에 끈이나 압박붕대 등을 통하여 단단히 결속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user 10 of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disclosed herein may seat his upper limb on the arm rest 124.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user 10 can fix his / her leg to the fixing unit 13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user 10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arm seating portion 124b, a lower arm seating portion 124c, and an upper arm seating portion 124b in the process of seating their upper and lower legs on the arm rest portion 124 and the leg rest portion 134, The tongue seat 134a and the calf seat 134b can b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strap or a press bandage or the like.

이후, 사용자(10)는 상지를 움직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의 상지의 움직임에 따라 제1연결부재(124a) 및 제3연결부재(124e)는 각각 요(yaw) 방향 회전 및 피치(pitch) 방향 회전을 하게 된다. 이 때, 제1연결부재(124a) 및 제3연결부재(124e)에 각각 배치되는 회전감지센서(미도시) 및 신축감지센서(미도시)는 회전력(T, T1)과 신축력(F, F1)을 감지하게 된다.Thereafter, the user 10 can move the upper limb. 6, the first linking member 124a and the third linking member 124e rotate in the yaw direction and in the pitch direction,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upper side of the user 10, Rotation. At this time, the rotation sensing sensor (not shown) and the expansion / contraction sensor (not shown) disposed i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24a and the third connection member 124e respectively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s T and T1 and the stretching forces F and F1 ).

제1연결부재(124a), 상완 안착부(124b) 및 제3연결부재(124e)는 미리 정해진 길이인 L-1, L-2 및 L-3로 서로 연결되어 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사용자(10)가 상지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신축되는 제3연결부재(124e)의 신축길이(△L-3)는 상기 신축감지센서로 측정이 가능하다. 세 변의 길이를 알고 있는 삼각형은 하나이므로 이를 통하여 제1연결부재(124a)의 회전축과 제3연결부재(124e) 사이의 각도 및 사용자(10)의 상지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제1연결부재(124a)의 회전축과 제3연결부재(124e) 사이의 각도인 θ와 θ+△θ를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10)의 상지의 움직임에 따른 회전력(T, T1) 및 신축력(F, F1)은 각각 상기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신축감지센서로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는 상지 운동부(120)를 착용한 후 상지를 움직이는 사용자(10)의 운동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사용자(10)의 상기 운동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고, 앞서 진행한 재활과정에서 얻어진 사용자(10)의 운동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10)의 재활진행상황을 진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the upper arm seating portion 124b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L-1, L-2 and L-3 to form a triangle. The stretching length? L-3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that is stretched or contract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upper limb of the user 10 can be measured by the elongation sensor. The angle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and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vary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pper side of the user 10, Theta] and [theta] + [Delta] [theta] between the rotational axi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The rotational force (T, T1) and the stretching force (F, F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pper limb of the user 10 can be measured by the rotation sensor and the elongation sensor,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extract the exercise data of the user 10 moving the upper limb after wearing the upper limb exercising part 120. The exercise data of the extracted user 10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and can be compared with the exercise data of the user 10 obtained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to diagnose the rehabilitation progress status of the user 10.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124a) 및 제3연결부재(124e)에는 제어부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10)의 체격, 연령, 성별 등에 대응되는 정상인의 표준운동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10)의 재활운동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상인의 표준운동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연결부재(124a) 및 제3연결부재(124e)가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재활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which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In addition, the database may store standard motion data of a normal person corresponding to the physique, age, sex, etc. of the user 10.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driving member 124a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124e so as to provide the repulsive force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based on the normal motion data of the normal person stored in the database during the rehabilitation movement of the user 10. [ The effect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can be maximized by controlling the driving portions.

