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105A -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청소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6105A KR20180006105A KR1020160086793A KR20160086793A KR20180006105A KR 20180006105 A KR20180006105 A KR 20180006105A KR 1020160086793 A KR1020160086793 A KR 1020160086793A KR 20160086793 A KR20160086793 A KR 20160086793A KR 20180006105 A KR20180006105 A KR 201800061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eaning cloth
- rotating body
- plate
- cleaning
- clo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8—Plate frames of adjustable or foldable typ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청소포를 지지하며, 상부로 밀대가 설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청소포에 접촉시 회전되어 상기 청소포가 간섭되는 패드고정부; 및 상기 패드고정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청소포가 고정되기 위한 면적이 절감되어 청소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체결 및 분리가 편리한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닥에 앉아서 생활하는 좌식 생활을 하는 나라, 예를 들어 대한민국과 같은 생활 문화권에서는 수시로 방이나 거실의 바닥을 청소하게 되며 주로 걸레를 이용하여 쪼그려 앉은 자세로 바닥을 닦는 형태를 취하게 되는 바, 오랜 시일이 지나면 무릎 관절이 시리거나 허리가 아프거나 하는 등의 부작용이 초래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서구식 생활 습관과 더불어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들은 쪼그려 앉은 상태로 바닥을 닦는 것을 기피하게 되며, 서 있는 상태로 청소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청소도구가 고안되어 시판되고 있다.
현재 시중에 시판되어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청소도구들은 진공청소기로 통칭되는 흡입식 전기청소기와, 본체의 저면에 물걸레 또는 마른걸레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청소용 밀대 걸레 및 진공청소기와 청소용 밀대 걸레를 결합시킨 걸레식 진공청소기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특히, 청소용 밀대 걸레는 통상 사각의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밀대(봉 또는 바 형상)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밀대를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플레이트가 바닥면 상에서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바닥면의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청소용 밀대 걸레의 플레이트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밀수 있는 밀대가 결합되면서도, 상면 양측에는 플레이트 저면을 감싼 청소포(부직포 등)를 꽂아 고정시키는 고정편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청소용 밀대 걸레는 청소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이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부로 고정되기 위해 올려진 청소포 영역의 이용이 어려워 청소포의 낭비가 초래되며, 벨크로 형식으로 결합되는 경우 습식 청소포의 부착력이 떨어져 이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걸레질을 이루는 면적으로 청소포를 이룰 수 있어 청소포의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청소포의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청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청소포를 지지하며, 상부로 밀대가 설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청소포에 접촉시 회전되어 상기 청소포가 간섭되는 패드고정부; 및 상기 패드고정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드고정부는, 상기 청소포의 일면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청소포가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회전체; 및 일단은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를 탄성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돌기와 이격되어 마련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단턱에 맞물려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 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체가 상기 청소포와 걸림이 해제되는 상태에서, 상기 돌기와 상기 단턱은 상하부에 위치되되 수평선 상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어, 상기 돌기와 상기 단턱의 연결면이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경사면의 중심에 마련되어 접촉되거나,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단턱에 걸려 상기 회전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청소포와 걸림이 해제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청소포가 간섭되는 상태에서는 바닥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청소포가 간섭되는 상태에서 하단부가 평면을 이루거나 상단부에 대비하여 곡률반경이 큰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장치는, 청소포가 체결되기 위해 상부로 감싸질 필요 없이, 패드고정부의 하측에 청소포가 단순히 걸림되어 결합됨으로써 청소가 이루어지는 면적과 청소포의 면적이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청소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청소포 상에 청소 장치를 단순히 밀착시키는 동작으로 패드고정부에 청소포가 간섭되어 고정되거나, 청소포를 제거시 패드고정부가 연동되어 위치가 복원되므로, 설치 및 해제가 간편하여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서 청소포가 분리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서 청소포가 결합되기 위해 맞닿은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서 청소포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서 패드고정부에 청소포가 결합되기 위해 맞닿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서 회전체에 청소포가 걸리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서 회전체에 청소포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저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서 청소포가 결합되기 위해 맞닿은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서 청소포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서 패드고정부에 청소포가 결합되기 위해 맞닿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서 회전체에 청소포가 걸리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서 회전체에 청소포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저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서 청소포가 결합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패드고정부에 청소포가 결합되는 과정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저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00)는 플레이트(110), 패드고정부(120) 및 스토퍼(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청소 장치(100)는 청소용 밀대 걸레로서, 청소 장치(100)를 밀고 당기는 동작을 통해 청소포(90)를 이용하여 청소 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
