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745A -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 - Google Patents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745A
KR20150024745A KR20130102050A KR20130102050A KR20150024745A KR 20150024745 A KR20150024745 A KR 20150024745A KR 20130102050 A KR20130102050 A KR 20130102050A KR 20130102050 A KR20130102050 A KR 20130102050A KR 20150024745 A KR20150024745 A KR 20150024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ed
electrode pin
oled display
lay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진
노정희
이유진
조아현
Original Assignee
이민진
조아현
이유진
노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진, 조아현, 이유진, 노정희 filed Critical 이민진
Priority to KR20130102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4745A/ko
Publication of KR2015002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OLED 매트릭스와, 상기 복수의 OLED 매트릭스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는 대형 OLED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이 경우,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공정 시간 및 공정 비용을 저감시키고, 불량율을 낮춘 대형 OLED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Windows including large OLED Display}
본 발명은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공정 시간 및 공정 비용을 저감시키고, 불량율을 낮춘 대형 OLED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2009-0118141호로 출원한 바가 있다.
OLED 개발은 1987년부터 시작되었다. OLED는 저분자 재료와 고분자 재료로 분류할 수 있으며, 코닥의 기술자에 의하여,저분자 적층막에 의한 소자 구조가 제안되는 한편, 저분자 재료에 이어 3년 후인 1990년에는 켐브리지 대학의 연구자에 의하여,고분자막의 발광이 실현되었다. 이후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기업과 저분자 재료를 이용한 기업군들로 나뉘어 연구 개발이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OLED는 전류 구동형 발광 소자로서, LCD 기술과 달리 OLED는 자체 발광이 가능하며,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얇은 박형으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넓은 시야각과 빠른 응답속도를 갖고 있어 일반 LCD와 달리 바로 옆에서 보아도 화질이 변하지 않으며 화면에 잔상이 남지 않아 동화상 디스플레이로서 바람직한 디스플레이 형태이다. 또한 소형 화면에서는 LCD 이상의 화질과 단순한 제조공정으로 인하여 유리한 가격 경쟁력을 갖는다. 다만, OLED의 단점으로는, 수명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대형화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유기 발광체 재료의 수명을 현재 30000만 시간에서 50000만 시간 이상으로 개발시키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대형화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 중이다. 대형으로 제작할 경우 불량율의 증가로 인해, 현재의 기술로는 소형의 휴대폰 화면 정도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OLED의 경우, 유기물층을 면으로 형성하여 면광원 구성은 용이하지만, 대형 전광판이나 대형 구조물
배치용 조명 등으로 사용되는 대형 패널을 제작할 경우, 불량율 증가로 대형화가 쉽지 않은 OLED 특성상, 대형 OLED 디스플레이의 제작이 곤란하고 공정 시간과 공정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은, 복수의 OLED 매트릭스와, 상기 복수의 OLED 매트릭스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OLED 매트릭스 각각은, n개씩의 R, G, B의 OLED 패널을 n 형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n은 1 이상의 정수임) 또는 백색, R, G, B의 OLED 패널 가운데 어느 하나의 OLED 패널을 n 형식으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 n 및 m은 1 이상의 정수임) 또한, 상기 OLED 매트릭스의 하면에는, 각각의 OLED 패널의 애노드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전극 핀과 각각의 OELD 패널의 캐소드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전극 핀이, 상기 OLED 매트릭스의 하면 아래로 인출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제 1 전극 핀과 상기 제 2 전극 핀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제 1 전극 핀홀과 제 2 전극 핀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n개씩의 R, G, B의 OLED 패널이 n 형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상기 OLED 매트릭스의 n OLED 패널은 일체로 형성되고, R, G, B가 서로 교차로 형성되어 이웃한 4면에 동일한 색의 OLED 패널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OLED 패널은 양면 발광형으로 구성하여,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의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각의 OLED 매트릭스의 n개씩의 R, G, B OLED 패널의 하면에는, 제3 전극 핀과 제 4 전극 핀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OLED 매트릭스의 상면에는, 상기 제 3 전극 핀과 상기 제 4 전극 핀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제 3 전극 핀홀과 제 4 전극 핀홀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은, 대형 전광판이나 대형 구조물 배치용 조명 등으로 사용되는 대형 패널을 제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다시 말해, OLED 매트릭스의 하면에는, 각각의 OLED 패널의 애노드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전극 핀과 각각의 OELD 패널의 캐소드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전극 핀이, 상기 OLED 매트릭스의 하면 아래로 인출되어 있으며, 지지 프레임의 상면에는, 제 1 전극 핀과 제 2 전극 핀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제 1 전극 핀홀과 제 2 전극 핀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간단하게 핀 결합을 함으로써 대형 OLED 디스플레이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간단하게 대형 OLED 디스플레이를 제작하면서도, 제조 불량율의 상승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제조 단가 및 공정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불량율이 낮은 소형의 OLED 패널을 사용하여 대형 OLED 디스플레이를 제조하기 때문이다. 