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651U - Coloring palette aid - Google Patents

Coloring palette a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651U
KR20180002651U KR2020170000762U KR20170000762U KR20180002651U KR 20180002651 U KR20180002651 U KR 20180002651U KR 2020170000762 U KR2020170000762 U KR 2020170000762U KR 20170000762 U KR20170000762 U KR 20170000762U KR 20180002651 U KR20180002651 U KR 201800026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ing
base board
line portion
drawing space
pal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76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1679Y1 (en
Inventor
정찬회
정정일
Original Assignee
정찬회
정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찬회, 정정일 filed Critical 정찬회
Priority to KR2020170000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79Y1/en
Publication of KR20180002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65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7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Toys (AREA)

Abstract

색칠 팔레트 교구가 개시된다. 색칠 팔레트 교구는, 베이스 보드와, 베이스 보드의 표면에 설정된 형상과 설정된 면적의 드로잉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라인부와, 라인부의 드로잉 공간에 도포되어 건조되며 수분 접촉에 의해 용해되어 색상이 표현되는 표시 도료를 포함한다.A coloring palette parish is disclosed. The coloring palette precursor includes a base board, a line portion formed to form a drawing space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a predetermined area on the surface of the baseboard, a line portion coated on the drawing space of the line portion, dried, Includes display paint.

Description

색칠 팔레트 교구{COLORING PALETTE AID}Coloring Palette Parish {COLORING PALETTE AID}

본 고안은 경화된 도료의 표면에 붓 등으로 수분을 공급하면 색상으로 표현되어 색칠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한 색칠 팔레트 교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ing palette parish that is capable of achieving a coloring effect when the surface of a cured paint is supplied with water by means of a brush or the like.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입학전의 어린이들은 여러 가지 학습수단을 사용하여 글자나 물품의 명칭들을 공부하게 되는데, 이러한 학습수단의 하나로 가격이 매우 저렴한 색칠 학습장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children before elementary school begin to study the names of letters and goods by using various learning methods. As one of these learning methods, color teaching books with very low prices are widely used and used.

이러한 색칠 학습장은 다수장의 페이지로 이루어져 노트 형태로 제본된 학습장으로 형성된다.Such a coloring book is formed of a book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ges and bound in a note form.

색칠 학습장은 각각의 페이지에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다양한 캐릭터, 도형, 물품 또는 그림이 채색되지 않은 상태로 인쇄되어 있다.The coloring workbook is printed on each page in various colors, shapes, articles, or pictures that the children like.

즉, 색칠 학습장은 캐릭터, 도형, 물품 또는 그림이 채색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캐릭터, 도형, 물품 또는 그림의 내측에는 채색 가능한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That is, the coloring learning area has a character, a figure, an item or a pi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picture is not colored, and a character, a figure, an article or a picture has a colorable space inside the picture.

전술한 종래 색칠 학습장은 채색 가능한 공간에 채색수단을 사용하여 채색을 하여 인쇄되어 있는 캐릭터, 도형, 물품 또는 그림을 완성시키도록 한다.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loring studying area colorizes using a coloring means in a colorable space to complete a printed character, figure, article, or picture.

따라서, 색체 학습장은 어린이들에게 지루함이 없이 채색되는 색상 및 인쇄된 각종 캐릭터, 도형, 물품 또는 그림의 명칭 등을 자연스럽고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color workbook enables children to learn the colors to be painted without boredom and the names of various printed characters, figures, articles or pictures in a natural and efficient manner.

또한 색칠 학습을 위해, 밑그림이 그려진 도화지에 각 영역별로 구분되게 색칠을 하는 것도 사용된다.Also, for coloring learning, it is also used to colorize each area separately on the drawing paper on which the sketch is drawn.

그러나 전술한 색칠 학습을 위한 색칠 학습장 또는 밑그림이 그려진 도화지 등은, 색칠 학습을 위한 다양한 색상의 물감과 팔레트 및 붓을 함께 사용하는 바, 색칠 학습을 위한 준비 과정이 필요하여 간편한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loring workbook for painting coloring or a drawing paper in which a sketch is drawn are used in combination with a palette and a brush of various colors for coloring learning, and a preparation process for coloring learning is required, have.

