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928U -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928U
KR20180002928U KR2020170001643U KR20170001643U KR20180002928U KR 20180002928 U KR20180002928 U KR 20180002928U KR 2020170001643 U KR2020170001643 U KR 2020170001643U KR 20170001643 U KR20170001643 U KR 20170001643U KR 20180002928 U KR20180002928 U KR 201800029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ave
sealing member
cleaning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820Y1 (ko
Inventor
현창환
민선웅
이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70001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820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9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8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청소포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밀대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밀대가 연결되며 플레이트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곽 둘레면으로 절곡되거나 구부러지는 처마부재를 구비하는 상부판; 및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판의 하부를 커버하며, 상기 상부판에 대향하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처마부재의 내측에 위치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하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소 장치{Mop apparatus}
본 고안은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플레이트의 구조물을 개선하여 방수 구조를 이룸으로써 플레이트 내부의 전장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닥에 앉아서 생활하는 좌식 생활을 하는 나라, 예를 들어 대한민국과 같은 생활 문화권에서는 수시로 방이나 거실의 바닥을 청소하게 되며 주로 걸레를 이용하여 쪼그려 앉은 자세로 바닥을 닦는 형태를 취하게 되는 바, 오랜 시일이 지나면 무릎 관절이 시리거나 허리가 아프거나 하는 등의 부작용이 초래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서구식 생활 습관과 더불어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들은 쪼그려 앉은 상태로 바닥을 닦는 것을 기피하게 되며, 서 있는 상태로 청소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청소도구가 고안되어 시판되고 있다.
현재 시중에 시판되어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청소도구들은 진공청소기로 통칭되는 흡입식 전기청소기와, 본체의 저면에 물걸레 또는 마른걸레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청소용 밀대 걸레 및 진공청소기와 청소용 밀대 걸레를 결합시킨 걸레식 진공청소기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특히, 청소용 밀대 걸레는 통상 사각의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밀대(봉 또는 바 형상)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밀대를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플레이트가 바닥면 상에서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바닥면의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게다가, 청소 효력을 향상시키거나 내부 전장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진동모터를 통해 청소를 쉽게 하고 청소 효력을 향상시키면서도, 플레이트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모터와 같은 전장 부품을 보호하도록 방수구조를 이룰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청소포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밀대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밀대가 연결되며 플레이트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곽 둘레면으로 연장되는 처마부재를 구비하는 상부판; 및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판의 하부를 커버하며, 상기 상부판에 대향하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처마부재의 내측에 위치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하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바닥부재의 둘레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상부판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처마부재의 하단이 맞닿도록 단턱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처마부재로부터 노출된 단턱의 외측으로부터 하부로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재의 상부는, 상기 처마부재의 내측면에 면으로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실링부재는 동일 재질 또는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져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마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사이에 마련되는 진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판은, 탄성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볼트홀이 마련되어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내부는 볼트결합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마부재는, 하부로 절곡되거나 휘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마부재와 상기 실링부재의 접촉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처마부재 내부로 하부판이 결합되어, 플레이트의 상부 등으로 물이 엎질러지는 등 물이 유입될 수 있는 환경에서, 처마부재의 외주면을 타고 물이 흘러내리되, 플레이트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구조를 이루어 진동모터 등의 전장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판과 하부판이 볼트홀에 의한 볼트의 결합으로, 내측은 볼트 결합을 이루어 하부판이 상부판을 향해 1차로 밀착될 수 있고, 실링부재의 단턱에 처마부재의 하단이 위치되면서 실링부재를 가압하여 2차로 밀착되고, 상방으로 연장된 실링부재의 측면과 처마부재의 측면이 서로 맞닿아 3차로 밀착될 수 있어, 하부판의 자체 구조만으로 실링 구조를 이루어 방수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처마부재로부터 물이 흘러내리는 경우, 처마부재로부터 노출된 실링부재 단턱의 외측에 형성되는 실링부재의 곡면을 따라 물이 흘러 내려가도록 함으로써, 플레이트 상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플레이트 내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플레이트의 상부판과 하부판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00)는 플레이트(110), 밀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청소 장치(100)는 청소용 밀대 걸레 특히, 진동모터(110E)를 사용하여 진동효과에 의한 청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청소 장치일 수 있으며, 청소 장치(100)를 밀고 당기는 동작을 통해 청소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청소 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10)는 청소포를 지지하며, 상부로 