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396U -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 Google Patents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96U
KR20180001396U KR2020170000149U KR20170000149U KR20180001396U KR 20180001396 U KR20180001396 U KR 20180001396U KR 2020170000149 U KR2020170000149 U KR 2020170000149U KR 20170000149 U KR20170000149 U KR 20170000149U KR 20180001396 U KR20180001396 U KR 201800013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ver
main
intelligent helmet
hel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 버어
예 융정
태앤 제
리 쯔밍
이 샤앙링
Original Assignee
선전 치앤하이 리발 사물인터넷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치앤하이 리발 사물인터넷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치앤하이 리발 사물인터넷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01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9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42B3/303Communication between riders or passeng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42B3/306Audio entertainment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6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on the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은 바깥층을 포함한다. 상기 바깥층은 하나의 커버와 이 커버 하부 변연부에 설치된 기능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부는 사용자에 두 귀의 부근에 위치하는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부에는 메인 마이크, 두 스피커, 제어 구역 및 충전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능형 헬멧은 메인 제어 모듈과 전원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지능형 헬멧의 스피커는 커버 내에 설치되고, 커버 위에는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구역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블루투스 이어폰 또는 유선 이어폰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지능형 헬멧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사이클링을 할 때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HELMET FOR A SMART CYCLING EQUIPMENT}
본 고안은 헬멧에 관한 것이고 특히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상용하는 교통 도구 중의 일종이며 현재 사이클링은 유행하는 스포츠로 되고 있다. 사이클링을 할 때 사용자에게 전화가 오면 블루투스 이어폰을 통하여 전화를 받거나 또는 전화를 잡고 전화를 받을 수 있지만 그의 편리성이 좋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이럴 적에 주위의 상황을 잘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교통 안전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또 사이클링을 할 때 블루투스 이어폰 또는 유선 이어폰 등에 의해 휴대폰형 단말 내의 음악을 들을 경우가 많다. 이럴 적에 주위의 상황을 파악하는 사용자의 청각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뒤에서 오는 차의 소리를 잘 들을 수 없으므로 교통 안전에 영향을 주는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사이클링을 할 때 안전한 통신을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사항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은 바깥층을 포함한다. 상기 바깥층은 하나의 커버와 이 커버 하부 변연부에 설치되는 기능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부는 사용자에 두 귀의 부근에 위치하는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부에는 메인 마이크, 두개의 스피커, 제어 구역 및 충전 커넥터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두개의 스피커는 각각 상기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구역을 통하여 상기 메인 마이크와 두개의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헬멧은 메인 제어 모듈과 전원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은 상기 커버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메인 마이크, 두개의 스피커 및 제어 구역에 전기 접속되고, 또한 사용자의 휴대형 단말과 무선 통신을 하는 무선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모듈은 상기 충전 커넥터 및 상기 메인 제어 모듈과 전기 접속하도록 상기 커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제어 모듈에 급전을 한다.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보면 본 고안의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의 스피커는 커버 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커버 위의 제어 구역을 통하여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블루투스 이어폰 또는 유선 이어폰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지능형 헬멧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사이클링을 할 때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부분에서 본 고안의 개요를 설명해 왔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을 상세하게 설명하여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는 정도로 하고, 또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고안의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 중의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기술적 사항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일부분의 실시예에 지나치지 않고 본 고안의 모든 실시예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계의 변경 등을 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설계의 변경 등이 있어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헬멧(10)은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하나의 바깥층(12)를 포함한다. 이 바깥층(12)는 하나의 커버(20)과 이 커버 (20)의 하부 변연부에 설치된 기능부(22)를 포함한다. 커버(20)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는 것에 의해 커버(20)의 하부 변연부의 기능부(22) 위에 복수개의 부품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기능부(22)는 사용자에 두 귀의 부근에 위치하는 좌측 부분(221)과 우측 부분(222)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부(22)에는 메인 마이크(30), 좌측 스피커(31), 우측 스피커(32), 제어 구역(33) 및 충전 커넥터(34)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두 스피커(31, 32)는 각각 상기 좌측 부분(221)과 우측 부분(222)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상기 제어 구역(33)을 통하여 상기 메인 마이크(30)과 두 스피커(31, 32)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의 개폐, 스피커의 볼륨, 음악의 넥스트, 음악의 푸레비아스 및 음악의 패스트 포워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헬멧(10)은 커버(20) 내에 설치되는 메인 제어 모듈(50)과 전원 모듈(60)을 더 포함한다.
