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988U -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988U
KR20180001988U KR2020160007491U KR20160007491U KR20180001988U KR 20180001988 U KR20180001988 U KR 20180001988U KR 2020160007491 U KR2020160007491 U KR 2020160007491U KR 20160007491 U KR20160007491 U KR 20160007491U KR 20180001988 U KR20180001988 U KR 201800019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olding door
door
link ro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621Y1 (ko
Inventor
박재구
이재엽
Original Assignee
박재구
이재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구, 이재엽 filed Critical 박재구
Priority to KR2020160007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62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6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00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 E05D1/04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with guide members shaped as circular ar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딩도어 시스템의 도어와 도어를 상호 연결하여 서로 원활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는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현장에서의 조립 및 분해 등의 시공이 간편하며,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는, 도어 각각의 문틀 측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 사이에서 이웃하는 양측의 도어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연결링크봉과; 일측이 상기 연결링크봉의 길이방향 양측 말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크봉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관통되는 한 쌍의 축공이 형성된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축공 각각에 체결부를 통해 축 지지되고 상호 기어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1 기어 및 제2 기어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측면프레임 각각의 길이방향 양측 말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회동연결부재 및 제2 회동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CONNECTING ASSEMBLY FOR FOLDING DOOR}
본 고안은 폴딩도어 시스템의 도어와 도어를 상호 연결하여 서로 원활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는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현장에서의 조립 및 분해 등의 시공이 간편하며,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Folding Door)는 말 그대로 접이문을 말하는 것으로, 건물벽체의 내외벽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계적 외력에 대응해 내구성이 보장되며 방음, 방풍의 효과가 있어 외부용으로도 적합하다. 또한, 제품에 유리를 적용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디자인이 우수하여 내부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폴딩도어는 공간을 가치 있게 활용하고자 기존 문들의 50% 개폐구조를 90% 이상으로 열리게 하여 주거용으로는 넓은 생활공간을 그리고 상가용으로는 고객들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여 주로 고급 레스토랑, 아파트, 주택, 상가 등의 출입구 또는 분합문에 쓰이는 추세이다.
이러한 폴딩도어는 벽체의 출입구 외측에 도어를 완전히 개방할 공간이 없는 곳에서 출입구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데, 출입구 형태를 따라 문틀프레임을 구성하고, 복수개의 슬라이딩도어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슬라이딩도어 일단이 문틀프레임 일측에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통상적인 미닫이나 여닫이 문의 형태로 일정 공간의 개폐 수단을 구성하는 경우, 문을 형성하는 판재의 이동 경로 및 넓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적 한계나 문 자체의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실제로 개폐되는 면적의 크기는 해당 개폐 수단이 설치되는 벽면의 일부분에 한정된다.
이러한 개폐 면적의 극적인 확장을 가져온 개폐 수단으로서, 수개의 판형 도어편의 측면 가장자리가 연속적으로 상호 접이식으로 연결됨으로써, 병풍과 같은 형태로 접히고 펼쳐지는 구조의 폴딩도어가 주목받고 있다.
