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237U - 발광봉 - Google Patents

발광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237U
KR20180002237U KR2020170000254U KR20170000254U KR20180002237U KR 20180002237 U KR20180002237 U KR 20180002237U KR 2020170000254 U KR2020170000254 U KR 2020170000254U KR 20170000254 U KR20170000254 U KR 20170000254U KR 20180002237 U KR20180002237 U KR 201800022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ipe
emitting pipe
ca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121Y1 (ko
Inventor
양승현
Original Assignee
탐라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탐라엔씨(주) filed Critical 탐라엔씨(주)
Priority to KR2020170000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2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2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2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10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5Outdoor lighting of arena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6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theatres, stages or film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발광봉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봉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는 발광 파이프; 발광 파이프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캡; 발광 파이프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캡; 및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 내에서 외부 하우징과 이격배치되되 발광용 램프가 결합되는 내부 하우징을 구비하며, 발광용 램프를 통해 발광 파이프 쪽으로 광(光)을 제공하되 하부 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광용 모듈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봉{A light emitting bar}
본 고안은, 발광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 파이프에 대한 캡의 착탈 결합구조를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발광봉에 관한 것이다.
발광봉은 타인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경우, 행군 또는 행렬에서 지휘봉으로 사용하는 경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발광봉이 야간경기나 콘서트 관람 시 응원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잦다. 따라서 응원에 적합한 형태로 발광봉이 제작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발광봉은 별도의 분리막이 형성된 통 형상의 튜브 내에 각기 다른 물질 즉, 일측에는 플루오레세인, 나트륨 약산성 수용액을 장입하고, 타측에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장입하여, 사용할 때에는 중간부위에 형성된 분리막이 터질 수 있도록 튜브의 중심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구부리면 튜브의 내부에 형성된 막이 파열되어 화학물질이 서로 섞이면서 발광을 하게 된다.
이러한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야광물질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봉은 광도가 낮으며, 그 사용시간이 약 2~3시간 정도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발광봉을 사용하지 않고 오랜 시간을 방치하였거나 습기에 노출된 경우에는 광도가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야광물질은 환경오염물질이므로 사용하고 난 후에 폐기물처리를 하지 않고 버리게 되면 환경오염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는 램프로서 LED 램프를 적용한 발광봉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09905호(선행기술 1),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21291호(선행기술 2) 등에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의 경우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발광 파이프에 LED 램프로부터의 빛을 조사하여 발광 파이프를 통해 빛이 퍼지는 현상을 이용해서 야간 응원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인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발광봉들은 단지 발광 파이프를 발광시키는 구조라서 발광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야간 응원의 재미가 반감될 수 있다.
예컨대, 야간 응원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서는 발광 파이프 내에 별도의 난반사용 발광시트를 추가로 삽입해서 난반사용 발광시트로 하여금 난반사 효율을 높이도록 하여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만약,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려면 발광 파이프의 단부에 캡을 설치하고 캡이 자유롭게 착탈되면서도 평상 시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할 것인데, 현재까지는 캡의 조착탈 결합구조가 그리 효율적이지 못하여 전술한 기술을 구현시킬 수 없다는 점에서 아직까지 개시된 바 없는 새로운 구조의 발광봉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09905호 선행기술 2 ;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21291호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광 파이프에 대한 캡의 착탈 결합구조를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발광 파이프 내에 난반사용 발광시트를 추가로 삽입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발광 조합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광효율을 높여 야간 응원의 재미와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한 발광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는 발광 파이프; 상기 발광 파이프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캡; 상기 발광 파이프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캡; 및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서 상기 외부 하우징과 이격배치되되 발광용 램프가 결합되는 내부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용 램프를 통해 상기 발광 파이프 쪽으로 광(光)을 제공하되 상기 하부 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광용 모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광 파이프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상부 캡이 결합될 때, 상기 상부 캡의 임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한 쌍의 상부 로킹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캡은, 상부 캡 바디; 및 상기 상부 캡 