또한, 지지 프레임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OLED 패널이 양면 발광형인 경우, 대형 OLED 디스플레이는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의 기능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의 OLED 매트릭스(27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의 디스플레이(300)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 방향으로 바라본 측단면도로서, OLED 매트릭스(220)와 대형 OLED 디스플레이(300)의 지지 프레임(310)이 결합되기 전을 나타낸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 방향으로 바라본 측단면도로서, OLED 매트릭스(220)와 대형 OLED 디스플레이(300)의 지지 프레임(310)이 결합된 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OLED 디스플레이(300)에 있어서, OLED 패널(110, 120, 130)이 OLED 매트릭스(27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본 발명의 실시 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 1 실시예)
도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의 OLED 매트릭스(27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 방향으로 바라본 측단면도로서, OLED 매트릭스(220)와 대형 OLED 디스플레이(300)의 지지 프레임(310)이 결합되기 전을 나타낸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 방향으로 바라본 측단면도로서, OLED 매트릭스(220)와 대형 OLED 디스플레이(300)의 지지 프레임(310)이 결합된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OLED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OLED 매트릭스(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와, 이와 같은 복수의 OLED 매트릭스(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를 지
지하는 지지 프레임(31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대형 OLED 디스플레이는, 대형 전광판이나 대형 구조물 배치용 조명, 상황관제, 공공기간, 학교 등 정
보 및 광고를 제공하는 분야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실내/옥외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기존의 OLED의 경우, 가장 큰 단점 중 하나인 화면의 크기를 대형화할 때 불량율이 높아져서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지만, 본 발명과 같이 대형 OLED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경우, 소형의 OLED 패널(110,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으로 이루어진 OLED 매트릭스(270)를 복수 개 설치함으로써 편리하게 구현이 가능하며, 공정 비용이나 제조 단가의 상승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소형의 OLED 패널(110, 120, 190)은 가로, 세로 각각 5mm 내외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OLED 매트릭스(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 각각은, n개씩의 R, G, B의 OLED 패널을 n 형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n 형식으로 배열시키는 것은 색 구현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색좌표의 모든 색을 구현하기 위해서 최소 3 이상의 OLED 패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3의 OLED 패널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는 백색, R, G, B의 OLED 패널 가운데 어느 하나의 OLED 패널을 n 형식으로 배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n 및 m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이와 같은 경우, 하나의 색상, 즉 백색, 적색, 녹색, 파랑색 하나의 색상으
로 이루어진 대형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OLED 매트릭스(220)의 하면에는, 각각의 OLED 패널(110, 120, 130)의 제 1 전극 핀과 제 2 전극 핀(400)을 구비하며, 지지 프레임(310)의 상면에는, OLED 패널의 제 1 전극 핀과 상기 제 2 전극 핀(400)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제 1 전극 핀홀과 제 2 전극 핀홀(41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 핀은 OLED 패널(110, 120, 130)의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 2 전극 핀은 제 1 전극 핀이 접속되는 전극 이외의 나머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OLED 매트릭스의 하면아래로 인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각각의 OLED 패널이 2개씩의 핀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3개 이상의 핀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2개의 핀은 제 1 전극 핀, 1개의 핀은 제 2 전극 핀으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1개의 핀이 제 1 전극 핀, 1개의 핀이 제 2 전극 핀, 1개의 핀은 제어용 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핀 결합을 예시하였지만, 핀 결합은 전기적 결합과 기구적인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예시로 보면 되고, 핀 결합을 넓게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도 4은 OLED 매트릭스(220)와 대형 OLED 디스플레이(300)의 지지 프레임(310)이 결합되기 전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OLED 매트릭스(220)와 대형 OLED 디스플레이(300)의 지지 프레임(310)이 결합된 후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OLED 매트릭스(220)의 n OLED 패널(110 ~ 190)은 일체로 형성되고, R, G, B가 서로 교차로 형성되어 이웃한 4면에 동일한 색의 OLED 패널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3의 경우 정가운데 B OLED 패널(150)의 상하좌우에 또 다른 B OLED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색 재현이 자연스럽게 하는 데 바람직하다. 도 1에서, B OLED 패널(150)의 상하좌우에는, G OLED(120, 140)과 R OLED(160, 180)만이 있다.
