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17U - 지주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지주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17U
KR20180001417U KR2020160006430U KR20160006430U KR20180001417U KR 20180001417 U KR20180001417 U KR 20180001417U KR 2020160006430 U KR2020160006430 U KR 2020160006430U KR 20160006430 U KR20160006430 U KR 20160006430U KR 20180001417 U KR20180001417 U KR 201800014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ire rope
hydraulic pressure
band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881Y1 (ko
Inventor
서현두
Original Assignee
서현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현두 filed Critical 서현두
Priority to KR2020160006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88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4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8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02P60/6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주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를 해저면에 설치하는 지주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지주설치장치는 지주의 상부를 타격하여 지주를 해저면에 설치함으로써 지주의 시공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해저면의 상태에 따라 타격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타격함으로써 지주의 시공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주설치장치{Punching device for support}
본 고안은 지주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를 해저면에 설치하는 지주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양식어장은 저수심의 바닥에 지주들을 설치하여 김 등의 양식물을 양식하는 지주식 양식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지주식 양식방법은 복수의 지주를 상호 이격되게 설치하고, 설치된 지주 사이 사이에 김양식용 그물을 서로 엮어주는 방식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종래의 지주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저수심의 연안 바다를 항해할 수 있는 어선을 타고 지주에 많은 사람이 매달려 몸무게의 압력으로 박아넣는 어려운 작업을 수반한다.
이러한 기존의 지주설치방식은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도 저하되고 지주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주의 상부를 타격하여 지주를 해저면에 설치하는 지주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주설치장치는 윈치와; 상기 윈치에 의해서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설치되어 양식용 지주를 박기위한 타격부재와; 상기 와이어로프를 가이드하며 상기 타격부재를 현가시키는 리드;를 구비하고, 상기 윈치는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정역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와이어로프가 감겨있는 릴과, 상기 구동축의 동력을 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릴에 동력이 단락될 시 상기 와이어로프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윈치는 상기 릴에 감기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감김정도를 조정하여 상기 타격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릴에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디스크베이스와, 상기 디스크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패드와, 상기 패드를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드럼 실린더와, 상기 드럼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1 유압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밴드삽입홈에 삽입되는 밴드와, 상기 밴드를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밀착시키거나 이격시켜 드럼의 회전을 단속하는 밴드실린더와, 상기 밴드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2 유압공급부를 구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주설치장치는 지주의 상부를 타격하여 지주를 해저면에 설치함으로써 지주의 시공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해저면의 상태에 따라 타격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타격함으로써 지주의 시공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지주설치장치가 선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지주설치장치의 윈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지주설치장치에 적동된 윈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윈치에 적용된 동력전달부와 위치조절부의 작동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윈치에 적용된 풀림방지부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주설치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지주설치장치(5)는 선박(1)에 설치되어 해저면에 박혀있는 지주(3)의 상부를 타격하여 지주(3)를 설치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주설치장치(5)는 윈치(100)와, 윈치(100)에 의해서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로프(7)와, 와이어로프(7)의 단부에 설치되어 양식용 지주를 박기위한 타격부재(20)와, 와이어 로프를 현가시키는 리드(30)를 구비한다.
와이어로프(7)는 일단이 타격부재(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윈치(100)와 연결된다. 와이어로프(7)는 타격부재(20)의 무게를 지탱하여야 하므로 인장강도가 높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격부재(20)는 자유낙하하여 지주(3)의 상부를 타격하여야 하므로 1톤이상의 무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격부재(20)는 지주(3)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주삽입홈(25)이 형성될 수도 있다. 리드(30)는 선박(1)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7)를 안내한다. 리드(30)의 상부에는 도르래(35)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로프(7)는 도르래(35)에 의해 이동방향이 전환된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의 지주설치장치(5)에 적용된 윈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지주설치장치(5)에 적용된 윈치(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윈치(100)는 지지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축(120)과, 구동축(120)을 정역회전시키는 모터(130)와, 구동축(120)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가능하며 와이어로프(7)가 감겨있는 릴(140)과, 구동축(120)의 동력을 릴(14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50)와, 릴(140)에 동력이 단락될 시 와이어로프(7)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170)와, 타격부재(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180)를 구비한다.