공개특허공보 10-2013-0062368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62368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색칠을 위한 물감 등을 구비하지 않고 색칠 학습이 가능한 색칠 팔레트 교구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or palette paradigm capable of coloring without having any paint or the like for coloring.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보드와, 베이스 보드의 표면에 설정된 형상과 설정된 면적의 드로잉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라인부와, 라인부의 드로잉 공간에 도포되어 건조되며 수분 접촉에 의해 용해되어 색상이 표현되는 표시 도료를 포함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board, a line portion formed to form a drawing space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a predetermined area on the surface of the base board, a line portion coated on the drawing space of the line portion, And the like.

라인부는 베이스 보드의 표면에서 가압력에 의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line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board by a pressing force.

드로잉 공간은 베이스 보드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drawing space may be formed in plurality on the base board.

베이스 보드의 표면은 드로잉 공간의 위치에서 가변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base board can be variably protruded from the position of the drawing space.

표시 도료는 복수개의 층으로 색상을 달리하여 드로잉 공간에 도포되어 건조될 수 있다.The display paint may be applied to the drawing space in a different color by a plurality of layers and dri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도료가 최초 상태에서 베이스 보드에 경화된 상태로 도포되고, 사용자가 붓 등의 소정의 수분을 공급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 도료의 표면에 수분을 공급하는 경우, 도료가 용해되어 색상이 발현되는 바, 색칠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paint is applied in a cured state to the base board in the initial state, and the user supplies water to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int using a means for supplying predetermined water such as a brush , The paint is dissolved and the color is expressed, so that the coloring action can be achieved.

따라서, 본 실시예의 색칠 팔레트 교구는 색상을 칠하는 물감 등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붓 등을 이용하여 표시 도료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만으로 색칠 작용이 이루어지는 바, 색칠 학습이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coloring palette precursor of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coloring only by supplying water to the display paint using a brush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the coloring paints are not provided, so that the coloring learning is simple and effectiv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색칠 팔레트 교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색칠 팔레트 교구의 라인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색칠 팔레트 교구의 색상이 표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색칠 팔레트 교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색칠 팔레트 교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색칠 팔레트 교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색칠 팔레트 교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loring pallet paris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line portions of the coloring palette precursor of FIG. 1 are form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lor palette parish shown in FIG. 1 in a hu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loring palette parish of Figure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loring palette parabol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loring palette parabola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loring palette refere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색칠 팔레트 교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색칠 팔레트 교구의 라인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색칠 팔레트 교구의 색상이 표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색칠 팔레트 교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loring pallet paris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ne portion of the coloring pallet parchment of FIG. 1 is forme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loring palette parish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loring palette of FIG.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색칠 팔레트 교구(100)는, 베이스 보드(10)와, 베이스 보드(10)의 표면에 설정된 형상과 설정된 면적의 드로잉 공간(21)을 형성하도록 도포되는 라인부(20)와, 라인부(20)의 드로잉 공간(21)에 도포되어 건조되며 수분 접촉에 의해 용해되어 색상이 표현되는 표시 도료(30)를 포함한다.1 to 4, a coloring palette precursor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board 10, a drawing unit 20 for drawing a shape set on the surface of the base board 10, A line portion 20 applied to form a space 21 and a display paint 30 applied to the drawing space 21 of the line portion 20 and dried and dissolved by water contact to express a color .

베이스 보드(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베이스 보드(10)는 다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장자리의 일부분 또는 가장자리의 전체 둘레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base board 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to have a polygonal plane such as a square or a rectangle. Of course, the base board 1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polygonal planar shape, and a portion of the edge or an entire periphery of the edge may be rounded.

