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933A -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933A
KR20180001933A KR1020160081076A KR20160081076A KR20180001933A KR 20180001933 A KR20180001933 A KR 20180001933A KR 1020160081076 A KR1020160081076 A KR 1020160081076A KR 20160081076 A KR20160081076 A KR 20160081076A KR 20180001933 A KR20180001933 A KR 20180001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upplier
providing
consum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2621B1 (ko
Inventor
강신석
Original Assignee
강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석 filed Critical 강신석
Priority to KR1020160081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6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들로부터 제공받은 공급자 정보를 제품 제작 공정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자에게 제품 제작 공정별로 분류된 공급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수요자에 의해 제품 제작 공정별로 선택된 공급자들에게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공급자들에 의해 입력된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제공받은 수요자로부터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한 수요자의 연락정보를 가선정된 공급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자와 이를 제공하는 공급자가 쌍방이 등록한 정보를 제품 제작 공정별로 용이하고 체계적으로 검색하고, 온라인 상에서 견적 정보를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고, 실제 제품 제작 과정에서 제공되는 대화방을 통해 업무 협의를 진행함으로써, 제품 외주 제작 과정에서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COOPER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OUTSOURCING PRODUCTION}
본 발명은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자와 이를 제공하는 공급자가 쌍방이 등록한 정보를 제품 제작 공정별로 용이하고 체계적으로 검색하고, 온라인 상에서 견적 정보를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고, 실제 제품 제작 과정에서 제공되는 대화방을 통해 업무 협의를 진행함으로써, 제품 외주 제작 과정에서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불황을 타개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 등과 맞물려 이르나, 스타트업(start-up) 기업 즉, 신생 벤처기업의 창업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신생 업체는 자금력 등에 있어서 한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완제품을 제작하여 시장에 공급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이러한 신생 업체는 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전체 공정들 중에서 일부를 외주업체에 위탁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자사 제품 제작에 적합한 외주업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주 제작을 위탁한 위탁업체와 수탁업체가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실제 외주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하여 위탁업체와 수탁업체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업무협조를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은 결국 비용 상승과 효율 저하로 이어져 기업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16100호(공개 일자: 2001년 03월 05일, 발명의 명칭: 인터넷을 이용한 아웃소싱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3986호(공개 일자: 2015년 11월 05일, 발명의 명칭: 온라인 프로젝트 중개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8428호(공개 일자: 2010년 08월 09일, 발명의 명칭: 유휴 산업 설비의 아웃소싱을 중개하는 아웃소싱 중개 시스템 및 그 아웃소싱 중개 방법)
본 발명은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자와 이를 제공하는 공급자가 쌍방이 등록한 정보를 제품 제작 공정별로 용이하고 체계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외주 제작과 관련하여 수요자와 공급자가 온라인 상에서 견적 정보를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실제 제품 외주 제작 과정에서 제공되는 대화방을 통해 수요자와 공급자가 업무 협의를 진행함으로써, 제품 외주 제작 과정에서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서버가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들로부터 제공받은 공급자 정보를 제품 제작 공정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공급자 정보 획득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자에게 상기 제품 제작 공정별로 분류된 공급자 정보를 제공하는 공급자 정보 제공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수요자에 의해 상기 제품 제작 공정별로 선택된 공급자들에게 공급자 가견적(provisional estimate) 정보를 요청하는 공급자 가견적 정보 요청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급자들에 의해 입력된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상기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공급자 가견적 정보 제공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제공받은 수요자로부터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받는 공급자 가선정 정보 입력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한 수요자의 연락정보를 가선정된 공급자에게 제공하는 수요자 연락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서버가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자로부터 제공받은 수요자 정보를 제품 제작 공정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수요자 정보 획득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로부터의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수요자 정보를 상기 공급자에게 제공하는 수요자 정보 제공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급자에 의해 선택된 수요자에게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제공하는 공급자 가견적 정보 제공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제공받은 수요자로부터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받는 공급자 가선정 정보 입력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한 수요자의 연락정보를 가선정된 공급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가선정된 공급자의 연락정보를 상기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연락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 측면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수요자 또는 상기 수요자에 의해 선정된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대화방을 제공하는 대화방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 측면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 제공단계를 통해 제공되는 대화방의 인터페이스 화면은, 제품 도안을 표시하기 위한 제품 도안 표시창과, 상기 수요자와 상기 공급자 간의 대화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대화 내용 입력창 및 상기 대화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대화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 측면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품 도안 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제품 도안은 상기 대화방에 참여한 수요자 또는 공급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정보는, 공급자 식별정보, 외주 가능 항목 정보, 공급자 업력 정보, 공급자 위치 정보, 공급자 평점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요자 정보는, 수요자 가견적 정보, 제품 제작과 관련한 현재진행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진행상태 정보는 설계 단계, 디자인 제작단계, 시제품 제작단계, 금형 제작단계, 양산 단계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공급자에 의한 상기 수요자 정보 열람 기록을 상기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자와 이를 제공하는 공급자가 쌍방이 등록한 정보를 제품 제작 공정별로 용이하고 체계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외주 제작과 관련하여 수요자와 공급자가 온라인 상에서 견적 정보를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제 제품 외주 제작 과정에서 제공되는 대화방을 통해 수요자와 공급자가 업무 협의를 진행함으로써, 제품 외주 제작 과정에서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대화방 제공단계를 통해 제공되는 대화방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공급자 정보 획득단계(S10), 공급자 정보 제공단계(S20), 공급자 가견적 정보 요청단계(S30), 공급자 가견적 정보 제공단계(S40), 공급자 가선정 정보 입력단계(S50), 수요자 연락정보 제공단계(S60) 및 대화방 제공단계(S70)를 포함한다.
