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603U - 컴퓨터용 책상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603U
KR20180001603U KR2020160006782U KR20160006782U KR20180001603U KR 20180001603 U KR20180001603 U KR 20180001603U KR 2020160006782 U KR2020160006782 U KR 2020160006782U KR 20160006782 U KR20160006782 U KR 20160006782U KR 20180001603 U KR20180001603 U KR 201800016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mputer
lower portion
receiv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완
Original Assignee
박성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완 filed Critical 박성완
Priority to KR2020160006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603U/ko
Publication of KR201800016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6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67Enclosure type with compu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본체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상판과 다리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컴퓨터 본체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컴퓨터용 책상{Desk for Computer}
본 고안은 컴퓨터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 본체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더불어, 컴퓨터를 이용하는 생활이 사람들의 생활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으며, 사람들은 실제로 가정이나 직장뿐만 아니라 여려 장소에서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 외에도 공공기관 또는 PC방에서도 항상 컴퓨터를 비치하고 사람들이 인터넷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책상은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모니터, 컴퓨터본체 및 키보드 등 각종기기를 적절히 배치함과 동시에 다양한 전산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26797호(2007.06.04.)는 컴퓨터용 책상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책상의 상판 하부에 키보드서랍과 마우스서랍을 마련하되 안내레일에 의해 여닫이 되고 마우스서랍 하부에는 컴퓨터본체를 수용가능한 컴퓨터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모니터를 수용가능한 회전판과 대응하는 회전판홈을 형성하되 그 하부로 내부공간부를 마련하고 상기 회전판과 회전판홈의 경계부 중앙에는 양측으로 회전경첩과 회전방지구를 마련하되,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는 손잡이를 형성하고 그 하면에는 금속재의 고정부재를 마련하여 고정부재와 동일선상인 내부공간부 일측에는 자석고정구를 다수개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9398호(2010.06.30.)는 컴퓨터 책상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상판과 측판으로 이루어지고 컴퓨터 본체를 수납토록 하는 수납부는 격판에 의하여 형성되면서 수납부의 전방으로는 도어가 형성되어 개폐토록 되는 통상의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상판의 중간에 개구되어지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끼워지는, 덮개의 잠금을 지지하기 위하여 책상 상판의 두께와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지는 격벽을 갖게 되면서 동시에 덮개가 덮어진 상태에서 상판의 상면과 동일면의 유지를 위하여 내측으로 일정폭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받침테와 개구부에 끼운상태에서 빠짐방지를 위한 후렌지로 이루어진,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하단으로는 모니터가 놓여질 수 있게 일정한 면적의 수용부를 형성하게 되는 받침대와; 상기 고정틀의 받침테에 놓여질 수 있으면서 일측변에서 부터 내측으로 일정공간만큼 절개되어 개구되어진 절개부가 형성된 덮개는 절개부의 좌우로 형성된 고정틀의 상하로 형성된 걸림편이 격벽의 하단과 고정틀의 받침테의 상단에 놓여지도록 형성되고, 타측변으로는 회동되는 걸쇠를 갖는 키뭉치가 형성되어 키뭉치가 회전하게 되면 걸쇠가 함께 회전하면서 고정틀의 격벽의 하단에 위치되어짐으로서 덮개가 책상의 중간에 개구되어진 개구부에 결합되면서 임의적으로 벗겨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책상의 덮개의 키뭉치와 책상의 컴퓨터 본체가 수납되는 수납부의 도어에 형성되는 키뭉치와 수납부를 형성하게 되는 격판에 형성된 보조도어의 키뭉치가 하나의 열쇠로 개폐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컴퓨터용 책상은, 컴퓨터 본체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책상 하부에 고정 형성 되어있으므로, 컴퓨터 본체 수리, 부품 교체, 청소 등의 작업을 하려면 작업자가 책상 아래에 웅크려 앉아 책상 하부에 설치된 무거운 컴퓨터 본체를 들어내어 작업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26797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9398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컴퓨터 본체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용 책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판과 다리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컴퓨터 본체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용 책상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수납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바; 및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바를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부는, 컴퓨터 본체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의 전방에 형성되는 도어부재; 상기 수납부재의 하부와 상기 도어부재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재; 및 상기 수납부재의 상부와 상기 도어부재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재를 상기 수납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부재는, 일측에 형성되어,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는 전선을 배출하기 위한 전선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부재는,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컴퓨터 본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부재는, 하부면에 형성되어, 슬라이드시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도어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재를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하부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높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높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부재; 및 상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를 삽입하고, 하부는 상기 연장부재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책상 하부에 컴퓨터 본체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컴퓨터 본체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 본체 수리, 부품 교체, 청소 등의 작업시에 수납부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하여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슬라이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수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수납부재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컴퓨터용 책상(10)은, 본체부(100), 수납부(200), 슬라이딩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를 올려놓기 위한 상판(101)과 상판(10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판(101)을 지지하기 위한 다리(102)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 예에서, 다리(102)는, 상판(101)의 양측과 후측 하부에 수직 방향의 판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판(101)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4개의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200)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컴퓨터 본체를 수납하며, 컴퓨터 본체 이외에 다른 컴퓨터 부품 등을 수납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납부(200)는, 