바디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상부 캡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파이프의 상단부를 지지하되 상호간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상단부 지지용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캡은, 상기 상부 캡 바디의 내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발광 파이프의 상단부에 대한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상단부 삽입깊이 제한턱; 및 상기 발광 파이프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로킹홀과 선택적으로 로킹 또는 로킹해제되는 한 쌍의 상부 로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파이프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하부 캡이 결합될 때, 상기 하부 캡의 임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한 쌍의 하부 로킹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캡은, 하부 캡 바디; 및 상기 하부 캡 바디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하부 캡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 파이프의 하단부를 지지하되 상호간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발광 파이프의 하부 영역에 대한 눌림을 저지시키는 눌림 저지용 하단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캡은, 상기 하부 캡 바디의 내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발광 파이프의 하단부에 대한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하단부 삽입깊이 제한턱; 및 상기 발광 파이프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로킹홀과 선택적으로 로킹 또는 로킹해제되는 한 쌍의 하부 로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캡은, 상기 발광용 모듈유닛의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의 공간을 통해 삽입되는 하우징 삽입부; 및 상기 하우징 삽입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삽입부가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내에 삽입된 때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어 강도를 보강시키는 한 쌍의 강도 보강용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캡은, 상기 하우징 삽입부의 내벽에 마련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벽에 형성되는 결합용 레일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발광용 모듈유닛이 상기 하부 캡과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파이프는 발광 면적의 증대를 위해 타원형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파이프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되 상기 발광용 모듈유닛으로부터의 광을 난반사시키는 난반사용 발광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파이프의 내벽에는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되되 상기 난반사용 발광시트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면서 거치되는 거치홈을 구비하는 거치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발광 파이프에 대한 캡의 착탈 결합구조를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발광 파이프 내에 난반사용 발광시트를 추가로 삽입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발광 조합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광효율을 높여 야간 응원의 재미와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1 및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발광 파이프와 상부 캡 간의 배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하부 캡의 측면도,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8d는 도 8c를 좀 더 눕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적용된 발광 파이프와 하부 캡 간의 배치 사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1 및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발광 파이프와 상부 캡 간의 배치 사시도이며,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하부 캡의 측면도,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8d는 도 8c를 좀 더 눕혀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봉(100)은 발광 파이프(110)에 대한 캡(120,130)의 착탈 결합구조를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발광 파이프(110)와, 발광 파이프(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캡(120,130)과, 하부 캡(13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광용 모듈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파이프(110)의 설명에 앞서 발광용 모듈유닛(140)에 대해 먼저 알아본다. 발광용 모듈유닛(140)은 일종의 플래시(flash)로서, 발광 파이프(110) 쪽으로 광(光)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발광용 모듈유닛(140)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141)과, 외부 하우징(141) 내에서 외부 하우징(141)과 이격배치되는 내부 하우징(142)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42)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내부 하우징(142)의 상단부에는 발광 파이프(110) 쪽으로 광(光)을 제공하는 발광용 램프(144)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용 램프(144)는 저전력이면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LED로 적용된다. 하지만, 일반 램프의 적용도 가능하다.
내부 하우징(142)의 외벽에는 하부 캡(130)에 형성되는 결합용 돌기(136)가 가이드되는 결합용 레일(143)이 형성된다. 결합용 레일(143)은 내부 하우징(142)의 외벽에 한 쌍으로 대칭 배치된다. 결합용 돌기(136)와 결합용 레일(143)은 발광용 모듈유닛(140)과 하부 캡(130)을 결합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41)은 발광용 모듈유닛(14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손잡이의 역할을 담당한다. 사용자는 외부 하우징(141)을 파지한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봉(100)을 흔들면서 응원을 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41)에는 발광용 램프(144)의 온/오프(on/off) 구동을 위한 온/오프 구동 스위치(145)가 마련된다. 온/오프 구동 스위치(145)에는 조작의 편의를 위한 스위치 돌기(145a)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손바닥과 4개의 손가락으로 외부 하우징(141)을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온/오프 구동 스위치(145)를 올리면 발광용 램프(144)가 온(on)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된다. 하지만, 반대의 구조도 가능하다. 즉 온/오프 구동 스위치(145)를 올릴 때 오프(off)되는 구조도 충분히 가능하다.
