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146A - 수산양식장 수질정화를 위한 발포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산양식장 수질정화를 위한 발포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146A
KR20180002146A KR1020160081236A KR20160081236A KR20180002146A KR 20180002146 A KR20180002146 A KR 20180002146A KR 1020160081236 A KR1020160081236 A KR 1020160081236A KR 20160081236 A KR20160081236 A KR 20160081236A KR 20180002146 A KR20180002146 A KR 20180002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sition
silicate
wa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석
Original Assignee
장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석 filed Critical 장용석
Priority to KR102016008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146A/ko
Publication of KR20180002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1Oxides or hydrox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25Compounds of Fe, Ru, Os, Co, Rh, Ir, Ni, Pd, P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59Compounds of N, P, As, Sb, B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3Carbonates or bicarbonates, e.g. limestone, dolomite, aragon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 B01J20/0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comprising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comprising baux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07Moulding, shaping or extru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성 조성물로 양식장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에 관한 것으로서, 탄산염과 유기산 및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제이철, 산화칼슘, 규산염 등 수질개선용 무기미네랄과 효모,당밀, Rhodobactor, 효모균, 유산균과 Nitrosomonas, Nitrobactor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양식종의 발육을 촉진하고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시용을 편리하게 하고 가두리양식장의 수심을 고려해 하층부 바닥에 도달하게 하여 효과적인 확산 작용으로 저질오염 개선에 용이하다.
I,II의 A 영역은 발포성물질과 무기미네랄부분
B 영역은 미생물과 배지부분
III,IV의 A 영역은 발포성물질과 무기미네랄부분
B 영역은 미생물과 배지부분

Description

수산양식장 수질정화를 위한 발포성 조성물{Effervescent compositions for aquaculture water purification}
본 발명은 발포성 조성물로 양식장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에 관한 것으로서, 탄산염과 유기산 및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제이철, 산화칼슘, 규산염 등 수질개선용 무기물과 Rhodobactor , 효모균, 유산균과 Nitrosomonas, Nitrobactor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양식종의 발육을 촉진하고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시용을 편리하게 하고 가두리양식장의 수심을 고려해 하층부 바닥에 도달하게 하여 효과적인 확산 작용으로 저질오염 개선에 용이하다.
연안 개발 수요와 해양 오염 부하량의 끊임없는 증가로 인하여 연안 해역의 정화 능력은 한계에 달하였는바, 이에 대처하기 위해 종래 연안해역에 적조가 발생하는 경우, 양식장에서의 가두리의 이동, 황토의 살포, 긴급 출하 등의 조치를 취하여 그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하였으나, 대량의 적조현상 발생으로 인해 매년 수백억원 이상의 큰 피해를 입고 있다. 또한 육지의 강, 호수에는 각종 오염물질의 유입으로 녹조가 다량 발생하여 정 수처리 시설의 여과장치가 막히거나, 용존 산소 고갈로 인하여 어패류 등이 질식사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야 등록특허 10-1178578 - 2 - 기되고 있다.
호소 내의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호내 대책으로 천연물질 및 각종 약품 등의 처리는 매우 한정적으로 이루 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공법의 적용 예도 많지 않다. 시행되고 있는 공법으로 퇴적물 피복, 즉 퇴적물을 모 래, 슬래그 등의 재료로 피복함으로써 영양염류 등의 용출을 억제하는 공법으로 퇴적물에 의한 호내부 생산이 큰 수체에 효과적이나 저서생물에 대한 영향과 피복 후 재 퇴적 방지 등의 문제로 일부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연안,육상 가두리 양식장, 호수, 연못 등의 담수 저장소의 생태 환경을 이용하여 수산물을 양식, 생산하는 경우, 수 질 및 저질이 오염되어 생산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수질 및 저질이 오염된 환경에서 생산된 수산물은 섭취하는 소비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염려가 있고, 수질 및 저질 오염으로 인하여 담수의 변색이 발생하고 환경오염의 가능성이 높이 진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제 흡입식 어장 정화 방법을 통하여 바닥 표면에 형성된 퇴적물을 수거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근본적인 수질 및 저질 개선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 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572566 - 3 -
이와는 달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22417호에서는 패각과 제올라이트가 혼합되며, 제올라이트에 고초균 이 흡착된 상태로 살포함으로써 수질 및 저질 개선의 효과를 발현하는 수질 및 저질 개선제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담지체에 수질정화용 물질을 담지한 상태로 살포하게 되므로, 살포 후 수질정화용 물 질이 용출되기 쉽고, 바닥에 담지체가 쌓이게 되면 이를 수거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많다.