지지프레임(110)은 베이스프레임(111)과, 베이스프레임(111)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모터(130)를 지지하는 제1 수직프레임(113)과, 제1 수직프레임(113)과 대향되며 제1 수직프레임(113)과 이격되게 형성되고 구동축의 끝단을 지지하는 제2 수직프레임(115)과, 제1 수직프레임(113)과 릴(140) 사이에 형성되며 구동축(120)과 릴(140)을 지지하는 제3 수직프레임(117)을 구비한다.
구동축(120)의 일단은 모터(130)와 커플링(123)으로 연결되어 회전한다. 구동축(120)의 타단은 제2 수직프레임(115)에 삽입된다. 구동축(120)은 끝단의 중심에 로터리조인트(121)가 결합되고, 로터리조인트(121)로부터 후술되는 브라켓(157)의 유압공(158)으로 연결되는 유압라인(122)이 형성된다.
릴(140)은 와이어로프(7)가 귄취되는 귄취부(141)와, 와이어로프(7)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43)가 형성된다. 권취부(141)는 중공부를 가지는 관상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권취부(141)의 외주면에는 와이어로프(7)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라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탈방지부(143)는 권취부의 양끝단에 결합되며 중공부를 가진다. 이탈방지부(143)는 귄취부(141)의 외경보다 더 넓게 형성된 방지벽(145)과, 권취부(141)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47)를 구비한다. 삽입부(147)의 끝단은 돌출되어 스러스트 베어링(125)과 부쉬(127)가 안착될 수 있다.
스러스트 베이링(125)와 부쉬(127)의 내경은 구동축(120)의 외경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스러스트 베어링(125)의 외경은 삽입부(147)의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스러스트 베어링(125)은 구동축(120)에 결합되어 구동축(120)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한다.
동력전달부(150)는 릴(140)에 설치되는 드럼(151)과, 구동축(120)에 설치되는 디스크베이스(155)와, 디스크베이스(15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드럼(151)의 내주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패드(160)와, 패드(160)를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드럼실린더(163)와, 드럼실린더(163)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1 유압공급부와 리턴스프링(미도시)을 구비한다.
드럼(151)은 릴(140)의 방지벽(145)과 제2 수직프레임(115)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중공부를 가지는 관상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드럼(151)의 외주면과 내주면에는 점착력 증대를 위해 고무처리나 샌딩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베이스(155)는 구동축(120)과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야 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동축(120)과 디스크베이스(155)에는 키홈이 형성되고, 키홈에 키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디스크베이스(155)의 일측에는 유압공(158)이 형성된 브라켓(157)이 결합된다. 브라켓(157)의 내부에는 브라켓(157)과 구동축(120)의 사이로 유압이 유출되지 않도록 유압공(158)의 양측에 씰링유닛(159)이 결합된다. 패드(160)는 드럼(151)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둘로 나뉘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다. 형성된다.
패드(160)는 내부로 돌출되어 디스크베이스(155)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162)가 형성된다. 패드(160)는 각각 디스크베이스(155)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드럼실린더(163)는 패드(160)들의 상단에 결합되며, 유압공급시 패드(160)들을 이격시킨다. 드럼실린더(163)는 패드(160)의 상단 결합된 드럼실린더몸체(164)와, 드럼실린더몸체(164)의 내부에서 진퇴되며 종단이 다른 패드(160)의 상단에 결합된 드럼실린더로드(165)와, 드럼실린더몸체(164)와 유압공(158)을 연결하는 공급관(166)을 구비한다. 제1 유압공급부는 구동축(120)의 로터리조인트(121)와 유압라인(123)과 공급관(166)을 거쳐서 드럼실린더몸체(164)에 유압을 공급한다.
유압공급부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은 드럼실린더(163)는 패드(160)들을 이격시키고, 이격된 패드(160)들은 드럼(151)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구동축(120)의 회전을 릴(140)에 전달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리턴스프링(미도시)은 패드(160)들을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리턴스프링(미도시)은 드럼실린더몸체(164)에 유압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패드(160)들을 원위치시킨다.
위치조절부(180)는 릴(140)의 회전을 조절함으로써 타격부재(20)의 위치를 조절한다. 위치조절부(180)는 드럼(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밴드삽입홈(183)에 삽입되는 밴드(181)와, 밴드(181)를 드럼(151)의 외주면과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밴드실린더(185)와, 밴드실린더(185)와 밴드(181)를 연결하는 샤프트(184)를 구비한다.