외부 하우징(141) 내에는 발광용 램프(144)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마련되며, 외부 하우징(141)의 단부에는 배터리의 교체를 위한 배터리 캡(146)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터리 캡(146)은 나사 방식으로 외부 하우징(141)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하우징(141)의 단부에는 나사부(147)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147)는 배터리 캡(146) 내의 나사부(146a)와 상호 작용된다.
배터리 캡(146)에 이웃된 외부 하우징(141)의 측벽에는 후크식 고리(149)가 마련된다. 후크식 고리(149)는 목걸이줄 등을 매달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발광 파이프(110)는 발광용 모듈유닛(140)의 작용 시 빛이 발광되는 부분이다. 발광 파이프(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발광 파이프(110)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발광용 모듈유닛(140) 측의 발광용 램프(144)가 온(on)되면 발광용 램프(144)로부터의 광(光)이 발광 파이프(110) 내로 향하여 발광 파이프(110)의 측벽을 통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따라서 야간 응원의 재미를 높이기에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 파이프(110)는 타원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발광 파이프(110)가 타원형의 단면 구조를 가질 경우, 원형의 단면 구조에 비해 발광 면적이 증대될 수 있어서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야간 응원의 재미와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처럼 발광 파이프(110)가 타원형의 단면 구조로 제작되면 표현을 자유롭게 하기에 상당히 유리하다. 예컨대, 발광 파이프(110) 자체만으로 야간 응원을 할 수도 있지만 도 4 및 도 5처럼 발광 파이프(110) 내에 별도의 난반사용 발광시트(150)를 배치하여 발광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다.
난반사용 발광시트(150)는 발광 파이프(110)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되 발광용 모듈유닛(140)으로부터의 광을 난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처럼 난반사용 발광시트(150)가 발광 파이프(110) 내에 마련되면 발광용 램프(144)로부터의 광이 난반사용 발광시트(150)에 부딪혀 난반사된 후, 다시 발광 파이프(110)의 측벽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기 때문에 발광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물론, 난반사용 발광시트(150)가 발광 파이프(110) 내에 반드시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러한 사항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난반사용 발광시트(150)에 예컨대 응원대상의 팀(team)이나 연예인 사진을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인쇄하여 패턴(pattern)화시키는 경우, 발광 시 해당 패턴이 밝게 빛나기 때문에 야간 응원의 재미와 즐거움이 더더욱 배가될 수 있다.
참고로, 발광 파이프(110)와 난반사용 발광시트(150) 모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도 1 내지 도 3의 그림에서 난반사용 발광시트(150)가 보일 수 있으나 도면의 편의상 난반사용 발광시트(150)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난반사용 발광시트(150)는 타원형 단면 구조의 발광 파이프(110) 내에 그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발광 파이프(110) 내에 별도의 거치구조를 구현시킴으로써 난반사용 발광시트(150)가 흔들리지 않고 제자리에 잘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즉 발광 파이프(110)의 내벽에는 난반사용 발광시트(150)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면서 거치되는 거치홈(115)을 구비하는 거치대(114)가 마련된다. 거치대(114)는 발광 파이프(110)의 내벽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발광 파이프(110)의 내벽에 한 쌍의 거치대(114)가 마련되고 이 거치대(114)에 난반사용 발광시트(150)가 거치되도록 하면 난반사용 발광시트(150)가 흔들리지 않고 제자리에 잘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늘 일정한 발광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거치대(114)가 없는 구조도 가능할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발광 파이프(110)의 상부 영역에는 상부 캡(120)이 결합될 때, 상부 캡(120)의 임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한 쌍의 상부 로킹홀(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발광 파이프(110)의 하부 영역에는 하부 캡(130)이 결합될 때, 하부 캡(130)의 임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한 쌍의 하부 로킹홀(112)이 형성된다.
