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856A -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856A
KR20180001856A KR1020160080839A KR20160080839A KR20180001856A KR 20180001856 A KR20180001856 A KR 20180001856A KR 1020160080839 A KR1020160080839 A KR 1020160080839A KR 20160080839 A KR20160080839 A KR 20160080839A KR 20180001856 A KR20180001856 A KR 20180001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plate glass
glass
liquid crystal
ol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8453B1 (ko
Inventor
허기석
오정표
김남호
박철영
하태원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8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453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01L27/3232
    • H01L51/5203
    • H01L51/5246
    • H01L51/525
    • H01L51/5259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2251/305
    • H01L2251/306
    • H01L2251/308
    • H01L2251/536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2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tin oxides, e.g. fluorine-doped SnO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3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indium oxides, e.g. IT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분산액정(PDLC)필름상에 투명 OLED패널을 이중 판유리 내에 구비함으로써 고분자분산액정의 투명/불투명 기능과 함께 OLED의 감성조명이 가능한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에 의하면, 고분자분산액정형 스마트윈도우의 투명/불투명 기능과 함께 투명 OLED패널의 감성조명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에 의하면, 투명 OLED패널과 투명배선전극이 전면이 덮인 상태로 고분자분산액정필름상에 접착되므로 투명 OLED 패널의 봉지효율 및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Transparent OLED illuminating gla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분산액정(PDLC)필름상에 투명 OLED패널을 이중 판유리 내에 구비함으로써 고분자분산액정의 투명/불투명 기능과 함께 OLED의 감성조명이 가능한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빛을 투과하거나 산란하게 함으로써 투명, 불투명 또는 반투명 상태로 변화되어 투과도 가변유리, 조광유리,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로도 불린다.
이러한 스마트 윈도우는 대개 고분자 분산형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을 이용하고 있으며, 한 쌍의 유리 기판의 사이에 고분자 분산 액정을 주입하여 고분자 매트릭스 내의 미세한 액정(liquid crystal, LC)이 분산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고분자 분산형 액정은 전압이 없으면 액정의 방향이 불규칙해져서 빛을 산란함으로써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상태를 이루게 되며, 반면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의 방향이 가지런하게 변화하여 빛이 투과되어 투명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고분자 분산형 액정을 이용한 종래의 스마트윈도우는 텍스트,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활용할 수 있어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여전히 투명, 불투명 또는 반투명 모드만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고해상도, 고품질 이미지 및 백라이트 소스들로부터의 독립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및 조명 응용분야 등에서 상당한 관심을 끌어오고 있다.
특히, 투명 OLED 조명의 경우 상용화 단계에 이를 정도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대면적화를 위해서는 많은 시설투자가 필요하여 고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OLED의 봉지 및 수명 효율에 있어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형태의 투명 OLED 조명 융합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번호 제10-2013-0037600호(2013.04.16. 공개) 공개특허번호 제10-2015-0024745호(2015.03.09. 공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고분자분산액정(PDLC)필름상에 형성된 투명 OLED패널을 이중 판유리 내에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분자분산액정형 스마트윈도우의 투명/불투명 기능과 함께 OLED의 감성조명이 가능한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명 OLED 패널의 봉지효율 및 수명이 향상된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투명 판유리; 상기 제1투명 판유리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투명 판유리; 상기 제1투명 판유리와 상기 제2투명 판유리가 설치되어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판유리고정부재; 상기 제1투명 판유리 또는 상기 제2투명 판유리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고분자분산액정(PDLC)필름; 및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상에 구비되는 투명 OLED패널;을 포함하는 투명 스마트OLED 조명유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상에 구비되며, 상기 투명 OLED패널과 연결되는 투명배선전극;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배선전극은 투명유연성고분자기판 상에 InSnO(ITO), ZnInSnO(ZITO), NiInZnO(NIZO), TiInZnO(TIZO), TiInSnO(TITO), MoInSnO(MITO), MoInZnO(MIZO), WInSnO, ITO/Ag/ITO, ZITO/Ag/ZITO, NIZO/Ag/NIZO, TIZO/Ag/TIZO, TITO/Ag/TITO, MTIO/Ag/MITO. MIZO/Ag/MIZO. WITO/Ag/WITO 및 PEDOT:PS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투명전극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OLED패널과 