밀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청소포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면직물,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져 바닥면 등을 닦아낼 수 있는 건식 또는 습식 청소포 등으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청소포는 플레이트(110)의 저면과 면적이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플레이트(110)의 단면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포의 단면이 플레이트(110)의 단면과 동일/유사한 경우 청소포를 고정하는 장치는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고, 청소포의 단면이 플레이트(11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청소포를 고정하는 구성은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는 등 청소포의 형태, 고정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110)는 방, 거실 등의 청소 공간에 형성되는 모서리의 구석까지 밀착되어 청소가 수행될 수 있도록 사각 단면, 특히 가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룸으로써 한 번의 동작으로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110)는 상부판(111)과 하부판(115)이 상하로 마련될 수 있고, 상부판(111)은 상부로 밀대(130)가 연결되고 상부 외관을 이루어 하부판(115)을 커버하거나 별도의 덮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판(115)은 상부판(111)의 하부에 마련되어 청소포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10)에는 전원을 on/off할 수 있는 전원버튼(도시하지 않음), 전원버튼의 하부에 위치되는 버튼홀더(도시하지 않음), 전원버튼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진동모터(110E)로 전달하는 PCB 어셈블리(도시하지 않음), 하부판(115)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모터(110E),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10F), 상부판(111)과 하부판(115)을 연결하기 위한 볼트홀(110G)이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정지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청소 장치(100)를 밀고 당기는 동작시 청소 장치(100)를 밀어내는데 사용되는 힘을 줄일 수 있어 청소가 용이하면서도, 청소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동모터(110E)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진동모터(110E)는 플레이트(110)의 내부에 복수 개(도 2를 참조하면, 대칭이 되도록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도시함)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진동모터(110E)가 좌우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구동되어 스윙 진동을 이룰 수 있고, 이와 달리, 진동모터(110E)가 하부판(115)을 하부방향으로 밀고 재 위치되어 복원되는 운동을 반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110) 내부에는 청소효율을 위해 진동모터(110E)가 마련될 수 있고, 진동모터(110E)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원버튼, PCB 어셈블리가 마련되므로, 내부에 물이 들어가는 경우, 진동모터(110E), PCB 어셈블리 등과 같은 전장 부품이 고장날 우려가 있으므로, 방수구조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110)가 방수구조를 이룬다.
플레이트(1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판(111), 하부판(115)을 포함하는데, 구체적으로 하기되는 바와 같다.
상부판(111)은 하부판(115)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곽 둘레면으로 연장되는 처마부재(111A)를 구비한다. 일례로, 처마부재(111A)는 하부로 절곡되거나 구부러지는(휘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판(111)은 덮개와 베이스판을 포함하여 덮개가 상부를 덮으며 외관을 이루고, 베이스판에 PCB 어셈블리 등이 설치되는 등 덮개와 베이스판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상부판(111)이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부판(111)은 하부에서 상부로 오목하게 이루어져 상부가 원판(오목한 그릇형상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을 이룰 수 있고 원판의 둘레면으로 처마부재(111A)가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전원버튼 등이 마련되도록 일부가 상부에서 하부로 오목하거나 홀이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처마부재(111A)는, 하부판(115)이 상부판(111)의 내부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플레이트(110)의 상부 등으로 물이 엎질러지는 등 물이 유입될 수 있는 환경에서, 처마부재(111A)의 외주면을 타고 물이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플레이트(11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판(115)은, 바닥부재(115A)와 실링부재(115B)를 포함할 수 있는데, 바닥부재(115A)와 실링부재(115B)는 동일 재질 또는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져 일체로 제작될 수 있어, 바닥부재(115A)와 실링부재(115B)를 별도로 조립할 필요가 없으며, 이러한 하부판(115)은 탄성 복원이 가능한 재질 일례로 고무, Hs 60이하의 경도를 가지는 플라스틱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져 상부판(111)의 하부에 탄성력으로 밀착될 수 있다. 아울러, 진동모터(110E)의 구동시 진동이 하부판(115)을 통해 바닥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닥부재(115A)는 바닥면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바닥부재(115A)의 저면에 청소포가 맞닿게 설치되어 바닥부재(115A)가 청소포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판(111)의 반대편인 외측 하부면은 민무늬로 이루어지거나, 올록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그리고 실링부재(115B)는, 상부판(111)과 하부판(115)의 결합시 실링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실링부재(115B)는 바닥부재(115A)의 둘레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부판(111)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부재(115B)는 처마부재(111A)의 하단이 맞닿도록 단턱을 이룰 수 있어, 바닥부재(115A)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실링부재(115B)의 단턱에 처마부재(111A)가 맞닿아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부판(111)과 하부판(115)은 볼트홀(110G)에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어, 플레이트(110)의 내측은 볼트 결합을 이루어 하부판(115)이 상부판(111)을 향해 1차로 밀착될 수 있고, 실링부재(115B)는 탄성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부에 위치된 처마부재(111A)가 하부에 위치된 실링부재(115B)를 가압하여 실링부재(115B)의 탄성력으로 인해 실링부재(115B)의 단턱에서 2차로 밀착될 수 있다. 아울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연장된 실링부재(115B)의 측면과 처마부재(111A)의 측면이 서로 맞닿아 3차로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판(111)과 하부판(115)의 볼트 결합은 일례로 하부판(115)에 볼트홀(110G)이 형성되고, 상부판(111)과 하부판(115)이 맞닿은 상태에서 볼트가 상부판(111)을 통해 하부판(115)의 볼트홀(110G)에 결합하여 볼트의 헤드에 의해 하부판(115)이 상부판(111)에 걸려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볼트홀(110G)이 형성되는 하부판(115)의 영역은 주변에 대비하여 두께가 더 두꺼울 수 있다.