베이스 보드(10)는 표면이 편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표면의 일부분이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베이스 보드(10)의 표면의 일부분이 돌출되는 경우는 베이스 보드(10)에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구현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The base board 10 is illustratively described in which the surface is formed as a flat surfa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base board 10 is protruded. In the case where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base board 10 protrudes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base board 10 is three-dimensionally implemented.

이러한 베이스 보드(10)의 표면에는 라인부(20)가 형성된다.On the surface of the base board 10, a line portion 20 is formed.

라인부(20)는 베이스 보드(10)의 표면에 기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베이스 보드(10)의 표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종류 또는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과 길이 또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ine portion 2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surface of the base board 10 and is formed to have various shapes and lengths or sizes corresponding to the type or siz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board 10 .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라인부(20)는, 베이스 보드(10)의 표면에 설정된 형상과 설정된 면적의 드로잉 공간(21)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ine portion 20 may be formed to form a drawing space 2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surface of the base board 10. [

즉, 라인부(20)는 베이스 보드(10)의 표면에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인부(20)가 폐곡선을 이루는 것은 폐곡선의 내부에 이미지를 표현하는 드로잉 공간(21)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the line unit 20 may be formed to have a closed curve in various shapes such as elliptical or polygonal on the surface of the base board 10. As described above, the line part 20 forms a closed curve to form a drawing space 21 that represents an image inside the closed curve.

물론, 라인부(20)는 폐곡선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폐곡선의 일부분이 개방되거나 복수개의 라인이 일방향 또는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line portion 2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closed curve,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a part of the closed curve is open or a plurality of lines are formed in various directions in one direction o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ines intersect with each other.

라인부(20)는 단일 색상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색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라인부(20)에 의해 형성된 드로잉 공간(21)에는 표시 도료(30)가 도포된다.The line portions 20 may be formed in a single color or at least two or more colors with different colors along the length direction. A display paint 30 is applied to the drawing space 21 formed by the line portion 20.

표시 도료(30)는 라인부(20)에 의해 형성된 드로잉 공간(21)의 전체에 단일 색상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색상이 혼합 또는 분리 표현되도록 드로잉 공간(21)에 도포될 수 있다.The display paint 30 can be applied to the drawing space 21 such that a single color or at least two or more colors are mixed or separated on the entire drawing space 21 formed by the line portion 20. [

이러한 표시 도료(30)는 드로잉 공간(21)에 설정된 두께 이상으로 도포된 상태에서 경화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paint 30 may be formed in a state of being cured in a state where it is coated in a thickness more than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drawing space 21. [

이와 같이, 표시 도료(30)가 드로잉 공간(21)에 도포된 상태로 경화되는 것은, 사용자가 붓 등의 터치 가능한 수단을 이용하여 경화된 표시 도료(30)에 수분을 접촉시키는 경우, 드로잉 공간(21)의 내부에 색상이 표현되면서 색칠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ason why the display paint 30 is cured in the state of being applied to the drawing space 21 is that when the user touches the cured display paint 30 with moisture by using a touchable means such as a brush, The color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ile the color is expressed in the interior of the display panel 21.

즉, 표시 도료(30)는 경화된 상태에서 어린이 등의 사용자가 붓을 이용하여 물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경화된 표시 도료(30)가 풀어져 소정의 색상이 발현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display paint 30 is in a cured state, a user such as a child touches the water using a brush, whereby the cured display paint 30 can be released and a predetermined color can be expressed.

따라서, 표시 도료(30)는 수분이 접촉되는 위치에 한정되어 색상이 발현되어 부분적으로 색칠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표시 도료(30)의 전체에 수분이 공급되어 전체적인 색칠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refore, the display paint 30 is limi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moisture is in contact, so that the color can be expressed and the paint coloring can be partially performed, and the entire painting coloring action can be performed by supplying water to the entire display paint 30 .