상기 투명배선전극은 투명합성수지 또는 투명접착필름을 이용하여 전면이 덮인 상태로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상에 접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OLED패널은 발광영역의 투과도가 30% 이상이며, 비발광영역이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고정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1투명 판유리와 상기 제2투명 판유리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제1투명 판유리가 맞닿는 면과,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제2투명 판유리가 맞닿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봉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 및 상기 OLED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스페이서 내부에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표면에 구비되는 흡습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의 내부에 구비되는 흡습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 판유리, 상기 제2투명 판유리 및 상기 스페이서로 형성되는 이격공간은 진공상태를 유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 판유리, 상기 제2투명 판유리 및 상기 스페이서로 형성되는 이격공간은 불활성가스로 채워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제1투명 판유리 및 제2투명 판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투명 판유리 또는 상기 제2투명 판유리의 내부면에 고분자분산액정(PDLC)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분산액정(PDLC)필름 상에 투명 OLED패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분산액정(PDLC)필름 상에서 상기 투명 OLED패널과 연결되는 투명배선전극을 설치하는 단계; 투명접착필름을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 상에 접착하는데, 상기 투명 OLED패널과 상기 투명배선전극의 전면을 덮은 상태로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제1투명 판유리 및 제2투명 판유리을 서로 이격시킨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제1투명 판유리 및 제2투명 판유리 사이의 측면부 이격된 공간에 스페이서를 설치하는 단계; 및 판유리고정부재에 상기 제1투명 판유리, 상기 제2투명 판유리 및 상기 스페이서를 고정시켜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고분자분산액정형 스마트윈도우의 투명/불투명 기능과 함께 투명 OLED패널의 감성조명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고분자분산액정필름 상에 형성된 투명 OLED패널을 이중 판유리 내에 구비함으로써 단열, 결로방지 및 수분차단 기능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에 의하면, 투명 OLED패널과 투명배선전극이 전면이 덮인 상태로 고분자분산액정필름상에 접착되므로 투명 OLED 패널의 봉지효율 및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100)는 제1투명 판유리(110), 제2투명 판유리(120), 판유리고정부재(130), 고분자분산액정(PDLC)필름(140), OLED패널(150), 투명배선전극(160) 및 스페이서(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투명 판유리(110)와 상기 제2투명 판유리(120)는 서로 일정 공간 이격된 상태로 상기 판유리고정부재(130)에 설치된다.
상기 판유리고정부재(130)는 상기 제1투명 판유리(110)와 상기 제2투명 판유리(120) 및 상기 스페이서(170)가 설치되어 부재로서 프레임을 형성한다.
상기 제1투명 판유리(110) 또는 상기 제2투명 판유리(120)의 내부면에는 고분자분산액정(140)필름이 부착된다.
상기 고분자분산액정(140)필름은 액정 표시장치(LCD)에 사용되는 액정 셀의 하나이다. 빛의 투과를 빛의 산란강도에 따라 제어하며 편광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고분자 중에서 수 마이크로미터의 액정 분자립이 다수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그물 모양의 고분자 중에 액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 등 몇 가지 종류의 구조가 있다. 전압이 없으면 액정 분자의 방향이 불규칙해지고 매체와의 굴절률이 다른 계면에서 산란을 일으킨다. 전압을 가하면 액정의 방향이 가지런하게 되고, 양자의 굴절률이 일치하여 투과상태가 된다. 표시는 밝게 되지만 액정 셀의 두께를 크게 하지 않으면 콘트라스트가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구동 전압이 높아진다.
즉,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140)에 전압의 인가 유무에 따라 투명 또는 불투명의 투과 작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투명 판유리(110) 또는 상기 제2투명 판유리(120) 상에는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전극(141, 도 4b 참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140)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전극(141)은 Ag 페이스트(paste)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판유리고정부재(130) 및 상기 스페이서(170)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투명소재의 전극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140)상에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이 구비된다.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은 발광영역의 투과도가 30% 이상인 OLED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 소재의 게터(getter), 투명 소재의 캐소드(cathode), 투명 소재의 박막 패시베이션(passivation) 등을 사용함으로써 발광영역뿐만 아니라, 비발광역역도 투명하도록 형성한 OLED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은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패널(예를 들면, 200×200 ㎜)을 사용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문자, 캐릭터 및 그림 등 다양한 표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을 2개 구비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의 패널을 복수 개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배선전극(160)은 상기 투명 OLED패널(150)에 연결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140)상에 구비된다.