상판(101)의 하부와 다리(102)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그 아래로(즉, 본체부(100)의 하부 안쪽) 사용자가 다리를 넣어 편안하게 앉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납부(20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수납부(200)의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면, 수납부(20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켰을 때 수납부(200) 내부에 수납된 컴퓨터 본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컴퓨터 본체의 수리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슬라이딩부(300)는, 본체부(100)와 수납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수납부(2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컴퓨터용 책상(10)은, 본체부(100)의 하부에 수납부(200)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컴퓨터 본체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 본체 수리, 부품 교체, 청소 등의 작업시에 수납부(200)를 슬라이딩부(300)를 통해 전방으로 슬라이드 하여 작업자가 웅크려 앉아 컴퓨터 본체를 꺼내지 않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슬라이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라이딩부(300)는, 슬라이드 바(310), 레일(320)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바(310)는, 수납부(200)의 외측면 양쪽에 형성되며, 레일(320)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 바(310)는, 수납부(200)의 양측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수납부(200)의 양측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레일(320)은, 본체부(100)의 내측면 양쪽에 고정 설치되어, 슬라이드 바(310)를 전후방향으로 가이드한다. 따라서 컴퓨터 본체 수리, 부품 교체, 청소 등의 작업시 수납부(200)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슬라이드 바(310)가 레일(320)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수납부(2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레일(320)은, 슬라이드 바(310)에 대향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다리(102)에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수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납부(200)는, 수납부재(210), 도어부재(220), 회동부재(230), 체결부재(240)를 포함한다.
수납부재(210)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컴퓨터 본체를 수납한다.
도어부재(220)는, 수납부재(210)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회동부재(230)를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사용한다.
일 실시 예에서, 도어부재(220)는, 전면에 손잡이(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여, 회동 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다.
회동부재(230)는, 수납부재(210)의 하부와 도어부재(22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도어부재(22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회동부재(230)는, 경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재(240)는, 수납부재(210)의 상부와 도어부재(220)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어, 도어부재(220)를 수납부재(210)에 체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240)는, 수납부재(210)의 상부와 도어부재(220)의 상부에 자석을 각각 N극과 S극으로 형성하여, 자석의 인력에 의해 서로 체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240)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수납부재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납부재(210)는, 전선홀(211), 팬(212), 손잡이(213), 잠금수단(214)을 포함한다.
전선홀(211)은, 수납부재(21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는 전선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팬(212)은, 수납부재(21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컴퓨터 본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킨다.
손잡이(213)는, 수납부재(210)의 하부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수납부(200)를 슬라이드시킬 때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213)는, 수납부재(21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직사각형, 손 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잠금수단(214)은, 본체부(100)와 도어부재(220) 사이에 형성되어, 도어부재(220)를 잠근다.
일 실시 예에서, 잠금수단(214)은, 키뭉치가 회전하면 걸쇠가 함께 회전하면서 상판(102)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면서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를 가지고 있는 관리자 외에는 수납부(200)를 슬라이드 시킬 수 없으므로 컴퓨터 본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터용 책상(10)은, 본체부(100), 수납부(200), 슬라이딩부(300), 받침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수납부(200), 슬라이딩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받침부(400)는, 본체부(100)의 하부 내측면(즉, 다리(10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수납부(200)의 하부를 받쳐준다. 이때, 슬라이딩부(300)는 수납부(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슬라이딩부(300)가 수납부(200)의 상부를 잡아줌과 동시에 받침부(400)가 수납부(200)의 하부를 받쳐줌으로써 컴퓨터 본체의 무게를 지탱하여 수납부(200)가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400)는, 수납부(200)의 하부 전체를 받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수납부(200)의 하부 내측 양쪽에 각각 막대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400)는,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목재, 금속재 등)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터용 책상(10)은, 본체부(100), 수납부(200), 슬라이딩부(300), 연장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수납부(200), 슬라이딩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연장부(500)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높이를 연장시킨다. 즉,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본체부(100)의 높이를 연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연장부(500)는, 연장부재(510), 고정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재(510)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높이를 연장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연장부재(510)는, 다리(102)의 형태에 따라 판 형태하거나 기둥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재(520)는, 상부에는 본체부(100)(즉, 다리(102))의 하부를 삽입하고, 하부에는 연장부재(51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520)는, 상부와 하부 각각에 본체부(100)의 하부와 연장부재(5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홈과 하부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부홈과 하부홈 내측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본체부(100)의 하부와 연장부재(510)를 삽입했을 경우에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돌기 외에 상부홈과 하부홈의 내측에 미끄럼방지패드(예를 들어, 고무패드, 실리콘패드 등)를 설치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용 책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컴퓨터용 책상(10)은, 본체부(100), 수납부(200), 슬라이딩부(300), 지지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수납부(200), 슬라이딩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지지부(600)는, 수납부(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수납부(20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켰을 