따라서, 상기 발포성 조성물로 양식장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으로 양식종의 발육을 촉진하고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등록번호 10-1285205 발명의 명칭 수도작물 재배용 발포성 규산질비료 조성물과 그의 발포성 규산질 고형 비료의 제조방법. 등록번호 10-1285203 수도작물 재배용 발포성 비료조성물 및 이의 발포성 고형비료의 제조방법. 등록번호 10-1064899 규산염을 포함하는 담수작물 재배용 발포성 정제형 비료 조성물 일본특허 18064550 발포성 비료 제재 등록번호 10-1064899 규산염을 포함하는 담수작물 재배용 발포성 정제형 비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22417호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26124호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87317호 (특허문헌 00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71503호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담지체 등의 침적을 일으키는 추가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양식어류의 발육을 촉진하고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발생하는 오염 물질 중에서 질소는 아미노산, 폴리펩티드, 단백질류 등의 유기성 질소와 암모니아가 있으며, 이 암모니아는 암모니아성 질소이고 산화 또는 환원 정도에 따라 아질산성, 질산성 질소 또는 아산화질소와 질소 가스로 변환한다(Sharma and Ahlert 197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양식종 및 수생물에 전혀 무해하면서 수질의 질소, 인 성분을 차단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수질을 개선(BOD, COD 감소), 저질개선(퇴적층 유기물 분해, 암모니아, 아질산 제거로 녹조 및 적조 미생물을 제거함에 있다.
등록특허 10-1572566 - 4 - 유해가스 및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용존산소량을 개선하며 수생균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광합성 세균은 킬레이트화 물질의 방출로 인한 영양염류 분해능을 가진 것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광합성 세균의 활발한 활동으로 인하여 유기물의 분해 및 용존 산소량은 개선되나, 양식에 불필요한 수생식물 및 과다한 조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드러나 양식이 오히려 어려 등록특허 10-1572566 - 5 - 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 기물 분해 및 용존산소량 개선의 효과가 미흡하며 초과하면 수생식물 및 조류가 발생하는 문제점 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염과 유기산 성분은 전체중량에 15~25%를 갖으며, 이들 비율은 1.5~2 : 1~1.5를 갖는다. 무기미네랄은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알루미늄,인, 산화제이철, 규산염 등 전체중량의 70~80%를 갖는다. 규산염은 규산칼륨, 규산나트륨 중 1종을 사용, 미생물 및 배지와 고형제는 5~10% 중량을 갖는다.
발포제로서 기능을 하는 탄산염 중에 탄산칼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이 있다. 이 중 탄산칼륨을 주로 사용하면 칼륨공급원으로서 칼륨 성분도 보충하면서 발포성을 유지하겠지만, 나트륨성분이 칼륨성분에 비해 물에 더 잘 용해되고 발포확산이 탄산칼륨에 비해 월등히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발포제로서 구연산 이외에 탄산수소나트륨을 발포제의 주요성분으로 하였다. 규소는 저질속의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저질을 정화하는 역할 저질을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식물체 내의 대사활성과 광합성 촉진을 증대시켜 품질향상에 도움을 준다. 옥분말은 규소와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성분이 함께 혼합 되는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규소와 옥분말을 함께 포함한 이유는 규산으로 전환되어 직접적으로 작물에 양분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옥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알루미늄 성분이 거품을 발생시켜 물에 발포시킬 때 부형제로서의 역할도 함께 담당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 비료 조성물의 보관시에 최대의 적인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도 함께 담당한다. [0023] 아울러, 발포시에 투하점으로부터 먼 거리 까지 확산 및 분산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비료 성분이 용해되어 전달 되도록 하기 위하여 200~600 메쉬 크기의 규소와 옥분말의 분말을 사용하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 옥(玉)은 산화 마그네슘(MgO) 32 - 54%, 실리카 (SiO2)10-15%,알루미나 (Al2O3) 20%, 산화 칼슘(CaO)2-7% 등의 성분을 함유. 인회석(phosphoniter)은 칼슘(Ca)35~48%), 인(P),10~18% 질소(N)7~16%,마그네슘(Mg),3~7% 규산,망간등 미량요소가 함유. 효모는 효소작용을 할 수 있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생체효소반응을 활성화해서 각종 유기물을 분해하여 작물의 영양공급에 도움이 된다.
발포성 제재로서 구연산과 탄산수소나트륨의 조성비 변화에 따른 발포성 및 균일 용해성을 비교하여 도 등록특허 10-1285203 - 8 - 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명의 정제를 양식장 투하하면 물과의 접촉에 의해 정제로부터 가스가 발생하면서 구성성분이 수중으로 빠르고 균일하게 분산된다.
