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884U - 조립형 장식구 - Google Patents

조립형 장식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884U
KR20180001884U KR2020160007293U KR20160007293U KR20180001884U KR 20180001884 U KR20180001884 U KR 20180001884U KR 2020160007293 U KR2020160007293 U KR 2020160007293U KR 20160007293 U KR20160007293 U KR 20160007293U KR 20180001884 U KR20180001884 U KR 201800018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port
waveguide
groove
present
lock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동
Original Assignee
박승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동 filed Critical 박승동
Priority to KR2020160007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884U/ko
Publication of KR20180001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암수로 대응 결합 가능한 삽입구와 파지구에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각각 형성시키고, 삽입구의 전단 테두리 부위에 경사면을 형성시킴으로써, 별도의 결합 기구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호 결합이 가능하고, 조립시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조립의 용이성을 갖는 조립형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형 장식구{ASSEMBLY TYPE ORNAMENT DEVICE}
본 고안은 조립형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수로 대응 결합 가능한 삽입구와 파지구에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각각 형성시키고, 삽입구의 전단 테두리 부위에 경사면을 형성시킴으로써, 별도의 결합 기구와 접착제 없이도 조립이 가능하고, 조립시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조립의 용이성을 갖는 조립형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구는 각종 로고를 형성시키거나 액세서리 등을 부착한 형태가 사용되며, 의류나 가방 등에 부착하여 제품의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거나 미려함을 연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장식구는 표시면에 로고나 액세서리 등이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제품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구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식구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제품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와 결합구를 관통 결합시키거나, 결합구를 제품의 외면에 부착시키는 형태 등이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장식구는 장식물이 형성된 베이스와 결합구를 조립하는 경우, 별도의 조립 공구를 이용한 조립 과정과 접착제 도포 과정이 수행되므로 제조에 많은 시간이 투입되어야만 했고,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외적인 요인에 의해 접착제가 변질되어 결합력이 저하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식구는 장식물이 형성된 베이스와 결합구를 암수로 조립하는 경우, 베이스와 결합구의 암수 결합 부위를 통해 이물질(먼지 등)이 유입될 수 있고, 암수 결합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않았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2597호(2011년 08월 1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금속 장식구의 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암수로 대응 결합 가능한 삽입구와 파지구에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각각 형성시키고, 삽입구의 전단 테두리 부위에 경사면을 형성시킴으로써, 별도의 결합 기구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호 결합이 가능하고, 조립시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조립의 용이성을 갖는 조립형 장식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지구의 전단에 절개단을 형성시킴으로써, 파지구와 삽입구를 결합시키는 경우, 파지구들의 전단이 외부로 벌어진 후 탄성 복원되므로 조립성의 용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형 장식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 몸체와 암 몸체를 결합시 삽입구가 암 몸체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가지며, 이물질(먼지 등)이 삽입홈으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이물질 부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형 장식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장식구는, 설치홀이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결합 대상물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설치홀에 결합시키기 위해 전면으로부터 삽입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의 외주면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는 수 몸체 및, 상기 결합 대상물의 내측에 위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삽입구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파지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대응 결합되도록 상기 파지구의 내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의 전면에는, 상기 삽입구가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후방에는 상기 암몸체의 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삽입구가 상기 상기 파지구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 몸체의 전단 테두리 부위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삽입구를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시 상기 걸림돌기를 외부로 확장시키면서 후방으로 안내하는 것이 바라믹하다.
또한, 상기 삽입구와 상기 파지구의 대응되는 후단에는 테두리 부위가 상기 결합 대상물의 내외측에 걸림 위치되도록 대직경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구의 전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개단이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단은 상기 삽입구를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시 상기 파지구의 전단이 외부로 확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 몸체는 상기 결합 대상물의 외측에 위치된 일면에 장식물이 가공 또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구는 외주면이 원주를 이루도록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파지구는 상기 삽입구와 대응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구와 결합시 상호 결합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암수로 대응 결합 가능한 삽입구와 파지구에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각각 형성시키고, 삽입구의 전단 테두리 부위에 경사면을 형성시킴으로써, 별도의 결합 기구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호 결합이 가능하고, 조립시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조립의 용이성을 갖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파지구의 전단에 절개단을 형성시킴으로써, 파지구와 삽입구를 결합시키는 경우, 파지구들의 전단이 외부로 벌어진 후 탄성 복원되므로 조립성의 용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수 몸체와 암 몸체를 결합시 삽입구가 암 몸체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가지며, 이물질(먼지 등)이 삽입홈으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이물질 부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장식구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장식구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장식구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장식구의 파지구에 절개단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장식구의 파지구에 절개단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장식구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장식구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장식구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장식구의 파지구에 절개단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장식구의 파지구에 절개단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장식구는 수 몸체(100) 및, 암 몸체(2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결합 대상물(10)은 가방, 의류 등을 말하며, 상기 결합 대상물(10) 상에는 본 고안의 조립형 장식구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홀(11)이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된다.