좌측 스피커(31)과 우측 스피커(32)가 각각 좌측 부분(221)과 우측 부분( 222)에 설치되어 있기에 사용자는 어떤 종류의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아도 헬멧( 10)에서 오는 음성을 듣을 수 있다. 두 스피커(31, 32)는 헬멧(10)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청각에 영향을 줄 우려가 없다. 즉 사용자가 두 스피커(31, 32)를 통하여 음성을 듣을 때 외부에서 오는 음성도 듣을 수 있으므로 사이클링의 안전에 영향을 줄 우려가 없다.
상기 두 스피커(31, 32)는 모두 커버(20)의 하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커버(20)내에 수납되고, 스피커의 음성은 상기 커버(20)의 하측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의 표면에는 먼지 방지용 그물(20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먼지 방지용 그물(201)의 높이는 상기 기능부(22)의 표면(220)의 높이와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기능부(22)의 표면(220)의 높이 보다 낮다. 헬멧(10)을 제조할 때 스피커가 헬멧(10)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헬멧(10)을 해체하지 않으면 스피커를 꺼낼 수 없다. 상기 스피커의 높이는 상기 표면(220)의 높이와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표면(220)의 높이 보다 낮으므로 스피커의 존재를 발견하기 어렵고 헬멧의 외관과 사용상의 촉감에 영향을 줄 우려가 없다.
상기 기능부(22)에는 메인 마이크(30)이 더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메인 마이크(30)의 위치를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목소리를 수록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좋다. 상기 기능부(22)가 사용자의 두부의 전부에 위치하는 전부(223)과 사용자의 두부의 후부에 위치하는 후부(224)를 포함할 경우, 상기 메인 마이크(30)이 상기 전부(22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메인 마이크(30)과 사용자의 입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부(22)는 메인 마이크(30)의 위치와 틀린 위치에 설치된 서브 마이크(도시되지 않았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메인 마이크(30)을 상기 전부(223)에 설치하고 상기 서브 마이크를 상기 후부(224)에 설치할 수 있다. 메인 마이크와 서브 마이크의 위치가 틀린 것에 의해 부동한 음성을 수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화를 할 때 두 마이크가 수록한 음성이 부동하기에 사용자의 음성이 많은 음성을 남기고 주위의 환경에서 오는 노이즈가 많은 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것에 의해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수록된 사용자의 음성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떠들썩한 환경에서 더 전화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은 외부 표면(20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마이크를 커버(20)의 외부 표면(203)에 설치할 수 있다. 노이즈를 억제하는 방법은 상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여기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어 구역(33)이 기능부(22)위에 설치되는 위치를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좋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제어 구역(33)을 상기 전부(223)에 설치하고 사용자가 시야의 범위 내에서 이것을 조작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구역(33)은 볼륨 제어 버튼(331)과 개폐 제어 버튼 (332)를 포함하고, 이 개폐 제어 버튼(332)를 통하여 메인 제어 모듈(50)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기능,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유닛(501), 스피커, 헬멧(10) 내의 경고용 램프(도시되지 않았음)등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볼륨 제어 버튼(331)을 통하여 상기 스피커(31, 32)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볼륨 제어 버튼(331)은 예를 들면 「+」로 표시된 볼륨 증가 버튼(3310)과 「-」로 표시된 볼륨 저감 버튼(33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버튼의 기능은 볼륨의 가감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볼륨 증가 버튼(3310)을 통하여 「음악 넥스트」를 실현하고, 볼륨 저감 버튼(3311)을 통하여 「음악 푸레비아스」를 실현하고, 볼륨 증가 버튼(3310)을 길게 누르는 것에 의해 「음악 패스트 포워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구역(33)의 볼륨 제어 버튼(331)과 개폐 제어 버튼(332)는 모두 설치 표면에서 돌출되어 있거나 또는 설치 표면(의 높이)과 일치하게 설치되는 버튼이다. 사용자는 이것들을 감지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구역(33)으로서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볼륨 제어 버튼(331)과 개폐 제어 버튼(332)가 터치형 버튼일 적 이것들의 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충전 커넥터(34)를 기능부(22) 위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전원과의 접속이 가능한 위치라면 어디라도 좋다. 충전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충전 커넥터(34)를 상기 후부(224)에 설치할 수 있다. 전량의 부족에 의해 무선 통신 유닛(501)을 기동할 수 없는 경우 경고용 램프(도시되지 않았음)의 점멸을 통하여 전력의 부족을 지적할 수 있다. 