이와 같이, 표시 도료(30)는 최초 상태에서 베이스 보드(10)에 경화된 상태로 도포되고, 사용자가 붓 등의 소정의 수분을 공급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 도료(30)의 표면에 수분을 공급하는 경우 도료가 용해되어 색상이 발현되는 바, 색칠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paint 30 is applied in a cured state to the base board 10 in the initial state, and the user applies moisture to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int 30 using a means for supplying predetermined water such as a brush When supplied, the paint dissolves and the color develops, so that the color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따라서, 본 실시예의 색칠 팔레트 교구(100)는 색상을 칠하는 물감 등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붓 등을 이용하여 표시 도료(30)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만으로 색칠 작용이 이루어지는 바, 색칠 학습이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coloring palette refracto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coloring only by supplying moisture to the display paint 30 using a brush or the like in the state where the paints or the like for coloring are not provided. It is easy and effective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색칠 팔레트 교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loring palette parabol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4 denote the same or similar members of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색칠 팔레트 교구의 표시 도료(130)는 드로잉 공간(21)에 복수개의 층으로 도포되어 경화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isplay paint 130 of the coloring palette precurs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s a plurality of layers to the drawing space 21 and cured.

표시 도료(130)는 본 실시예에서 색상을 달리하면서 복수개의 층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도료(130)가 색상을 달리하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층으로 도포되는 바, 수분의 공급에 따라 혼합된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The display paint 130 may be applied in a plurality of layers with different colors in this embodiment. In this way, the display paint 130 is coated with at least two layers with different colors, and can be expressed in mixed colors according to the supply of water.

이와 같이, 표시 도료(130)는 수분의 공급량에 따라 표현되는 색상이 다양하게 표현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paint 130 can display various colors in accordance with the supplied amount of water, thereby improving the user's satisfac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색칠 팔레트 교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loring palette parabola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5 denote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색칠 팔레트 교구의 라인부(220)는 베이스 보드(10)의 표면에서 가압력에 의해 돌출된다.As shown in Fig. 6, the line portion 220 of the coloring palette precurs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truded by a pressing force at the surface of the base board 10.

라인부(220)는 베이스 보드(10)의 일부분이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line portion 220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part of the base board 10 by a pressing force.

즉, 라인부(220)는 베이스 보드(10)의 일부분이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형태로 형성되는 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베이스 보드(10)의 표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색칠 팔레트 교구는 입체 형상의 구현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That is, the line unit 220 is formed in a flexible form in which a part of the base board 10 is deformable, and may protrude outside the surface of the base board 1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alize a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color palett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by improving the user's satisfac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색칠 팔레트 교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loring palette refere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to 6 denote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색칠 팔레트 교구의 드로잉 공간(321)은 베이스 보드(310)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베이스 보드(310)의 표면은 드로잉 공간(321)의 위치에서 가변적으로 돌출된다.7, the drawing space 321 of the coloring palette precurs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baseboard 310 in a plurality, and the surface of the baseboard 310 is formed in the drawing space 321 ). ≪ / RTI >

즉, 베이스 보드(310)는 드로잉 공간의 일부분이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형태로 형성되는 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베이스 보드(310)의 표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색칠 팔레트 교구는 입체 형상의 구현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That is, a part of the drawing space of the base board 310 is formed in a deformable flexible form, and may protrude outside the surface of the base board 31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alize a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color palett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by improving the user's satisfaction.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course.

10, 310...베이스 보드 20, 220...라인부
21, 321...드로잉 공간 30...표시 도료
10, 310 ... base board 20, 220 ... line portion
21, 321 ... Drawing space 30 ... Display paint

Claims (4)