수요자(10)와 공급자(20)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 서버(30)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가입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회원관리모듈(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회원가입정보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회원가입을 완료한 수요자(10)와 공급자(20)에게 협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한정적인 범위 내의 서비스는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제공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수요자(10), 공급자(20)라는 용어는 사업주체를 지칭할 수도 있고, 수요자 단말, 공급자 단말일 수도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공급자 정보 획득단계(S1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공급자 정보 획득 모듈이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들로부터 제공받은 공급자 정보를 제품 제작 공정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제품 제작 공정은 설계 단계, 디자인 제작단계, 시제품 제작단계, 금형 제작단계, 양산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설계 단계는 회로 설계 단계, 기구 설계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않는다.
예를 들어, 공급자 정보는, 공급자 식별정보, 외주 가능 항목 정보, 공급자 업력(business history) 정보, 공급자 위치 정보, 공급자 평점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자 식별정보는 공급자(2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공급자(20)의 상호, 사업자등록번호,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외주 가능 항목 정보는 공급자(20)가 제품 외주 제작과 관련하여 수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항목들에 대한 정보이고, 공급자 업력(business history) 정보는 공급자(20)의 설립 연도, 약력, 실적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자 위치 정보는 주소, 지도에 표시된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자 평점 정보는 수요자(10), 서비스 서버(30)를 운영하는 사업 주체 등에 의해 공급자(20)에게 부여된 만족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공급자 정보 제공단계(S2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공급자 정보 제공모듈(330)이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자(10)에게 제품 제작 공정별로 분류된 공급자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공급자 정보 제공단계(S20)에서 수요자(10)에게 제공되는 공급자 정보는, 공급자 식별정보, 외주 가능 항목 정보, 공급자 업력(business history) 정보, 공급자 위치 정보, 공급자 평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요자(10)는 이 정보를 확인한 후 자신에게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공급자(20)와의 접촉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제작 공정은 설계 단계, 디자인 제작단계, 시제품 제작단계, 금형 제작단계, 양산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설계 단계는 회로 설계 단계, 기구 설계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공급자 가견적 정보 요청단계(S3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공급자 가견적 정보 요청모듈(340)이 수요자(10)에 의해 제품 제작 공정별로 선택된 공급자들에게 공급자 가견적(provisional estimate)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가견적 정보는 정식 견적 이전의 예비적인 견적에 대한 정보이다.
공급자 가견적 정보 제공단계(S4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공급자 가견적 정보 제공모듈(350)이 공급자들에 의해 입력된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수요자(10)에게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공급자 가선정 정보 입력단계(S5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공급자 가선정 정보 수신모듈(360)이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제공받은 수요자(10)로부터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 가선정 정보는 수요자(10)에 의한 정식 선정 이전의 예비적인 선정에 대한 정보이다.
수요자 연락정보 제공단계(S6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수요자 연락정보 제공모듈(370)이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한 수요자(10)의 연락정보를 가선정된 공급자(20)에게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수요자(10)의 연락정보는 제품 외주 제작과 관련하여 공급자(20)가 접촉해야 할 수요자(10) 측의 담당자 연락처일 수 있다.