상부 캡(120)과 하부 캡(130)은 발광 파이프(110)의 상부 및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본 실시예처럼 상부 캡(120)과 하부 캡(130)이 발광 파이프(110)의 상부 및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발광 파이프(110) 내에 난반사용 발광시트(150)를 삽입시키기에 유리하다. 특히, 난반사용 발광시트(150)의 종류를 바꿔가면서 발광 파이프(110) 내에 배치하기가 유리하다.
상부 캡(120)은 발광 파이프(110)의 상부 뚜껑을 형성하는 반면 하부 캡(130)은 발광 파이프(110)의 하부를 차폐하면서 발광용 모듈유닛(140)이 결합되는 장소를 이룬다. 따라서 상부 캡(120)과 하부 캡(130)의 구조가 약간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부 캡(120)을 열고 난반사용 발광시트(150)를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캡(120)과 하부 캡(130)은 발광 파이프(11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된 경우, 그 자리에서 임으로 분리되어서는 곤란하다. 이를 위해, 상부 캡(120)과 하부 캡(130)은 아래와 같은 구조적인 특징을 갖게 제작된다.
상부 캡(120)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상부 캡(120)은 상부 캡 바디(121)와, 상부 캡 바디(121)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상부 캡 바디(121)의 내측에 형성되며, 발광 파이프(110)의 상단부를 지지하되 상호간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상단부 지지용 리브(122)를 포함한다.
발광 파이프(110)가 타원형 단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부 캡 바디(121) 역시,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상단부 지지용 리브(122)는 상부 캡 바디(121)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상부 캡 바디(121)의 내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발광 파이프(110)의 상단부는 상단부 지지용 리브(122)들과 상부 캡 바디(121)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상부 캡(120)과 결합될 수 있다. 상단부 지지용 리브(122)들은 빗살 형태로 다수 개 배치됨으로써 발광 파이프(110)의 상단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한편 발광 파이프(110)가 눌리지 않게 한다.
상부 캡 바디(121)의 내벽에는 상단부 삽입깊이 제한턱(123)이 마련된다. 상단부 삽입깊이 제한턱(123)은 상부 캡 바디(121)의 내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발광 파이프(110)의 상단부에 대한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부 캡 바디(121)의 내벽에는 상단부 지지용 리브(122)들의 사이에 한 쌍의 상부 로커(124)가 형성된다. 후크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상부 로커(124)들은 발광 파이프(1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로킹홀(111)과 선택적으로 로킹 또는 로킹해제된다.
이에, 발광 파이프(110)의 상단부를 상단부 지지용 리브(122)들과 상부 캡 바디(121)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시키면서 상단부 삽입깊이 제한턱(123)까지 밀어 넣으면 상부 로커(124)들이 상부 로킹홀(111)에 로킹되면서 상부 캡(120)과 발광 파이프(11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캡(120)을 분리하고자 할 때는 발광 파이프(110)를 약간 눌러서 상부 로커(124)들이 상부 로킹홀(111)에서 로킹해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 캡(120)을 반대로 뽑아 분리시키면 된다.
다음으로, 하부 캡(130)은 발광 파이프(110)의 하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상부 캡(120)과 달리 하부 캡(130)은 발광 파이프(110)의 하부를 차폐하는 한편 발광용 모듈유닛(140)이 결합되는 장소를 이룬다. 따라서 하부 캡(130)은 전술한 상부 캡(120)과는 상이한 구조를 갖는다.
하부 캡(130)은 하부 캡 바디(131)와, 하부 캡 바디(131)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부 캡 바디(131)의 내측에 형성되어 발광 파이프(110)의 하단부를 지지하되 상호간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발광 파이프(110)의 하부 영역에 대한 눌림을 저지시키는 눌림 저지용 하단부 지지부(132)를 포함한다.