또한, OLED 매트릭스를 만들 때, n OLED 패널(110 ~ 190)은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 살펴 보기로 한다.
통상 OLED 패널은, 기판, 양극층, 유기물층, 음극층으로 구성되고, 유기물층은 박막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유기물층은 발광층과 홀 주입층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반해서 저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유기물층은, 홀 주입층, 홀 수송층, 발광층, 홀 블록층, 전자 수송층의 5층 구조 등 다층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기판은 일반적으로 유리(glas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판 위의 그리드를 추가적으로 양극층에 맞닿아 있도록 형성하여, 양극층을 조명용 구동장치의 배선부에 연결할 때 양극층의 전기적 저항값을 낮추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리드는 통상 양극층보다 작은 저항값을 가진 금속으로서, 크롬(Cr), 구리(Cu), 몰리브덴(Mo), 니켈(Ni), 알루미늄(Al), 은(Ag) 또는 금(Au)이 될 수 있다. 그리드는 기판 상의 증착, 감광성 포토레지스트의 도포, 현상, 에칭 등의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양극층은 OLED 패널의 양극에 해당하는 애노드(Anode) 전극이며, 소재는 면 저항이 작고 투과성이 좋은 산화인듐주석(Indium Tin Oxide; ITO) 또는 산화인듐아연 (Indium zinc oxide; IZO) 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드 상에 양극층을 형성함으로써 양극층의 저항이 낮아지면서 이후 외부 구동회로와 연결하여 OLED 장치를 구동시 소비전력 및 구동전압이 낮아지게 되어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물층은 양극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OLED 패널에서 발광이 일어나는 부분으로서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tting Material Layer; 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fer Layer; ETL) 및 전자 공급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등을 차례로 증착하여 형성한다. 유기물층으로 사용되는 유기물질은 Alq3, TPD, PBD, m-MTDATA,TCTA 등이다.
또한, 유기물층 상에 음극층을 증착한다. 음극층 형성용 물질은 알루미늄, 구리, [0042] 은 또는 불소화리듐(LiF)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둘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양극층, 유기물층, 음극층이 내부에 포함되도록 밀봉하는 보호막을 형성한다. 보호막은 유기물층을 수분이나 산소로부터 보호하는 캡슐화(Encapsulation)를 위한 것으로 유리 또는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얇은 필름(thin film)으로 패시베이션(passivation)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OLED 패널의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은, 보호막이 양극층, 유기물층, 음극층이 내부에 포함되도록 밀봉한 경우에는, 제 1 전극 단자와 제 2 전극 단자는 보호막 외부로 제 1 전극 핀과 제 2 전극 핀의 형태로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여기서 사용되는 OLED 패널의 구조는, 보텀 이미션(bottom emission) 구조나 톱 이미션 구조, 양면 이미션 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텀 이미션(bottom emission) 구조는 투명한 양극을 이용하여 TFT 기판측에서 빛을 방출하며, TFT나 배선은 불투명 부분이므로,TFT나 배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밖에 빛을 방출할 수 없고,결국 광 방출영역이 좁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톱 이미션 구조는 투명한 음극을 이용하여 TFT가 형성되고 있지 않는 상측으로 빛을 방출한다. 이와 같이 TFT 기판을 이용하지 않고 빛을 방출하므로,TFT나 배선의 배치에 관계없이 빛을 방출할 수 있고,광 방출 영역이 폭넓게 가능하다. 특히 고휘도가 필요한 대형 디스플레이에는 톱 이미션 구조가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지지 프레임(310)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OLED 패널(110 ~ 190)이 양면 이미션 구조(양면 발광형 구조)인 경우, 대형 OLED 디스플레이는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 프레임(310)의 일측 또는 내부에 구동회로를 형성하여 대형 OLED 디스플레이(300)에 표시장치 또는 조명의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방식으로는 전압 기입형(volage programming) 구동 방식이나 전류 기입형(current programming) 구동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12678호에 도시된 도 3은 전압 기입형 구동 방식의 일례이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12678호에 도시된 도 3은 전류 기입형 구동 방식의 일례이다. 나아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12678호에 도시된 도 5의 전류 기입형 구동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통상은, 동일한 휘도를 갖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고자 할 때,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다르게 되면 구동용 트랜지스터에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어 OLED를 구동시키는 구동 전류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OLED 문턱전압의 편차에 따라 제각기 다른 휘도로 발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전류 기입형 구동 방식이 일반적으로선호된다.