이럴적 상기 충전 커넥터(34)를 통해 충전을 하는 것에 의해 헬멧의 적당한 작동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제어 모듈(50)은 커버(20)내에 설치되고 상기 기능부(22)위의 복수개의 부품 예를 들면 메인 마이크(30), 두 스피커(31 및 32), 제어 구역(33)에 전기 접속된다. 상기 메인 제어 모듈(50)은 사용자의 휴대형 단말(100)과 무선 통신을 하는 무선 통신 유닛(5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제어 모듈(50)을 통하여 두 스피커(31 및 32), 메인 마이크(30), 무선 통신 유닛(50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제어 모듈(50)을 기동시킬 때 무선 통신 유닛(501)은 기동되고 상기 헬멧(10)은 적당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소정 단말과 접속을 형성한다. 즉 사용자의 휴대형 단말(100)과 접속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 유닛(501)은 블루투스 모듈이며, 사용자의 휴대형 단말(100)(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접속을 형성할 때 무선 통신 유닛(501)은 휴대형 단말(100)에서 오는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제어 모듈(50)은 두 스피커(31 및 32)를 통하여 수신한 음성 신호를 방송한다. 상기 휴대형 단말(100)에 전화가 들어 올 때 무선 통신 유닛(501)은 무선 통신 유닛(501)을 통하여 이 전화를 검출하고 두 스피커(31 및 32)을 통하여 전화의 벨을 울릴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제어 구역(33)내의 소정의 버튼 예를 들면 개폐 제어 버튼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전화를 받고 메인 제어 모듈(50)이 메인 마이크(30)을 기동시키는 것에 의해 통화를 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유닛(501)은 블루투스 모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무선 모듈 예를 들면 ZigBee, 적외선형 무선 모듈일 수 있다.
전원 모듈(60)은 상기 커버(20) 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충전 커넥터(34)와 메인 제어 모듈(50)에 전기접속된다. 상기 전원 모듈(60)은 상기 메인 제어 모듈 (50)에 급전을 한다.
헬멧이 하나의 메인 마이크(30)만을 포함할 경우 메인 제어 모듈(50)에 노이즈 억제 유닛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헬멧 위에 서브 마이크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도 상기 노이즈 억제 유닛을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고안의 지능형 헬멧을 사용할 때 먼저 스위치를 넣고 무선 통신 유닛을 기동시키는 것에 의해 지능형 헬멧과 휴대폰형 단말 사이의 접속을 형성한다. 이 때 지능형 헬멧은 휴대형 단말의 외부 장치로 된다. 지능형 헬멧 내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는 사용자의 귀의 부근에 위치하여 있지만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주위의 음성을 감지하는 청각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사용자는 제어 구역을 통하여 지능형 헬멧의 통신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이클링을 하면서도 음악 또는 방송을 듣거나 또는 전화를 받을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지능형 헬멧을 통하여 사이클링을 하면서도 통신을 쉽게 할수 있기에 사이클링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을 설명하여 왔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예시에 밖에 지나지 않고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계의 변경 등을 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설계의 변경 등이 있어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각 실시예에 복수의 구성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기재가 없더라도 이 구성의 가능한 조합이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9)

  1. 바깥층을 포함하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상기 바깥층은 하나의 커버와 이 커버 하부 변연부에 설치된 기능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부는 사용자에 두 귀의 부근에 위치하는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부에는 메인 마이크, 두 스피커, 제어 구역 및 충전 커넥터가 더 설치되며, 상기 두 스피커는 각각 상기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구역을 통하여 상기 메인 마이크와 두 스피커를 제어하고,
    상기 지능형 헬멧은 메인 제어 모듈과 전원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은 상기 커버 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메인 마이크, 두 스피커 및 제어 구역에 전기 접속되고, 또 사용자의 휴대형 단말과 무선 통신을 하는 무선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모듈은 상기 충전 커넥터 및 상기 메인 제어 모듈과 전기 접속하도록 상기 커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제어 모듈에 급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는 사용자의 두부의 전부에 위치하는 전부와 사용자의 두부의 후부에 위치하는 후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마이크와 상기 제어 구역은 상기 전부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 커넥터는 상기 후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구역은 볼륨 제어 버튼과 개폐 제어 버튼을 포함하고, 이 개폐 제어 버튼을 통하여 메인 제어 모듈 중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기능을 