발광 파이프(110)가 타원형 단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하부 캡 바디(131) 역시,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눌림 저지용 하단부 지지부(132)는 하부 캡 바디(131)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부 캡 바디(131)의 내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발광 파이프(110)의 하단부는 눌림 저지용 하단부 지지부(132)와 하부 캡 바디(131)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하부 캡(130)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상단부 지지용 리브(122)들은 빗살 형태로 다수 개 배치됨으로써 발광 파이프(110)의 상단부를 지지하고 있는데 반해, 눌림 저지용 하단부 지지부(132)는 역 U자 형상, 다시 말해 한글 ㄷ자 형상이 마주보면서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한 쌍의 눌림 저지용 하단부 지지부(132)가 형성되면 눌림 저지용 하단부 지지부(132)의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타원 구조의 발광 파이프(110)가 눌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파손 없이 장기간 사용하기에 유리하다.
하부 캡(130)에도 하단부 삽입깊이 제한턱(133)이 형성된다. 하단부 삽입깊이 제한턱(133)은 하부 캡 바디(131)의 내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발광 파이프(110)의 하단부에 대한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하부 캡 바디(131)의 내벽에는 눌림 저지용 하단부 지지부(132)들의 사이에 한 쌍의 하부 로커(134)가 마련된다. 후크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하부 로커(134)는 발광 파이프(1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로킹홀(112)과 선택적으로 로킹 또는 로킹해제된다.
이에, 발광 파이프(110)의 하단부를 눌림 저지용 하단부 지지부(132)들과 하부 캡 바디(131)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시키면서 하단부 삽입깊이 제한턱(133)까지 밀어 넣으면 하부 로커(134)들이 하부 로킹홀(112)에 로킹되면서 하부 캡(130)과 발광 파이프(11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캡(130)을 분리하고자 할 때는 발광 파이프(110)를 약간 눌러서 하부 로커(134)들이 하부 로킹홀(112)에서 로킹해제되도록 한 상태에서 하부 캡(130)을 반대로 뽑아 분리시키면 된다.
한편, 위의 구조 외에도 하부 캡(130)에는 하우징 삽입부(135)와, 한 쌍의 강도 보강용 날개부(137)가 더 마련된다.
하우징 삽입부(135)는 발광용 모듈유닛(140)의 외부 하우징(141)과 내부 하우징(142) 사이의 공간(G)을 통해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하우징 삽입부(135)의 내벽에는 내부 하우징(142)의 외벽에 형성되는 결합용 레일(143)에 가이드되면서 발광용 모듈유닛(140)이 하부 캡(130)과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용 돌기(136)가 마련된다. 이에, 발광용 모듈유닛(140)과 하부 캡(130)을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결합용 돌기(136)가 결합용 레일(143)에 가이드되도록 하면서 하우징 삽입부(135)가 발광용 모듈유닛(140)의 외부 하우징(141)과 내부 하우징(142) 사이의 공간(G)을 통해 삽입되도록 한 후, 발광용 모듈유닛(140)을 회전시켜 결합용 돌기(136)가 결합용 레일(143)의 궤도에서 벗어나 내부 하우징(142)의 단부에 지지되도록 하면 된다.