도 7은 디스플레이부(170)에 디스플레이 되는 재활영상을 통하여 사용자(10)가 재활을 진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재활영상은 게임형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사용자(10)가 디스플레이부(170)에 디스플레이 되는 물고기를 잡아 상자로 옮기는 재활영상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사용자(10)가 디스플레이부(170)의 재활영상이 안내하는 방식으로 재활훈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신축감지센서는 회전력과 신축력을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는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10)의 운동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7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10 proceeds to rehabilitate through a rehabilitatio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FIG. The rehabilitation video can also be played in the form of a game. In the figure, a rehabilitation image in which a user 10 catches a fish displayed on a display unit 170 and moves the fish to a box is shown as an example.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in which the user 10 guides the rehabilitation image of the display unit 170, the rotation sensing sensor and the elasticity sensing sensor sense the rotational force and the stretching force. The control unit can analyze the motion data to extract motion data of the user.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사용자(10)의 나이, 성별, 체격 정보 등을 입력하는 메뉴창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사용자(10)가 재활훈련을 진행하면서 정상인의 표준운동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나이, 성별, 체격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메뉴창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메뉴창이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10)는 제어 메뉴창을 통하여 표준입력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display unit 170 may display a menu window for inputting the age, sex, and physique information of the user 1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70 may display a menu window for allowing the user 10 to input age, gender, physique information, and the like so as to utilize the standard exercise data of the normal person while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The display unit 170 may also display a control menu window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The user 10 can retrieve the standard input data through the control menu window.

예를 들면, 사용자(10)에 의한 제어 메뉴창을 통한 표준입력데이터를 요청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사용자(10)가 재활훈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따라 가야 하는 기준경로(reference path)가 재활영상과 함께 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미리 약속된 패턴(예를 들면 손짓 등)을 동작감지센서(172)에 인식시킴으로써 재활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0)에는 기준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10)의 재활훈련과정에서 사용자(10)의 움직임은 동작감지센서(172)를 통하여 인식되며, 제어부는 동작감지센서(172)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10)는 자신의 움직임이 기준경로를 벗어날 경우에 경고음, 진동, 화면을 통한 경고 등을 통하여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10)는 체계적인 재활운동을 사용자(10)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사용자(10)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사용자(10)의 재활훈련 과정에서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반발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 반발력은 정상인의 표준운동데이터에 따라 제어부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10)가 디스플레이부(170)에 제공되는 재활영상을 따라 움직일 경우에 제어부는 사용자(1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반발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는 사용자(10)의 재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경로와 연계할 경우에 보다 더 효과적인 재활훈련이 가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사용자(10)의 움직임은 일반적으로 예측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반발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도 어렵다. 기준경로를 연계할 경우에 사용자(10) 움직임은 예측이 가능하며, 동시에 기준경로에 따른 반발력도 재활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체계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10 requests the standard input data through the control menu window, 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a reference path for the user 10 to follow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Can be presented together with rehabilitation images. The user can advance the rehabilitation movement by recognizing the predetermined pattern (for example, beckoning) i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72 in advance. At this time, the reference path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as shown in FIG. In the course of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user 10, the movement of the user 10 is recogniz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72, and the control unit can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72. The user 10 can receive feedback through a warning sound, vibration, warning through a screen, etc. when his / her movement is out of the reference path. Accordingly,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1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provide a systematic rehabilitation exercise to the user 10. [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the user 10 according to an input command of the user 10 or a preprogrammed system, have. The repulsive force may be provided by a control unit according to standard motion data of a normal person.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10 moves along the rehabilitation image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170, the control unit can provide a repulsive forc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10. [ Accordingly,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maximize the rehabilitation effect of the user 10. [ In this case, more effective rehabilitation training may be possible in connection with the reference path. More specifically, the movement of the user 10 is generally difficult to predict. Accordingly, it is also difficult to effectively provide a repulsive force. The user 10 motion can be predicted when the reference path is linked, and at the same time, the repulsive force along the reference path can be provided in a systematic manner in which the rehabilitation effect can be maximized.

