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16U - 장신구의 회전관절 - Google Patents

장신구의 회전관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16U
KR20180001416U KR2020160006429U KR20160006429U KR20180001416U KR 20180001416 U KR20180001416 U KR 20180001416U KR 2020160006429 U KR2020160006429 U KR 2020160006429U KR 20160006429 U KR20160006429 U KR 20160006429U KR 20180001416 U KR20180001416 U KR 201800014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coupling
block
vanes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533Y1 (ko
Inventor
홍기현
Original Assignee
홍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현 filed Critical 홍기현
Priority to KR2020160006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53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4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5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장신구의 회전관절에 관한 것으로서, 가방과 핸드백 벨트를 포함하는 각종 장신구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하되 하나 이상의 정해진 각도에서 압축스프링에 의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하면서 부품의 손상이나 작동불능 상태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일측에 하나 이상의 돌출된 제1 결합날개를 구비하는 제1 블록과, 상기 제1 블록과 결합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날개를 구비하여 제1 및 제2 결합날개가 상호 교호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2 블록과, 상기 제1 및 제2 결합날개를 관통하여 제1 블록과 제2 블록이 회전가도록 하는 힌지축과, 제1 또는 제2 블록에 형성되어 압축코일스프링과 가압부재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와 밀착하는 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안착홈과,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의 가압부재와 밀착하여 회전하는 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평면부를 구비하는 장신구의 회전관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폴리옥시메틸렌(POM : Polyoxymethylene)의 재질로 일측은 막히고 일측은 개방되는 원통형의 캡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부분으로 압축코일스프링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회전관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신구의 회전관절{The pivot joint for a personal ornaments}
본 고안의 장신구의 회전관절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방과 핸드백 벨트를 포함하는 각종 장신구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하되 하나 이상의 정해진 각도에서 압축스프링에 의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하면서 부품의 손상이나 작동불능 상태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장신구의 회전관절에 관한 것이다.
회전관절은 힌지 또는 경첩을 포함하여 부르는 명칭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각각 서로 다른 구성품에 고정된 후 상호 결합하여 상대적으로 일 구성품을 절곡하거나 밀착상태에서 벌어진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등의 운동을 하는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은 건물의 출입문이나 가구 등의 문에 장착되는 경첩에서 가방이나 팔찌 등의 각종 장신구와 안경의 다리를 벌리거나 접히는 힌지를 쉽게 접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힌지의 구조는 두 구성품의 연결부가 교호적으로 맞물려 있고 이를 힌지축이 관통하여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문에서 문틀에 잠금장치를 장착하는 것과 같이 별도의 수단이 없으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안경다리에 적용되는 힌지가 벌어진 상태와 접힌 상태에서 일정이상의 외력이 작용해야 회전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 적용되는 것과 같이 각종 장신구나 장난감의 종류에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정해진 위치에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회전관절이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회전관절은 일 구성품에 일단은 스프링에 삽입되고 타측은 다른 구성품에 밀착하는 가압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가압부재와 밀착하는 다른 구성품의 면에 평면을 형성하면 가압부재와 평면이 만나 밀착할 경우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해야 회전하는 고정력이 발생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한정된 공간에서 가압부재의 길이만큼 스프링은 길이가 작은 것을 장착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스프링의 작동범위가 원활하지 않아 작동불능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고, 가압부재의 스프링에 삽입된 부분이 반복된 사용중에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044808호 (2009년05월07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184818-0000호 (2012년09월14일)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나 이상의 정해진 각도에서 고정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회전관절에서 더 긴 압축코일스프링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가압부재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장신구의 회전관절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하나 이상의 돌출된 제1 결합날개를 구비하는 제1 블록과, 상기 제1 블록과 결합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날개를 구비하여 제1 및 제2 결합날개가 상호 교호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2 블록과, 상기 제1 및 제2 결합날개를 관통하여 제1 블록과 제2 블록이 회전가도록 하는 힌지축과, 제1 또는 제2 블록에 형성되어 압축코일스프링과 가압부재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와 밀착하는 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안착홈과,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의 