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412U -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412U
KR20180002412U KR2020170000553U KR20170000553U KR20180002412U KR 20180002412 U KR20180002412 U KR 20180002412U KR 2020170000553 U KR2020170000553 U KR 2020170000553U KR 20170000553 U KR20170000553 U KR 20170000553U KR 20180002412 U KR20180002412 U KR 201800024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lamp member
engaging
clamp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웅
Original Assignee
박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웅 filed Critical 박한웅
Priority to KR2020170000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412U/ko
Priority to CN201720459010.0U priority patent/CN206753054U/zh
Publication of KR20180002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4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다른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는 금속재로써 굽혀져 형성되며 내부에 결합개구가 형성되는 제 1 클램프부재와, 상기 제 1 클램프부재에 대면하여 배치되며 내부에 결합개구가 형성되는 제 2 클램프부재와, 상기 제 1 클램프부재의 결합개구와 제 2 클램프부재의 결합개구에 삽입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클램프부재와 제 2 클램프부재와 결합부재는 금속 판재를 절단 가공하여 형성됨으로써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를 금속 판재를 절단 가공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클램프를 금속 판재로 형성하면서도 양호한 결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조작에 의해서도 체결이 가능하고, 거푸집 패널에 강력한 체결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CLAMP FOR CLAMPING FORMWORKS}
본 고안은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판재를 절단 가공하여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으면서도 양도한 결합 강도 확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에 관한 고안이다.
콘크리트 구조의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 콘크리트 내부에 보강재로 사용되는 철근 또는 철골을 제작한 후, 외부를 거푸집으로 감싼 다음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을 완성한다.
이때, 사용되는 거푸집 패널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물로서, 합판, 경질섬유 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패널, 강판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특히, 거푸집 패널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인접하는 면은 합판 기타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며, 콘크리트와 인접하지 않는 면은 철제 기타 금속으로 된 보강 리브를 추가하여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면압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강도를 확보하도록 제작된다.
하지만 이러한 거푸집은,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면압에 의하여 거푸집 상호 간의 연결 부위가 어긋남에 따라 원하는 형태의 구조물을 축조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 패널을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클램프가 널리 사용된다.
상기 클램프는 거푸집 패널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어야 하며, 거푸집 설치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 및 해제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 클램프들은 요구되는 소정의 클램핑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각 구성들이 대부분 주물 방식에 의한 일체형으로 제작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제조 공정을 번거롭게 하고, 또한 클램프 제조 단가 상승 및 무게 증가의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금속 판재를 절단 가공하여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양호한 결합 강도 확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한 조작에 의해서도 체결이 가능하고, 강력한 체결력을 발휘함으로써 고정대상물로부터 용이하게 탈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다른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는 금속재로써 굽혀져 형성되며 내부에 결합개구가 형성되는 제 1 클램프부재와, 상기 제 1 클램프부재에 대면하여 배치되며 내부에 결합개구가 형성되는 제 2 클램프부재와, 상기 제 1 클램프부재의 결합개구와 제 2 클램프부재의 결합개구에 삽입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클램프부재와 제 2 클램프부재와 결합부재는 금속 판재를 절단 가공하여 형성됨으로써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클램프부재는 제 1 가압부와 제 2 가압부가 대면하여 형성됨으로써, 측단면 상 "U"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단부를 가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해,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를 금속 판재를 절단 가공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를 금속 판재로 형성하면서도 양호한 결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조작에 의해서도 체결이 가능하고, 거푸집 패널에 강력한 체결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클램프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클램프에 포함되는 제 1 클램프부재의 정면도(a)와 측면도(b)이며,
도 4 은 상기 클램프에 포함되는 제 2 클램프부재의 정면도(a)와 저면도(b)이며,
도 5 는 상기 클램프에 포함되는 결합부재의 정면도(a)와 측면도(b)이며,
도 6 은 상기 클램프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클램프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클램프에 포함되는 제 1 클램프부재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4 은 상기 클램프에 포함되는 제 2 클램프부재의 정면도와 저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클램프에 포함되는 결합부재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클램프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6 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다른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는 금속재로써 굽혀져 형성되며 내부에 결합개구(8)가 형성되는 제 1 클램프부재(10)와,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에 대면하여 배치되며 내부에 결합개구(28)가 형성되는 제 2 클램프부재(20)와,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의 결합개구(8)와 제 2 클램프부재(20)의 결합개구(28)에 삽입되는 결합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와 제 2 클램프부재(20)와 결합부재(30)는 금속 판재를 절단 가공하여 형성됨으로써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는 소정 두께의 금속재 