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형 OLED 디스플레이(300)에 있어서, OLED 패널(110, 120, 130)이 OLED 매트릭스(27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위에서 살펴본 제 1 실시예의 경우, OLED 매트릭스(270)에 포함된 OLED 패널(110 ~ 190)은 일체로 형성되는데 반해서, 제 2 실시예에서는, n개씩의 R, G, B OLED 패널(110 ~ 190) 각각의 하면에는, 제 3 전극 핀과 제 4 전극 핀을 구비하며, 각각의 OLED 매트릭스의 상면에는, 이와 같은 제 3 전극 핀과 제 4 전극 핀이 삽입되어 지지 될 수 있는 제 3 전극 핀홀과 제 4 전극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OLED 매트릭스(210 ~ 290)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지지 프레임(310)에 핀 결합되어 대형 O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만들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투명한 재질의 지지 프레임 등을 사용하고, OLED 패널(110 ~ 190)이 양면 이미션 구조(양면 발광형 구조)인 경우, 대형 OLED 디스플레이는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130, 170, 190: 소형의 OLED 패널
120: 소형의 OLED 패널(G OLED)
150: 소형의 OLED 패널(B OLED)
160, 180: 소형의 OLED 패널(R OLED)
210, 220, 230, 240, 250, 260, 280, 290: OLED 매트릭스
270: OLED 매트릭스의 일례
300: 대형 OLED 디스플레이
310: 지지프레임
400: OLED 패널의 제 1전극핀, 상기 제 2전극 핀
410: 제 1전극핀 홀과 제 2전극핀 홀
500: 유리창

Claims (1)

  1.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는 유리창;
    상기 소형의 OLED 패널(110, 130, 170, 190);
    상기 소형의 OLED 패널-G OLED (120);
    상기 소형의 OLED 패널-B OLED (150);
    상기 소형의 OLED 패널-R OLED (160,180);
    상기 OLED 매트릭스 (210, 220, 230, 240, 250, 260, 280, 290);
    상기 OLED 매트릭스의 일례(270);
    상기 대형 OLED 디스플레이(300);
    상기 대형 OLED 디스플레이(30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10);
    상기 OLED 패널의 제 1전극핀, 상기 제 2전극 핀(400);
    상기 제 1전극핀 홀과 제 2전극핀 홀(410)로 구성되어 있는 대형 OLED가 구비된 유리창.
KR20130102050A 2013-08-27 2013-08-27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 KR20150024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050A KR20150024745A (ko) 2013-08-27 2013-08-27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050A KR20150024745A (ko) 2013-08-27 2013-08-27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745A true KR20150024745A (ko) 2015-03-09

Family

ID=5302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2050A KR20150024745A (ko) 2013-08-27 2013-08-27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4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856A (ko) 2016-06-28 2018-01-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856A (ko) 2016-06-28 2018-01-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8053B2 (en) OLED with upconversion layer
US9214501B2 (en) In-cell OLED touch display panel structure
KR10189561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400154B (zh) Oled面板
KR101736929B1 (ko)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US9312310B2 (en) Display panel,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05230125A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04425761A (zh) 白色有机发光二极管及使用该二极管的显示装置
KR20030069707A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39065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777576A (zh) 像素结构及电致发光装置
WO2022156290A1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80077834A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JP6111487B2 (ja) El表示装置
EP3309840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9119438B (zh) 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KR100501427B1 (ko) 능동 매트릭스형 유기 이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KR101407579B1 (ko) 유기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
CN113451382B (zh) 显示面板
KR101752318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 방법
KR100739649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24745A (ko) 대형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유리창
US11616099B2 (en) Display substrate with two-side light emitting component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CN113328053A (zh) 显示面板
KR101717075B1 (ko) 유기전기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