대화방 제공단계(S7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대화방 제공모듈(380)이 수요자(10) 또는 공급자(20)의 요청에 따라 대화방을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수요자(10)와 공급자(20)는 이 대화방을 통해 제품 외주 제작과 관련한 세부사항들을 협의할 수 있다. 공급자(20)는 제품 제작 공정별로 선정된 여러 사업 주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화방 제공단계(S70)를 통해 제공되는 대화방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 7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대화방 제공단계(S70)를 통해 제공되는 대화방의 인터페이스 화면(1000)은, 제품 도안 표시창(1100), 대화 내용 입력창(1200) 및 대화 표시창(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 도안 표시창(1100)은 제품 도안을 표시하기 위한 창으로서, 예를 들어, 제품 도안 표시창(1100)을 통해 표시되는 제품 도안은 대화방에 참여한 수요자(10) 또는 공급자(20)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화 내용 입력창(1200)은 수요자(10)와 공급자(20)가 대화 내용을 입력하기 위해 제공되는 창이다.
대화 표시창(1300)은 수요자(10)와 공급자(20)에 의해 입력된 대화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제공되는 창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한다.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단계 S105에서는,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20)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 서버(30)로 웹페이지를 요청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10에서는, 서비스 서버(30)가 공급자(20)에게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되며, 이를 통해 공급자(20)는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게 된다.
단계 S115에서는, 공급자(20)가 서비스 서버(30)에 의해 제공된 웹페이지를 통해 공급자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2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공급자 정보 획득모듈(320)이 공급자(20)에 의해 입력된 공급자 정보를 제품 제작 공정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25에서는,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자(10)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 서버(30)로 웹페이지를 요청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30에서는, 서비스 서버(30)가 수요자(10)에게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되며, 이를 통해 수요자(10)는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게 된다.
단계 S135에서는, 수요자(10)가 웹페이지를 통해 서비스 서버(30)에 공급자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수요자(10)는 웹페이지에 표시되는 제품 제작 공정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제품 제작 공정별로 공급자 정보를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공급자 정보 제공모듈(330)이 수요자(10)에게 공급자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단계 S135에서 수요자(10)가 특정 제품 제작 공정을 선택하여 공급자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단계 S140에서는 수요자(10)가 선택한 제품 제작 공정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145에서는, 수요자(10)가 웹페이지에 목록 형식으로 표시되는 공급자 정보를 확인하고, 특정 공급자(20)를 선택하여 가견적을 요청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5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공급자 가견적 정보 요청모듈(340)이 수요자(10)에 의해 선택된 공급자(20)에게 가견적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55에서는, 공급자(20)가 웹페이지를 통해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6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공급자 가견적 정보 제공모듈(350)이 수요자(10)에게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65에서는, 서비스 서버(30)를 통해 공급자(20)로부터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제공받은 수요자(10)가 그 내용을 확인한 후, 웹페이지를 통해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되며,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공급자 가선정 정보 수신모듈(360)이 이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
단계 S17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수요자 연락정보 제공모듈(370)이 수요자 연락정보를 공급자(20)에게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수요자(10)의 연락정보는 제품 외주 제작과 관련하여 공급자(20)가 접촉해야 할 수요자(10) 측의 담당자 연락처일 수 있다.
단계 S175 또는 단계 S180에서는, 수요자(10) 또는 공급자(20)가 서비스 서버(30)에 대화방 개설을 요청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85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대화방 제공모듈(380)이 수요자(10)와 공급자(20)에게 대화방을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수요자(10)와 공급자(20)는 이 대화방을 통해 제품 외주 제작과 관련한 세부사항들을 협의할 수 있다. 공급자(20)는 제품 제작 공정별로 선정된 여러 사업 주체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수요자 정보 획득단계(S12), 수요자 정보 제공단계(S22), 공급자 가견적 정보 제공단계(S40), 공급자 가선정 정보 입력단계(S50), 연락정보 제공단계(S62) 및 대화방 제공단계(S70)를 포함한다.
수요자(10)와 공급자(20)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 서버(30)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가입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회원관리모듈(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회원가입정보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회원가입을 완료한 수요자(10)와 공급자(20)에게 협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한정적인 범위 내의 서비스는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제공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수요자(10), 공급자(20)라는 용어는 사업주체를 지칭할 수도 있고, 수요자 단말, 공급자 단말일 수도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수요자 정보 획득단계(S12)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수요자 정보 획득모듈(322)이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자(10)로부터 제공받은 수요자 정보를 제품 제작 공정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제품 제작 공정은 설계 단계, 디자인 제작단계, 시제품 제작단계, 금형 제작단계, 양산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설계 단계는 회로 설계 단계, 기구 설계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않는다.