정리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는 요(yaw) 방향 회전 및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몸체부(122)와 연결되는 팔 안착부(124)를 포함하는 상지 운동부(120)를 통하여 사용자(10)가 자신의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In summary,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n arm rest portion 124 including an arm rest portion 124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22 so as to be capable of rotation in the yaw direction and rotation in the pitch direction, And provides a technique through which the user 10 can perform rehabilitation for his or her upper extremity reg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는 몸체부(1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팔 안착부(124-1, 124-2)를 포함하는 상지 운동부(120)를 통하여 사용자(10)는 자신의 상체의 크기에 상지 운동부(120)의 크기를 맞춘 후, 양쪽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limb motion part 120 including a pair of arm rests 124-1 and 124-2 slidab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122 The user 10 presents a technique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rehabilitation for both upper limbs after adjusting the size of the upper limb exercise unit 120 to the size of the upper limb of the us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는 승강부(140)를 통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신장을 가지는 사용자(10)도 자신의 신체 크기에 맞추어 재활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이때, 승강부(10)에 배치되는 무게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10)가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운동과정에서의 무게 중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 준다. 감지된 사용자(10)의 무게 중심의 변화는 사용자(10)의 운동데이터 추출에 활용되고, 표준운동데이터를 정립하는 데에 활용됨으로써 재활운동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technique by which a user 10 having an elongation of different sizes through the lifting unit 140 can perform rehabilitation according to his or her body size. At this time, the user 10 provides a function of detecting a change in the center of gravity dur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for the upper part through a weight sensor (not shown) disposed on the lifting unit 10. [ The change 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nsed user 10 is utilized for extracting motion data of the user 10 and can be utilized for establishing standard motion data, thereby contributing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rehabilitation mo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는 하지 고정부(130)를 통하여 사용자(10)가 자신의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10)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이 경우, 한 쌍의 팔 안착부(124-1, 124-2)와 하지 고정부(130)를 회전 롤러(122c)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10)의 신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승강부(140)에 배치되는 무게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10)의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과정에서 변화하는 사용자(10)의 무게 중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는 표준화된 재활 프로그램의 적용을 가능하게 해 준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tably fixes the body of the user 10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user 10 through the rehabilitation part 130 We present technology that can give. In this case, the pair of arm rests 124-1 and 124-2 and the leg rest portion 130 can be positioned at the same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roller 122c, The rehabilitation of the upper extremity part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reference value. A change 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10 that changes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the upper part of the user 10 through the weight sensor (not shown) disposed on the lifting unit 140 can be detected. Through this,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nables the application of the standardized rehabilitation program.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는 제1연결부재(124a)의 요(yaw) 방향 회전 운동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미도시), 제3연결부재(124e)의 신축 운동을 감지하는 신축감지센서(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을 수행하는 사용자(10)의 근력을 포함하는 재활데이터 예를 들면, 운동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Th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100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rotation detecting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in the yaw direction, For example, exercise data including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user 10 performing rehabilitation for the upper extremity region through an elasticity sensing sensor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는 제1연결부재(124a) 및 제3연결부재(124e)에 각각 배치되는 제1구동부(미도시) 및 제2구동부(미도시)를 제어부로 제어하여 사용자(10)의 움직임에 반하는 반대 방향으로 힘 즉, 반발력을 제공해 줌으로써 재활운동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해 준다.Th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not shown) and a second driving unit (not shown) disposed i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4a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24e, respectively, Thereby providing a technique capable of improving the effect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by providing the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tion of the user 10, that is, the repulsive for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는 디스플레이부(172) 및 동작감지센서(172)를 통하여 사용자(10)가 게임을 즐기는 듯한 느낌을 가지고 상지 재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준다.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n effect of allowing the user 10 to perform upper limb rehabilitation with the feeling that the user 10 is enjoying the game through the display unit 172 and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72 It provide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는 중추신경계손상환자의 체간 불안정성 및 스포츠 손상으로 인한 요추기립근의 손상으로 인한 신체 밸런스 기능저하 환자에게 체간 안정성 증가 및 코어 근육(core muscle)의 근력강화 등 재활치료 전 기간에 제너럴피트니스(general fitness), 민첩성, 밸런스 능력의 유지, 호전 등을 위해 의료기술을 접목하여 치료효과가 분명하고 실제 치료 기술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재활훈련기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10)는 장비의 지시 또는 디스플레이부(170)에 디스플레이 되는 재활영상(예를 들면, 게임콘텐트 등)에 따라 스스로 균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improve the trunk stability and the muscle strength of the core muscle due to the instability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the injuries to the lumbar spine due to sports injuries, Strengthening, and strengthening of general fitness, agility and balance ability during the whole period of rehabilitation therapy, medical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treatment effect and can provide practical treatment technology. The user 10 us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improve the balance ability by himself or herself according to an instruction of the equipment or a rehabilitation image (for example, game content or the lik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70 Provide the technology to be able to.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From the foregoing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at there are many possible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is disclosure. An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but true ideas and scope will be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T, T1 : 회전력(torque)