또한, 일반 주거용 건축물이나 공공 건물의 내부 등에도 상기와 같은 폴딩도어와 유사한 구성의 폴딩도어가 설치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외부에 접하는 현관문과 실내 공간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중문형 폴딩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중문형 폴딩도어를 살펴보면, 좌우측의 문틀프레임(101,102)과, 도어의 상단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측 문틀프레임(103)이 구비되고, 일정 폭을 갖는 양측의 도어(100a,100b)가 연결 조립체(110)에 의해 상호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6433호(2016.03.09)에는 상기와 같은 중문형 폴딩도어 방식을 채택한 "접이식 도어"가 최근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상측 프레임, 좌측 프레임, 우측 프레임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문틀과, 상기 문틀에 구성되는 복수의 문짝과, 상기 복수의 문짝이 서로 접혀 연동하도록 결합되는 접이 유닛을 구비하는 접이식 도어에 있어서, 상기 접이 유닛은 상기 인접하는 문짝의 양 측단에 개재되는 링크 봉과, 상기 링크 봉의 상,하단에 회전축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서로 치합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제1 기어 및 제2 기어와,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회전축의 타단과 상기 링크 봉에 인접하는 문짝의 상,하단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판과, 상기 문짝 중 선택되는 문짝의 상단 중앙에 고정 핀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롤러 뭉치와, 상기 상측 프레임에 상기 롤러 뭉치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이식 도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121) 및 제2 기어(122)가 링크 봉(123)에 직접 맞닿아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고정판(124)과 회전축(125)에 의해 축 지지되게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다양한 연결 부재들을 현장에서 서로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 노출된 상태의 상기 제1 기어(121) 및 제2 기어(122)는 외부 이물질의 유입에 따라 유격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유아 등이 호기심으로 만진 경우 신체가 끼일 수 있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볼트와 같은 형태로 체결되는 상기 회전축(125)이 상기 고정판(12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에 의해 문짝의 상단부와 상측 프레임 사이 및 하단부와 지면과의 사이에 소정 이격 공간(G)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로 인해 단열, 방음, 방풍 등의 성능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폴딩도어 시스템의 도어와 도어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호 회전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결 부재들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과 동시에 공장에서의 생산 조립이나 현장에서의 조립 또는 체결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유지 보수가 편리한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특히 문틀의 측면프레임에 연결 조립체의 결합 작업이 한 번의 체결작업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결합 상태에서 도어의 문틀 상단부와 하단부의 수평 높이와 최대한 일치되게 구성함으로써 폴딩도어의 시공 후 문틀과 도어 사이의 이격 공간을 최소화하여 단열과 방음 및 방풍 등의 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는, 도어 각각의 문틀 측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 사이에서 이웃하는 양측의 도어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연결링크봉과; 일측이 상기 연결링크봉의 길이방향 양측 말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크봉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관통되는 한 쌍의 축공이 형성된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축공 각각에 체결부를 통해 축 지지되고 상호 기어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1 기어 및 제2 기어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측면프레임 각각의 길이방향 양측 말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회동연결부재 및 제2 회동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는, 상기 체결부는, 상기 캡부재의 축공 각각에 동심으로 배치되게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 각각의 중심상에서 상하 관통 형성된 삽입홀과,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 및 상기 제2 회동연결부재 각각의 일측 방향에서 상기 삽입홀 내부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대향되는 방향에서 상기 캡부재의 축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는, 상기 삽입홀은,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 및 제2 회동연결부재 각각의 일측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일정 깊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삽입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는, 상기 캡부재는, 일측 방향으로 상기 연결링크봉의 말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타측 방향으로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가 상호 기어 연동되어 회전되게 축 지지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는,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 및 제2 회동연결부재 각각의 일측면 방향으로 소정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소정 깊이의 내부공간부를 이루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가 상기 내부공간부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둘레의 외측이 상기 측면턱에 의해 커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는 폴딩도어 시스템의 도어와 도어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폴딩도어의 상호 회전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는 연결 부재들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과 동시에 공장에서의 생산 조립이나 현장에서의 조립 또는 체결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시공성이 뛰어나고, 그로 인한 폴딩도어의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는 특히 문틀의 측면프레임에 연결 조립체의 결합 작업이 한 번의 체결작업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결합 상태에서 문틀과 도어 사이의 이격 공간을 최소화하여 단열과 방음 및 방풍 등의 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문형 폴딩도어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문형 접이식 도어의 단점을 도시한 측단면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저면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의 주요 구성의 내부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의 회전 작동 상태를 보이기 위한 평면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의 결합 상태 예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저면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의 주요 구성의 내부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의 회전 작동 상태를 보이기 위한 평면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의 결합 상태 예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는 도어 각각의 문틀 측면프레임(1a)과 측면프레임(1b) 사이에서 이웃하는 양측의 도어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에 있어서, 연결링크봉(10)과, 캡부재(20)와, 한 쌍의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와, 체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링크봉(10)은 한 쌍의 중공형 원형봉이 겹쳐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프레임(1a,1b)들과 나란하게 배치되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즉, 상기 연결링크봉(10)은 이웃하는 양측의 도어 각각의 측면으로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기 문틀 측면프레임(1a)과 측면프레임(1b) 사이에서 둘레면의 일부가 상기 측면프레임(1a,1b)들과 길이방향으로 상호 맞닿게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1a)과 측면프레임(1b)은 상기 연결링크봉(10)과 맞닿는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호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링크봉(10)과 상기 측면프레임(1a,1b)들 사이로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손가락이 끼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캡부재(20)는 일측이 상기 연결링크봉(10)의 길이방향 양측 말단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링크봉(10)의 말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캡부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면이 대략 "∞"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재(20)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 즉, 상기 연결링크봉(10)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축공(20a)이 마련된다.