수 몸체(100)는, 후술 될 암 몸체(200)와 결합된 상태로 결합 대상물(10)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설치홀(11)에 결합시키기 위해 일면으로부터 삽입구(110)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 몸체(100)는 변형 후 탄성 복원이 가능한 금속 또는 수지 계열(아크릴(acrylic) 등)의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구(110)는, 후술 될 파지구(220)와 암수로 대응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구(120)의 중심 부위에는 제1통과홀(110)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구(120)는 도 1에서처럼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결합 대상물(10)의 설치홀(11)은 상기 삽입구(12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구(120)의 외주면에는 걸림홈(11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걸림홈(111)은 후술 될 걸림돌기(211)가 걸림 위치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구(120)를 원통 형상으로 적용하는 경우, 상기 걸림홈(111)은 상기 삽입구(120)의 원주 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링 형상)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홈(111)의 외경은 삽입구(120)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상기 걸림홈(111)과 삽입구(120)의 외주면 사이에는 직경 차이에 따른 단차가 형성된다.
또한, 수 몸체(100)는 결합 대상물(10)과 반대 방향측 일면에는 장식물(20)이 가공 또는 부착되며, 장식물(20)이 부착될 수 있는 홈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수 몸체(100)의 일면에 로고 등을 형성(인쇄, 성형 등)시키거나, 액세서리 등을 부착하여, 결합 대상물(10)의 상표 등을 외부로 표시하거나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 몸체(100)의 전단 테두리 부위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경사면(11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12)은, 삽입구(110)를 결합 대상물(10)의 설치홀(11)에 삽입시키는 경우, 상기 경사면(112)이 걸림돌기(211)를 후방으로 안내하면서 외부로 확장시킨다.
즉, 상기 경사면(112)은 도 3에서처럼 후술 될 걸림돌기(211)의 돌출된 일단과 접하면서 후술 될 파지구(210)가 외부로 휘어지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삽입구(110)와 후술 될 파지구(210)를 암수로 대응되게 결합시키는 경우, 후술 될 파지구(210)의 전단이 삽입구(110)의 전단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삽입구(110)의 후단에는 테두리 부위가 상기 결합 대상물의 내외측에 걸림 위치되도록 대직경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대직경부(120)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삽입구(110)가 돌출 형성된다.
암 몸체(200)는, 결합 대상물(10)의 내측에서 전술한 수 몸체(100)와 결합되며, 이때 상기 암 몸체(200)와 수 몸체(100)의 사이에 결합 대상물(10)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 몸체(200)는 변형 후 탄성 복원이 가능한 금속 또는 수지 계열(아크릴(acrylic) 등)의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암 몸체(200)의 일면에는 삽입구(110)와 대응 결합될 수 있도록 파지구(21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파지구(210)의 전면에는 삽입구(110)가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220)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220)의 후방에는 암 몸체(200)의 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상기 삽입홈(220)에 삽입된 삽입구(110)가 파지구(210)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폐쇄부(240)는, 수 몸체(100)와 암 몸체(200)를 결합시 삽입구(110)가 암 몸체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하며, 이물질(먼지 등)이 삽입홈(22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파지구(210)의 내주면에는 삽입구(110)의 외주에 형성된 걸림홈(111)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걸림돌기(2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파지구(210)는, 여기서, 상기 삽입구(120)는 도 1에서처럼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결합 대상물(10)의 설치홀(11)은 상기 삽입구(12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1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구(120)를 원통 형상으로 적용하는 경우, 상기 걸림홈(111)은 상기 삽입구(120)의 원주 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링 형상)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돌기(211)의 외경은 파지구(21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상기 걸림돌기(211)와 파지구(210)의 내주면 사이에는 직경 차이에 따른 단차가 형성된다.
아울러, 파지구(210)의 후단에는 테두리 부위가 결합 대상물(10)의 내외측에 걸림 위치되도록 대직경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대직경부(230)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파지구(210)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파지구(210)의 전단에는 도 5에서처럼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개단(212)이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단(212)은 삽입구(110)를 삽입홈(220)로 삽입시키는 경우, 파지구(210)의 전단이 외부로 확장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절개단(212)는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절개단(212)의 개수는 다양하게 선택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파지구(210)는 삽입구(110)와 대응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파지구(210)와 삽입구(110)는 상호 결합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구(110)가 파지구(21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어, 상기 파지구(210)의 일면에 부착 및 형성된 장식구(20)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형 장식구는, 삽입구(110)를 파지구(210)의 삽입홈(220)로 결합시키는 경우, 걸림돌기(211)들의 내주면이 삽입구(110)의 전단에 형성된 경사면(112)과 접하는 상태로 전진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11)들은 절개단(212)을 사이에 두고 외부로 벌어지며, 상기 파지구(210)와 삽입구(110)의 결합을 완료하는 경우, 상기 파지구(210)의 전단은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 복원된다.
이때, 상기 파지구(210)의 걸림돌기(211)가 삽입구(110)의 걸림홈(111)에 걸림 위치되어 전후로 유동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돌기(211)와 걸림홈(111)이 상호 교차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므로, 수 몸체(100)와 암 몸체(200)는 상호 결합되고, 상기 수 몸체(100)와 암 몸체(200)의 사이에 결합 대상물(10)이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 몸체(100)의 대직경부(120)와 암 몸체(200)의 대직경부(230)가 양 방향에서 결합 대상물(10)의 양면을 각각 파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암수로 대응 결합 가능한 삽입구(110)와 파지구(210)에 걸림홈(111)과 걸림돌기(211)를 각각 형성시키고, 삽입구(110)의 전단 테두리 부위에 경사면을 형성시킴으로써, 별도의 결합 기구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호 결합이 가능하고, 조립시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조립의 용이성을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파지구(210)의 전단에 절개단(212)을 형성시킴으로써, 파지구(210)와 삽입구(110)를 결합시키는 경우, 파지구(210)들의 전단이 외부로 벌어진 후 탄성 복원되므로 조립성의 용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 몸체(100)와 암 몸체(200)를 결합시 삽입구(110)가 암 몸체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가지며, 이물질(먼지 등)이 삽입홈(220)으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이물질 부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장식구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결합 대상물 11: 설치홀
20: 장식물 100: 수 몸체
110: 삽입구 111: 걸림홈
112: 경사면 120: 대직경부
200: 암 몸체 210: 파지구
211: 걸림돌기 212: 절개단
220: 삽입홈 230: 대직경부
240: 폐쇄부