해상가두리 전복 양식장 ,육상 가두리 새우 양식장용 수질정화 및 저질개선용 발포성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양식종 및 수생물에 전혀 무해하면서 수질의 질소, 인 성분을 차단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수질을 개선(BOD, COD 감소), 저질개선(퇴적층 유기물 분해, 암모니아, 아질산 제거로 녹조 및 적조 미생물을 제거함에 있다. .저서 미세조류 증식을 도울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로 인해 수질개선 효율 및 지속기간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산으로는 유기산은 구연산, 설파믹산, 개미산, L-글루타민 산, 글리콜산, 올레익산, 사과산, 주석산, 숙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포성 탄산은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수소나트륨에서 선택 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수소나트륨 과 유기산 함량비로 발포성 조성물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조절 할 수 있다.
탄산염과 유기산 성분은 전체중량에 15~25%를 갖으며, 이들 비율은 1.5~2 : 1~1.5를 갖는다. 무기미네랄은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알루미늄,인, 산화제이철, 규산염 등 전체중량의 70~80%를 갖는다. 규산염은 규산칼륨, 규산나트륨 중 1종을 사용, 미생물 및 배지와 고형제는 5~10% 중량을 갖는다.
발포제로서 기능을 하는 탄산염 중에 탄산칼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이 있다. 이 중 탄산칼륨을 주로 사용하면 칼륨공급원으로서 칼륨 성분도 보충하면서 발포성을 유지하겠지만, 나트륨성분이 칼륨성분에 비해 물에 더 잘 용해되고 발포확산이 탄산칼륨에 비해 월등히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발포제로서 구연산 이외에 탄산수소나트륨을 발포제의 주요성분으로 하였다.
규소는 저질속의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저질을 정화하는 역할 저질을 정화시킬 수 있다. 옥분말은 규소와 산화알루미늄, 산화칼슘 성분이 함께 혼합 되는 있고, 본 발명에서 규산염과 옥분말을 함께 포함한 이유는 규산으로 전환되어 직접적으로 흡착 뿐만 아니라 옥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알루미늄 성분이 거품을 발생시켜 물에 발포시킬 때 부형제로서의 역할도 함께 담당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 조성물의 보관시에 최대의 적인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도 함께 담당한다.
아울러, 발포시에 투하점으로부터 먼 거리 까지 확산 및 분산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비료 성분이 용해되어 전달 되도록 하기 위하여 200~600 메쉬 크기의 규소와 옥분말의 분말을 사용하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 옥(玉)은 산화 마그네슘(MgO) 32 - 54%, 실리카 (SiO2)10-15%,알루미나 (Al2O3) 20%, 산화 칼슘(CaO)2-7% 등의 성분을 함유.
인회석(phosphoniter)은 칼슘(Ca)35~48%), 인(P),10~18% 질소(N)7~16%,마그네슘(Mg),3~7% 규산,망간등 미량요소가 함유. 효모는 효소작용을 할 수 있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생체효소반응을 활성화해서 각종 유기물을 분해하여 작물의 영양공급에 도움이 된다. 분말상인 경우에 타정 공정 또는 몰딩공정에서의 작업성이 개선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화용 발포성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과립 또는 정제의 형태를 가지는 수질정화를 위한 발포성 조성물 제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과 배지의 비율은 1~10 중량%이다.
점도 조절을 위한 유화제로, 전분, 메틸셀룰로오스(메틸셀룰로스) ,글리콜산 나트륨 및 전분인산 에스테르 나트륨중 하나를 이용 액상의 물질을 유화시키고 다시 이것을 건조 분쇄하는 과정을 거쳐 분말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타정된 발포정은 0.5g에서 50g까지 다양하게 생산할 수 있고, 용해시간도 30초에서 10분 사이에서 용해되게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질정화를 위한 발포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구성성분들을 일정한 입경으로 분쇄한 후 동시에 혼합하거나 미리 혼합한 임의의 성분으로 다른 잔여 성분을 혼합화함으로써 전체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압축성형 및 건조하여 적절 한 크기로 정제화한다. 입경은 200~400 메쉬를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정제는 압축 성형기의 형태에 따라 구형, 원형판상, 엽전모양 등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직경 2~5cm, 두께 0.8 ~2.0cm 및 중량 1~50g의 범위에서 제조하는 것이 제제 및 시용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중앙부의 미생물과 배지로 구성 된다. 도1,2 참조

Claims (8)

  1. 본 발명에 따르면 탄산염과 유기산 성분은 전체중량에 15~25%를 갖으며, 이들 비율은 1.5~2 : 1~1.5를 갖는다. 무기미네랄은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알루미늄,인, 산화제이철, 규산염 등 전체중량의 70~80%를 갖는다. 규산염은 규산칼륨, 규산나트륨 중 1종을 사용, 미생물 및 배지와 고형제는 5~10% 중량을 갖는다.