플레이트(110)는 청소포(90)를 지지하며, 상부로 밀대(115)가 설치된다. 여기서, 청소포(9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면직물,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져 바닥면 등을 닦아낼 수 있는 건식 또는 습식 청소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밀대(115)는 봉 또는 바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밀대(115)의 하부에 플레이트(110)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밀대(115)를 밀고 당기는 동작을 통해 걸레질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청소포(90)는 플레이트(110)의 저면과 면적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이루어져 청소포(90)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청소포(90)가 후술되는 패드고정부(120)에 더욱 용이하게 길리도록 상면에는 청소포(90)의 하면과 동일한 재질 또는 이종의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의 고리가 마련될 수 있으나, 청소포(90)의 각 모서리는 패드고정부(120)에 걸린 후 당겨지므로, 고리가 삭제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밀대(115)와 청소포(90)가 설치되는 플레이트(110)는, 특히 청소포(90)의 상면에 맞닿아 걸레질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청소포(90)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지지함으로써 바닥면의 이물질이 청소포(90)에 용이하게 묻어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청소포(90)가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플레이트(110)의 상부로 청소포(90)가 감싸지도록 올려질 필요가 없어 청소포(90)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청소포(90)와 플레이트(110)는 그 면적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플레이트(110)는 방, 거실 등의 청소 공간에 형성되는 모서리의 구석까지 밀착되어 청소가 수행될 수 있도록 사각 단면, 특히 가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룸으로써 한 번의 동작으로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10)는 청소포(90)를 바닥면에 밀착시키는 저면에 인접하여, 패드고정부(120)가 설치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 공간은 플레이트(110)의 모서리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패드고정부(120)는 청소포(90)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청소포(90)에 접촉시 회전되어 청소포(90)가 간섭된다. 여기서, 패드고정부(120)는 플레이트(110)의 내측 하부에 마련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나, 패드고정부(12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레이트(110)의 외측 측면에 위치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또한, 패드고정부(120)는 청소포(90)의 양측을 고정시키도록 플레이트(110)의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청소포(9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청소포(90)의 각 모서리를 간섭하도록 패드고정부(120)의 각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패드고정부(120)는 회전체(121) 및 복귀 스프링(1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121)는 청소포(90)를 간섭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청소포(90)의 일면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돌기(1211)가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청소포(90)가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1211)의 돌출방향은 청소포(90)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바닥면을 향하고, 청소포(90)가 걸리도록 회전체(121)가 회전되는 방향은, 각 모서리의 돌기(1211)가 서로 멀어짐으로써 청소포(90)를 당기게 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돌기(1211)는 각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청소포(90)를 간섭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121)에는 돌기(1211)뿐만 아니라 돌기(1211)와 이격되어 단턱(12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단턱(1212)은 스토퍼(130)가 걸림되어 회전체(121)에 청소포(90)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회전체(121)는 청소포(90)와 걸림이 해제되는 상태에서는 플레이트(110)로부터 돌출되고, 청소포(90)가 간섭되는 상태에서는 바닥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단부가 플레이트(1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체(121)는 연결면이 바닥면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상단부가 구형을 이루고, 하단부의 양측에 돌기(1211)와 단턱(1212)이 돌출되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회전체(121)가 청소포(90)와 걸림이 해제되는 상태에서, 돌기(1211)와 단턱(1212)은 상하부에 위치되되 수평선 상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어, 돌기(1211)와 단턱(1212)의 연결면이 경사면을 이룸으로써, 돌기(1211)가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거나 연결면이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청소포(90)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체(121)는 청소포(90)가 간섭되는 상태에서 하단부가 평면을 이루거나 상단부에 대비하여 곡률반경이 큰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원판의 하단부에 돌기(1211)와 단턱(1212)이 돌출되는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다만, 스토퍼(130)가 단턱(1212)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돌기(1211)와 단턱(1212)사이의 저면에 스토퍼(130)가 간섭되지 않도록 평면 또는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회전체(121)는 중심부에 힌지(1210)가 마련되고, 힌지(1210)가 플레이트(110)에 연결됨으로써, 회전체(121)가 플레이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110)에는 힌지(1210)가 결합되기 위한 돌출 구조물인 리브(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리브는 후술되는 지지 스프링(135)을 고정하기 위해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회전체(121) 또는 플레이트(110)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체(121)의 회전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고, 바람직하게는 회전체(121)에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홈에 수용되는 가이드돌기(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돌기는 회전체(121)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홈에 가이드되면서도 가이드홈의 양단에 걸림되어 회전체(121)의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물론, 회전체(121)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돌기는 플레이트(110) 상에서 회전체(121)를 지지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구조물(일례로 리브)에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도 7을 참조하면(청소 장치의 저면도), 밀대(115)는 앞뒤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밀어지거나 당겨질 수 있는데, 밀대(115)가 동작되는 방향과 어긋나도록 패드고정부(120)가 플레이트(110)의 각 모서리에서 중심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 장치(100)의 동작 방향과 어긋나게 돌기(1211)의 방향이 형성되어, 청소 장치(100)의 이용에 관계없이 돌기(1211)에 청소포(9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청소 장치(100)가 앞뒤 방향으로 이동하고, 청소 방향과 어긋나도록 플레이트(110)의 측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바와 같이 결합 방향은 한정되지 않는다.
