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39U -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 - Google Patents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39U
KR20180001439U KR2020160006465U KR20160006465U KR20180001439U KR 20180001439 U KR20180001439 U KR 20180001439U KR 2020160006465 U KR2020160006465 U KR 2020160006465U KR 20160006465 U KR20160006465 U KR 20160006465U KR 20180001439 U KR20180001439 U KR 201800014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fixing groove
main body
jig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572Y1 (ko
Inventor
박자영
Original Assignee
박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자영 filed Critical 박자영
Priority to KR2020160006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57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5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B41M5/03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by sublimation or volatilisation of pre-printed design, e.g. subl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2045/0086Runner trees, i.e. several articles connected by a runner

Landscapes

  • Coloring (AREA)

Abstract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는 본체부, 측방 연결부, 네일 받침부를 구비하다. 본체부는 하부에 함몰 형태의 하부 고정홈 또는 돌출 형태의 하부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함몰 형태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 고정홈을 구비한다. 측방 연결부는 본체부의 측방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측방으로 연장된다. 네일 받침부는 측방 연결부의 단부에 측방으로 연장 결합하고 볼록한 상부면을 갖는다.

Description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Sublimating Dye Transfer Jig for Artificial Nail}
본 고안은 승화 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조 네일에 승화 전사를 수행하는데 사용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보통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보호 케이스의 시장은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과 함께 급성장하고 있다.
보호 케이스는 보통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그 중에서 버튼, 카메라 부위 등의 부위가 노출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보호 케이스는 스마트폰 형상에 구속되고, 그 결과 형상을 다양화하는데 제한이 따른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보호 케이스의 배면에 여러 문양을 새기고 있다.
보호 케이스의 배면에 문양을 새겨 넣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최근에는 승화 전사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승화 전사 방식은 베이스 필름에 도포한 고체 잉크층을 서멀 헤드로 가열하여 잉크를 기록지에 전이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잉크를 승화(기화)하여 대상물의 표면에 침투시키는 방식이어서 전사 후에 이물질이 표면에 남지 않고 발색도 좋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승화 전사 장치를 보면, 2 종류의 지그가 사용된다. 하나는 타공판 고정 지그(30)이고 다른 하나는 대상물 고정 지그(40)이다.
타공판 고정 지그(30)는 일측이 진공 챔버(10) 내의 타공판(20) 상에 고정되고 타측이 대상물 고정 지그(40)에 결합하여 대상물 고정 지그(40)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타공판 고정 지그(30)는 밑면에 2개 이상의 고정 돌기를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타공판(20)에는 타공판 고정 지그(30)의 고정 돌기(31)에 대응하는 고정홈(22)을 구비할 수 있다.
대상물 고정 지그(40)는 보호 케이스(50)와 같은 대상물을 고정하는 것으로, 적어도 상부면은 대상물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대상물 고정 지그(40)는 하면에 사각 형상의 고정홈을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타공판 고정 지그(30)는 상면에 대상물 고정 지그(40)의 고정홈에 대응하는 고정 돌기(3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대상물 고정 지그(40)는 상부면을 대상물 형상에 대응되게 곡면 등을 갖도록 구성하고, 하부면을 타공판 고정 지그(30)의 상면에 대응되게 고정홈을 갖도록 구성한다.