밴드(181)는 드럼(151)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유연한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밴드(181)의 일단은 베이스프레임(111)에 연결되며, 밴드(181)의 타단은 샤프트(184)에 연결된다. 밴드삽입홈(183)에는 밴드(181)가 삽입된다. 밴드삽입홈(183)은 밴드(181)가 드럼(15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드럼(151)의 끝단에 클램프를 결합시키거나 드럼(151)의 끝단을 돌출시켜서 밴드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샤프트(184)는 베이스프레임(1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184)는 끝단은 돌출되어 밴드실린더(185)에 연결되는 실린더연결부(184a)와, 샤프트(184)의 다른 끝단에는 실린더연결부(184a)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밴드(181)와 밴드연결부(184b)가 형성된다.
밴드실린더(185)는 베이스프레임(111)과 연결되는 밴드실린더몸체(187)와, 밴드실린더몸체(187)의 내부에서 진퇴하며 종단이 샤프트(184)에 결합된 밴드실린더로드(186)와, 제2 유압공급부를 구비한다. 제2 유압공급부는 밴드실린더몸체(187)에 유압을 공급한다.
밴드실린더몸체(187)에 유압이 공급되면 샤프트(184)의 밴드연결부(184b)가 회전하게되어 밴드(181)에 장력이 생성된다. 밴드(181)에 장력이 생성되면 밴드(191)는 드럼(15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릴(140)을 정지시킨다. 밴드실린더(185)에 공급하는 유압을 조절하여 릴(140)에 감겨있는 와이어로프(7)를 서서히 풀면서 와이어로프(7)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타격부재(20)의 위치를 조절한다.
풀림방지부(170)는 기어부(171)와, 기어부(171)와 맞물리는 끼움부재(174)와, 제동실린더(175)를 구비한다. 풀림방지부(170)는 유압실린더에 유압이 공급되면 끼움부재(174)가 기어부(171)과 맞물려 릴(14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기어부(171)는 릴(140)의 방지벽(145)과 제1 수직프레임(113)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된다. 기어부(171)는 릴(140)과 결합하여 릴(140)과 동일하게 회전한다. 끼움부재(174)는 제3 수직프레임(117)에 결합되며, 제3 수직플레이트(117)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끼움부재(174)의 상부는 기어부(17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동실린더(175)는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는 제동실린더몸체(177)와, 제동실린더몸체(177)의 내부에서 진퇴하며 종단이 끼움부재(174)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동실린더로드(176)와, 제3 유압공급부를 구비한다. 제3 유압공급부는 제동실린더 몸체(177)에 유압을 공급한다.
제동실린더몸체(177)에 유압이 공급되면 끼움부재(174)와 기어부(171)가 접촉되어 릴(140)을 정지시킨다.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이 본 고안의 지주설치장치(5)는 제1 유압공급부로부터 로터리조인트(121)와 유압라인(122)과 공급관(166)을 거쳐 드럼실린더몸체(164)에 공급된 유압으로 인하여 동력공급부(150)의 패드(160)가 드럼(151)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드럼(151)의 외주면과 접촉된 패드(160)로 인하여 모터(130)에서 발생한 회전이 구동축(120)을 거쳐 릴(140)에 전달된다. 릴(140)이 회전하면서 와이어로프(7)가 권취되고 타격부재(20)가 현가된다.
타격부재(20)가 리드(30)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되면 밴드실린더몸체(187)에 유압을 공급한다. 밴드실린더몸체(187)에 유압이 공급되면 밴드실린더로드(186)가 샤프트(184)를 회전시키고, 샤프트(184)의 밴드연결부(184b)가 밴드(181)에 장력을생성시켜 밴드(181)가 드럼(151)의 외주면과 밀착된다. 밀착된 밴드(181)로 인하여 릴(140)이 파지되면 드럼실린드몸체(164)의 유압을 제거하여 패드(160)를 이격시킨다.
그리고 밴드실린더몸체(187)에 공급하는 유압을 조절하여 릴(140)에 감겨있는 와이어로프(7)를 서서히 풀면서 와이어로프(7)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타격부재(20)의 위치를 조절한다. 타격부재(20)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밴드실린더몸체(187)의 유압을 제거하여 릴(140)에 권취된 와이어로프(7)가 타격부재(20)의 자중에 의하여 풀리게 한다. 자중에 의해 낙하된 타격부재(20)가 지주(3)의 상부를 타격하여 지주(3)를 해저면에 박는다.