예를 들어, 수요자 정보는, 수요자 가견적 정보, 제품 제작과 관련한 현재진행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현재진행상태 정보는 설계 단계, 디자인 제작단계, 시제품 제작단계, 금형 제작단계, 양산 단계로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요자 가견적 정보는 수요자(10)가 공급자(20)에게 의뢰하고자 하는 제품 외주 제작에 대한 예비적인 비용에 대한 정보이고, 현재진행상태 정보는 제품 제작과 관련한 수요자(10)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로서, 공급자(20)는 이 수요자 가견적 정보와 현재진행상태 정보를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수요자(10)에게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수요자 정보 제공단계(S22)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수요자 정보 제공모듈(332)이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20)로부터의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 수요자 정보를 공급자(20)에게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수요자 정보 제공단계(S22)에서 공급자(20)에게 제공되는 수요자 정보는, 수요자 가견적 정보, 제품 제작과 관련한 현재진행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30)는 공급자(20)에 의해 조회되어 열람된 수요자 정보 열람 기록을 수요자(10)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자 가견적 정보 제공단계(S4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공급자 가견적 정보 제공모듈(350)이 공급자(20)에 의해 선택된 수요자(10)에게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가견적 정보는 정식 견적 이전의 예비적인 견적에 대한 정보이다.
공급자 가선정 정보 입력단계(S5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공급자 가선정 정보 수신모듈(360)이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제공받은 수요자(10)로부터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 가선정 정보는 수요자(10)에 의한 정식 선정 이전의 예비적인 선정에 대한 정보이다.
연락정보 제공단계(S62)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연락정보 제공모듈(372)이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한 수요자(10)의 연락정보를 선정된 공급자(20)에게 제공하고, 가선정된 공급자의 연락정보를 수요자(10)에게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수요자(10)의 연락정보는 제품 외주 제작과 관련하여 공급자(20)가 접촉해야 할 수요자(10) 측의 담당자 연락처일 수 있고, 공급자(20)의 연락정보는 제품 외주 제작과 관련하여 수요자(10)가 접촉해야 할 공급자(20) 측의 담당자 연락처일 수 있다.
대화방 제공단계(S7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대화방 제공모듈(380)이 수요자(10) 또는 공급자(20)의 요청에 따라 대화방을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수요자(10)와 공급자(20)는 이 대화방을 통해 제품 외주 제작과 관련한 세부사항들을 협의할 수 있다. 공급자(20)는 제품 제작 공정별로 선정된 여러 사업 주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화방 제공단계(S70)를 통해 제공되는 대화방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 7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대화방 제공단계(S70)를 통해 제공되는 대화방의 인터페이스 화면은, 제품 도안 표시창, 대화 내용 입력창 및 대화 표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 도안 표시창은 제품 도안을 표시하기 위한 창으로서, 예를 들어, 제품 도안 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제품 도안은 대화방에 참여한 요청자 또는 공급자(20)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화 내용 입력창은 요청자와 공급자(20)가 대화 내용을 입력하기 위해 제공되는 창이다.
대화 표시창은 요청자와 공급자(20)에 의해 입력된 대화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제공되는 창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한다.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단계 S205에서는,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자(10)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 서버(30)로 웹페이지를 요청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10에서는, 서비스 서버(30)가 수요자(10)에게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되며, 이를 통해 수요자(10)는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게 된다.
단계 S215에서는, 수요자(10)가 서비스 서버(30)에 의해 제공된 웹페이지를 통해 수요자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수요자 정보는, 수요자 가견적 정보, 제품 제작과 관련한 현재진행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현재진행상태 정보는 설계 단계, 디자인 제작단계, 시제품 제작단계, 금형 제작단계, 양산 단계로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는,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20)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 서버(30)로 웹페이지를 요청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25에서는, 서비스 서버(30)가 공급자(20)에게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되며, 이를 통해 공급자(20)는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게 된다.
단계 S230에서는, 공급자(20)가 서비스 서버(30)에 의해 제공된 웹페이지를 통해 공급자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05 내지 단계 S230의 과정은 협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초기에 수행되는 절차로서, 이 과정에서 회원가입정보 등도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 S235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수요자 정보 획득모듈(322)이 수요자(10)에 의해 입력된 수요자 정보를 제품 제작 공정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물로, 공급자(20)에 의해 입력된 공급자 정보도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제작 공정은 설계 단계, 디자인 제작단계, 시제품 제작단계, 금형 제작단계, 양산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설계 단계는 회로 설계 단계, 기구 설계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않는다.