한 쌍의 강도 보강용 날개부(137)는 하우징 삽입부(135)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하우징 삽입부(135)가 외부 하우징(141)과 내부 하우징(142) 내에 삽입된 때 외부 하우징(141)의 외측에 배치되어 강도를 보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1처럼 발광용 모듈유닛(140)과 하부 캡(130)이 결합된 때, 한 쌍의 강도 보강용 날개부(137)가 외부 하우징(141)의 외측에 배치되어 강도를 보강시키기 때문에 발광용 모듈유닛(140)과 하부 캡(130)의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거나 혹은 결합부위가 부러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4 및 도 5처럼 분해된 상태에서 발광 파이프(110) 내에 난반사용 발광시트(150)를 넣고, 도 1 및 도 2처럼 발광 파이프(110), 상부 및 하부 캡(120,130), 그리고 발광용 모듈유닛(140)을 조립해서 사용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파이프에 대한 캡의 착탈 결합구조를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발광 파이프 내에 난반사용 발광시트를 추가로 삽입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발광 조합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광효율을 높여 야간 응원의 재미와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봉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봉(200) 역시, 난반사용 발광시트(250)가 삽입되는 발광 파이프(210)와, 발광 파이프(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캡(120,130)과, 하부 캡(13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광용 모듈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난반사용 발광시트(250)는 타원형 단면 구조의 발광 파이프(210) 내에 그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난반사용 발광시트(250)를 타원 형태로 말아서 발광 파이프(210) 내에 그대로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경우에는 발광 파이프(210) 내에 전술한 거치대(114)가 없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발광 파이프(210)에 대한 캡(120,130)의 착탈 결합구조를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발광 파이프(210) 내에 난반사용 발광시트(250)를 추가로 삽입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발광 조합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광효율을 높여 야간 응원의 재미와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봉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적용된 발광 파이프와 하부 캡 간의 배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봉(300) 역시, 난반사용 발광시트(150)가 삽입 가능한 발광 파이프(110)와, 발광 파이프(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캡(120,330)과, 하부 캡(33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광용 모듈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캡(330)에 형성되는 눌림 저지용 하단부 지지부(332)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약간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눌림 저지용 하단부 지지부(332)는 하부 캡 바디(131)의 벽면과 나란한 상태로 적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발광 파이프(110)에 대한 캡(120,130)의 착탈 결합구조를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발광 파이프(110) 내에 난반사용 발광시트(150)를 추가로 삽입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발광 조합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광효율을 높여 야간 응원의 재미와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발광봉 110 : 발광 파이프
111 : 상부 로킹홀 112 : 하부 로킹홀
114 : 거치대 115 : 거치홈
120 : 상부 캡 121 : 상부 캡 바디
122 : 상단부 지지용 리브 123 : 상단부 삽입깊이 제한턱
124 : 상부 로커 130 : 하부 캡
131 : 하부 캡 바디 132 : 눌림 저지용 하단부 지지부
133 : 하단부 삽입깊이 제한턱 134 : 하부 로커
135 : 하우징 삽입부 136 : 결합용 돌기
137 : 강도 보강용 날개부 140 : 발광용 모듈유닛
141 : 외부 하우징 142 : 내부 하우징
143 : 결합용 레일 144 : 발광용 램프
145 : 온/오프 구동 스위치 146 : 배터리 캡
147 : 나사부 149 : 후크식 고리
150 : 난반사용 발광시트

Claims (12)

  1.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는 발광 파이프;
    상기 발광 파이프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캡;
    상기 발광 파이프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캡; 및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서 상기 외부 하우징과 이격배치되되 발광용 램프가 결합되는 내부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용 램프를 통해 상기 발광 파이프 쪽으로 광(光)을 제공하되 상기 하부 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광용 모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파이프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상부 캡이 결합될 때, 상기 상부 캡의 임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한 쌍의 상부 로킹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은,
    상부 캡 바디; 및
    상기 상부 캡 바디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상부 캡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파이프의 상단부를 지지하되 상호간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상단부 지지용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은,
    상기 상부 캡 바디의 내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발광 파이프의 상단부에 대한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상단부 삽입깊이 제한턱; 및
    상기 발광 파이프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로킹홀과 선택적으로 로킹 또는 로킹해제되는 한 쌍의 상부 로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파이프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하부 캡이 결합될 때, 상기 하부 캡의 임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한 쌍의 하부 로킹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캡은,
    하부 캡 바디; 및
    상기 하부 캡 바디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하부 캡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 파이프의 하단부를 지지하되 상호간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발광 파이프의 하부 영역에 대한 눌림을 저지시키는 눌림 저지용 하단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캡은,
    상기 하부 캡 바디의 내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발광 파이프의 하단부에 대한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하단부 삽입깊이 제한턱; 및
    상기 발광 파이프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로킹홀과 선택적으로 로킹 또는 로킹해제되는 한 쌍의 하부 로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캡은,
    상기 발광용 모듈유닛의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의 공간을 통해 삽입되는 하우징 삽입부; 및
    상기 하우징 삽입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삽입부가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내에 삽입된 때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어 강도를 보강시키는 한 쌍의 강도 보강용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캡은,
    상기 하우징 삽입부의 내벽에 마련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벽에 형성되는 결합용 레일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발광용 모듈유닛이 상기 하부 캡과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용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파이프는 발광 면적의 증대를 위해 타원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파이프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되 상기 발광용 모듈유닛으로부터의 광을 난반사시키는 난반사용 발광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파이프의 내벽에는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되되 상기 난반사용 발광시트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면서 거치되는 거치홈을 구비하는 거치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봉.