가압부재와 밀착하여 회전하는 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평면부를 구비하는 장신구의 회전관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폴리옥시메틸렌(POM : Polyoxymethylene)의 재질로 일측은 막히고 일측은 개방되는 원통형의 캡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부분으로 압축코일스프링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재의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와 밀착하는 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와 밀착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는 사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밀착하는 3개의 평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에는 중앙부분이 함몰되어 인접한 평면부가 만나는 모서리가 안착되는 V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와 밀착하는 면이 확장되어 밀착면적을 늘리는 연장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압부재가 일부분이 압축코일스프링에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캡의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압축코일스프링을 더 긴 길이의 것을 장착할 수 있어 스프링의 수축과 팽창이 용이하여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고, 가압부재의 형상을 개선하고 내피로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으로 제공하여 가압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일측에 하나 이상의 돌출된 제1 결합날개(111)를 구비하는 제1 블록(11)과, 상기 제1 블록(11)과 결합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날개(121)를 구비하여 제1 및 제2 결합날개(111, 121)가 상호 교호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2 블록(12)과, 상기 제1 및 제2 결합날개(111, 121)를 관통하여 제1 블록(12)과 제2 블록(12)이 회전가도록 하는 힌지축(13)과, 제1 또는 제2 블록(11, 12)에 형성되어 압축코일스프링(14)과 가압부재(15)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15)가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111, 121)와 밀착하는 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안착홈(114)과,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111, 121)의 가압부재(15)와 밀착하여 회전하는 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평면부(122)를 구비하는 장신구의 회전관절(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15)는 폴리옥시메틸렌(POM : Polyoxymethylene)의 재질로 일측은 막히고 일측은 개방되는 원통형의 캡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부분으로 압축코일스프링(14)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회전관절을 나타내었다.
본원의 가장 큰 특징은 가압부재(15)의 형상이 원통형 캡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는 기존의 가압부재(15)의 경우 가압부재(15)의 크기만큼 압축코일스프링(14)이 차지할 공간이 줄어들지만 본원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압부재(15)에 삽입되도록 하여 보다 긴 압축코일스프링(14)을 장착할 수 있다.
즉 동일한 폭으로 수축과 팽창이 반복된다면 기본적으로 긴 압축코일스프링(14)이 짧은 것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고 스프링의 내구성도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종래 가압부재에는 스프링에 삽입되도록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연장되는 부분이 있었으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하여 삽입된 부분이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나 본원은 그러한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 본원인은 가압부재(15)의 재질을 폴리옥시메틸렌으로 한정하였으며, 폴리옥시메틸렌은 폴리아세탈(POM : Polyacetal, Polyoxymethylene)로도 부르는 것으로 기계적 성질 특히 반복적인 마찰 충격 등에 우수한 내피로성을 가지는 물질로 기존에 금속으로 사용할 경우 작동의 반복에 의하여 금속이 마모 또는 도금된 부분의 손상 및 부식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가압부재(15)의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111, 121)와 밀착하는 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15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가압부재(15)가 압축코일스프링(14)에 의하여 돌출하여 평면부(122)에 밀착할 때 회전을 억제하는 힘은 밀착하는 부분이 어느 넓이에 분포하는 것이지 면적이 아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돌기(151)를 형성하면 동일한 고정력이 작용하면서 정지마찰력을 줄여 외력에 의하여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마찰에 의한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가압부재(15)와 밀착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111, 121)는 사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15)가 밀착하는 3개의 평면부(122)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15)에는 중앙부분이 함몰되어 인접한 평면부(122)가 만나는 모서리가 안착되는 V홈(15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도면에서 가압부재(15)와 평면부(122)가 밀착하여 고정되는 곳이 3개소가 존재하나 각각 45도 상향 및 하향 경사진 모서리부분이 V홈(152)에 안착되도록 하여 고정되는 부분을 5부분이 되도록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가압부재(15)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111, 121)와 밀착하는 면이 확장되어 밀착면적을 늘리는 연장리브(15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가압부재(15)와 평면부(122)가 밀착하는 면적이 더 크도록 하여 고정되려는 힘이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는 본원에 따른 회전관절(1)을 조립하는 공정에서 작은 가압부재(15)를 스프링 안착홈(114)에 삽입하는 과정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1 : 회전관절
11 : 제1 블록
111 : 제1 결합날개 114 : 스프링 안착홈
12 : 제2 블록
121 : 제2 결합날개 122 : 평면부
13 : 힌지축
14 : 압축코일스프링
15 : 가압부재
151 : 돌기 152 : V홈
153 : 연장리브

