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915B1 -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 - Google Patents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915B1
KR102266915B1 KR1020210026696A KR20210026696A KR102266915B1 KR 102266915 B1 KR102266915 B1 KR 102266915B1 KR 1020210026696 A KR1020210026696 A KR 1020210026696A KR 20210026696 A KR20210026696 A KR 20210026696A KR 102266915 B1 KR102266915 B1 KR 102266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elmet
see
sid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태종
Original Assignee
노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태종 filed Critical 노태종
Priority to KR102021002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93Aerodynamic helmets; Air gui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9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bstract

본 발명은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 후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에 관한 것으로, 머리에 씌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의 양측 후방이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도 변경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양측의 각도 변경 연결수단을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되며,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투시 개방홀이 형성된 투명재나 반투명재의 주 안면커버와; 상기 주 안면커버의 상부에 교체 고정수단을 통해 교체가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시 개방홀을 커버하는 투명재나 반투명재의 투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Helmet used for mine removal work}
본 발명은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 후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Helmet)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에 쓰는 것으로, 금속이나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주로 군인, 경찰, 소방관, 현장 작업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근래에는 머리는 물론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안면 보호용 헬멧이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안면 보호용 헬멧은 방탄 기능도 함께 있어 군인이나 경찰에게 널리 보급되어 있다. 특히 군인들에게 보급되는 방탄 헬멧은 지뢰 제거 작업시에도 사용되는 것이다.
이에, 먼저 종래에는 군용으로 지뢰 제거 작업에도 사용하는 안면 보호용 헬멧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44226호의 "헬멧"(이하, "종래의 헬멧"이라 한다.)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헬멧은 헬멧본체의 전방에는 안면보호구를 설치하고 안면보호구의 후방에는 후방보호구를 각각 설치한 것으로, 상기 헬멧본체의 양방 외측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라쳇트 기능을 가진 고정수단을 설치하여 이 고정수단에 투명의 일체형 안면보호구를 설치하며 상기 헬멧본체의 고정수단들의 후방에는 스톱퍼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헬멧은 안면보호구가 단일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헬멧의 착용자가 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 안면보호구가 입과 코의 전방을 막게 됨에 따라 호흡시 발생되는 더운 공기로 인하여 안면보호구의 표면에서 김서림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착용 후 김서림 현상으로 인하여 지뢰 제거 작업시 시야 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헬멧은 헬멧본체의 안면보호구가 단일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안면보호구의 상부인 투시부분에 스크래치로 인해 흠집이 발생될 경우에는 단일의 판으로 구성된 안면보호구를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함으로써 안면보호구의 교체 비용이 많이 들게 됨으로써, 헬멧의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들게 되어 국가의 예산을 낭비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헬멧은 입의 전방을 안면보호구가 막음에 따라 착용 후 착용자의 음성이 차단됨으로써 착용자들 간에 의사 전달이 잘되지 않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44226호 "헬멧"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 안면커버의 투시 개방홀과 투시커버의 하부 사이에 공기 통과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용 후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착용작들의 의사 전달이 잘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 안면커버의 상부에 분리 교체가 가능한 투시커버를 구비하여 투시커버에 스크래치로 인해 흠집이 발생될 경우에 투시커버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은 머리에 씌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의 양측 후방이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도 변경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양측의 각도 변경 연결수단을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되며,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투시 개방홀이 형성된 투명재나 반투명재의 주 안면커버와; 상기 주 안면커버의 상부에 교체 고정수단을 통해 교체가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시 개방홀을 커버하는 투명재나 반투명재의 투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주 안면커버의 투시 개방홀과 투시커버의 하부 사이에 공기 통과부를 형성하여 착용시 김서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지뢰 제거 작업시 시야 확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공기 통과부로 음성이 원활하게 통과되게 하여 착용자들의 의사 전달이 잘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안면커버의 상부에 분리 교체가 가능한 투시커버를 구비하여 투시커버에 스크래치로 인해 흠집이 발생될 경우에 투시커버만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헬멧의 유지 보수 비용을 줄여 국가의 예산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멧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우측면도이고,