이와 같은 지주설치 방법은 종래의 방법보다 작업시간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도 증가되고, 지주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주설치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가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3 : 지주 100 : 윈치
130 : 모터 140 : 릴
150 : 동력전달부 170 : 풀림방지부
180 : 위치조절부

Claims (4)

  1. 윈치와; 상기 윈치에 의해서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설치되어 양식용 지주를 박기위한 타격부재와; 상기 와이어로프를 가이드하며 상기 타격부재를 현가시키는 리드;를 구비하고,
    상기 윈치는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정역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와이어로프가 감겨있는 릴과, 상기 구동축의 동력을 상기 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릴에 동력이 단락될 시 상기 와이어로프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주설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상기 릴에 감기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감김정도를 조정하여 상기 타격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설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릴에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디스크베이스와, 상기 디스크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패드와, 상기 패드를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드럼 실린더와, 상기 드럼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1 유압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설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밴드삽입홈에 삽입되는 밴드와, 상기 밴드를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밀착시키거나 이격시켜 상기 드럼의 회전을 단속하는 밴드실린더와, 상기 밴드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2 유압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설치장치.
KR2020160006430U 2016-11-03 2016-11-03 지주설치장치 KR200488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30U KR200488881Y1 (ko) 2016-11-03 2016-11-03 지주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30U KR200488881Y1 (ko) 2016-11-03 2016-11-03 지주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17U true KR20180001417U (ko) 2018-05-11
KR200488881Y1 KR200488881Y1 (ko) 2019-04-01

Family

ID=6216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430U KR200488881Y1 (ko) 2016-11-03 2016-11-03 지주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88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17U (ko) 1999-06-01 2001-01-05 조정태 양식용 지주
KR20120014135A (ko) 2009-04-01 2012-02-16 마린 커런트 터빈스 리미티드 파일 설치 방법 및 장치
KR20120056501A (ko) * 2010-11-25 2012-06-04 우복기초 주식회사 지반보강용 강관파일 타격장치
KR200478400Y1 (ko) * 2015-04-16 2015-10-13 이성근 농업용 지지대 삽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17U (ko) 1999-06-01 2001-01-05 조정태 양식용 지주
KR20120014135A (ko) 2009-04-01 2012-02-16 마린 커런트 터빈스 리미티드 파일 설치 방법 및 장치
KR20120056501A (ko) * 2010-11-25 2012-06-04 우복기초 주식회사 지반보강용 강관파일 타격장치
KR200478400Y1 (ko) * 2015-04-16 2015-10-13 이성근 농업용 지지대 삽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881Y1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7833C (zh) 投锚装置
JP7025433B2 (ja) 深海巻上げ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003141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ntinuous tubing operations
JP2020514205A5 (ko)
CN106561586B (zh) 一种渔船捕鱼装置
JPH0678620B2 (ja) 水中における管状の基礎杭の切断方法および装置
JPH0678621B2 (ja) 水中用杭打ち、作業装置用の水中形電気流体式駆動装置
US20110176874A1 (en) Coiled Tubing Compensation System
KR200488881Y1 (ko) 지주설치장치
KR20040014611A (ko) 수중모터를 이용한 침하식 어류양식장치
JPS6352274B2 (ko)
JP4986652B2 (ja) 揚艇装置
JP4809133B2 (ja) 揚艇装置
US6422324B1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bore-holes, in the sea bed using a counterflush method
KR200328763Y1 (ko) 어선용 그물인양기(양망기)
CN217560786U (zh) 一种侧挂可调式自容式水听器
AU2018256270B2 (en) Track for a tool carrier
WO2009157776A1 (en) Method for anchoring of a mooring line
GB2257405A (en) Tether deployment system
WO1990008094A1 (en) Improvements in oyster and shrimp winches
JP4859378B2 (ja) パワーユニット
CN220809717U (zh) 一种船舶抛锚定位装置
JPH0686792B2 (ja) 垂直導管の引張装置
CN220764635U (zh) 一种改进型航标船灯浮抛设作业辅助设备
JPS6029506Y2 (ja) 浚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