Claims (4)

  1. 일측에 하나 이상의 돌출된 제1 결합날개(111)를 구비하는 제1 블록(11)과, 상기 제1 블록(11)과 결합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날개(121)를 구비하여 제1 및 제2 결합날개(111, 121)가 상호 교호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2 블록(12)과, 상기 제1 및 제2 결합날개(111, 121)를 관통하여 제1 블록(12)과 제2 블록(12)이 회전가도록 하는 힌지축(13)과, 제1 또는 제2 블록(11, 12)에 형성되어 압축코일스프링(14)과 가압부재(15)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15)가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111, 121)와 밀착하는 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안착홈(114)과,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111, 121)의 가압부재(15)와 밀착하여 회전하는 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평면부(122)를 구비하는 장신구의 회전관절(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15)는 폴리옥시메틸렌(POM : Polyoxymethylene)의 재질로 일측은 막히고 일측은 개방되는 원통형의 캡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부분으로 압축코일스프링(14)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회전관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15)의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111, 121)와 밀착하는 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15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회전관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15)와 밀착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111, 121)는 사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15)가 밀착하는 3개의 평면부(122)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15)에는 중앙부분이 함몰되어 인접한 평면부(122)가 만나는 모서리가 안착되는 V홈(15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회전관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15)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 결합날개(111, 121)와 밀착하는 면이 확장되어 밀착면적을 늘리는 연장리브(15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회전관절.
KR2020160006429U 2016-11-03 2016-11-03 장신구의 회전관절 KR200487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29U KR200487533Y1 (ko) 2016-11-03 2016-11-03 장신구의 회전관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29U KR200487533Y1 (ko) 2016-11-03 2016-11-03 장신구의 회전관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16U true KR20180001416U (ko) 2018-05-11
KR200487533Y1 KR200487533Y1 (ko) 2018-10-08

Family

ID=6216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429U KR200487533Y1 (ko) 2016-11-03 2016-11-03 장신구의 회전관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533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9971U (ja) * 1982-12-10 1984-06-18 下平金物株式会社 家具用アングル蝶番
JP2002169127A (ja) * 2000-11-30 2002-06-14 Mitamura Noriaki 眼鏡テンプルのヒンジ構造
KR20050060204A (ko) * 2003-12-16 2005-06-22 장명택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KR20080000230A (ko) * 2006-06-27 2008-01-02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휴대폰용 양방향 스윙 힌지 모듈
KR200438164Y1 (ko) * 2007-06-25 2008-01-23 김영배 도어 개폐 유지장치
KR20090044808A (ko) 2007-11-01 2009-05-07 유정환 회전 제어 기능을 갖는 경첩
KR101184818B1 (ko) 2010-01-22 2012-09-20 박기복 유리문 개폐범위 단속가능한 경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9971U (ja) * 1982-12-10 1984-06-18 下平金物株式会社 家具用アングル蝶番
JP2002169127A (ja) * 2000-11-30 2002-06-14 Mitamura Noriaki 眼鏡テンプルのヒンジ構造
KR20050060204A (ko) * 2003-12-16 2005-06-22 장명택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KR20080000230A (ko) * 2006-06-27 2008-01-02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휴대폰용 양방향 스윙 힌지 모듈
KR200438164Y1 (ko) * 2007-06-25 2008-01-23 김영배 도어 개폐 유지장치
KR20090044808A (ko) 2007-11-01 2009-05-07 유정환 회전 제어 기능을 갖는 경첩
KR101184818B1 (ko) 2010-01-22 2012-09-20 박기복 유리문 개폐범위 단속가능한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533Y1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9610Y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JP3732619B2 (ja) ヒンジ装置
TWI386543B (zh) 傢俱鉸鏈
US7334297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TWM550964U (zh) 薄型鉸鏈
US9060051B2 (en) Semi-automatic hinge with rotational angle restricting mechanism
US20050235458A1 (e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radiotelephone
JP2007086756A (ja) ヒンジ装置
US5320239A (en) Case with pivoting cover and elastic articulation
KR200487533Y1 (ko) 장신구의 회전관절
TWI502326B (zh) 門板裝置及儲存設備
JP2010510444A (ja) バネ力が加えられたヒンジ機構
JP3212856U (ja) 眼鏡の蝶番
JP2005023951A (ja) フリーストップヒンジ装置
US20090320238A1 (en) Cam interference assembly of hinge and foldable device
KR100988605B1 (ko)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JP2003097133A (ja) 蝶番構造
KR200352046Y1 (ko) 힌지장치
JP2001133734A (ja) 眼鏡の丁番構造
JP2005147344A (ja) ヒンジ装置
KR200322916Y1 (ko) 여닫이문의 피벗 힌지구조
JP2004204978A (ja) ヒンジ装置
JP2740491B2 (ja) 折り畳み式機器のヒンジ構造
KR200374143Y1 (ko) 힌지어셈블리
CN102032266A (zh) 电子装置的开阖装置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