강판을 절단하여 제 1 몸체부(2)와 제 2 몸체부(4)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두 몸체부(2, 4)들이 대면하도록 굽혀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면 상 대략 "U"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몸체부(2)와 제 2 몸체부(4)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압부들(3, 5)들은 상기 몸체부(2,4)들로부터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클램프가 거푸집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가압부들(3, 5)들이 거푸집에 강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들(2, 4) 전체가 아니라 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는 상기 가압부들(3, 5)이 거푸집 패널의 표면에 접촉되어 보다 큰 면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가 거푸집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미끄러져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에 대응되는 구성은 강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도록 주로 주물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었는데, 본고안에서는 금속 판재를 절단하여 형성되는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가 강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가압부(3)와 제 2 가압부(5)의 한 쌍의 가압부들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금속 판재를 절단하여 구부려 형성되므로,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에서 상기 제 1 몸체부(2)와 제 2 몸체부(4) 및 상기 두 몸체부(2, 4)들이 연결되는 기저부(12)는 모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기저부(12)에는 상기 결합부재(30)의 삽입 결합을 위한 결합개구(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부(2)와 제 2 몸체부(4) 사이에는 연결부(6)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6)는 상기 제 1 몸체부(2) 및 제 2 몸체부(4)에 용접 고정된다.
즉, 상기 제 1 몸체부(2)와 제 2 몸체부(4)에 상기 연결부(6)가 삽입 배치될 수 있는 개구를 천공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에 상기 연결부(6)를 삽입하고 용접함으로써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제 1 몸체부(2)와 제 2 몸체부(4)가 마치 일체로써 압력을 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클램프부재(20) 역시 소정 두께의 금속재 강판을 절단하여 형성되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상 일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클램프부재(20)에도 가압부(26)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가 거푸집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가압부(26)가 거푸집에 강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상기 제 2 클램프부재(10)에 대응되는 구성은 역시 강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도록 주로 주물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었는데, 본고안에서는 금속 판재를 절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2 클램프부재(20)가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의 양측 몸체부들(2, 4) 사이로 삽입되어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양측 몸체부들(2, 4)에 의해 상기 제 2 클램프부재(20)의 비틀림 변형이 방지되어, 강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클램프부재(20)의 기저부(22)에도 상기 결합부재(30)의 삽입 결합을 위한 결합개구(28)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30) 역시 금속 판재를 절단하여 형성되며, 따라서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단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쐐기부(32)와, 상기 쐐기부(32)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34)에는 돌출부(36)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30)가 상기 결합개구들(8, 2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애초, 상기 결합부재(30)가 금속 판재를 절단하여 형성된 상태에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부(34)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돌출부(36)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탈방지부(34)에서 상기 돌출부(36)가 형성되는 부분이 변형되어 상기 돌출부(36)가 형성되므로, 상기 돌출부(36)의 반대편에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의 두 몸체부들(2, 4) 사이로 상기 제 2 클램프부재(20)가 삽입되고,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의 결합개구(8)와 제 2 클램프부재(20)의 결합개구(28)가 일치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돌출부(36)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의 결합부재(30)가 상기 결합개구(8, 28)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부재(30)가 결합개구(8, 28)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탈방지부(34)를 프레스 내에 배치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돌출부(36)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결합개구(8, 28) 내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36)에 의해 결합부재(30)가 상기 결합개구(8, 28)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도 6 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제 1 클램프부재(10)와 제 2 클램프부재(20) 및 결합부재(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클램핑하고자 하는 거푸집 패널들(미도시)을 중심에 두고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와 제 2 클램프부재(20)가 대면 배치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이탈방지부(34) 반대편의 결합부재(30) 단부를 망치로 타격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30)의 쐐기부(32) 표면(32-1)이 상기 제 2 클램프부재(20)의 결합개구(28) 측벽(28-1)과 간섭되어, 상기 제 2 클램프부재(20)를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쐐기부(32)의 폭이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 결합개구(8)의 폭과 동일해지는 위치까지 상기 결합부재(30)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30)의 쐐기부(32-1) 표면이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의 결합개구(8) 측벽(8-1)과 맞닿아 끼이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의 제 1, 2 가압부(3, 5)와 제 2 클램프부재(20)의 가압부(26)에 의해 거푸집 패널이 강하게 클램핑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클램프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탈방지부(34) 부분의 결합부재(30) 단부를 망치로 타격하여, 상기 결합부재(30)를 상기 결합개구(8, 28)들로부터 인출시킨다.