도 1b는 턱끈을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1c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d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도 변경 연결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멧의 주 안면커버의 각도를 변경하는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로서,
도 3a는 중간 개방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완전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본체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턱끈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턱끈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턱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멧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도 변경 연결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멧의 주 안면커버의 각도를 변경하는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본체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이하, "헬멧"이라 한다.)은 착용시 김서림 현상을 방지하여 지뢰 제거 작업시 시야 확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본체(1), 주 안면커버(2), 투시커버(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는 내부의 하부가 개방되어 머리에 씌워지는 것으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고 방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하부에는 본체(1)를 머리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후술할 턱끈(5)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상부 양측에는 지뢰 제거 작업시 착용자의 머리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전후방에 간격을 두고 다수로 통기홀(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의 내측면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쿠션력을 가지는 다수의 내피 완충패드(1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 안면커버(2)는 투명재나 반투명재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 안면커버(2)는 상부의 양측 후방이 상기 본체(1)의 양측에 각도 변경 연결수단(22)으로 연결되어 양측의 각도 변경 연결수단(22)을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되며,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투시 개방홀(21)이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주 안면커버(2)는 차용 후 지뢰 제거 작업시 지뢰 폭발로 인한 파편으로 인하여 안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방탄 유리나 방탄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 변경 연결수단(22)은 착용자가 주 안면커버(2)를 용이하게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변경된 각도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의 외측 측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23)과, 상기 본체(1)의 외측 측부에 내측이 고정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23)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관통 구비되는 중심축(231)과, 중심축(231)의 둘레에 내측이 본체의 외측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23)에 관통되게 구비되고 외측에는 회전이 가능한 록킹볼(232a)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삽입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록킹축(232)을 포함한다. 즉 상기 록킹볼(232a)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록킹축(232)의 외측에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도 변경수단(22)은 주 안면커버(2)의 측부 상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중심축(231)에 회전이 가능하게 관통 조립되는 조립홀(241)이 형성되고 조립홀(241)의 둘레에는 상기 주 안면커버(2)의 각도 변경에 따라 상기 록킹볼(232)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볼 삽입홀(242)이 형성되는 연결판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주 안면커버(2)의 각도 변경 후 각도의 변경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록킹볼(232a)이 외측에 구비된 록킹축(232)은 상기 중심축(231)의 전,후방에 두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볼 삽입홀(242)은 조립홀(241)의 둘레에 4개 이상의 짝수개로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심축(231)의 외측에는 연결판부(24)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원형판(233)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형판(233)은 원형판(233)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중심축(231)의 외측 단부에 체결되는 볼트(23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판부(24)가 중심축(231)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23)의 중심축(231)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축(235)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판부(24)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축(235)이 삽입되는 원호형의 하나 이상의 가이드홀(24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커버(3)는 투명재나 반투명재로 구성되어 주 안면커버(2)의 상부에 교체 고정수단(31)을 통해 교체가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시 개방홀(21)을 커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투시커버(3)는 착용 후 지뢰 제거 작업시 지뢰 폭발로 인한 파편으로 인하여 안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방탄 유리나 방탄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체 고정수단(31)은 투시커버(3)가 스크래치로 인해 흠집이 발생될 경우에는 투시커버(3)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안면커버(2)의 상하 방향의 중간 양측에 형성된 제1 조립홀(H1)과, 상기 주 