상기 한 쌍의 축공(20a)은 후술되는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 각각이 후술되는 상기 체결부(40)를 통해 상기 연결링크봉(10)의 중공 방향으로 축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20)의 한 쌍의 축공(20a) 각각에 상기 체결부(40)를 통해 축 지지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측면프레임(1a,1b)들 각각의 길이방향 양측 말단부에 체결부재를 통해 각각 고정되게 결합됨으로써 이웃하는 양측의 도어가 상기 연결링크봉(10)을 매개로 상호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는 각각 납작한 형태를 이루도록 소정 두께를 갖고 서로 대향하여 인접하는 방향의 일측 각각은 상호 연접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는 상기와 같이 원호형을 이루는 부분의 중심이 상기 한 쌍의 축공(20a)과 동심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는 일단부 즉, 상기 원호형을 이루는 부분 타측에 각각의 나사홀(31b,32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는 상기 나사홀(31b,32b)을 삽입 통과하여 상기 측면프레임(1a,1b)들 각각의 길이방향 양측 말단부에 형성된 나사체결공(2a,2b)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부재(3)를 통해 도어의 문틀 상기 측면프레임(1a,1b)들에 각각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축공(20a)에 상기 체결부(40)를 통해 축 지지되는 제1 기어(31a) 및 제2 기어(32a)가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기어(31a) 및 상기 제2 기어(32a)는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 각각의 일측 즉, 상기 원호형을 이루는 부분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면서 치합되는 한 쌍의 기어인 것으로, 이와 같은 상기 제1 기어(31a) 및 상기 제2 기어(32a)가 형성된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는 상호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기어(31a) 및 상기 제2 기어(32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형태를 갖는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 각각의 납작한 면 일측 방향에서 하방으로 소정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는 상기 캡부재(20)는, 일측 방향으로 상기 연결링크봉(10)의 말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21)가 형성되고, 타측 방향으로 후술되는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가 상호 기어 연동되어 회전되게 축 지지되는 연결부(22)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캡부재(20)는 상기 끼움부(21)가 중공형의 상기 연결링크봉(10) 길이방향 양측 말단부 각각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상기 끼움부(21)가 상기 연결링크봉(10)에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가 상부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2)는 소정 깊이의 내부공간부를 이루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턱(22a)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 각각의 상기 제1 기어(31a) 및 상기 제2 기어(32a) 부분이 상기 연결부(22)의 내부공간부로 삽입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캡부재(20)와 상기 한 쌍의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의 결합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어(31a) 및 상기 제2 기어(32a)가 납작한 형태를 갖는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 각각의 일측면 방향으로 소정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캡부재(20)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제1 기어(31a) 및 상기 제2 기어(32a)가 삽입된 상태에서 축 지지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기어(31a) 및 상기 제2 기어(32a)의 상호 결합구조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어(31a) 및 상기 제2 기어(32a)의 둘레의 외측이 상기 측면턱(22a)에 의해 커버되게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제1 기어(31a) 및 상기 제2 기어(32a)의 중심에서 상기 체결부(40)가 축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측에서 상기 측면턱(22a)이 감싸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체결부(40)의 일부 구성이 풀리는 등의 현상에도 상호 연동하여 회전 작동되는 경우 유격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20)와 상기 한 쌍의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의 결합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폴딩도어와 문틀 사이의 이격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또한 발생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는 상기 체결부(40)를 통해 폴딩도어의 연결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인 것으로, 이에 상기 체결부(40)는 삽입홀(41)과, 고정부재(42) 및 결속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삽입홀(41)은 상기 제1 기어(31a) 및 상기 제2 기어(32a) 각각의 중심상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삽입홀(41)은 상기 결속부재(43)가 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부에 형성된 체결공(41a)과, 상기 고정부재(42)가 안착되어 수용될 수 있는 안착홈(4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2)는 상기 안착홈(41b)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구성으로, 상기 한 쌍의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 