  2. 청구항 1 에서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및 배지와 고형제는 도1,2 에 II ,VI 의 B의 위치에 놓여진다. 중앙부의 미생물과 배지로 구성 된다.
  3. 청구항 1에서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및 배지와 고형제를 제외한 도1,2 에 I ,III 도 포함한다..
  4. 청구항 1에서 있어서, 상기 탄산염은 탄산나트륨, 탄산수소 나트륨 탄산마그네슘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포함되며 유기산은 구연산, 설파믹산, 개미산, L-글루타민 산, 글리콜산, 올레익산, 사과산, 주석산, 숙신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포함되며, 무기미네랄의 전체중량의 옥분말과 인회석이 40~8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청구항 1에서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정제는 압축 성형기의 형태에 따라 구형, 원형판상, 엽전모양 등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직경 2~5cm, 두께 0.8 ~2.0cm 및 중량 1~50g의 범위에서 제조하는 것이 제제 및 시용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6. 청구항 1에서 있어서, 효모 ,배지, Rhodobactor , 효모균, 유산균과 Nitrosomonas, Nitrobactor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청구항 4에 있어서, 무기미네랄의 주성분으로 옥분말과 인회석이 전체중량의 40~8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육상,연안 가두리 양식장 (전복,새우,해삼,등) 수질정화용 및 저질개선용 조성물.
KR1020160081236A 2016-06-29 2016-06-29 수산양식장 수질정화를 위한 발포성 조성물 KR20180002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236A KR20180002146A (ko) 2016-06-29 2016-06-29 수산양식장 수질정화를 위한 발포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236A KR20180002146A (ko) 2016-06-29 2016-06-29 수산양식장 수질정화를 위한 발포성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46A true KR20180002146A (ko) 2018-01-08

Family

ID=61003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236A KR20180002146A (ko) 2016-06-29 2016-06-29 수산양식장 수질정화를 위한 발포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14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437A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엘비씨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규산염을 포함하는 수처리제 및 사료첨가제
CN110495417A (zh) * 2019-08-29 2019-11-26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一种对虾循环水养殖系统生物调控池的构建方法
CN115028243A (zh) * 2022-05-24 2022-09-09 吴金轩 水体净化甲壳素复合泡腾片
CN115231682A (zh) * 2022-06-23 2022-10-25 天津市创嘉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水产养殖净水剂及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437A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엘비씨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규산염을 포함하는 수처리제 및 사료첨가제
CN110495417A (zh) * 2019-08-29 2019-11-26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一种对虾循环水养殖系统生物调控池的构建方法
CN115028243A (zh) * 2022-05-24 2022-09-09 吴金轩 水体净化甲壳素复合泡腾片
CN115231682A (zh) * 2022-06-23 2022-10-25 天津市创嘉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水产养殖净水剂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3462C (zh) 藻类处理剂及其使用方法
CN108328750A (zh) 一种水产养殖用水质改良剂及其制备方法
KR20180002146A (ko) 수산양식장 수질정화를 위한 발포성 조성물
CN107176626A (zh) 一种水质改良剂及其制备方法
CN109052834A (zh) 一种富营养化水体的治理方法
WO2000007944A1 (en) In situ treatment for contaminated surface waters and products therefor
KR101578927B1 (ko) 표층해수와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해삼을 양식하는 방법
JP2017074041A (ja) 水中微生物担体資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水中微生物誘導増殖方法及び水域施肥方法
CN102649603A (zh) 高活性高效率固态生物改底颗粒
KR101396180B1 (ko) 물벼룩 배양 가두리를 이용한 유해 조류의 제거 방법
KR101426512B1 (ko) 경도 및 미생물의 개체수가 향상된 수질정화용 흙공
KR20120033412A (ko)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
JP5551368B2 (ja) アクアリウム用水草の育成剤及び育成方法
JP4733339B2 (ja) 水槽水の脱窒
JP5316492B2 (ja) 藻類の増殖抑制方法
KR101890804B1 (ko) 적조 퇴치효과를 극대화 시킨 혼합조성물
EP1109749A1 (en) In situ treatment for contaminated surface waters and products therefor
KR20190117861A (ko) 유기산과 미생물을 조합한 수질·저질 개선제
JP7349613B2 (ja) 養殖用貝の成長促進剤及び斃死防止剤
KR101237762B1 (ko) 수질향상 보존제 및 그 제조방법
TWI709529B (zh) 燒結造粒黏土及其製造方法
KR101937440B1 (ko) 갯벌 복원용 이온화미네랄 영양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71515A (ko)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를 위한 수팽윤성 고분자에 의한 수분조절제
JP5669062B2 (ja) 環境浄化機能性を有する土壌改善組成体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悪臭成分分解方法。
KR20160107974A (ko) 시아노 박테리아의 제거제 및 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