안면커버(2)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제2 조립홀(H2)과, 상기 투시커버(3)의 하부 양측에 하부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 조립홀(H1)과 상응되는 위치에 제3 조립홀(H3)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조립홀(H1)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3 조립홀(H1)(H3)에 관통되어 너트로 체결되는 제1 볼트(B1)로 고정되는 돌출 브래킷(311)과, 상기 투시커버(3)의 양측 단부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2 조립홀(H2)과 상응되는 위치에 제4 조립홀(H4)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조립홀(H2)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4,2 조립홀(H2)(H4)에 관통되어 너트로 체결되는 제2 볼트(B2)로 고정되는 후방 돌출판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투시 개방홀(21)의 하단과 투시커버(3)의 하부의 사이에는 착용자의 입에서 나오는 더운 공기를 통과시켜 김서림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음성을 통과시켜 의사소통을 원화하게 할 수 있도록 공기 통과부(A)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헬멧을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주 안면커버(2)를 각도 변경수단(22)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안면에 전방에 위치시키게 되면, 착용자가 숨을 쉬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더운 공기가 투시 개방홀(21)의 하단과 투시커버(3)의 하부 사이에 형성된 공기 통과부(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투시커버(3)와 주 안면커버(2)의 표면에 김서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주 안면커버(2)의 투시 개방홀(21)의 하단과 투시커버(3)의 하부 사이에 공기 통과부(A)를 형성함으로써, 착용 후 김서림 현상을 방지하여 착용 후 시야 확보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고, 공기 통과부(A)로 음성이 원활하게 통과되게 하여 착용자들의 의사 전달이 잘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안면커버(2)의 상부에 분리 교체가 가능한 투시커버(3)를 구비하여 투시커버(3)에 스크래치로 인해 흠집이 발생될 경우에 투시커버(3)만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헬멧의 유지 보수 비용을 줄여 국가의 예산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턱끈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헬멧은 도 1과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 내측의 하부 둘레에서 분리 연결수단(53)으로 분리가 가능하게 연결되는 턱끈(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턱끈(5)은 턱끈(5)을 턱의 하부와 전방에 이중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 양 단부가 상부에 위치되게 수직으로 세워지고 하부가 하부 곡선부로 형성되며 길이 조정이 가능한 측 고정끈(51)과, 양 단부가 후방 상부에 위치되게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전방이 전방 곡선부로 형성되어 전방 곡선부의 양측이 상기 측 고정끈(51)의 하부 곡선부에 엑스자형으로 교차되게 재봉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한 전방 고정끈(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 연결수단(53)은 턱끈(5)을 용이하게 분리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의 내측 하부 둘레의 전방 양측에 고정되는 두 개의 전방 암버클(531)과, 상기 본체(1)의 내측 하부 둘레의 후방 양측에 고정되는 두 개의 후방 암버클(532)과, 상기 측 고정끈(51)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암버클(531)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두 개의 수버클(533)과, 상기 전방 고정끈(52)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 암버클(532)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두 개의 수버클(5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턱끈(5)을 헬멧 본체(1)에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천으로 제조된 턱끈(5)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탁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헬멧용 턱끈(5)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본체
11 : 통기홀
12 : 내피 완충패드
2 : 주 안면커버
21 : 투시 개방홀
22 : 각도 변경 연결수단
23 : 고정 브래킷
24 : 연결판부
3 : 투시커버
31 : 교체 고정수단
5 : 턱끈
51 : 측 고정끈
52 : 전방 고정끈
53 : 분리 연결수단

Claims (8)

  1. 머리에 씌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의 양측 후방이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도 변경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양측의 각도 변경 연결수단을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되며,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투시 개방홀이 형성된 투명재나 반투명재의 주 안면커버와; 상기 주 안면커버의 상부에 교체 고정수단을 통해 교체가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시 개방홀을 커버하는 투명재나 반투명재의 투시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교체 고정수단은
    상기 주 안면커버의 상하 방향의 중간 양측에 형성된 제1 조립홀과,
    상기 주 안면커버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제2 조립홀과,
    상기 투시커버의 하부 양측에 하부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 조립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제3 조립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조립홀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3 조립홀에 관통되어 너트로 체결되는 제1 볼트로 고정되는 돌출 브래킷과,
    상기 투시커버의 양측 단부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2 조립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제4 조립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조립홀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4,2 조립홀에 관통되어 너트로 체결되는 제2 볼트로 고정되는 후방 돌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시 개방홀의 하단과 투시커버의 하부의 사이에는 공기 통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은