게다가, 실링부재(115B)는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부로 절곡되어 처마부재(111A)와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처마부재(111A)와 맞닿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부재(115B)의 단턱에 처마부재(111A)가 위치되면, 처마부재(111A)와 실링부재(115B) 사이에 2중의 격벽이 이루어진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물의 유입이 어려워지고, 특히 실링부재(115B)의 상부는 처마부재(111A)의 내측면에 면으로 밀착되므로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링부재(115B)는 처마부재(111A)로부터 노출된 단턱의 외측으로부터 하부로 곡면을 이루어, 처마부재(111A)로부터 물이 흘러내리는 경우, 실링부재(115B)의 곡면을 따라 흘러내려가도록 함으로써, 플레이트(110) 상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대(130)는, 봉부재(131), 힌지(132), 손잡이(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봉부재(131)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예에 불가하며, 밀대(130)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면체(사각형 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봉부재(131)는 일단(하단)이 힌지(1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봉부재(131)의 타단(상단)에 손잡이(133)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봉부재(131)는 제1 봉(1311), 제2 봉(13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봉(1311)과 제2 봉(1312)은 각각 하나의 봉 또는/및 바의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제1 봉(1311)과 제2 봉(1312) 각각이 여러 개의 봉 또는/및 바가 서로 겹쳐져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봉부재(131)는, 제1 봉(1311)과 제2 봉(1312)이 겹치는 길이에 따라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 제1 봉(1311), 제2 봉(1312)의 일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으며, 제2 봉(1312)과 제1 봉(1311)이 동일 중심선상에서 슬라이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고, 상단에 손잡이(133)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132)는, 플레이트(110)와 밀대(130)를 연결하여 밀대(110)가 플레이트(11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힌지(132)는 밀대(13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고, 플레이트(110)에 결합하도록 힌지(132)의 양측이 돌출되어 힌지축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힌지(132)가 플레이트(110)에 결합되도록, 플레이트(110)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오목한 함몰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함몰부로 인해 플레이트(110)에는 격벽(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고, 함몰부의 측벽구조를 이루는 격벽에 힌지축이 삽입되는 끼움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플레이트(110)의 상부로 돌출구조물이 형성되고, 돌출구조물에는 힌지(132)가 결합되는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손잡이(133)는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구성으로서, 밀대(13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고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133)의 고리 형태는 세로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좌우 방향으로 확장된 고리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133)의 고리 형태가 세로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형태를 이루는 경우, 손잡이(133) 상단부에서 사용자의 4개의 손가락이 한 번에 모두 파지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점차 확장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어, 손잡이(133)의 내측 하부에 대비하여 내측 상부의 폭이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손잡이(133)는 고리 형상 이외에 밀대(130)의 상부 양측이 오목하게 이루어져 사용자로 하여금 파지가 용이하면서도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밀대(130)는, 밀대(130)의 하부에 플레이트(110)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33)를 잡고 밀대(130)를 밀고 당기는 동작을 통해 걸레질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바닥부재(115A)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부판(111)의 처마부재(111A) 내측에 위치되는 실링부재(115B)가 상부판(111)과 하부판(115)의 실링을 이루어, 플레이트(110) 내부에 마련되는 진동모터와 같은 전장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방수 구조를 이루므로,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청소 장치 110: 플레이트
111: 상부판 111A: 처마부재
115: 하부판 115A: 바닥부재
115B: 실링부재 130: 밀대
131: 봉부재 1311: 제1 봉
1312: 제2 봉 1313: 버튼부
133: 손잡이

Claims (11)