복귀 스프링(122)은 회전체(121)의 힌지(1210)와 함께 회전체(121)를 연결하며, 청소포(90)가 걸림되도록 회전된 회전체(121)를 복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귀 스프링(122)의 일단은 회전체(121)에 연결되고 타단은 플레이트(110)에 연결되어, 회전체(12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면을 향한 회전체(121)의 돌기(1211)가 바닥면으로부터 어긋나게 위치되도록 회전되면, 돌기(1211)의 회전에 따라 청소포(90)가 돌기(1211)에 걸려 따라 올라감으로써 청소포(90)가 회전체(121)에 간섭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회전체(121)의 회전에 의해 복귀 스프링(122)은 당겨지게 되어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도 6참조).
한편, 청소포(90)가 회전체(121)로부터 분리되고 스토퍼(130)가 복귀되면, 스토퍼(130)에 의해 길이가 늘어난 복귀 스프링(122)은 복원되어 회전체(121)의 위치를 복귀시켜 돌기(1211)가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스토퍼(130)는 바닥면으로부터 어긋난 돌기(1211)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회전체(12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패드고정부(120)를 탄성 지지한다.
예를 들어, 스토퍼(130)는 회전체(121)의 회전에 따라 단턱(1212)에 맞물려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된다. 여기서, 스토퍼(130)는 지지 스프링(135)을 포함할 수 있는데, 지지 스프링(135)의 일단은 플레이트(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토퍼(130)에 연결된다.
지지 스프링(135)은, 돌기(1211)가 바닥면을 향한 상태의 회전체(121)에 맞닿을 경우 회전체(121)에 밀려 수축된 상태를 이룰 수 있고, 회전체(121)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회전체(121) 방향으로 지지 스프링(135)이 신장되어 지지 스프링(135)은 회전체(121)에 항시 맞닿은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돌기(1211)가 바닥면으로부터 어긋나면 지지 스프링(135)이 스토퍼(130)를 회전체(121) 측으로 가압하게 되어, 스토퍼(130)가 단턱(1212)에 걸린 상태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110)로부터 청소포(90)를 분리시, 사용자가 청소포(90)를 플레이트(110)의 반대 방향으로 당겨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바닥면으로부터 어긋나 플레이트(110)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된 돌기(1211)가 청소포(90)를 따라 플레이트(110)의 중심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체(121)가 복원시, 단턱(1212)에 걸린 스토퍼(130)는 튕겨져 걸림이 해제되고, 경사면의 중심부에 다시 맞닿게 됨으로써, 청소포(90)가 분리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즉, 스토퍼(130)는 경사면인 연결면의 중심에 위치되어 접촉되거나, 회전체(121)의 회전에 의해 단턱(1212)에 걸려 회전체(12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에는 지지 스프링(135) 등이 연결되는 리브가 마련될 수 있는데, 리브는 지지 스프링(135)의 신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 스프링(135)이 신장되는 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지지 스프링(135)이 항시 회전체(121)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지지 스프링(135)이 연결된 플레이트(110)의 상부에는 개구부 또는 버튼이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개구부 또는 버튼을 통해 지지 스프링(135)을 중심방향으로 당겨서, 단턱(1212)으로부터 스토퍼(130)가 튕겨지도록 하여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청소포(90)를 직접 손으로 잡고 해체시킬 필요없이 분리할 수 있어 손 등이 청소포(90)에 묻은 이물질로 인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청소 장치(100)에 청소포(90)가 체결되기 위해 플레이트(110)의 상부로 감싸질 필요가 없고, 패드고정부(120)의 하측에 청소포(90)가 단순히 걸림되어 결합됨으로써 청소가 이루어지는 면적과 청소포의 면적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청소포(90)의 낭비가 방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청소포(90)에 플레이트(110)를 단순히 밀착시키는 동작으로 청소포(90)를 설치하거나 청소포를 당겨 플레이트(110)로부터 청소포(90)를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90: 청소포
100: 청소 장치
110: 플레이트 115: 밀대
120: 패드고정부 121: 회전체
1210: 힌지 1211: 돌기
1212: 단턱 122: 복귀 스프링
130: 스토퍼 135: 지지 스프링
110: 플레이트 115: 밀대
120: 패드고정부 121: 회전체
1210: 힌지 1211: 돌기
1212: 단턱 122: 복귀 스프링
130: 스토퍼 135: 지지 스프링
Claims (6)
- 청소포를 지지하며, 상부로 밀대가 설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청소포에 접촉시 회전되어 상기 청소포가 간섭되는 패드고정부; 및
상기 패드고정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고정부는,