그런데, 대상물이 인조 네일과 같이 작은 경우에는 대상물 고정 지그(40)의 상면을 인조 네일의 하면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구성하는 것만으로는 지지하는데 충분하지 않다. 왜냐하면, 인조 네일은 크기가 작아 대상물 고정 지그(40)의 상면에서 이탈하기 쉽고, 특히 전사 과정에서 상부의 전사지가 압착되는데 이때 인조 네일이 제자리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종래의 대상물 고정 지그(40)는 하나의 대상물을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인조 네일과 같이 작은 대상물을 하나씩 고정 지지하여 승화 전사하는 것은 생산성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6957호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인조 네일을 대상물 고정 지그에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둘째, 인조 네일을 대량으로 승화 전사하여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는 본체부, 다수의 측방 연결부, 다수의 네일 받침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체부는 하부에 함몰 형태의 하부 고정홈 또는 돌출 형태의 하부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부는 상부에 함몰 형태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상부 고정홈을 다수 구비할 수 있다.
측방 연결부는 본체부의 측방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네일 받침부는 측방 연결부의 단부에 측방으로 연장 결합할 수 있다. 네일 받침부는 상부를 볼록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에서, 측방 연결부는 상부에 연결부 고정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에서, 네일 받침부는 상하로 관통하는 흡착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에서, 본체부는 측방 연결부 및 네일 받침부보다 상하 폭이 두꺼울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에서, 본체부, 측방 연결부 및 네일 받침부는 상하 폭이 동일 내지 거의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에 의하면, 본체부의 상부 고정홈, 측방 연결부의 연결부 고정홈, 네일 받침부의 상부 볼록면이나 흡착공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조 네일 집합체를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에 의하면, 다수의 인조 네일을 한번에 승화 전사할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 지그 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a,2b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3b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6b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2b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조 네일 집합체(100)는 네일 지지대(110), 인조 네일(120), 중앙 돌기(13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통 사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네일 지지대(110)는 중앙에서 양측의 인조 네일120)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중앙 지지대와 중앙 지지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측방 지지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일 지지대(110)는 단면이 사각 형상을 갖는 가는 바(thin bar)일 수 있다.
인조 네일(120)은 손톱 모양을 갖는 것으로, 오목 하면과 볼록 상면을 가질 수 있다. 내측은 네일 지지대(110), 즉 측방 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중앙 돌기(130)는 네일 지지대(11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형태일 수 있다. 중앙 돌기(130)는 네일 지지대(110), 즉 중앙 지지대의 하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시켜 다수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a,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200)는 본체부(210), 다수의 측방 연결부(220), 다수의 네일 받침부(230)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체부(210)는 하부 고정홈(BH)과 상부 고정홈(UH)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고정홈(BH)은 본체부(210)의 하면에 함몰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하부에 결합하는 타공판 고정 지그의 상부 결합 돌기에 결합할 수 있다. 상부 고정홈(UH)은 본체부(210)의 상면에 함몰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네일 지지대(110)의 중앙 돌기(130)를 내장 고정할 수 있다. 상부 고정홈(UH)은 본체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시켜 다수를 형성할 수 있다.