F, F1 : 신축력
L : 가상의 선으로부터 제1 팔 안착부 및 제2 팔 안착부의 거리
L-1 : 제1연결부재의 길이
L-2 : 상완 안착부의 길이
L-3 : 제3연결부재의 길이
10 : 사용자
20 : 바닥부
100 :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110 : 지지부
120 : 상지 운동부
122 : 몸체부
122a : 상지 베이스 프레임
122b, 122b-1, 122b-2 : 슬라이딩부
122c : 회전 롤러
124, 124-1, 124-2 : 팔 안착부
124a : 제1연결부재
124b : 상완 안착부
124c : 하완 안착부
124d : 제2연결부재
124e : 제3연결부재
130 : 하지 고정부
132 : 하지 베이스 프레임
134 : 다리 안착부
134a : 허벅지 안착부
134b : 종아리 안착부
134c : 제4연결부재
140 : 승강부
142 : 제1받침대
144 : 제2받침대
146 : 승강프레임
146a : 연결프레임
148 : 승강구동기
148a : 모터
148b : 회전축
150 : 연결부
160 : 완충기
170 : 디스플레이부
172 : 동작감지센서
T, T1: Torque
F, F1: Stretch
L: Distance between the first arm rest part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from the imaginary line
L-1: Length of the first linking member
L-2: Length of upper arm seating
L-3: Length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10: User
20:
100: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that can strengthen the lumbar spine
110: Support
120: upper limb athlete
122:
122a: upper base frame
122b, 122b-1, 122b-2:
122c:
124, 124-1, 124-2: arm rest portion
124a: first connecting member
124b:
124c:
124d: second connecting member
124e: third connecting member
However,
132: not base frame
134: leg rest portion
134a:
134b: calf seat portion
134c: fourth connecting member
140:
142: First stand
144: Second pedestal
146: Lift frame
146a: connection frame
148: Paddle motive
148a: motor
148b:
150:
160: buffer
170:
172: motion detection sensor

Claims (17)

사용자의 상지 부위에 대한 재활치료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상지 운동부; 및
바닥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상지 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지 운동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팔 안착부는 상기 팔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팔 전체가 요(yaw) 방향 회전 및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되,
상기 팔 안착부는
요(yaw)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팔의 상완이 안착되는 상완 안착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팔의 하완이 안착되는 하완 안착부;
상기 하완 안착부가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상완 안착부의 타측과 상기 하완 안착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상완 안착부와 상기 제1연결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상완 안착부가 피치(pitch) 방향 회전할 경우에 길이가 가변되는 제3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An upper limb exercising part for allowing rehabilitation of the upper limb of the user to proceed; And
And a support portion that is supported by the bottom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xtremity motion portion and supports the user's body,
The upper extremity motion part
A body coupled to the support; And
And an arm rest portion on which the arm of the user is seated,
Wherein the arm rest part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so that the entire arm of the user seated on the arm rest part can rotate in the yaw direction and rotate in the pitch direction,
The arm rest portion
A first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to be rotatable in a yaw direction;
An upper arm seating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in a pitch direction and on which an upper arm of the user's arm is seated;
A lower bearing seat on which a lower arm of the arm of the user is seated;
A second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rm seating portion and the lower arm seating portion so that the lower arm seating portion can rotate in the pitch direction; And
And a third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arm seating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varying in length when the upper arm seating portion rotates in the pitch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상지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상지 베이스 프레임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와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팔 안착부는 상기 몸체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An upper base fram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And a sliding portion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base frame,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sliding member and the arm rest part can be reinforced by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liding member so that the arm rest part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한 쌍의 상기 팔 안착부-이하 제1 팔 안착부 및 제2 팔 안착부라 함-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부-이하 제1슬라이딩부 및 제2슬라이딩부라 함-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팔 안착부와 상기 제2 팔 안착부는 상기 제1 팔 안착부의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2 팔 안착부의 상기 제1연결부재가 각각 상기 제1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팔 안착부와 상기 제2 팔 안착부의 상기 몸체부에 대한 슬라이딩 가능한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1 팔 안착부와 상기 제2 팔 안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dy part is provided with a pair of arm res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arm rest part and a second arm rest part,
The body portion includes a pair of slid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liding portion and a second slid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arm rest part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linking member of the first arm rest part and the first link member of the second arm rest part respectively engage with the first sliding part and the second sliding part And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body by being connected thereto,
A first arm rest portion and a second arm rest portion are slidably connectable to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arm rest portion and the second arm rest portion to adjust a gap between the first arm rest portion and the second arm rest portion, Training equip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하지 부위를 고정하는 하지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지 고정부는