그리하면, 상기 쐐기부(32-1)의 표면과 제 1 클램프부재(10)의 결합개구(8) 측벽(8-1) 간의 밀착이 해제되고, 상기 제 2 클램프부재(20)는 상기 제 1 클램프부재(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다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이탈방지부(34)에 형성된 돌출부(36)에 의해 상기 결합개구들(8, 28)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를 거푸집 패널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2, 4: 몸체부
3, 5: 가압부
8: 결합개구
10: 제 1 클램프부재
12: 기저부
20: 제 2 클램프부재
22: 기저부
26: 가압부
28: 결합개구
30: 결합부재
32: 쐐기부
34: 이탈방지부

Claims (4)

  1. 금속재로써 굽혀져 형성되며 내부에 결합개구가 형성되는 제 1 클램프부재와;
    상기 제 1 클램프부재에 대면하여 배치되며 내부에 결합개구가 형성되는 제 2 클램프부재와;
    상기 제 1 클램프부재의 결합개구와 제 2 클램프부재의 결합개구에 삽입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클램프부재와 제 2 클램프부재와 결합부재는 금속 판재를 절단 가공하여 형성됨으로써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램프부재는 제 1 가압부와 제 2 가압부가 대면하여 형성됨으로써, 측단면 상 "U"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단부를 가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
KR2020170000553U 2017-02-01 2017-02-01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 KR20180002412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553U KR20180002412U (ko) 2017-02-01 2017-02-01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
CN201720459010.0U CN206753054U (zh) 2017-02-01 2017-04-25 建筑模板用锁扣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553U KR20180002412U (ko) 2017-02-01 2017-02-01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412U true KR20180002412U (ko) 2018-08-09

Family

ID=6061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553U KR20180002412U (ko) 2017-02-01 2017-02-01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02412U (ko)
CN (1) CN2067530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6873A (zh) * 2020-05-29 2020-08-25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方通扣以及紧固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0639A (zh) * 2019-06-17 2019-08-16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标准模板与木模板的连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6873A (zh) * 2020-05-29 2020-08-25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方通扣以及紧固方法
CN111576873B (zh) * 2020-05-29 2024-05-17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方通扣以及紧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753054U (zh)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82920C (en) A connection clamp of buidling formwork
KR101494879B1 (ko) 거푸집용 체결수단
KR101966226B1 (ko) 거푸집 패널 벽체
KR20180002412U (ko) 거푸집 패널 결합용 클램프
KR101824861B1 (ko) 결합구조가 향상된 거푸집
WO2009064157A2 (en) Improvements to formwork panel and accessory
KR101617608B1 (ko) 덱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286101Y1 (ko) 철근 연결장치
KR100844524B1 (ko) 벽체 끝단용 거푸집에 설치되는 클램핑 장치
KR20140058076A (ko) 신구콘크리트 연결 시공방법
KR102197816B1 (ko) 늑근고정브라켓을 구비한 보 거푸집
KR101360360B1 (ko) 간격유지부재의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100440066B1 (ko)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KR100620256B1 (ko) 거푸집용 세퍼타이의 제조방법
KR200442723Y1 (ko) 키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KR101830348B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조 받침목의 브래킷
KR20160026923A (ko) 데크플레이트의 연결구조
JP6715111B2 (ja) 型枠構造、および構造体の構築方法
KR20180072266A (ko) 거푸집 지지용 클램프 유닛
KR200213293Y1 (ko) 거푸집 타이바아
KR102543283B1 (ko) 거푸집 패널 지지용 클램프 유닛
KR200394623Y1 (ko) 유로폼 보강재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
KR102048577B1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JP2017002510A (ja) 棒状部材の連結具
KR100976632B1 (ko) 철근이음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