본체부(210)에서, 하부 고정홈(BH)은 돌출 형태의 하부 돌출부로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돌출부는 타공판 고정 지그의 상부 결합홈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측방 연결부(220)는 본체부(21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외측 단부에 네일 받침부(23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측방 연결부(220)는 본체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시켜 다수를 형성할 수 있다.
네일 받침부(230)는 측방 연결부(220)의 외측 단부에 측방으로 연장 결합될 수 있다. 네일 받침부(230)는 인조 네일(120)의 하면 형상에 대응되게 적어도 상부면을 상측으로 볼록하게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조 네일(120)의 하면과 면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네일 지지대(110)와 다수의 인조 네일(120)이 일체로 구성되고, 중앙 돌기(130)가 본체부(210)의 상부 고정홈(UH)에 고정되며, 나아가 네일 받침부(230)의 상부 곡면이 인조 네일(120)의 하부 곡면과 면결합하므로,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200)는 인조 네일 집합체(100)를 위치 이탈없이 지지할 수 있다.
도 2a,2b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200)에서, 측방 연결부(220) 및 네일 받침부(230)는 본체부(210)보다 상하 폭을 얇게 구성하여 재료비를 줄일 수 있고, 이 경우 측방 연결부(220) 및 네일 받침부(230)는 본체부(210)의 측면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a,3b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200)는 측방 연결부(220)에 연결부 고정홈(CH)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 고정홈(CH)은 측방 연결부(220)의 상면에 함몰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조 네일 집합체(100)는 네일 지지대(100)의 하면에 측방 돌기(140)를 구비할 수 있다. 측방 돌기(140)는 연결부 고정홈(CH)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와 같이, 네일 지지대(110)의 중앙 돌기(130)가 본체부(210)의 상부 고정홈(UH)에 고정되고, 네일 받침부(230)의 상부 곡면에 인조 네일(120)의 하부 곡면이 면결합하며, 이에 더하여 네일 지지대(110)의 측방 돌기(140)가 측방 연결부(220)의 연결부 고정홈(CH)에 삽입 고정되면, 인조 네일(120)은 네일 받침부(230) 상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의 대응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제2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200)는 본체부(210), 측방 연결부(220) 및 네일 받침부(230)를 상하 폭이 동일 내지 거의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인조 네일(120)을 상부에서 가압할 때, 네일 받침부(230)가 인조 네일(12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의 대응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제3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200)는 본체부(210), 측방 연결부(220) 및 네일 받침부(230)를 상하 폭이 동일 내지 거의 동일하게 구성하면서, 측방 연결부(220)에 연결부 고정홈(CH)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측방 연결부(220) 및 네일 받침부(230)의 상하 폭을 두껍게 하고, 아울러 네일 지지대(110)의 측방 돌기(140)가 측방 연결부(220)의 연결부 고정홈(CH)에 삽입 고정되면, 인조 네일(120)은 네일 받침부(23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의 대응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제4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6a,6b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의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200)는 네일 받침부(230)에 상하로 관통하는 흡착공(SH)을 형성할 수 있다. 타공판에서 하방으로 공기를 흡입할 때, 흡착공(SH) 내부의 공기도 하방으로 배출되고, 그 결과 흡착공(SH) 내부가 진공으로 되면서 흡착공(SH) 상측 개구에 결합된 인조 네일(120)을 압착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흡착공(SH)를 갖는 네일 받침부(230)는 인조 네일(12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 측방 연결부(220)에 연결부 고정홈(CH)을 형성하고 있지 않으나, 이는 흡착공(SH)으로도 인조 네일(120)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는 의미일 뿐, 고정 지지력을 더 높이기 위해서 측방 연결부(220)에 연결부 고정홈(CH)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증하기 위하여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당업자라면 위 실시예들을 다른 형태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그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 인조 네일 집합체 110 : 네일 지지대
120 : 인조 네일 130 : 중앙 돌기
200 :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 210 : 본체부
220 : 측방 연결부 230 : 네일 받침부
BH : 하부 고정홈 CH : 연결부 고정홈
SH : 흡착공 UH : 상부 고정홈