상기 청소포의 일면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청소포가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회전체; 및
일단은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를 탄성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돌기와 이격되어 마련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단턱에 맞물려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 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가 상기 청소포와 걸림이 해제되는 상태에서, 상기 돌기와 상기 단턱은 상하부에 위치되되 수평선 상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어, 상기 돌기와 상기 단턱의 연결면이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경사면의 중심에 마련되어 접촉되거나,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단턱에 걸려 상기 회전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청소포와 걸림이 해제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청소포가 간섭되는 상태에서는 바닥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청소포가 간섭되는 상태에서 하단부가 평면을 이루거나 상단부에 대비하여 곡률반경이 큰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6793A KR102581392B1 (ko) | 2016-07-08 | 2016-07-08 | 청소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6793A KR102581392B1 (ko) | 2016-07-08 | 2016-07-08 | 청소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6105A true KR20180006105A (ko) | 2018-01-17 |
KR102581392B1 KR102581392B1 (ko) | 2023-09-21 |
Family
ID=6102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6793A KR102581392B1 (ko) | 2016-07-08 | 2016-07-08 | 청소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139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80089A (ko) * | 2005-01-04 | 2006-07-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
KR200424525Y1 (ko) * | 2006-06-01 | 2006-08-23 | 삼정크린마스터(주) |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 |
KR20150121416A (ko) * | 2014-04-21 | 2015-10-29 | 주종우 | 흡착식 청소포 밀대 |
-
2016
- 2016-07-08 KR KR1020160086793A patent/KR1025813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80089A (ko) * | 2005-01-04 | 2006-07-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청소기의 걸레착탈유니트 |
KR200424525Y1 (ko) * | 2006-06-01 | 2006-08-23 | 삼정크린마스터(주) |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 |
KR20150121416A (ko) * | 2014-04-21 | 2015-10-29 | 주종우 | 흡착식 청소포 밀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1392B1 (ko) | 2023-09-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20180249A1 (en) | Dust container and dust collector using the same | |
KR930008471Y1 (ko) | 걸레 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 |
KR200403071Y1 (ko) | 밀대 및 카트리지가 내장된 밀대걸레 | |
KR20150072971A (ko) | 바닥 청소가 용이한 밀대걸레 | |
US20180078109A1 (en) | Floor Cleaning Mop Apparatus | |
TW491762B (en) | Appendage for a robot | |
KR20160008647A (ko) |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 |
KR20150065366A (ko) | 탈부착이 용이한 청소용구 | |
KR101712941B1 (ko) | 저 중심 설계의 자루걸레 | |
JP5164832B2 (ja) | 布地掃除器 | |
KR20180006105A (ko) | 청소 장치 | |
KR101397864B1 (ko) | 탈착이 용이한 롤 브러시 고정형 청소기 | |
KR200487820Y1 (ko) | 청소 장치 | |
KR101988593B1 (ko) | 청소 장치 | |
KR100831619B1 (ko) | 로봇청소기 부직포 걸레 고정구조 | |
KR100883551B1 (ko) | 청소용 밀대걸레 | |
KR102192931B1 (ko) | 일회용 부직포 전용 청소패드 | |
KR101273838B1 (ko) | 청소기 | |
KR102534177B1 (ko) | 청소 장치 | |
KR100485319B1 (ko) | 면포걸레 청소기 | |
KR101877662B1 (ko) | 청소 장치 | |
KR102099959B1 (ko) | 밀대 청소기 | |
KR100536137B1 (ko) | 교체 사용이 용이한 청소기 | |
KR101937984B1 (ko) | 다기능 밀대형 청소도구 | |
KR101805707B1 (ko) | 봉 걸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