상기 상지 베이스 프레임과 고정 연결되는 하지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하지 베이스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하지 베이스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상기 사용자의 다리가 안착되는 한 쌍의 다리 안착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다리 안착부는
상기 하지 베이스 프레임과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가 안착되는 허벅지 안착부;
상기 사용자의 발을 받치며, 상기 사용자의 종아리가 안착되는 종아리 안착부; 및
상기 종아리 안착부가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허벅지 안착부의 타측과 상기 종아리 안착부를 연결하는 제4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허벅지 안착부 및 상기 종아리 안착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신체의 길이의 변화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재활훈련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leg resting part for fixing the leg rest of the user,
The lower fixing portion
A lower base frame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base frame; And
And a pair of leg rest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facing each other with the base fram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on which the legs of the user are seated,
The leg rest portion
A thigh seating part connected to the lower base frame at one side and to which the thigh of the user is seated;
A calf rest resting against the foot of the user, the calf rest resting on the calf of the user; And
And a fourth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thigh seat part to the calf seat receiving part so that the calf seat receiving part can rotate in the pitch direction,
Wherein the thigh seat portion and the calf seat portion vary in length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user's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 배치되며,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바닥부에 안착되는 제1받침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받침대 위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와 접촉하는 제2받침대;
상기 제1받침대와 상기 제2받침대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프레임; 및
상기 제2받침대가 상기 제1받침대에 대하여 상하로 상대운동을 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을 구동하는 하는 승강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승강구동기를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가 상기 상지 운동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받침대를 상승시킬 수 있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fting unit disposed at the bottom and positioned below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gravity direction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The elevating portion
A first pedestal mounted on the bottom portion;
A second pedestal disposed on the first pedestal based on gravity direction, the second pedestal contacting the user;
A lifting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edestal and the second pedestal; And
And a lift motor for driving the lift frame so that the second pedestal moves up and down relative to the first pedestal,
Wherein the user is able to strengthen the lumbar spine capable of raising the second pedestal so that the upper limb of the user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limb motion part by driving the entrance / exit port synchroniz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에 배치되는 무게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의 상기 무게는 상기 제2받침대와 상기 사용자와의 밀착을 통하여 상기 승강부에 전달되며,
상기 무게센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지 운동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에 대한 상기 재활치료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변화하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무게의 중심의 변화를 감지하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weight sensor disposed on the lifting portion,
Wherein the weight of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elevating unit through close contact between the second pedestal and the user,
Wherein the weight sensor is configured to perform a rehabilitation training for strengthening a lumbar support muscle that senses a change in the center of the weight of the user that changes in the course of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the upper extremity part of the user through the upper limb exercise part, devic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를 유니버셜 조인트 결합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이격되게 상기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지 운동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의 유니버셜 조인트 결합에 의하여 자유롭게 움직이며,
상기 완충기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부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지 운동부가 기준 범위를 넘어서 움직일 경우에 상기 타측이 상기 몸체부와 접함으로써 상기 상지 운동부의 상기 기준 범위를 넘어서는 움직임을 완충시켜주거나,
상기 완충기는 상기 일측이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타측이 상기 지지부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지 운동부가 상기 기준 범위를 넘어서 움직일 경우에 상기 타측이 상기 지지부와 접함으로써 상기 상지 운동부의 상기 기준 범위를 넘어서는 움직임을 완충시켜주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by universal joint connection; And
And a buffer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The upper limb movement part is free to move by a universal joint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body part through the connection part,
Wherein the shock absorber is disposed so that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portion such that when the upper motion portion moves beyond the reference range, the other side abuts on the body portion, The motion that exceeds the reference range is buffered,
Wherein the shock absorber is disposed such that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the other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when the upper motion part moves beyond the reference range, the other side contacts the supporting part, Of the lumbar spine to cushion the movement beyond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rang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연결부재의 요(yaw) 방향 회전 운동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상완 안착부의 상기 피치(pitch) 방향 회전에 따른 상기 제3연결부재의 신축 운동을 감지하는 신축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신축감지센서로부터 각각 제공받는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3연결부재의 상기 신축 운동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근력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rotation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 the yaw direction by the user;