각각의 일측 방향 즉, 상기 캡부재(20)와 결합되는 방향의 타측에서 상기 삽입홀(4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43)는 상기 고정부재(42)와 대향되는 방향 즉, 상기 캡부재(20)의 끼움부(21)가 형성된 방향에서 상기 축공(20a)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42)와 체결되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결속부재(43)는 상기 축공(20a)과 상기 삽입홀(41)로 연속 삽입될 수 있는 바람직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몸체의 일부가 상기 축공(20a)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홀(41)의 체결공(41a) 하단부에 걸림되는 축지지부(43a)와 상기 고정부재(42)에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만큼 형성된 나사산부(4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축지지부(43a)와 상기 나사산부(43b)가 길이방향으로 단턱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기 고정부재(42) 및 상기 결속부재(43)의 체결 작업은 상기 캡부재(20)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제1 기어(31a) 및 상기 제2 기어(32a)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턱(22a)에 의해 감싸도록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체결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홀(41)은 상기 고정부재(42)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 각각의 일측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깊이만큼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고정부재(42)는 상기 삽입홀(41)의 안착홈(41b)의 깊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42)가 상기 삽입홀(4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에, 상기 삽입홀(41)의 안착홈(41b) 및 상기 고정부재(42)는 상호 대응하여 끼움될 수 있는 다각형 또는 육각형 형태로 형성되거나, 반원형 형상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홈(41b) 내에서 상기 고정부재(42)가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결속부재(43)가 상기 캡부재(20)의 축공(20a)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부재(42)에 나사 체결을 위해 회전되는 경우 상기 결속부재(43)가 상기 고정부재(42)에 쉽게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캡부재(20)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와의 체결 작업이 매우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고안 폴딩도어용 연결 조립체는 폴딩도어 시스템의 도어와 도어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상호 연동하여 회전되는 작동이 매우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이게 된다. 즉, 상기 캡부재(20) 및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는 상기와 같은 체결부(40)를 통해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게 되고, 결국 현장에서 본 고안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를 시공하는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자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와 상기 캡부재(20)는 생산 공장 등에서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출하되어 취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결국, 현장에서는 상기 캡부재(20)의 끼움부(21) 부분이 상기 연결링크봉(10) 길이방향 양측 말단부 각각에 간편하게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3)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가 상기 측면프레임(1a,1b)들 각각의 길이방향 양측 말단부에 고정시키는 한 번의 체결 작업만으로 상기 링크연결봉(10)과 폴딩도어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작업을 마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와 상기 캡부재(20)가 상호 조립되지 않은 상태로 현장 시공이 이루어지게 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체결부(40)의 간편한 구성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회동연결부재(31) 및 제2 회동연결부재(32)와 상기 캡부재(20)의 조립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a,1b 측면프레임 2a,2b 나사체결공
3 체결부재 10 연결링크봉
20 캡부재 20a 축공
21 끼움부 22 연결부
22a 측면턱 31 제1 회동연결부재
32 제2 회동연결부재 31a 제1 기어
32a 제2 기어 31b,32b 나사홀
40 체결부 41 삽입홀
41a 체결공 42 고정부재
43 결속부재

Claims (4)

  1. 도어 각각의 문틀 측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 사이에서 이웃하는 양측의 도어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연결링크봉과;