개폐하고, 상기 볼륨 제어 버튼을 통하여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 제어 버튼과 개폐 제어 버튼은 설치 표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 제어 버튼과 개폐 제어 버튼은 터치형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커버의 하측으로 향하도록 이 커버 내에 수납되고 상기 스피커의 표면에는 먼지 방지용 그물이 설치되고 이 먼지 방지용 그물의 높이는 상기 기능부의 표면의 높이와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기능부의 표면의 높이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는 사용자의 두부의 전부에 위치하는 전부와 사용자의 두부의 후부에 위치하는 후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마이크는 상기 전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능부는 상기 후부에 설치된 서브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외부 표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부는 사용자의 두부의 전부에 위치하는 전부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마이크는 상기 전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은 서브 마이크를 더 포함하며, 이 서브 마이크는 상기 외부 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9. 제 1, 7 또는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 모듈은 노이즈 억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이 노이즈 억제 유닛을 통하여 상기 메인 마이크로에 의해 수록되는 음성 중의 노이즈를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KR2020170000149U 2016-10-31 2017-01-09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KR20180001396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21201470.5U CN206182459U (zh) 2016-10-31 2016-10-31 具有通讯功能的智能头盔
CN201621201470.5 2016-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96U true KR20180001396U (ko) 2018-05-10

Family

ID=5783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149U KR20180001396U (ko) 2016-10-31 2017-01-09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121155A1 (ko)
JP (1) JP3209278U (ko)
KR (1) KR20180001396U (ko)
CN (1) CN206182459U (ko)
TW (1) TWM53925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1115A (zh) * 2017-11-30 2018-04-24 山东玻纤集团股份有限公司 玻璃纤维生产车间用安全帽
CN110660193B (zh) * 2019-09-27 2021-07-27 国网河南省电力公司信息通信公司 一种智能安全帽及检修人员安全管理系统
US11463794B1 (en) * 2022-06-22 2022-10-04 Shenzhen Calion Power Co., Ltd Audio intelligent wear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182459U (zh) 2017-05-24
US20180121155A1 (en) 2018-05-03
JP3209278U (ja) 2017-03-09
TWM539251U (zh)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83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o sharing
US8447370B2 (en) Microphone techniques
US8295505B2 (en) Earphone with controllable leakage of surrounding sound and device therefor
US9455677B2 (en) Wireless audio control apparatus
KR101899005B1 (ko) 외부 마이크 및 이어커낼 마이크가 내장된 외부 소음환경 적응형 블루투스 이어셋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44503B1 (ko) 이어커낼 마이크가 내장된 블루투스 이어셋
KR101744507B1 (ko) 이어커낼 마이크가 내장된 블루투스 이어셋
CN109792574A (zh) 具有分开的用于双声道录音和用于通话的麦克风的耳机
KR20180001396U (ko)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KR101694706B1 (ko) 이어셋
KR101092957B1 (ko) 마이크로폰
ITMI20011480A1 (it) Sistema di comunicazione audio a funzionalita' elevata per motoveicoli
US20110263301A1 (en) Bluetooth Control System for Mobile Devices Used In A Car
KR101861357B1 (ko) 소음 감지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장치
KR100901361B1 (ko) 모노-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 및 이어폰
KR101631192B1 (ko)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30053650A1 (en) Earphone device for motorcycle rider and passenger
JP3142369U (ja) ヘルメット用通信装置
CN205545772U (zh) 新型多功能头戴式无线耳机
KR100543617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구조
CN215268662U (zh) 一种耳机
KR20030069471A (ko) 음향 입출력장치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
CN212183714U (zh) 具有改进反馈声道的耳机
CN211557458U (zh) 具有降噪mic的耳机
CN210041908U (zh) 一种多功能蓝牙免提通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