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708U - 다목적 보안면 - Google Patents

다목적 보안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708U
KR20180001708U KR2020160006962U KR20160006962U KR20180001708U KR 20180001708 U KR20180001708 U KR 20180001708U KR 2020160006962 U KR2020160006962 U KR 2020160006962U KR 20160006962 U KR20160006962 U KR 20160006962U KR 20180001708 U KR20180001708 U KR 201800017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functional film
head
window
security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082Y1 (ko
Inventor
김정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
Priority to KR2020160006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08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7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0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5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use of particular optical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다목적 보안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작업환경에 따른 유해요인으로부터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고, 작업자의 입김에 의해 보안면의 이면에 발생하는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야부에 발생하는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제거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다목적 보안면은 작업자의 머리에 고정할 수 있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외부 상단에는 작업자의 눈과 대응되는 시야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작업자의 입과 코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구비된 보안창과 상기 보안창의 시야부에 탈부착되며 다양한 유해요인으로부터 면체가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접착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필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다목적 보안면{Multirpurpose safety mask}
본 고안의 다목적 보안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작업환경에 따른 유해요인으로부터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고, 작업자의 입김에 의해 보안면의 이면에 발생하는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야부에 발생하는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제거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다목적 보안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면이란 공장 및 산업현장에서 작업자를 향해 비산되는 비산물로부터 안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용도별로 절삭, 드릴, 광산, 전동체조, 전동목공 등의 충격에너지가 큰 비산물이 발생하거나, 그라인더, 기계가공, 목공, 제재 등의 비교적 작은 비산물이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하고, 용광로, 제철, 비철금속, 유리가공 등의 용융된 상태의 비산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사용하며, 액체비말, 부유분진이 발생하는 곳에서도 사용하는 등의 그 범위가 광범위하다.
보안면은 보통 머리에 착용하여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종래의 보안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곡 면화 된 불투명한 발카나이즈드 파이버나 유리섬유 강화 및 일반 플라스틱 등으로 보안 면(1)을 형성하되, 그 정면 눈높이에 맞춰 투명 유리 또는 아크릴이나 투명합성수지로 형성한 창(3)을 두고, 그 창 앞 눈높이 상측 쪽으로 용접 경 케이스(23)와 용접 경(24)을 조립 설치한 보안경 프레임(22)의 부착고정부(21)를 부착 고정시키며, 상기 보안면(1)이 얼굴의 양 측면 귀 부분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크게 형성하며, 보안 면(1) 상단 양측에 각각 조절구멍(33)을 가진 좌측밴드(31)와 고정 돌부(34)를 가진 우측밴드(32)로 구성된 머리고정밴드(4)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좌우 밴드(31)(32)에 수직방향으로 좌우 처짐 방지용 밴드(35)(36)를 형성하되, 이 또한 좌측밴드(35)에는 조절구멍(37)을, 그리고 우측밴드(36)에는 고정 돌부(38)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안면에 설치되는 투명 유리 또는 아크릴이나 투명합성수지로 형성한 창에 다양한 비산물로부터 쉽게 손상되거나 또는 취급시 발생하는 다양한 스크래치에 의해 시야부가 흐려져도 복수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져 손상시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며, 작업자의 입김에 의해 창 내부에 김서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0276057호.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작업환경에 따른 유해요인으로부터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고, 작업자의 입김에 의해 보안면 이면에 발생하는 김서림을 방지토록 하며, 시야부에 발생하는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제거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다목적 보안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작업자의 머리에 고정할 수 있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외부 상단에는 작업자의 눈과 대응되는 시야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작업자의 입과 코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구비된 보안창과 상기 보안창의 시야부에 탈부착되며 다양한 유해요인으로부터 면체가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접착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필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보안면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보안창의 시야부 측단에는 기능성 필름부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탈착홈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필름부는 둘 이상으로 부착되어 적층하되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기능성 필름부를 한 장씩 이탈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창의 통공 외주둘레에는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 내주면에 체결홈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의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된 반구형 보호덮개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목적 보안면은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보안창의 하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작업자의 입김에 의해 발생되는 김서리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보안창의 시야부에 탈부착 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부가 형성하므로써 다양한 작업환경에 따라 손상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안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목적 보안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목적 보안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보안창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기능성 필름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보안창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다목적 보안면을 나타낸 사용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목적 보안면(1)은 작업자의 머리에 고정할 수 있는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외부 상단에는 작업자의 눈과 대응되는 시야부(22)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작업자의 입과 코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24)이 구비된 보안창(20)과 상기 보안창(20)의 시야부(22)에 탈부착되며 다양한 유해요인으로부터 면체가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접착부재(32)가 구비된 기능성 필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보안창(20)의 시야부(22)는 작업자의 눈과 대응되는 위치에 최소한 시야가 굴절되지 않도록 다양한 형태의 홈부 또는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안창(20)의 시야부(22)에 설치되는 기능성 필름부(30)는 작업환경에 따라 교체 및 손상시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일측면부에 접착부재(32)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안창(20)의 시야부(22) 외주면에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기능성 필름부(30)의 내주면에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어 탈부착하거나 상기 기능성 필름부(30) 이면에 접착제가 형성되어 상기 보안창(20)의 시야부(22)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보안창(20)의 시야부(22)가 작업환경에 따라 비산물에 의해 손상되어 흐려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파손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능성 필름부(30)를 보안창(20)의 시야부(22)에 부착시 보다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안창(20)의 시야부 (22) 측단에는 기능성 필름부(30)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탈착홈부(2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필름부(30)가 작업환경에 따라 맑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단일형태로 이루어져 교체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더욱더 다양한 작업환경에 적용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성 필름부(30)는 둘 이상으로 부착되어 적층하되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기능성 필름부(30)를 한장씩 이탈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3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환경에 따라 비산물에 의해 손상되어 흐려질 수 있는 것을 방지 또는 용접시 빛을 차단하여 작업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기능성 필름부(30)가 둘 이상으로 적층되어 부착하므로써 작업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보안창(20)의 하부에는 작업자의 입과 코 부분에서 내뿜는 김에 의해 내부에 김서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공(24)이 형성하는데 작업시 상기 보안창(20)의 통공(24)으로 액체가 유입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고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안창(20)의 통공(24) 외주둘레에는 삽입홈부(26)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26) 내주면에 체결홈(26-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26)의 체결홈(26-2)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체결돌기(42)가 형성된 반구형 보호덮개구(4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목적 보안면(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머리에 고정할 수 있는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외부 상단에는 작업자의 눈과 대응되는 시야부(22)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작업자의 입과 코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24)이 구비된 보안창(20)과 상기 보안창(20)의 시야부(22)에 탈부착되며 다양한 유해요인으로부터 면체가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접착부재(32)가 구비된 기능성 필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목적 보안면(1)은 다양한 작업환경에 작업중 작업자의 입과 코로부터 배출되는 김이 상기 보안창(20)의 통공(24)로 배출되기 때문에 보안창(20) 내부에 김서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보안창(20)의 시야부(22)에 다양한 작업환경에 따라 적용하여 기능성 필름부(30)를 탈부착할 수 있어 맑은 시야를 제공함과 비산물에 의해 상기 보안창(20)의 시야부(22)를 보호함과 파손시 기능성 필름부(30)를 이용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다목적 보안면
10 : 헤드부
20 : 보안창 22 : 시야부
22-2 : 탈착홈부 24 : 통공
26 : 삽입홈부 26-2 : 체결홈
30 : 기능성 필름부 32 : 접착부재
34 : 손잡이부
40 : 보호덮개구 42 : 체결돌기