상기 투명배선전극(160)은 다양한 형태의 상기 투명 OLED패널(150)에 대응하여 제작될 수 있도록 배선형태의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하는 형태로 재단할 수 있는 유연성의 투명소재 전극을 배선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상기 투명배선전극(160)은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투명유연성고분자기판 상에 InSnO(ITO), ZnInSnO(ZITO), NiInZnO(NIZO), TiInZnO(TIZO), TiInSnO(TITO), MoInSnO(MITO), MoInZnO(MIZO), WInSnO, ITO/Ag/ITO, ZITO/Ag/ZITO, NIZO/Ag/NIZO, TIZO/Ag/TIZO, TITO/Ag/TITO, MTIO/Ag/MITO. MIZO/Ag/MIZO. WITO/Ag/WITO 및 PEDOT:PS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투명전극이 형성된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투명 OLED패널(150)에 (+)투명배선전극(161)과 (-)투명배선전극(162)가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 OLED패널(150)과 상기 투명배선전극(160)은 투명합성수지 또는 투명접착필름을 이용하여 전면이 덮인 상태로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140)상에 접착되어 있다. 물론, 상기 투명 OLED패널(150)과 상기 투명배선전극(160)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전면을 모두 덮지 않고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140)상에 접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투명합성수지 또는 투명접착필름을 이용하여 전면이 덮인 상태로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140)상에 접착함으로써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의 봉지 효율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의 외부 공기 유입에 의한 산화를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투명 판유리(110)와 상기 제2투명 판유리(120) 사이 상기 판유리고정부재(130) 상에는 스페이서(170)가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170)는 상기 제1투명 판유리(110)와 상기 제2투명 판유리(1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페이서(170)는 금속이나 아크릴 등 가공이 용이하며 단단한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170)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홀(1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170)의 내부에 구비되는 흡습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100)의 봉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흡습제는 상기 제1투명 판유리(110)와 상기 제2투명 판유리(120) 사이 이 다양한 장소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170)의 표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70)와 상기 제1투명 판유리(110)가 맞닿는 면과, 상기 스페이서(170)와 상기 제2투명 판유리(120)가 맞닿는 면에는 각각 봉지재(172)가 구비되어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100)의 봉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투명 판유리(110)과 상기 제2투명 판유리(120) 및 상기 스페이서(170)로 형성되는 이격공간은 진공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N2, He, Ne 및 Ar 등 불활성가스로 채워질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투명 OLED패널(150)에 수분이나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봉지 효율의 증대, 단열 및 결로 방지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100)는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130) 및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모듈(미도시)을 구비하는데, 상기 스페이서(17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전극(141) 및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을 연결하는 (+)투명배선전극(161)과 (-)투명배선전극(162)을 외부 제어모듈과 연결하는 외부배선(도 4g 참조, 190)이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100)는 고분자분산액정형 스마트윈도우의 투명/불투명 기능과 함께 투명 OLED패널의 감성조명이 모두 가능하다.