  1. 청소포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밀대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밀대가 연결되며 플레이트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곽 둘레면으로 연장되는 처마부재를 구비하는 상부판; 및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판의 하부를 커버하며, 상기 상부판에 대향하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처마부재의 내측에 위치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하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바닥부재의 둘레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상부판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처마부재의 하단이 맞닿도록 단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처마부재로부터 노출된 단턱의 외측으로부터 하부로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상부는,
    상기 처마부재의 내측면에 면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실링부재는 동일 재질 또는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져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사이에 마련되는 진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탄성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볼트홀이 마련되어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내부는 볼트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부재는,
    하부로 절곡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부재와 상기 실링부재의 접촉에 의해 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KR2020170001643U 2017-04-03 2017-04-03 청소 장치 KR200487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43U KR200487820Y1 (ko) 2017-04-03 2017-04-03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43U KR200487820Y1 (ko) 2017-04-03 2017-04-03 청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28U true KR20180002928U (ko) 2018-10-12
KR200487820Y1 KR200487820Y1 (ko) 2018-11-08

Family

ID=6386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643U KR200487820Y1 (ko) 2017-04-03 2017-04-03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8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6988A (zh) * 2019-06-10 2019-10-15 杭州西屋个人护理用品有限公司 一种浴缸自动清洗装置
KR20230057655A (ko) * 2021-10-22 2023-05-02 최광순 스마트 진동 청소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10B2 (ja) * 1979-05-16 1984-01-14 芳英 浅井 耐火二層管継手の製造方法
KR100331601B1 (ko) * 2000-01-31 2002-04-06 김주하 청소기의 자루 고정 구조체
US20040107522A1 (en) * 2002-12-03 2004-06-10 Paas Edward L. Floor cleaning device with motorized vibratory hea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1910B2 (ja) * 2011-08-10 2016-04-13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10B2 (ja) * 1979-05-16 1984-01-14 芳英 浅井 耐火二層管継手の製造方法
KR100331601B1 (ko) * 2000-01-31 2002-04-06 김주하 청소기의 자루 고정 구조체
US20040107522A1 (en) * 2002-12-03 2004-06-10 Paas Edward L. Floor cleaning device with motorized vibratory hea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6988A (zh) * 2019-06-10 2019-10-15 杭州西屋个人护理用品有限公司 一种浴缸自动清洗装置
CN110326988B (zh) * 2019-06-10 2021-04-27 杭州西屋个人护理用品有限公司 一种浴缸自动清洗装置
KR20230057655A (ko) * 2021-10-22 2023-05-02 최광순 스마트 진동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820Y1 (ko)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7396B2 (en) Implement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487820Y1 (ko) 청소 장치
KR101556351B1 (ko) 바닥 청소가 용이한 밀대걸레
EP1921971A1 (en) Suction hose supporting structure for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to canister type
US20040177863A1 (en) Cleaning tool with removable cleaning covers
GB2260892A (en) A vacuum cleaner head with detachable mop
CA3088368C (en) Cleaner equipped with auxiliary cleaning part
KR101455037B1 (ko) 청소용 걸레 밀대
KR101378947B1 (ko) 청소용 밀대 플레이트
KR101492079B1 (ko) 진공청소기
KR101897237B1 (ko) 청소 장치
CN213963259U (zh) 清扫装置
KR100831619B1 (ko) 로봇청소기 부직포 걸레 고정구조
KR200463110Y1 (ko) 컵 닦이용 수세미
JP2006271645A (ja) 清掃用具
CN218279478U (zh) 一种基座及清洗机
KR101466117B1 (ko) 신발바닥 청소 장치
CN210832391U (zh) 水箱清洁结构、加湿装置及空调器
KR20180006105A (ko) 청소 장치
KR101681204B1 (ko) 청소장치
KR101877662B1 (ko) 청소 장치
CN210114369U (zh) 一种肥皂盒
CN218304725U (zh) 一种板刷机构及清洗机
CN211022321U (zh) 一种桶体定位结构及净食器
KR101446697B1 (ko) 청소기용 타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