    일측이 상기 연결링크봉의 길이방향 양측 말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크봉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관통되는 한 쌍의 축공이 형성된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축공 각각에 체결부를 통해 축 지지되고 상호 기어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1 기어 및 제2 기어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측면프레임 각각의 길이방향 양측 말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회동연결부재 및 제2 회동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캡부재의 축공 각각에 동심으로 배치되게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 각각의 중심상에서 상하 관통 형성된 삽입홀과,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 및 상기 제2 회동연결부재 각각의 일측 방향에서 상기 삽입홀 내부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대향되는 방향에서 상기 캡부재의 축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 및 제2 회동연결부재 각각의 일측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일정 깊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삽입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일측 방향으로 상기 연결링크봉의 말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타측 방향으로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가 상호 기어 연동되어 회전되게 축 지지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는, 상기 제1 회동연결부재 및 제2 회동연결부재 각각의 일측면 방향으로 소정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소정 깊이의 내부공간부를 이루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가 상기 내부공간부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둘레의 외측이 상기 측면턱에 의해 커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
KR2020160007491U 2016-12-22 2016-12-22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 KR200487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91U KR200487621Y1 (ko) 2016-12-22 2016-12-22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91U KR200487621Y1 (ko) 2016-12-22 2016-12-22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88U true KR20180001988U (ko) 2018-07-02
KR200487621Y1 KR200487621Y1 (ko) 2018-10-12

Family

ID=6290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491U KR200487621Y1 (ko) 2016-12-22 2016-12-22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6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6291A (zh) * 2019-06-04 2019-07-26 威海宝门门窗有限公司 折叠门连接组件
CN110469133A (zh) * 2019-09-19 2019-11-19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便携式设备防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905B1 (ko) 2023-09-05 2024-01-30 주식회사 이노핸즈 폴딩도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2522A (ja) * 2001-02-20 2002-08-28 Union Corp 折戸用ギヤヒンジ
JP4769643B2 (ja) * 2006-06-14 2011-09-07 杉田エース株式会社 ドア
JP2011184893A (ja) * 2010-03-05 2011-09-22 Toshiro Takamatsu 蝶番装置
JP4986717B2 (ja) * 2007-06-06 2012-07-25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ヒンジ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2522A (ja) * 2001-02-20 2002-08-28 Union Corp 折戸用ギヤヒンジ
JP4769643B2 (ja) * 2006-06-14 2011-09-07 杉田エース株式会社 ドア
JP4986717B2 (ja) * 2007-06-06 2012-07-25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ヒンジユニット
JP2011184893A (ja) * 2010-03-05 2011-09-22 Toshiro Takamatsu 蝶番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6291A (zh) * 2019-06-04 2019-07-26 威海宝门门窗有限公司 折叠门连接组件
CN110469133A (zh) * 2019-09-19 2019-11-19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便携式设备防护装置
CN110469133B (zh) * 2019-09-19 2024-04-05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便携式设备防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621Y1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095B1 (ko)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
KR200487621Y1 (ko) 폴딩도어의 연결 조립체
KR101834971B1 (ko) 외관이 깨끗하며, 안정되고 원활한 폴딩기능을 갖는 폴딩도어 시스템
KR101540218B1 (ko) 접이식 미닫이 문
KR101779561B1 (ko) 폴딩도어
US20190323275A1 (en) Folding barn style door and hardware
KR20120084853A (ko) 방충망의 힌지장치
KR101841725B1 (ko) 폴딩도어 구조
KR101758747B1 (ko) 2축 힌지
KR101576906B1 (ko) 루버창
KR20090110620A (ko) 폴딩 도어
KR101705600B1 (ko)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수납형 도어
KR20160026433A (ko) 접이식 도어
US20170241194A1 (en) Shutter Within a Shutter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GB2506968A (en) Bi-folding door with internal hinges
KR20220082210A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KR102602330B1 (ko) 접이식 도어
KR200440296Y1 (ko) 접이문용 주행체
KR200382345Y1 (ko) 격자형 자바라
KR101266844B1 (ko) 완전 개방이 가능한 이중 연동 도어 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KR101484624B1 (ko) 스크린 칸막이용 프레임
KR200239297Y1 (ko) 슬라이딩 게이트
KR200360514Y1 (ko) 주택용 방범창
KR101399067B1 (ko) 힌지 유닛
KR101986578B1 (ko)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방충망 도어 모서리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