단계 S240에서는, 공급자(20)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 서버(30)로 웹페이지를 요청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45에서는, 서비스 서버(30)가 공급자(20)에게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되며, 이를 통해 공급자(20)는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게 된다.
단계 S250에서는, 공급자(20)가 웹페이지를 통해 서버스 서버로 수요자 정보에 대한 열람을 요청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55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수요자 정보 제공모듈(332)이 공급자(20)에게 수요자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공급자(20)가 특정 제품 제작 공정을 선택하여 수요자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단계 S250에서는 공급자(20)가 선택한 제품 제작 공정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자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요자 정보는, 수요자 가견적 정보, 제품 제작과 관련한 현재진행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현재진행상태 정보는 설계 단계, 디자인 제작단계, 시제품 제작단계, 금형 제작단계, 양산 단계로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는, 공급자(20)가 웹페이지에 목록 형식으로 표시되는 수요자 정보를 확인하고, 특정 수요자(10)를 선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65에서는, 공급자(20)가 수요자(10)에게 제공할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70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공급자 가견적 정보 제공모듈(350)이 수요자(10)에게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75에서는, 서비스 서버(30)를 통해 공급자(20)로부터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제공받은 수요자(10)가 그 내용을 확인한 후, 웹페이지를 통해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되며,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공급자 가선정 정보 수신모듈(360)이 이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
단계 S280과 단계 S285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연락정보 제공모듈(372)이 공급자 연락정보를 수요자(10)에게 제공하고, 수요자 연락정보를 공급자(20)에게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수요자(10)의 연락정보는 제품 외주 제작과 관련하여 공급자(20)가 접촉해야 할 수요자(10) 측의 담당자 연락처일 수 있고, 공급자(20)의 연락정보는 제품 외주 제작과 관련하여 수요자(10)가 접촉해야 할 공급자(20) 측의 담당자 연락처일 수 있다.
단계 S290 또는 단계 S295에서는, 수요자(10) 또는 공급자(20)가 서비스 서버(30)에 대화방 개설을 요청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97에서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대화방 제공모듈(380)이 수요자(10)와 공급자(20)에게 대화방을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수요자(10)와 공급자(20)는 이 대화방을 통해 제품 외주 제작과 관련한 세부사항들을 협의할 수 있다. 공급자(20)는 제품 제작 공정별로 선정된 여러 사업 주체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자와 이를 제공하는 공급자가 쌍방이 등록한 정보를 제품 제작 공정별로 용이하고 체계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외주 제작과 관련하여 수요자와 공급자가 온라인 상에서 견적 정보를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제 제품 외주 제작 과정에서 제공되는 대화방을 통해 수요자와 공급자가 업무 협의를 진행함으로써, 제품 외주 제작 과정에서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10: 수요자
20: 공급자
30: 서비스 서버
40: 데이터베이스
310: 회원관리모듈
320: 공급자 정보 획득모듈
322: 수요자 정보 획득모듈
330: 공급자 정보 제공모듈
332: 수요자 정보 제공모듈
340: 공급자 가견적 정보 요청모듈
350: 공급자 가견적 정보 제공모듈
360: 공급자 가선정 정보 수신모듈
370: 수요자 연락정보 제공모듈
372: 연락정보 제공모듈
380: 대화방 제공모듈
S10: 공급자 정보 획득단계
S12: 수요자 정보 획득단계
S20: 공급자 정보 제공단계
S22: 수요자 정보 제공단계
S30: 공급자 가견적 정보 요청단계
S40: 공급자 가견적 정보 제공단계
S50: 공급자 가선정 정보 입력단계
S60: 수요자 연락정보 제공단계
S62: 연락정보 제공단계
S70: 대화방 제공단계
1000: 대화방 인터페이스 화면
1100: 제품 도안 표시창
1200: 대화 내용 입력창
1300: 대화 표시창

Claims (9)

  1. 서비스 서버가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들로부터 제공받은 공급자 정보를 제품 제작 공정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공급자 정보 획득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자에게 상기 제품 제작 공정별로 분류된 공급자 정보를 제공하는 공급자 정보 제공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수요자에 의해 상기 제품 제작 공정별로 선택된 공급자들에게 공급자 가견적(provisional estimate) 정보를 요청하는 공급자 가견적 정보 요청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급자들에 의해 입력된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상기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공급자 가견적 정보 제공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제공받은 수요자로부터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받는 공급자 가선정 정보 입력단계를 포함하는,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한 수요자의 연락정보를 가선정된 공급자에게 제공하는 수요자 연락정보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3. 서비스 서버가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자로부터 제공받은 수요자 정보를 제품 제작 공정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수요자 정보 획득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품 외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로부터의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수요자 정보를 상기 공급자에게 제공하는 수요자 정보 제공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급자에 의해 선택된 수요자에게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제공하는 공급자 가견적 정보 제공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급자 가견적 정보를 제공받은 수요자로부터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받는 공급자 가선정 정보 입력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공급자 가선정 정보를 입력한 수요자의 연락정보를 가선정된 공급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가선정된 공급자의 연락정보를 상기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연락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수요자 또는 상기 수요자에 의해 선정된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대화방을 제공하는 대화방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 제공단계를 통해 제공되는 대화방의 인터페이스 화면은,