KR2020170000254U 2017-01-13 2017-01-13 발광봉 KR200488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254U KR200488121Y1 (ko) 2017-01-13 2017-01-13 발광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254U KR200488121Y1 (ko) 2017-01-13 2017-01-13 발광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237U true KR20180002237U (ko) 2018-07-23
KR200488121Y1 KR200488121Y1 (ko) 2018-12-14

Family

ID=6304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254U KR200488121Y1 (ko) 2017-01-13 2017-01-13 발광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329B1 (ko) 2021-04-06 2021-10-08 (주)바인테크 사용환경이 확장된 응원봉 운영시스템 및 방법
KR102346379B1 (ko) * 2020-08-04 2022-01-03 주식회사 팔공엠앤씨 조명과 난반사 기능을 겸비한 led 야간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092U (ko) * 1997-04-24 1998-11-25 박원호 교통 수신호용 신호봉의 캡 구조
JP2015022895A (ja) * 2013-07-19 2015-02-02 株式会社ルミカ 発光構造体
KR101609749B1 (ko) * 2015-08-05 2016-04-06 전기호 엘이디 랜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092U (ko) * 1997-04-24 1998-11-25 박원호 교통 수신호용 신호봉의 캡 구조
JP2015022895A (ja) * 2013-07-19 2015-02-02 株式会社ルミカ 発光構造体
KR101609749B1 (ko) * 2015-08-05 2016-04-06 전기호 엘이디 랜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379B1 (ko) * 2020-08-04 2022-01-03 주식회사 팔공엠앤씨 조명과 난반사 기능을 겸비한 led 야간봉
KR102309329B1 (ko) 2021-04-06 2021-10-08 (주)바인테크 사용환경이 확장된 응원봉 운영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121Y1 (ko) 2018-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86245A3 (en) Led light bulb with active ingredient emission
MX2009007342A (es) Aparato de combinacion de luz con emision de ingredientes de control de insectos.
RU2008124163A (ru) Ламповый узел
KR200488121Y1 (ko) 발광봉
JP2007185980A5 (ko)
US6659619B2 (en) Luminescent lollipop
EP1617135A3 (en) Molded-in 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
KR200439919Y1 (ko) 스틱형 발광 표시장치
US20100117542A1 (en) Led light pipe ornament
JP3179823U (ja) 発光装置
JP5441229B2 (ja) 照明器具
JP2016165460A (ja) うちわ
TW201348647A (zh) 致使氣球發光的發光裝置
CN219889431U (zh) 一种氛围灯
KR200338990Y1 (ko) 점등수단을 갖는 키 체인 홀더
CN213746263U (zh) 一种灯具
KR200207779Y1 (ko) 낚시용 발광체
JP3106560U (ja) 発光装置
US20060007675A1 (en) Flashlight
KR200188867Y1 (ko) 풍선 내부 조명장치겸용 손전등
JP2004119212A (ja) 残光性多目的スティックライト
KR200361631Y1 (ko) 휴대용 led램프
USD493004S1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CN201028297Y (zh) 手电筒
KR101331236B1 (ko) 유희용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