Claims (6)

  1. 설치홀이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결합 대상물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설치홀에 결합시키기 위해 전면으로부터 삽입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의 외주면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는 수 몸체 및, 상기 결합 대상물의 내측에 위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삽입구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파지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대응 결합되도록 상기 파지구의 내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의 전면에는, 상기 삽입구가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후방에는 상기 암몸체의 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삽입구가 상기 상기 파지구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고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 몸체의 전단 테두리 부위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삽입구를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시 상기 걸림돌기를 외부로 확장시키면서 후방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장식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와 상기 파지구의 대응되는 후단에는,
    테두리 부위가 상기 결합 대상물의 내외측에 걸림 위치되도록 대직경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장식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구의 전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개단이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단은,
    상기 삽입구를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시 상기 파지구의 전단이 외부로 확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장식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 몸체는,
    상기 결합 대상물의 외측에 위치된 일면에 장식물이 가공 또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장식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외주면이 원주를 이루도록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파지구는,
    상기 삽입구와 대응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구와 결합시 상호 결합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장식구.
KR2020160007293U 2016-12-15 2016-12-15 조립형 장식구 KR201800018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93U KR20180001884U (ko) 2016-12-15 2016-12-15 조립형 장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93U KR20180001884U (ko) 2016-12-15 2016-12-15 조립형 장식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84U true KR20180001884U (ko) 2018-06-25

Family

ID=6274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293U KR20180001884U (ko) 2016-12-15 2016-12-15 조립형 장식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88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751B1 (ko) 조립형 장식구
US9809177B1 (en) Polymeric components with integral connectors
KR930001655Y1 (ko)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용 견인 탭
US20090007498A1 (en) Weather strip
JP2008281169A (ja) 保持具
WO2012014531A1 (ja) ホールプラグ
US3094757A (en) Fastener means
US7117567B1 (en) Two-part connecting zipper pull
KR20180001884U (ko) 조립형 장식구
KR101165164B1 (ko) 결합형 장식물
JP2008072421A (ja) 薄型画像表示装置の装飾品固定構造
KR200497427Y1 (ko) 귀걸이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귀걸이
KR200483882Y1 (ko) 장신구용 체결구
JP4165737B2 (ja) カバー付クリップ
KR102035848B1 (ko) 장식부재가 착탈가능한 단추
KR100868617B1 (ko) 거울 고정홀더 장식구
US2969574A (en) Fastener means
JP2007038721A (ja) ドアトリム
KR200479275Y1 (ko) 파이프 퍼짐형 고정핀
JP7265424B2 (ja) 留め具
KR20150022546A (ko) 장식물 장착 구조
KR101528297B1 (ko) 자동차용 카울 그릴 몰딩 장착구조 및 카울 그릴 몰딩 제조방법
JP4121980B2 (ja) スナップファスナー
FR2612844A1 (fr) Instrument d'ecriture muni d'une bague d'ornement
US20070287357A1 (en) Securing assembly for articles to pl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