베이스 보드;
상기 베이스 보드의 표면에 설정된 형상과 설정된 면적의 드로잉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라인부; 및
상기 라인부의 상기 드로잉 공간에 도포되어 건조되며, 수분 접촉에 의해 용해되어 색상이 표현되는 표시 도료;
를 포함하는 색칠 팔레트 교구.
Baseboard;
A line portion formed on a surface of the base board to form a drawing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 predetermined area; And
A display coating material applied to the drawing space of the line portion, dried, and dissolved by water contact to express a color;
A coloring palette parish contai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부는 상기 베이스 보드의 표면에서 가압력에 의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색칠 팔레트 교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ne portion is protruded by a pressing force from a surface of the base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공간은 상기 베이스 보드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보드의 표면은 상기 드로잉 공간의 위치에서 가변적으로 돌출되는 색칠 팔레트 교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awing space is formed on the base board in a plurality, and a surface of the base board is variably protruded from a position of the drawing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도료는 복수개의 층으로 색상을 달리하여 상기 드로잉 공간에 도포되어 건조되는 색칠 팔레트 교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paint is applied to the drawing space in a different color by a plurality of layers and dried.
KR2020170000762U 2017-02-14 2017-02-14 Coloring palette aid KR2004916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762U KR200491679Y1 (en) 2017-02-14 2017-02-14 Coloring palette a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762U KR200491679Y1 (en) 2017-02-14 2017-02-14 Coloring palette a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51U true KR20180002651U (en) 2018-09-06
KR200491679Y1 KR200491679Y1 (en) 2020-06-03

Family

ID=6358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762U KR200491679Y1 (en) 2017-02-14 2017-02-14 Coloring palette a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7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498B1 (en) * 2018-11-14 2019-07-04 조남지 A Solid Painting Figure For Art Therap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041B1 (en) * 2021-04-27 2021-11-04 주식회사 꿈꾸는사람들 Coloring teaching equip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326U (en) * 1996-09-30 1997-05-16 ショウワグリム株式会社 Coloring page
JP3125672U (en) * 2006-07-14 2006-09-28 荘八 小杉 Three-dimensional coloring plate and three-dimensional coloring plate
KR20130062368A (en) 2003-11-05 2013-06-12 인터내셔널 인스티튜트 오브 캔서 이무놀로지 인코퍼레이티드 Wt1-origin hla-dr-binding antigen peptide
JP3205908U (en) * 2016-06-09 2016-08-18 株式会社エンスカイ Coloring boo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672B2 (en) * 1996-01-26 2001-01-22 日本電気株式会社 Digital filter
JP3037326B1 (en) * 1999-03-09 2000-04-24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Portable radi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326U (en) * 1996-09-30 1997-05-16 ショウワグリム株式会社 Coloring page
KR20130062368A (en) 2003-11-05 2013-06-12 인터내셔널 인스티튜트 오브 캔서 이무놀로지 인코퍼레이티드 Wt1-origin hla-dr-binding antigen peptide
JP3125672U (en) * 2006-07-14 2006-09-28 荘八 小杉 Three-dimensional coloring plate and three-dimensional coloring plate
JP3205908U (en) * 2016-06-09 2016-08-18 株式会社エンスカイ Coloring boo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498B1 (en) * 2018-11-14 2019-07-04 조남지 A Solid Painting Figure For Art 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679Y1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hen Harold cohen and AARON
KR20180002651U (en) Coloring palette aid
RU139562U1 (en) CHILDREN'S COLORING FROM POLYMERIC MATERIAL
KR20080091316A (en) Music teaching system
KR200417905Y1 (en) Sticker for mosaic
US3040447A (en) Painting by numbers device
KR200260820Y1 (en) A Teaching Material for Painting
JP3209245U (en) Sleeve case for art supplies
KR101224478B1 (en) A box with sketch surface part
KR200468632Y1 (en) Scratch Board
JP3240404U (en) Decorative sheet for electronic mobile terminals
CN220750089U (en) Teaching aid
KR200392924Y1 (en) Sketchbook
KR20160002317U (en) Sticker book
KR200207296Y1 (en) A fan for advertisement
KR200168137Y1 (en) Scetch book
Romano et al. The Art of
KR20220073930A (en) folding box
KR200159926Y1 (en) Training card
JP3154320U (en) Construction sample body interior
Bryant Embrace art in the classroom discover art is not scary become capable and confident
Moreno World of Art
JP3168987U (en) Coloring book toy set
Morrow Off the Wall: A Brief Report
KR200413802Y1 (en) the compiler where the white board is had 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687;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68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03

Effective date: 202001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