Claims (4)

  1. 작업자의 머리에 고정할 수 있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외부 상단에는 작업자의 눈과 대응되는 시야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작업자의 입과 코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구비된 보안창과;
    상기 보안창의 시야부에 탈부착되며 다양한 유해요인으로부터 면체가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접착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필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보안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창의 시야부 측단에는 기능성 필름부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탈착홈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보안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부는 둘 이상으로 부착되어 적층하되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기능성 필름부를 한 장씩 이탈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보안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창의 통공 외주둘레에는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 내주면에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의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된 반구형 보호덮개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보안면.
KR2020160006962U 2016-11-30 2016-11-30 다목적 보안면 KR200487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62U KR200487082Y1 (ko) 2016-11-30 2016-11-30 다목적 보안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62U KR200487082Y1 (ko) 2016-11-30 2016-11-30 다목적 보안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08U true KR20180001708U (ko) 2018-06-08
KR200487082Y1 KR200487082Y1 (ko) 2018-08-02

Family

ID=62598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962U KR200487082Y1 (ko) 2016-11-30 2016-11-30 다목적 보안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0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958B1 (ko) * 2021-03-12 2022-02-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안전모 착용상태에서도 용접 가능한 용접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057B1 (ko) 1997-05-16 2001-04-02 마스다 노부유키 옥내형스키장및옥내형스키장의제어방법및제어장치
KR200265389Y1 (ko) * 2001-10-25 2002-02-21 김종희 습기 방지구조를 갖는 용접 마스크
KR20140005520U (ko) * 2013-04-17 2014-10-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보호 필름을 구비한 안전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057B1 (ko) 1997-05-16 2001-04-02 마스다 노부유키 옥내형스키장및옥내형스키장의제어방법및제어장치
KR200265389Y1 (ko) * 2001-10-25 2002-02-21 김종희 습기 방지구조를 갖는 용접 마스크
KR20140005520U (ko) * 2013-04-17 2014-10-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보호 필름을 구비한 안전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958B1 (ko) * 2021-03-12 2022-02-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안전모 착용상태에서도 용접 가능한 용접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082Y1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2273B2 (en) Face protector
KR100767702B1 (ko) 다기능 보안면
KR101532972B1 (ko) 체결이 간편한 안전모
KR200487082Y1 (ko) 다목적 보안면
KR101660000B1 (ko) 안전모가 구비된 용접마스크
KR101879792B1 (ko) 김서림 방지 및 호흡개선용 보호구
KR101923541B1 (ko) 안면 보호 마스크용 차광판
KR100834379B1 (ko) 안전모
KR100545754B1 (ko) 보안면
KR200441735Y1 (ko) 슬라이드식 보안경이 부착된 안전모
KR102266915B1 (ko)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
KR20200131632A (ko) 보안경을 결합한 방진마스크
JP6230745B1 (ja) 作業用頭巾
JP3207267U (ja) 透明シールド付き防塵装着具
KR100925237B1 (ko) 다목적 용접용 보안면
CN219375169U (zh) 一种可拆卸镜片式冷焊机焊帽
KR20160002830U (ko) 용접 헬멧용 김 서림 방지 창
JP3236420U (ja) 作業用マスク
KR20100097301A (ko) 안전커버가 장착된 보안경
KR20040039220A (ko) 방호두건용 보안경
KR102047405B1 (ko) 투시창 교체형 송기 마스크
KR101696659B1 (ko) 손 보호 및 작업용 군용 장갑
KR20090000741U (ko)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
KR200371787Y1 (ko) 크린룸용 안전방진후드
KR200262471Y1 (ko) 작업용 보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