An elongation sensor for sensing elongation and contraction of the third linking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upper arm seating unit in the pitch direction by the user; And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user from information o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yaw direc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received from the rotation detecting sensor and the elongation / Wherein the lumbar vertebrae muscles of the lumbar vertebrae muscles of the lumbar vertebrae muscles of the lumbar vertebrae muscles of the lumbar vertebrae musc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3연결부재에 배치되는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되,
상기 회전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상기 회전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신축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제3연결부재의 상기 신축 운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상기 신축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신축 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연결부재가 동작하도록 상기 제2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에 대한 상기 재활치료가 진행되도록 하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9. The method of claim 8,
A first driving unit disposed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And a second driving unit disposed on the third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first driver and the second driver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Wherein when the yaw rotation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sensed through the rotation senso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n accordance with an input command of the user or a pre- controlling the first driving unit such tha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yaw rotating direction,
When the extension / contraction movement of the third connection member is sensed through the expansion / contraction senso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lastic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pansion / contraction movement sensed by the expansion / contraction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driving unit to operate the third linking member so that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the upper extremity of the user proceed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회전의 축 방향이 상기 상지 베이스 프레임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을 가지도록 상기 상지 베이스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슬라이딩부의 일부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의 일부는 각각 상기 회전 롤러와 제1접점 및 제2접점에서 접하고, 상기 제1슬라이딩부의 상기 일부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의 상기 일부는 상기 회전 롤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되,
상기 제1접점 및 상기 제2접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상기 몸체부에 대한 상기 제1 팔 안착부의 슬라이딩 이동방향 및 상기 몸체부에 대한 상기 제2 팔 안착부의 슬라이딩 이동방향과 수직이며,
상기 제1 팔 안착부 및 상기 제2 팔 안착부는 각각 상기 제1접점 및 상기 제2접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부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상기 제1 팔 안착부와 상기 제2 팔 안착부 사이의 상기 간격이 조절될 경우에 상기 제1 팔 안착부와 상기 제2 팔 안착부는 상기 회전 롤러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body portion further includes a rotating roller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base frame such that an axial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body portion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upper base frame,
A portion of the first sliding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second sliding portion abut each other at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with the rotating roller, and the portion of the first sliding portion and the portion of the second sliding portion contact the rotating roller And face each other,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is perpendicular to a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arm rest part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and a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arm rest part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The first arm rest part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liding part and the second sliding part so as to be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rm rest part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is adjusted through the movement, the first arm rest part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slide by the same distance based on the rotation roller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that can strengthen the lumbar spin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하지 부위를 고정하는 하지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지 고정부는
상기 상지 베이스 프레임과 고정 연결되는 하지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하지 베이스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하지 베이스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상기 사용자의 다리가 안착되는 한 쌍의 다리 안착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다리 안착부는
상기 하지 베이스 프레임과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가 안착되는 허벅지 안착부;
상기 사용자의 발을 받치며, 상기 사용자의 종아리가 안착되는 종아리 안착부; 및
상기 종아리 안착부가 피치(pitch)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허벅지 안착부의 타측과 상기 종아리 안착부를 연결하는 제4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허벅지 안착부 및 상기 종아리 안착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신체의 길이의 변화에 따라 길이가 가변 되며,
상기 제1 팔 안착부 및 상기 제2 팔 안착부는 상기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같은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다리 안착부들 각각은 상기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같은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하지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신체의 중심선이 상기 가상의 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leg resting part for fixing the leg rest of the user,
The lower fixing portion
A lower base frame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base frame; And
And a pair of leg rest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facing each other with the base fram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on which the legs of the user are seated,
The leg rest portion
A thigh seating part connected to the lower base frame at one side and to which the thigh of the user is seated;
A calf rest resting against the foot of the user, the calf rest resting on the calf of the user; And
And a fourth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thigh seat part to the calf seat receiving part so that the calf seat receiving part can rotate in the pitch direction,
The thigh seat part and the calf seat part vary in length depending on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user's body,