    본체의 상부 양측에 전후방에 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되는 통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변경 연결수단은
    상기 본체의 외측 측부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본체의 외측 측부에 내측이 고정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관통 구비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둘레에 내측이 본체의 외측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브래킷에 관통되게 구비되고 외측에는 회전이 가능한 록킹볼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삽입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록킹축과,
    상기 주 안면커버의 측부 상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중심축에 회전이 가능하게 관통 조립되는 조립홀이 형성되며 조립홀의 둘레에는 상기 주 안면커버의 각도 변경에 따라 상기 록킹볼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볼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볼이 외측에 구비된 록킹축은 상기 중심축의 전,후방에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볼 삽입홀은 조립홀의 둘레에 4개 이상의 짝수개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안면커버와 투시커버는 방탄 유리나 방탄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은
    상기 본체 내측의 하부 둘레에서 분리 연결수단으로 분리가 가능하게 연결되는 턱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턱끈은
    양 단부가 상부에 위치되게 수직으로 세워지고 하부가 하부 곡선부로 형성되는 측 고정끈과,
    양 단부가 후방 상부에 위치되게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전방이 전방 곡선부로 형성되어 전방 곡선부의 양측이 상기 측 고정끈의 하부 곡선부에 엑스자형으로 교차되게 재봉되는 전방 고정끈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연결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 둘레의 전방 양측에 고정되는 두 개의 전방 암버클과,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 둘레의 후방 양측에 고정되는 두 개의 후방 암버클과,
    상기 측 고정끈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암버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두 개의 수버클과,
    상기 전방 고정끈의 양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 암버클에 분리 가능하게삽입 고정되는 두 개의 수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
KR1020210026696A 2021-02-26 2021-02-26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 KR102266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696A KR102266915B1 (ko) 2021-02-26 2021-02-26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696A KR102266915B1 (ko) 2021-02-26 2021-02-26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915B1 true KR102266915B1 (ko) 2021-06-18

Family

ID=7662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696A KR102266915B1 (ko) 2021-02-26 2021-02-26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151405A1 (en) * 2021-11-18 2023-05-19 Husqvarna Ab Reinforced face protection accessories for hard ha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226B1 (ko) 1994-06-08 1998-07-01 나카네 히사시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조성물
KR200333597Y1 (ko) * 2003-08-06 2003-11-14 박용진 차광기능과 보안기능이 겸비된 헬멧.
KR20080070305A (ko) * 2007-01-26 2008-07-30 대한민국(경찰청장) 경찰용 방석모
KR101201483B1 (ko) * 2011-05-17 2012-11-14 김동근 용접용 마스크
US20180092424A1 (en) * 2016-10-03 2018-04-05 Revision Military S.A.R.L. Helmet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226B1 (ko) 1994-06-08 1998-07-01 나카네 히사시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조성물
KR200333597Y1 (ko) * 2003-08-06 2003-11-14 박용진 차광기능과 보안기능이 겸비된 헬멧.
KR20080070305A (ko) * 2007-01-26 2008-07-30 대한민국(경찰청장) 경찰용 방석모
KR101201483B1 (ko) * 2011-05-17 2012-11-14 김동근 용접용 마스크
US20180092424A1 (en) * 2016-10-03 2018-04-05 Revision Military S.A.R.L. Helmet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151405A1 (en) * 2021-11-18 2023-05-19 Husqvarna Ab Reinforced face protection accessories for hard ha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8550A (en) Protective face and head gear
AU2012213392B2 (en) Sports face guard
US3373443A (en) Combination helmet and face mask
US20070094769A1 (en) Helmet having temple intake ports
US20030074708A1 (en) Face protector
US8266724B2 (en) Helmet equipped with eye shield and with face-conformable gasket along edge portion of eye shield
US20090229043A1 (en) Head protective gear
US20090126063A1 (en) Conical Face Shield
KR102266915B1 (ko) 지뢰 제거 작업시 사용하는 헬멧
US3751728A (en) Football helmet
US1251657A (en) Helmet for use of aviators and the like.
JP4531305B2 (ja) 顔面保護板付ヘルメット
US6338165B1 (en) Visioned enhanced face guard for a sports helmet
US20030167558A1 (en) Full coverage protective head gear
US20090044318A1 (en) Lens inserts for cage masks
KR200441735Y1 (ko) 슬라이드식 보안경이 부착된 안전모
KR100545754B1 (ko) 보안면
KR100672807B1 (ko) 풀페이스 헬멧
JP2003129324A (ja) 保護帽子の構造
CN212325575U (zh) 安全帽
US3327318A (en) Welder's mask
WO1995019157A1 (en) A protective headwear article
KR102042206B1 (ko) 캐릭터가 적용된 안전 모자
JP2006192092A (ja) マスク
CN210248566U (zh) 一种新型多功能头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