Claims (5)

  1. 승화 전사 지그에 있어서,
    하부에는 함몰 형태의 하부 고정홈 또는 돌출 형태의 하부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함몰 형태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 고정홈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측방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측방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결부;
    상기 측방 연결부의 단부에 측방으로 연장 결합하고 볼록한 상부면을 갖는 네일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연결부는
    상부에 연결부 고정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일 받침부는
    상하로 관통하는 흡착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측방 연결부 및 네일 받침부보다 상하 폭이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측방 연결부 및 네일 받침부는 상하 폭이 동일 내지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
KR2020160006465U 2016-11-04 2016-11-04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 KR200487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65U KR200487572Y1 (ko) 2016-11-04 2016-11-04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65U KR200487572Y1 (ko) 2016-11-04 2016-11-04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39U true KR20180001439U (ko) 2018-05-14
KR200487572Y1 KR200487572Y1 (ko) 2018-10-08

Family

ID=6216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465U KR200487572Y1 (ko) 2016-11-04 2016-11-04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5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700B1 (ko) * 2019-06-28 2019-10-30 주식회사 조은기술 인조손톱용 양면테이프 부착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730A (ja) * 1995-10-02 1997-04-08 Nissan Motor Co Ltd ワーク位置決め装置
JP2001197924A (ja) * 2000-01-18 2001-07-24 Soung An Jae 文様人造爪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66004Y1 (ko) * 1999-05-31 2004-11-16 (주)다성티엔티 인조손톱의 전사필름 융착기구
KR200371106Y1 (ko) * 2004-09-30 2004-12-24 김상이 인조손톱 채색용 지그
KR100533867B1 (ko) * 2004-02-04 2005-12-06 장성용 인조손톱세트의 제조방법
KR100666463B1 (ko) * 2004-04-06 2007-01-09 (주)빅플러스 씨알이 인조손톱 제조방법
KR101207315B1 (ko) * 2011-07-11 2012-12-03 장성용 입체형 장식물이 형성된 인조네일 제조방법
KR101237542B1 (ko) * 2011-12-07 2013-02-26 최상철 분체 도장용 지그와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730A (ja) * 1995-10-02 1997-04-08 Nissan Motor Co Ltd ワーク位置決め装置
KR200366004Y1 (ko) * 1999-05-31 2004-11-16 (주)다성티엔티 인조손톱의 전사필름 융착기구
JP2001197924A (ja) * 2000-01-18 2001-07-24 Soung An Jae 文様人造爪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33867B1 (ko) * 2004-02-04 2005-12-06 장성용 인조손톱세트의 제조방법
KR100666463B1 (ko) * 2004-04-06 2007-01-09 (주)빅플러스 씨알이 인조손톱 제조방법
KR200371106Y1 (ko) * 2004-09-30 2004-12-24 김상이 인조손톱 채색용 지그
KR101207315B1 (ko) * 2011-07-11 2012-12-03 장성용 입체형 장식물이 형성된 인조네일 제조방법
KR101237542B1 (ko) * 2011-12-07 2013-02-26 최상철 분체 도장용 지그와 그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700B1 (ko) * 2019-06-28 2019-10-30 주식회사 조은기술 인조손톱용 양면테이프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572Y1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1577B2 (en) Shoe customization system having interchangeable platens
RU2010121456A (ru) Печатани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ермопереноса
WO2010117228A2 (ko) 정렬된 미립자가 인쇄된 인쇄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0487572Y1 (ko) 인조 네일용 승화 전사 지그
KR101673222B1 (ko) 패드 인쇄장치
KR200440400Y1 (ko) 기표용 스탬프
CN204131948U (zh) 一种穴盘打孔装置
CN204948584U (zh) 一种pcb板固定结构
CN108243577B (zh) 智能万用pcb顶针装置
US7216586B1 (en) Portable stamp assembly
US9358822B2 (en) Mounting device for a stamp plate
KR102133922B1 (ko) 마스크 클램프 장치
KR100838596B1 (ko) 장식용 핫 픽스의 부착방법 및 그 장치
KR101140702B1 (ko) 3차원 입체인쇄물용 볼록렌즈층을 가진 시트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볼록렌즈층을 가진 시트 및 볼록렌즈층을 가진 시트로 인쇄한 3차원 입체인쇄물
CN206856226U (zh) 一种用于热转印机的印版晒版装置
KR20100133829A (ko) 입체물 인쇄기
CN205384443U (zh) 一种丝网印版曝光用支撑座
US20090256898A1 (en) Device for printing a picture onto a piece of cloth to be embroidered, and embroider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130000151U (ko) 평판프린터를 이용한 운동화 인쇄용 장치
KR101032132B1 (ko) 열전사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열전사장치
JP2010115889A (ja) パッド印刷機の転写装置におけるパッド部材
CN209978536U (zh) 一种地毯加工晾晒装置
JP5062474B2 (ja) 球面型状の捺印台と捺印朱肉セット
CN210904959U (zh) 一种新型图案可变的印章
KR20200139053A (ko) 만년 인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