즉,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130)에 전원을 인가하여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투명 OLED패널(15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색상, 문자 및 형상 등의 감성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의 제조방법은 제1투명 판유리(110) 및 제2투명 판유리(120)를 준비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투명 판유리(110) 또는 상기 제2투명 판유리(120)의 내부면에 고분자분산액정필름(140)을 부착한다.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140)은 후술할 스페이서(170)와 판유리고정부재(130)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의 크기에 맞게 구비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분자분산액정필름전극(141)을 상기 제1투명 판유리(110) 또는 상기 제2투명 판유리(120) 상에 형성한다.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전극(141)은 Ag 페이스트(paste)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140) 상에 투명 OLED패널(150)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은 발광영역의 투과도가 30% 이상인 OLED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 소재의 게터(getter), 투명 소재의 캐소드(cathode), 투명 소재의 박막 패시베이션(passivation) 등을 사용함으로써 발광영역뿐만 아니라, 비발광역역도 투명하도록 형성한 OLED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은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패널(예를 들면, 200×200 ㎜)을 사용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문자, 캐릭터 및 그림 등 다양한 표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을 2개 구비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의 패널을 복수 개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 OLED패널(150)과 연결되는 투명배선전극(161, 162)을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140) 상에 설치한다. 상기 투명배선전극은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의 일면에 연결되는 (+)투명배선전극(161)과, 타면에 연결되는 (-)투명배선전극(16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배선전극(160)은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투명유연성고분자기판 상에 InSnO(ITO), ZnInSnO(ZITO), NiInZnO(NIZO), TiInZnO(TIZO), TiInSnO(TITO), MoInSnO(MITO), MoInZnO(MIZO), WInSnO, ITO/Ag/ITO, ZITO/Ag/ZITO, NIZO/Ag/NIZO, TIZO/Ag/TIZO, TITO/Ag/TITO, MTIO/Ag/MITO. MIZO/Ag/MIZO. WITO/Ag/WITO 및 PEDOT:PS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투명전극이 형성된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 OLED패널(150)과 상기 투명배선전극(161, 162)의 전면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140) 상에 투명접착필름(180)을 접착한다. 상기 투명접착필름(180)은 투명합성수지 또는 투명접착필름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OLED패널(150)과 상기 투명배선전극(161, 162)의 전면을 덮은 상태로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140)상에 접착한다. 이로써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의 봉지 효율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의 외부 공기 유입에 의한 산화를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f를 참조하면, 상기 제1투명 판유리(110) 및 상기 제2투명 판유리(120)을 서로 이격시킨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제1투명 판유리(110) 및 제2투명 판유리(120) 사이의 측면부 이격된 공간에 스페이서(17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170)의 표면 및 내부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홀(171)과 흡습제, 봉지재(172) 및 제어모듈 등의 구성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g를 참조하면, 상기 판유리고정부재(130)에 상기 제1투명 판유리(110), 상기 제2투명 판유리(120) 및 상기 스페이서(170)를 고정시켜 프레임을 완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전극(141) 및 상기 투명 OLED패널(150)을 연결하는 (+)투명배선전극(161)과 (-)투명배선전극(162)을 외부 제어모듈과 연결되도록 외부배선(190)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110: 제1투명 판유리
120: 제2투명 판유리 130: 판유리고정부재
140: 고분자분산액정(PDLC)필름 150: 투명 OLED패널
160: 투명배선전극 170: 스페이서
180: 투명접착필름

Claims (13)

  1. 제1투명 판유리;
    상기 제1투명 판유리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투명 판유리;
    상기 제1투명 판유리와 상기 제2투명 판유리가 설치되어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판유리고정부재;
    상기 제1투명 판유리 또는 상기 제2투명 판유리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고분자분산액정(PDLC)필름; 및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상에 구비되는 투명 OLED패널;을 포함하는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상에 구비되며, 상기 투명 OLED패널과 연결되는 투명배선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배선전극은 투명유연성고분자기판 상에 InSnO(ITO), ZnInSnO(ZITO), NiInZnO(NIZO), TiInZnO(TIZO), TiInSnO(TITO), MoInSnO(MITO), MoInZnO(MIZO), WInSnO, ITO/Ag/ITO, ZITO/Ag/ZITO, NIZO/Ag/NIZO, TIZO/Ag/TIZO, TITO/Ag/TITO, MTIO/Ag/MITO. MIZO/Ag/MIZO. WITO/Ag/WITO 및 PEDOT:PS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투명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OLED패널과 상기 투명배선전극은 투명합성수지 또는 투명접착필름을 이용하여 전면이 덮인 상태로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상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OLED패널은 발광영역의 투과도가 30% 이상이며, 비발광영역이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고정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1투명 판유리와 상기 제2투명 판유리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제1투명 판유리가 맞닿는 면과,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제2투명 판유리가 맞닿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봉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 및 상기 OLED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스페이서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표면에 구비되는 흡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의 내부에 구비되는 흡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 판유리, 상기 제2투명 판유리 및 상기 스페이서로 형성되는 이격공간은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 판유리, 상기 제2투명 판유리 및 상기 스페이서로 형성되는 이격공간은 불활성가스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13. 제1투명 판유리 및 제2투명 판유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투명 판유리 또는 상기 제2투명 판유리의 내부면에 고분자분산액정(PDLC)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분산액정(PDLC)필름 상에 투명 OLED패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분산액정(PDLC)필름 상에서 상기 투명 OLED패널과 연결되는 투명배선전극을 설치하는 단계;
    투명접착필름을 상기 투명 OLED패널과 상기 투명배선전극의 전면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고분자분산액정필름 상에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제1투명 판유리 및 제2투명 판유리을 서로 이격시킨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제1투명 판유리 및 제2투명 판유리 사이의 측면부 이격된 공간에 스페이서를 설치하는 단계; 및
    판유리고정부재에 상기 제1투명 판유리, 상기 제2투명 판유리 및 상기 스페이서를 고정시켜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의 제조방법.