때 본체부(10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수납부(2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컴퓨터 본체의 무게를 지지부(600)에 분산하여 컴퓨터 본체의 무게에 의해 수납부(200)가 기울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600)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600)는, 받침대(610), 지지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610)는, 수납부(200)의 하부면에 나사(630)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지지대(6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대(610)는, 지지대(610)를 절첩시 지지대(620)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홈(612) 및 고정홈(613)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620)는, 받침대(610)와 결합되며, 수납부(20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켰을 때 하부 방향으로 절첩시켜 수납부(200)를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대(620)는, 양측에 형성된 힌지축(621)이 받침대(610)에 형성된 결합홈(611)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축홈(614)에 맞춰서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받침대(610)가 수납부(200)에 나사(630)로 고정되어 수납부(200)와의 조립이 용이하고, 축홈(614)에 고정된 힌지축(621)을 중심으로 지지대(620)가 회동하여 가이드홈(612)을 따라 가이드 되어서 고정홈(613)에 고정되므로 지지대(620)의 절첩 및 고정이 용이하다. 즉, 평상시에는 지지대(620)가 벌어지려는 탄성에 의해 결합홈(611)에 결합되어 있다가 수납부(20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하였을 경우에 지지대(620)를 가압하여 가이드홈(612)을 따라 절첩하여 바닥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수납부(200)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대(620)는, 컴퓨터 본체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금속 등)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컴퓨터용 책상
100 : 본체부
101 : 상판
102 : 다리
200 : 수납부
210 : 수납부재
211 : 전선홀
212 : 팬
213 : 손잡이
214 : 잠금수단
220 : 도어부재
230 : 회동부재
240 : 체결부재
300 : 슬라이딩부
400 : 받침부
500 : 연장부
510 : 연장부재
520 : 고정부재
600 : 지지부
610 : 받침대
611 : 결합홈
612 : 가이드홈
613 : 고정홈
614 : 축홈
620 : 지지대
630 : 나사

Claims (10)

  1. 상판(101)과 다리(102)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컴퓨터 본체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200); 및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수납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2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부(300)를 포함하는 컴퓨터용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300)는,
    상기 수납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바(310); 및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바(310)를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책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200)는,
    컴퓨터 본체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재(210);
    상기 수납부재(210)의 전방에 형성되는 도어부재(220);
    상기 수납부재(210)의 하부와 상기 도어부재(22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재(220)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재(230); 및
    상기 수납부재(210)의 상부와 상기 도어부재(220)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재(220)를 상기 수납부재(21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책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210)는,
    일측에 형성되어,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는 전선을 배출하기 위한 전선홀(2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책상.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210)는,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컴퓨터 본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팬(2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책상.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210)는,
    하부면에 형성되어, 슬라이드시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2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책상.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210)는,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도어부재(2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재(220)를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2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책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200)의 하부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책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책상.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5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부재(510); 및
    상부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를 삽입하고, 하부는 상기 연장부재(510)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책상.
KR2020160006782U 2016-11-22 2016-11-22 컴퓨터용 책상 KR201800016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82U KR20180001603U (ko) 2016-11-22 2016-11-22 컴퓨터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82U KR20180001603U (ko) 2016-11-22 2016-11-22 컴퓨터용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603U true KR20180001603U (ko) 2018-05-30

Family

ID=6229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782U KR20180001603U (ko) 2016-11-22 2016-11-22 컴퓨터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603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398A (ko) 2002-12-05 2004-06-12 핀튜브텍(주) 핀튜브를 이용한 칠러
KR100726797B1 (ko) 2005-09-05 2007-06-11 이용훈 컴퓨터용 책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398A (ko) 2002-12-05 2004-06-12 핀튜브텍(주) 핀튜브를 이용한 칠러
KR100726797B1 (ko) 2005-09-05 2007-06-11 이용훈 컴퓨터용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0076B2 (en) Electrical appliance holder system
JP2008501877A (ja) 病院の壁用の家族ゾーンモジュール
US8075208B2 (en) Mobile workstation
JP6787805B2 (ja) 収納装置及び収納装置の設置方法
JP2007143646A (ja) 洗面化粧台
KR20100138221A (ko) 공공장소용 컴퓨터 책상
KR20180001603U (ko) 컴퓨터용 책상
KR20170130871A (ko) Pc방용 컴퓨터 책상
JP5419037B2 (ja) フラップテーブル
WO2006090170A1 (en) A device for supporting a person
KR101707922B1 (ko) Pc방용 컴퓨터 책상
JP4598283B2 (ja) 化粧板の取付構造
CN211408022U (zh) 一种办公桌
KR101665255B1 (ko) 인터넷 카페용 매립형 책상
KR102005530B1 (ko) 원터치 조립형 선반을 보유한 다목적 테이블
KR200449398Y1 (ko) 컴퓨터 책상
KR100876664B1 (ko) 조립식 책상
KR20110083807A (ko) 복합 캐비닛의 서랍 로킹장치
JP3473326B2 (ja) キャビネット設置構造
KR20130102174A (ko) 룸식 독서실 책상
JP3557980B2 (ja) キャビネット
JP3514308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用のキャビネット
US8764131B2 (en) Undercabinet secretary with hidden compartment
JP2001321229A (ja) コンピュータ用机
CN2474000Y (zh) 电脑操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