Wherein the first arm rest part and the second arm rest pa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ame distance about the imaginary line and are disposed on the body part, and each of the pair of leg rest parts has the same Wherein the body center line of the user is arranged in the base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so as to strengthen a lumbar support muscle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imaginary li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 배치되며,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바닥부에 안착되는 제1받침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받침대 위에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와 접촉하는 제2받침대;
상기 제1받침대와 상기 제2받침대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프레임; 및
상기 제2받침대가 상기 제1받침대에 대하여 상하로 상대운동을 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을 구동하는 하는 승강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승강구동기를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가 상기 상지 운동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받침대를 상승시킬 수 있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lifting unit disposed at the bottom and positioned below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gravity direction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The elevating portion
A first pedestal mounted on the bottom portion;
A second pedestal disposed on the first pedestal based on gravity direction, the second pedestal contacting the user;
A lifting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edestal and the second pedestal; And
And a lift motor for driving the lift frame so that the second pedestal moves up and down relative to the first pedestal,
Wherein the user is able to strengthen the lumbar spine capable of raising the second pedestal so that the upper limb of the user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limb motion part by driving the entrance / exit port synchroniz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에 배치되는 무게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종아리 안착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발을 받치는 발 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 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대는 서로 밀착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무게는 상기 제2받침대와 상기 발 받침부와의 밀착을 통하여 상기 승강부에 전달되며,
상기 무게센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지 운동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에 대한 상기 재활치료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변화하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무게의 중심의 변화를 감지하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weight sensor disposed on the lifting portion,
Wherein the calf seat portion includes a footrest portion that supports the foot of the user,
The footrest portion and the second pedestal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weight of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elevating unit through close contact between the second pedestal and the footrest,
Wherein the weight sensor is configured to perform a rehabilitation training for strengthening a lumbar support muscle that senses a change in the center of the weight of the user that changes in the course of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the upper extremity part of the user through the upper limb exercise part, device.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1연결부재의 요(yaw) 방향 회전 운동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상완 안착부의 상기 피치(pitch) 방향 회전에 따른 상기 제3연결부재의 신축 운동을 감지하는 신축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신축감지센서로부터 각각 제공받는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3연결부재의 상기 신축 운동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근력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3,
A rotation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 the yaw direction by the user;
An elongation sensor for sensing elongation and contraction of the third linking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upper arm seating unit in the pitch direction by the user; And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user from information o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yaw direc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received from the rotation detecting sensor and the elongation / Wherein the lumbar vertebrae muscles of the lumbar vertebrae muscles of the lumbar vertebrae muscles of the lumbar vertebrae muscles of the lumbar vertebrae musc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 운동부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동작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에 대한 상기 재활치료와 관련한 재활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며,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상기 재활영상에서 지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움직임과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재활영상에서 지시하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신축감지센서가 각각 감지하는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에 대한 상기 정보 및 상기 제3연결부재의 상기 신축 운동에 대한 상기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운동데이터를 추출하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 display uni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lim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display unit or the display unit,
A rehabilitation image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the upper part of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detects motion of the user performing an operation indicated by the rehabilitation imag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 sensor and the elasticity sensing sensor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user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operation indicated by the user in the rehabilitation image, 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linking member in the yaw direction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elastic movement of the third linking member are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3연결부재에 배치되는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되,