KR1020160080839A 2016-06-28 2016-06-28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8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839A KR101868453B1 (ko) 2016-06-28 2016-06-28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839A KR101868453B1 (ko) 2016-06-28 2016-06-28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56A true KR20180001856A (ko) 2018-01-05
KR101868453B1 KR101868453B1 (ko) 2018-07-23

Family

ID=6100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839A KR101868453B1 (ko) 2016-06-28 2016-06-28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4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0474A1 (de) * 2018-01-18 2019-07-25 Linda Czapka Durchscheinender plattenverbund
KR20200060812A (ko) * 2018-11-23 2020-06-02 (주)엘지하우시스 충전식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창호
EP3964658A1 (en) * 2020-09-02 2022-03-09 H. Glass SA Modular building structure with reduction of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demand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975A (ja) * 1996-05-07 1998-01-27 Masanobu Kujirada 窓装置
KR20110094335A (ko) * 2008-12-12 2011-08-23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라미네이트된 전기적으로 염색가능한 윈도우들
KR20120052914A (ko) * 2012-04-06 2012-05-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30037600A (ko) 2011-10-06 2013-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 윈도우 디스플레이
WO2014050138A1 (ja) * 2012-09-28 2014-04-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50024745A (ko) 2013-08-27 2015-03-09 이민진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
KR20160032916A (ko) * 2014-09-17 2016-03-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기발광 기능이 부여된 스마트윈도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975A (ja) * 1996-05-07 1998-01-27 Masanobu Kujirada 窓装置
KR20110094335A (ko) * 2008-12-12 2011-08-23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라미네이트된 전기적으로 염색가능한 윈도우들
KR20130037600A (ko) 2011-10-06 2013-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 윈도우 디스플레이
KR20120052914A (ko) * 2012-04-06 2012-05-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14050138A1 (ja) * 2012-09-28 2014-04-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50024745A (ko) 2013-08-27 2015-03-09 이민진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
KR20160032916A (ko) * 2014-09-17 2016-03-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기발광 기능이 부여된 스마트윈도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0474A1 (de) * 2018-01-18 2019-07-25 Linda Czapka Durchscheinender plattenverbund
KR20200060812A (ko) * 2018-11-23 2020-06-02 (주)엘지하우시스 충전식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창호
EP3964658A1 (en) * 2020-09-02 2022-03-09 H. Glass SA Modular building structure with reduction of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demands
WO2022049473A1 (en) * 2020-09-02 2022-03-10 H.Glass Sa Modular building structure adapted for thermal regulation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453B1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2538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WO2016082336A1 (zh) 平板显示器
KR102179011B1 (ko) 표시 장치
US9614014B2 (en) Display device
WO2015018153A1 (zh)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US11024700B2 (en) Display device
CN105280103A (zh) 发光模块及照明模块
KR20140019989A (ko) 수직구조의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73824A (ko) 조명 시스템
KR1006567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68453B1 (ko)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519210A (zh) 透明顯示裝置
US9857647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thereof
CN109976019A (zh) 透明显示板体及具有显示功能的透明窗
CN110208980A (zh) 液晶显示器
KR10127785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0241811A (ja) フィールドシーケンシャル液晶表示装置
JP4932317B2 (ja) 表示装置
CN109521516B (zh) 背光模组及其制作方法
TW201525599A (zh) 前光模組及電子紙顯示裝置
KR20140006252A (ko) 에어 제로 갭 본딩을 이용한 패널 일체형 lcd 모듈
CN105182653A (zh) 一种电泳显示面板和电泳显示装置
US2007012697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50102249A (ko) 투명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861921B2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