    제품 도안을 표시하기 위한 제품 도안 표시창;
    상기 수요자와 상기 공급자 간의 대화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대화 내용 입력창; 및
    상기 대화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대화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도안 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제품 도안은 상기 대화방에 참여한 수요자 또는 공급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정보는, 공급자 식별정보, 외주 가능 항목 정보, 공급자 업력 정보, 공급자 위치 정보, 공급자 평점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자 정보는, 수요자 가견적 정보, 제품 제작과 관련한 현재진행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진행상태 정보는 설계 단계, 디자인 제작단계, 시제품 제작단계, 금형 제작단계, 양산 단계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공급자에 의한 상기 수요자 정보 열람 기록을 상기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081076A 2016-06-28 2016-06-28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22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076A KR101822621B1 (ko) 2016-06-28 2016-06-28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076A KR101822621B1 (ko) 2016-06-28 2016-06-28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33A true KR20180001933A (ko) 2018-01-05
KR101822621B1 KR101822621B1 (ko) 2018-01-26

Family

ID=6100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076A KR101822621B1 (ko) 2016-06-28 2016-06-28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745A (ko) 2019-10-31 2021-05-11 주식회사 구루컴퍼니 유망 콘텐츠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079A (ko) 2018-08-22 2020-03-03 주식회사 꿈꾸는다락방 고객사와 협력사간의 자동 매칭 장치 및 방법
KR20200022080A (ko) 2018-08-22 2020-03-03 주식회사 꿈꾸는다락방 외주 업무를 수행할 협력사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40405A (ko) 2018-10-10 2020-04-20 주식회사 꿈꾸는다락방 실진행 예측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745A (ko) 2019-10-31 2021-05-11 주식회사 구루컴퍼니 유망 콘텐츠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10060375A (ko) 2019-10-31 2021-05-26 주식회사 구루컴퍼니 유망 콘텐츠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621B1 (ko)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8039B2 (ja) 通信コンテンツの結合
US115584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personalization
KR101972285B1 (ko) 이미지 평가 기법
KR101822621B1 (ko) 제품 외주 제작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US85950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internet information for group notification, marketing, purchasing and/or sales
US89971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personal connection alerts
Salvatori et al. Social commerce: A literature review
EP2916273A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expert audience targeting
US8805713B2 (en) Interface for project and task submission for automated delegation
US20100250463A1 (en) Information-delivery system and method and applications employing same
US20100174577A1 (en) Automated Task Delegation Based on Skills
CN111670452B (zh) 销售清单创建方法
JP651037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294020A1 (en) System and/or method for evaluating network content
MX2014003124A (es) Recomendaciones basadas en las similitudes explicitas de usuarios.
Grosso et al. Supporting the social dimension of shopping for personalized products through online sales configurators
CN111639988A (zh) 经纪人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15130750A1 (en) Automated recommendation engine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WO2006076472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recommendations to users
JP6369968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
Suki et al. Examination of Mobil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Users' Loyalty: A Structural Approach
WO2017023447A1 (en) Entity aware snippets
NO318949B1 (no) System og fremgangsmate ved et telekommunikasjonssystem
Fornasiero et al. Advances in customer-oriented manufacturing and value chain management
Abd. Rahman et al. Transaction attributes and buyer-supplier relationships in AMT acquisition and implementation: the case of Malay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