상기 회전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상기 회전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가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신축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제3연결부재의 상기 신축 운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상기 신축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신축 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연결부재가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에 대한 상기 재활치료가 진행되도록 하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 first driving unit disposed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And a second driving unit disposed on the third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first driver and the second driver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Wherein when the yaw rotation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sensed through the rotation senso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n accordance with an input command of the user or a pre- yaw direction rotating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When the extension / contraction movement of the third connection member is sensed through the expansion / contraction senso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lastic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pansion / contraction movement sensed by the expansion / contraction sensor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is operated so that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the upper part of the user can proce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 운동부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동작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상지 부위에 대한 상기 재활치료와 관련한 재활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며,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상기 재활영상에서 지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활영상에서 지시하는 상기 동작에 대응되는 표준운동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재활영상에서 지시하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신축감지센서로부터 각각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기 요(yaw) 방향 회전 운동 및 상기 제3연결부재의 상기 신축 운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움직임과 연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표준운동데이터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가 회전하고, 상기 제3연결부재가 동작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요추기립근을 강화할 수 있는 재활훈련기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A display uni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lim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display unit or the display unit,
A rehabilitation image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the upper part of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detects motion of the user performing an operation indicated by the rehabilitation image,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n standard mo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dicated by the rehabilitation image,
Wherein the rotation detecting sensor and the elongation sensor respectively detec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 the yaw direction and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operation indicated by the user in the rehabilitation image, When motion is detecte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connection member to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tandard motio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in association with the motion of the user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Wherein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umbar support.
KR1020160082182A 2016-06-30 2016-06-30 apparatus for using lumbar erector spinae muscle strengthening KR201800029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182A KR20180002984A (en) 2016-06-30 2016-06-30 apparatus for using lumbar erector spinae muscle strengthe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182A KR20180002984A (en) 2016-06-30 2016-06-30 apparatus for using lumbar erector spinae muscle strengthe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84A true KR20180002984A (en) 2018-01-09

Family

ID=6100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182A KR20180002984A (en) 2016-06-30 2016-06-30 apparatus for using lumbar erector spinae muscle strengthe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98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924B1 (en) * 2020-04-21 2021-09-30 주식회사 엠디로봇 robot device for upper and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CN113952630A (en) * 2021-12-03 2022-01-21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Phototherapy cabi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924B1 (en) * 2020-04-21 2021-09-30 주식회사 엠디로봇 robot device for upper and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CN113952630A (en) * 2021-12-03 2022-01-21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Phototherapy cabin
CN113952630B (en) * 2021-12-03 2024-03-29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Phototherapy cab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37501B (en) Ankle joint training adapter and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KR101168207B1 (en) Leg remedical exercise system having game function
US20190183715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limb rehabilitation
US7927257B2 (en) Assisted stair training machine and methods of using
US8573612B1 (en) Assistive ambulatory device
US20080234113A1 (en) Gait Rehabilit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KR101602728B1 (en) Legs rehabilitation robot capable of movable gait training and stationary gait training
KR101936715B1 (en) rehabilitation medicine apparatus for curve exercise
CN109276407B (en) Elbow joint training adapter and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KR20180010838A (en) Training system for leg rehabilitation having saparated treadmil with ambulant staircase function
KR1019219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lower-limb rehabilitation robot
KR102383166B1 (en) Massage apparatus with individually controlled leg massage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is
KR101793828B1 (en) Functional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using a folding frame
KR101937352B1 (en) rehabilitation medicine apparatus
KR20180002984A (en) apparatus for using lumbar erector spinae muscle strengthening
CN110368266A (en) Two degrees of freedom suspension type correcting posture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device
US20160008203A1 (en) Device for spine correction and measurement system
KR101907789B1 (en) The bicycle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31025B1 (en) a robot device of strengthening muscle rehabilitation exercise of upper and lower limbs
KR101778086B1 (en)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CN109820694A (en) A kind of leg exercises device
KR101527593B1 (en) Pre-gait training apparatus
KR20230068581A (en)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KR20240077934A (en)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capable of circular arc exercise
Sakaki et al. Rehabilitation robot in primary walking pattern training for SCI patient at h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